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MSI PS42 8RB 리뷰

2018.08.10. 12:13:54
조회 수
4,266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 . 제품 소개 및 특징

re_DSC02097.jpg

 

MSI라고 하면 보통 GP, GE, GT와 같은 G 시리즈 게이밍 노트북이나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게이밍 기어 등을 떠올리곤 하지만, 이러한 Gaming 라인업과는 다른 방향성을 가진 Creator(Professional) & Workstation 라인업도 존재합니다. C&W 라인업은 적정 수준의 비즈니스, 휴대 사용의 비중이 멀티미디어 작업, 높은 수준의 전문 작업 등... 사실상 게이밍을 제외한 나머지를 전부 포함한다고 봐도 될 정도의 광범위한 활용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얼마 전까지 C&W 라인업의 유일한 노트북 시리즈였던 Prestige PE는 휴대와 성능 사이의 균형을 맞춘 준전문가급 노트북 제품군으로 평가되었습니다.

 

re_DSC02099.jpg

 

그런데, 이번 COMPUTEX 2018의 MSI 부스에서 새롭게 공개된 Prestige PS 시리즈는 기존 PE 모델들과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i7-7700HQ와 같은 주력 프로세서가 아닌 i7-8550U 저전력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NVIDIA GeForce MX 150 2GB 모바일용 외장 그래픽을 탑재하여, 기존 PE 모델보다 훨씬 슬림하고 가벼운 외형을 구현하였습니다. 또한 Windows Hello와 호환되는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 180도로 펼쳐지는 힌지, 5.7mm 두께의 얇은 베젤을 적용하였는데 MSI Prestige 시리즈 특유의 실버톤 알루미늄 소재와 맞물려 인상적인 외형 및 실용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실 기존의 PE 모델은 한 방면에 특화되었다기보다 전체적으로 균형을 잡은 "스탠다드"형으로 볼 수 있었지만, PS 모델 최초로 출시된 MSI PS42 8RB는 사실상 14"형 울트라북이나 마찬가지로, 초슬림/초경량에 초점을 맞춰 비즈니스, 휴대성 멀티미디어 작업에 더욱 적합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저전력 프로세서와 MX150 외장 그래픽으로 인해 PE 모델에 비해서는 활용에 다소 제약이 있긴 하겠지만, 울트라북의 기준에 부합하는 높은 휴대성과 편의성을 통해 PE 모델과 차별화를 두고 있는 셈입니다.

 

re_DSC02094.jpg

 

하드웨어의 진보에 따라 얇고 가벼우면서도 높은 성능을 갖춘 노트북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는 현재의 노트북 시장에서, MSI는 완전히 새로운 모델로 타겟층을 넓혀 자사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려 하고 있는데... 과연 MSI PS42 8RB는 이러한 행보의 초석으로써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지 한 번 자세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pecifications

 

제품 소개 페이지 : https://www.msi.com/Laptop/PS42-8RX/Overview

 

▲클릭하면 접어 올립니다.


 

re_spec.jpg



2 . 패키지 및 외형

re_DSC02064.jpg

 

re_DSC02065.jpg

▲ 패키지 디자인은 기존 PE 모델과는 달리 올화이트 컬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re_DSC02066.jpg

 

re_DSC02068.jpg

▲ 저전력 프로세서와 모바일용 외장 그래픽 탑재로 인해서, PE 모델보다 어댑터의 입/출력 스펙은 낮은 편입니다.

 

re_DSC02069.jpg

 

re_DSC02070.jpg

 

re_DSC02071.jpg

 

re_DSC02072.jpg

▲ 퀵 스타트 가이드, 품질 보증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_DSC02073.jpg

 

re_DSC02074.jpg

▲ 노트북 크기는 322 x 222 x 15.9mm에 무게는 1.19kg으로, PE 모델과는 다르게 울트라북의 기준에 충분히 부합하고 있습니다.

