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DATA의 새로운 NVMe SSD를 소개합니다. NVMe 1.2 지원 SX6000, NVMe 1.3 지원 SX8200 SSD - 에스티컴

2018.10.22. 10:17:31
조회 수
961
2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올 해 SSD 시장의 가장 큰 변화는 고용량 제품의 급격한 가격인하로 주력 모델이 200~250GB 으로 달라졌으며 NVMe 인터페이스 기반의 M.2 SSD가 빠르게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M.2 기반의 SSD는 SATA3 와 NVMe 인터페이스로 2개로 크게 갈라졌지만 더 재미있는 사실 중에 하나는 NMVe 인터페이스도 1.2 와 1.3 으로 달라지는 과도기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가지 다른 버전의 차이는 아무래도 성능 즉 속도에 다르다.  하지만 반대로 SATA3 보다는 빠르지만 상위 인터페이스인 NVMe 1.3 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중간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오늘은 이 두가지 NVMe 1.2, 1.3 기반의 SSD인 ADATA의 두가지 모델을 통해 이 NVMe 1.2 시장 과 1.3 시장이 어떻게 평가를 받을 수 있을 지 확인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ADATA, PCIe Gen3 x2