 

re_DSC02075.jpg

▲ 헤어브러시 디자인이 적용된 실버톤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Prestige 시리즈로써의 아이덴티티는 확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re_DSC02076.jpg

 

re_DSC02077.jpg

▲ MSI 로고가 새겨져 있던 PE 모델과는 다르게 드래곤 로고가 적용되어 있으며, 하판까지 전부 실버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re_DSC02078.jpg

 

re_DSC02079.jpg

 

re_DSC02080.jpg

 

re_DSC02081.jpg

 

re_DSC02082.jpg

 

re_DSC02083.jpg

▲ 사용자 기준 좌측면에는 전원 단자, HDMI, USB 3.1 Type-C, 오디오 콤보 단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re_DSC02085.jpg

▲ 사용자 기준 우측면에는 도난 방지를 위한 켄싱턴 락, SD 카드 리더, USB 3.1 Type-C, USB 3.1 Type-A 단자 2개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re_DSC02086.jpg

 

re_DSC02088.jpg

 

re_DSC02089.jpg

 

re_DSC02090.jpg

 

re_DSC02091.jpg

 

re_DSC02092.jpg

 

re_DSC02094.jpg

 

re_DSC02095.jpg

 

re_DSC02097.jpg

 

re_DSC02098.jpg

 

re_DSC02099.jpg

▲ 180도로 펼쳐지는 완전 개방 힌지가 적용되어 비즈니스용으로도 적합합니다.

 

re_DSC02100.jpg

 

re_DSC02101.jpg

▲ 14"형 디스플레이부에는 5.7mm 수준의 울트라 씬 베젤이 적용되어 있어 높은 몰입감을 제공해주며, 동급 노트북 대비 제품 크기를 줄여주는 역할도 겸하고 있습니다.

 

re_DSC02102.jpg

 

re_DSC02103.jpg

 

re_DSC02105.jpg

▲ 디스플레이 하단에는 720P@30fps 스펙의 HD 웹캠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원 버튼은 하판 상단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re_DSC02106.jpg

▲ 하판에는 화이트 LED가 적용된 백라이트 치클릿 키보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re_DSC02108.jpg

 

re_DSC02109.jpg

 

re_DSC02110.jpg

 

re_DSC02111.jpg

▲ 터치패드의 좌측 상단에는 Windows Hello를 지원하는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센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re_DSC02122.jpg

 

re_DSC02123.jpg

 

re_DSC02124.jpg

 

re_DSC02125.jpg

 

re_DSC02127.jpg

 

re_DSC02112.jpg

 

re_DSC02113.jpg




3 . 내부 확인

re_DSC02114.jpg

▲ 내부 확인을 위해 하판을 분리한 모습입니다.

 

re_DSC02115.jpg

 

re_DSC02116.jpg

▲ 탑재 부품의 범주가 다른 PE 모델과는 달리, 울트라북 수준의 간단한 내부 레이아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가 스토리지 슬롯은 지원하지 않으며, 메모리의 경우도 1슬롯으로 최대 16GB까지 인식 가능하지만 교체를 위해서는 서비스센터를 방문해야 하겠습니다.

 

re_DSC02117.jpg

 

re_DSC02118.jpg

 

re_DSC02119.jpg

 

re_DSC02120.jpg

 

re_DSC02121.jpg



4 . 프로세서 성능

MSI PS42 8RB에 탑재된 8세대 ​Intel Core i7-8550U Kaby Lake R 프로세서(Intel ARK 페이지 링크)는 8MB의 스마트 캐시와 기본 1.8GHz / 터보 4.0GHz의 클럭을 보유하고 있으며, 4개의 코어 및 8개의 스레드를 제공합니다.

 

※ 글 작성 시 기준 CPU-Z에서 Kaby Lake R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가 명확히 표기되지 않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_cpuz1.jpg re_cpuz2.jpg
re_cpuz3.jpg re_cpuz4.jpg

 

 

 CINEBENCH R15.0 64bit

 

re_cinebench.jpg

 

 

 Handbrake 1.0.7 64bit

 

re_handbrake.jpg

 

 

 wPrime 2.10 / 1024M

 

re_wPrime.jpg

 

 

 AIDA64 v5.75.3900 Report : CPU Queen

 

re_cpuQueen.jpg

 

 

 PCMark8 : Home Accelerated

 

re_pcmark8_home.jpg

 

 

LG 그램이나 울트라PC GT와 같은 울트라북 계열 제품들에 주로 탑재되는 i7-8550U 카비레이크 리프레시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저전력 프로세서임에도 4코어 8스레드를 지원하는 만큼 일반적인 활용에 무리가 없는 수준이며, 벤치마크 결과도 동급의 타 노트북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주 활용도로 예상되는 문서 작업이나 웹서핑 등에는 전혀 문제가 없겠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및 간단한 편집에서도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겠습니다.



5 . 3D 그래픽 및 게임 성능

 GPU-Z

 

Intel ​8세대 Core i7-8550U Kaby Lake R 프로세서 + NVIDIA GeForce MX 150 2GB 외장 그래픽 + Kingston 8GB DDR4-2400 메모리 + Microsoft Windows 10 Pro 64bit 구성으로 게임성능 벤치마크가 진행되었습니다.

 

re_gpuz.jpg


벤치마크에 사용된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은 398.36이며, 내장형 GPU와 외장형 GPU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NVIDIA 제어판 - 3D 설정 관리"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고정한 뒤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Benchmark

 

▲클릭하면 접어 올립니다.


 

re_3dmark_cg.jpg

 

re_3dmark_sd.jpg

 

re_3dmark_fs.jpg

 

re_vrmark_or.jpg

 

re_unigine_hv.jpg

 



 

 

■ Game

 

re_League of Legends 2018-08-02 오후 5-27-54-145.jpg

▲ League of Legends / 1080P / 그래픽 프리셋 "매우 높음" / 안티앨리어싱 X

 

re_Overwatch 2018-08-02 오후 5-17-56-35.jpg

▲ Overwatch / 1080P / 그래픽 품질 "중간" / 렌더링 스케일 100%

 

re_TslGame 2018-08-02 오전 9-34-23-663.jpg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1080P / 그래픽 품질 "매우 낮음"

 

graph_game.png

 

 

MSI PS42 8RB에 탑재된 NVIDIA GeForce MX 150은 데스크톱용 GPU를 노트북에 그대로 사용하는 GTX 1050~1080 칩셋과는 달리 모바일 전용으로 제작된 GPU입니다. 그 전신은 데스크톱용 GT 1030의 GP108(14nm) 칩셋으로... 클럭이나 연산 성능, 메모리 대역폭 등 대부분이 동일한 수준이며 모바일 전용으로 제작된 만큼 TDP가 조금 더 낮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14"형 울트라북에 적합한 그래픽 칩셋이라 할 수 있는데, Prestige 시리즈의 특성상 게임 플레이에 적합하다고 볼 수는 없으나... 위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배틀그라운드도 플레이 자체는 가능하고 오버워치나 LOL 정도는 큰 무리없이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 활용도 외에 보조적인 측면으로 3D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겠습니다.



6 . 스토리지 성능

 Windows Disk Info

 

re_diskInfo.jpg

 

re_diskInfo_C.jpg

 

 

 Crystal Disk Info

 

re_cdi.jpg

 

 

 Crystal Disk Mark

 

re_cdm.jpg

 

 

 ATTO Disk Benchmark

 

re_atto.jpg

 

 

본 제품에 장착된 기본 스토리지는 Kingston SATA M.2 SSD 128GB이며,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약 57GB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주 활용도가 비즈니스용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용량이 적은 편이고 저장공간의 추가 확보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아쉬운 점으로 꼽히지만, 용량을 제외하면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7 . 발열 및 소음

 발열

 

graph_temp.png

 

테스트 결과... 주 발열원은 상판(키보드부) 좌측 상단과 중앙 부근이며, 하판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발열이 확인됩니다. 외장 그래픽을 탑재한 노트북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풀로드 시의 하판 온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상판 온도는 오히려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가 체감하는 발열양은 크게 높지는 않겠습니다. 또한 쿨러 부스트 3를 통해 빠른 발열 해소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용 프로그램인 Dragon Center에서 세팅값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활용 패턴에 맞는 최적의 쿨링 환경을 구현할 수도 있겠습니다.

 


 

■ 소음

 

※ 측정 장비 정보

▲클릭하면 접어 올립니다.


 

Sontek

TS95 Noise test booth

 

테스트에 사용된 소음 박스 장비는 간이소음측정 박스로... 1000hz이상의 음역대에서는 무향실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편으로, 상대적으로 저음역대의 차폐에는 손색이 있습니다. 차음량 STC 25수준 보증, 정확한 음색특정보다는 대략적인 소음수준 판별에 유의한 장비입니다. 사용자가 실제 사용시를 상정하여 노트북 본체 상단에서 약 10cm 거리에서 측정하였습니다.

 

_DSC8076.jpg

Cirrus Reserch plc

CR-172A Optimus sound level meter

for Enviromental & Occupational Noise

 

주요기능 요약

 

1. Real-time 1:1 옥타브 밴드

    * 31.5hz ~ 16,000hz 측정범위

       (31.5 / 63 / 125 / 250 / 500 / 1000 / 2000 / 4000 / 8000 / 16000)

    * 전체 측정구간을 대상으로 각 밴드별 Leq값을 표기합니다.

 

2. 녹음기능

    * 16bit 16khz WAV형식 , 또는 32bit 96Khz WAV형식 지원

    * 측정과 녹음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녹음 발동 조건지정 가능 (음의 세기 등..)

    * 4GB 내장메모리 제공

    * PC의 마이크단자에 스테레오 케이블을통한 직결가능 => 마이크로 기능

 

3. Class2 인증의 고성능과 폭넓은 범용성

   * 최하 21dB / 최고 140dB까지의 측정범위 제공

   * EU, UK, OSHA, MSHA, ACGIH등 기관 표준 산법을 모두 제공

 


 

NC값은 아래의 표를 참고삼아 보시기 바랍니다.

 

K-2.png

 



 

graph_noise.png

 

 

외장 그래픽을 탑재한 제품인 만큼 풀로드 시의 소음치는 다소 높은 편이지만, 3D 게임을 장시간 플레이하는 등의 고부하 작업을 지속할 만한 제품은 아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거의 없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IDLE 시에는 무소음과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활용에 있어서는 환경을 크게 가리지 않겠습니다.



8 . 배터리 시간 및 소비전력

re_pcmark8_battery.jpg

 

graph_watt.png

 

 

PCMark8을 사용한 배터리 라이프 테스트에서는 화면 밝기 100%, Wi-Fi ON 상태로 약 2시간 53분이 측정되었으며, 이는 1080P 동영상을 밝기 75% / Wi-Fi ON / 볼륨 50% 상태로 연속 재생한 것과 비슷한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14"형 제품인 만큼 용량이 큰 배터리를 넣을 수 없어 다소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로 배터리 소모가 큰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적고, 저전력 프로세서와 모바일용 GPU가 탑재되어 있어 예상보다 긴 배터리 시간을 보여주었습니다. 야외 환경이 아닌 이상 화면 밝기를 100%로 유지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반적인 휴대 시 충전 없이도 최소 3시간 이상의 배터리 시간을 얻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얇고 가벼운 제품의 외형과 맞물려 높은 휴대성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9 . 디스플레이 측정(Measuremenet) 매뉴얼 / 옵션

31160b1eefd588db739a463b0c10c0de.jpg

 

디스플레이(Display) 테스트는 KONICA MINOLTA사의 측정(Measurement) 장비인 CA-310과 전용 소프트웨어 ColorTaster를 사용합니다.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여주기 위해 일정 시간 화면 에이징을 선행하며,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환경을 제외, 암실(Darkroom)에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OSD(On Screen Display)

 

MSI PS42 8RB는 디스플레이 관련 MSI 특유의 옵션인 MSI TRUE COLOR 소프트웨어를 지원합니다. MSI TRUE COLOR에는 게이머, 안티-블루, sRGB, 디자이너, 오피스, 영화 모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모드에 따라 감마, 색온도 세부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지정된 화면 모드로 자동 전환해주는 App Sync™, 지정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Calibration)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re_tc01.jpg

 

re_tc02.jpg

 

re_tc03.jpg

 

re_tc04.jpg

 

re_tc05.jpg

 

re_tc06.jpg




10 . 휘도(Luminance) / 명암비(Contrast Ratio)

 휘도(Luminance)

 

휘도(Luminance)는 밝기를 뜻하며 단위는 nit(니트) 또는 cd/㎡(칸델라)입니다. 높은 휘도를 지원하면 야외에서도 화면을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re_luminance.jpg

 

MSI PS42 8RB는 최대 241nit 수준의 휘도(밝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Windows 디스플레이 설정이나 MSI TRUE COLOR에서 휘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MSI TRUE COLOR의 기본 모드인 sRGB 기준으로, 이전 Prestige 시리즈인 PE 모델에 비해 휘도는 다소 낮지만 각 단계별 편차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MSI TRUE COLOR의 각 모드마다 휘도값이 다르고 상세 설정을 조절하면 더욱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대 밝기를 원하는 경우 sRGB 또는 게이머 모드의 기본 설정을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명암비(Contrast Ratio)

 

명암비(Contrast Ratio)는 밝고 어두움의 대비를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패널(Panel)의 영향이 가장 큰 항목입니다. Black 휘도(밝기)가 낮을수록 진하고 디테일한 암부 표현에 유리하며 그만큼 명암비도 높게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론 VA 패널에서 명암비가 가장 높고 다음이 IPS, TN 패널순입니다.

 

re_cont01.png

▲Luminance(Black) : 0.93nit / 밝기 100

 

re_cont02.jpg

 

MSI PS42 8RB의 디스플레이에는 IPS 광시야각 패널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Black을 표현하는 휘도는 약 0.93nit 수준입니다. 명암비는 기본 260:1 수준에서 휘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으며, MSI TRUE COLOR의 각 모드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공통적으로 눈에 띄는 빛샘 또는 암부 왜곡이 확인되지는 않지만, 검은 색을 표현하는 값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흐린, 혹은 회색빛이 도는 검은색을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암부 표현, 균일도, 빛샘 등의 현상은 동일 제품간에도 출고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1 . 감마(Gamma) / 색 온도(Color Temperature)

 감마(Gamma)

 

감마(Gamma)는 곡선 형태에 따라 색의 진함/연함이 다르게 표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같은 색이라도 감마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으로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옵션(게임, 영화, 사진 등...)이 아닌 경우 표준 감마(2.2)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작업, 컨텐츠 감상 등의 활용에 두루 효과적입니다.

 

re_gamma1.jpg

▲기본 감마

 

re_gamma2.jpg

▲RGB

 

기본 모드인 sRGB 기준으로 감마는 표준(2.2)에 근접한 설정을 제공하며, 밝기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기본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웹 서핑, 영화 감상, 게임을 즐기는 용도로 무난하게 쓰여질 수 있겠으며, sRGB 모드 외에 MSI TRUE COLOR에서 제공하는 5가지 보기 모드의 경우 각각 편차가 매우 크지만 모드에 따라 추가적인 감마 설정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은 참고해야 하겠습니다.

 


 

 색 온도(Color Temperature)

 

색 온도(Color Temperature)는 따뜻한(Warm), 차가운(Cool) 또는 붉은(Reddish), 푸른(Bluish) 화면으로 특징을 구분합니다. 색온도 표준 6500K를 기준으로 값이 낮을수록 화면이 붉게 느껴지며 반대로 높은 경우엔 화면이 푸르게 느껴지며 작업을 고려할 경우 색 온도 표준을 권유하지만, 일반 사용에서는 취향에 따라 선택해도 무방한 항목입니다.

 

re_colorTemp.jpg

 

기본 설정인 sRGB 기준으로, 100% 상태에서 밝기를 내릴수록 색 온도 표준 6500K에 근접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밝기 100% 상태에서는 화면이 비교적 푸르게 보여질 수 있지만, 다른 항목들과 마찬가지로 MSI TRUE COLOR에서 세부 설정을 조절하여 개인의 취향이나 목적에 맞춰 색 온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12 . 색 재현(Color Reproduction Rangle) / 시야각(Viewing Angle)

 색 재현(Color Reproduction Range)

 

색재현(Color Reproduction Range) 결과를 통해 제품 고유의 표현 방식을 알 수 있습니다. 제품 각각의 스펙을 참고하여 sRGB 또는 Adobe RGB 기준에 색공간(색역)이 얼마만큼 근접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준을 모두 만족하지 않더라도 사용에 무리는 없으나 기준에 가깝고 넓은 색 표현 범위를 가질수록 작업, 감상 등으로 두루 사용하기 효과적입니다.

 

re_colorRR01.jpg

re_colorRR02.png

▲색공간 및 커버리지

 

re_color3D01.jpg

re_color3D02.jpg

▲3D LAB, 기본 설정(sRGB)

 

기본 설정인 sRGB 기준으로 색 재현은 100-101% 사이의 커버리지를 나타내며 sRGB 색 표준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구조 역시 크게 벗어나는 부분은 없으므로 이미지 작업이나 컨텐츠 감상, 게임 플레이 등 대다수의 작업에 큰 무리가 없는 색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시야각(Viewing Angle)

 

시야각(Viewing Angle)은 시인성과 더불어 색감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여러 각도에서 일정한 밝기와 색 표현이 유지될 때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로 판단합니다.

 

re_DSC02128.jpg

 

re_DSC02129.jpg

 

re_DSC02130.jpg

 

re_DSC02131.jpg

 

re_DSC02132.jpg

 

MSI PS42 8RB는 IPS 패널 기반의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각도에 따라 휘도 차이는 약간 존재하지만 색의 왜곡이 적은 시야각을 지원하고 있어 좌,우 또는 상,하에서 왜곡이 비교적 적은 상태로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13 . 결론

MSI PS42 8RB

 

re_DSC02095.jpg

 

Design & Function

기존 MSI PE 시리즈 노트북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한 채 이쁘게(?) 압축하여 14" 울트라북으로 만든 듯한 MSI PS 시리즈의 첫 제품입니다. 준전문가급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소 묵직한 느낌이 있었던 PE 시리즈와는 방향성이 다른 제품이지만, 타 MSI 라인업에서는 볼 수 없는 실버 컬러와 헤어브러시 디자인 등 Prestige 특유의 외형 요소를 그대로 유지하여 확실한 인상을 남기고 있습니다.

초슬림, 초경량에 초점을 맞춰 제작된 울트라북 제품인 만큼 DYNAUDIO 스피커와 같이 공간을 필요로 하는 기능은 제외되었지만 5.7mm 울트라 씬 베젤, 180도 완전개방 힌지,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 등 구매 타겟층이 필요로 할 만한 요소들을 추가하여 더욱 경쟁력을 높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erformance

저전력 프로세서인 i7-8550U Kaby Lake R과 모바일용 외장 그래픽 NVIDIA GeForce MX 150 2GB, Kingston 8GB DDR4-2400 메모리를 탑재하여 울트라북 제품들 중에서도 제법 괜찮은 수준의 성능을 보였습니다. 프로세서의 성능은 일반적인 문서 작업, 웹서핑, 멀티미디어 재생 등의 작업에 전혀 지장이 없으며, 데스크톱용 GT 1030의 형제뻘이라 할 수 있는 MX 150은 오버워치나 LOL 수준의 게임을 무난하게 플레이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합니다. 단, 기본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많지 않고 저장공간의 추가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 활용도와 본 제품이 지닌 성능 등을 고려하여 가늠해볼 필요는 있겠습니다.

 

Temperature & Noise

발열의 경우 외장 그래픽을 탑재한 타 울트라북들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별도의 쿨링 솔루션인 쿨러 부스트 3가 탑재되어 있어 풀로드 시의 소음치는 다소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다만 사용자의 손이 닿는 상판의 발열은 비교적 낮은 축에 속하며 발열 해소력도 빠른 편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시 또는 휴대 시 발열로 인한 불편함은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적인 울트라북의 활용도를 고려했을 때 풀로드 상태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므로 소음으로 인해 사용 환경을 가리게 되는 경우 역시 적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Battery & Power Consumption

14" 디스플레이와 저전력 프로세서, 모바일용 외장 그래픽 등을 탑재한 덕분에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 밝기 100% 기준 3시간에 근접한 배터리 시간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3시간은 그야말로 최저한의 사용 시간인 셈이고 실제 사용 시에는 더 긴 배터리 시간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본 제품의 외형적인 이점과 더불어 휴대성이 극대화되는 요소라 할 수 있겠습니다.

 

Display

IPS 패널이 적용된 14인치의 화면 크기, FHD(1920x1080) 해상도를 지원하는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로, 화면 모드와 관련된 MSI 전용 소프트웨어 MSI TRUE COLOR에서 게이머, 안티-블루, sRGB, 디자이너, 오피스, 영화의 6가지 화면 모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세팅인 sRGB 모드에서는 최대 241nit 수준의 휘도, 표준에 근접한 감마값, sRGB 색 표준 약 100-101%, 약간 푸르스름해 보일 수 있는 6600-7000K대의 색 온도를 제공하는데, 명암비 항목에서 검은 색을 표현하는 수치가 높은 편이어서 이미지, 사진 등의 전문적인 작업을 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다만, 본 제품의 주 활용도인 비즈니스 및 휴대성 작업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며, MSI TRUE COLOR의 설정 변경을 통해서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디스플레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전문성보다는 다목적 활용에 초점을 맞춘 디스플레이라 하겠습니다.

 

Conclusion

MSI Prestige 시리즈에서 새롭게 등장한 MSI PS42 8RB는 초슬림, 초경량을 구현하여 울트라북 시장에 첫 발을 딛은 제품입니다. Prestige 시리즈의 아이덴티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정 수준의 성능과 높은 편의성을 갖추고, 안정적인 휴대성을 무기로 하여 사용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데, 아쉬운 점이 없지는 않지만 외부 이동이 잦은 회사원이나 기자, 휴대성 작업이 많은 대학생 등 울트라북 제품이 절실한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메리트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으로 평가됩니다.

 

※ 글 작성시 기준 인터넷 최저가 : 1,399,000원

 

 

작성자 : Nakotaku

 

re_DSC02113.jpg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지능형 관리로 무장한 300W 출력 차세대 PoE 스위치 'ipTIME PoE2403Q' 뉴스탭
성능의 정점을 찍는 게이밍 괴수 'MSI 타이탄 18 HX AI A2XWJG-U9 UHD+ Mini LED WIN11' 뉴스탭
미니타워의 한계를 넘다 ‘darkFlash DB460M MESH RGB (화이트)’ 뉴스탭
아우디 뉴 A5, 짧은 만남 긴 여운 “성능은 탑인데 멀리서 보면 모르겠어” 오토헤럴드
요즘 최고의 가성비 작업용, 게이밍 프로세서 14세대 인텔 코어 i5 14400F 브레인박스
6000스코빌!! 오뚜기 라면의 맵쏘디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저작권에 굴복하지 않고 내가 직접 음원 제작해 봤다! #ai #suno #sunoai #udio #udioai #mixaudio #mixaudioai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이제는 진정한 Gen5 시대,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 제이씨현 브레인박스
초고중량에 디자인까지 더하다!! 카멜마운트 싱글 게이밍 모니터암 MPS1G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독일 전기차에도 아직 없는 기술이 들어간 EV4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구독자의 선물이 RTX 5080? ASUS ROG 아스트랄? '압도적 감사' 동영상 있음 DmonkTV
[써보니] 라인이 예술적인데? 싸이번 EDGE-CV-R5 파노라믹 뷰 케이스 위클리포스트
트라이엄프 스크램블러 400x 시승 리뷰 | 바린이는 가라 가성비 쿼터급 바이크 추천 2025 스피드 400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이걸 이 가격에? 딱 한번 뿐인 초특가 할인 준비했습니다 | 로보락 F25 RT 습건식청소기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불좀 꺼줄래? ‘ESSENCORE KLEVV DDR5-6400 CL32 CRAS V RGB WHITE AMD 패키지 서린’ 미디어픽
1.0KG 대 작은 노트북에 스토리지 확장을 WD_BLACK SN770M M.2 2230 1TB 브레인박스
삼성은 안알려주는 갤럭시 S25 엣지 성능, 발열 직접 테스트 해봄! 카메라 비교는 덤?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가성비 높은 라이젠 9000 시리즈 게이밍 시스템을 위한 ASRock B850M-X R2.0 메인보드 - 에즈윈 브레인박스
비트엠 Newsync 3290U : 4K 나노 IPS 블랙 패널, 보더리스 적용으로 깔끔함과 쫀득한 색감까지 쿨엔조이
필라이트 클리어, 일상을 클리어하게! 가볍고 깔끔한 나의 한 캔 마시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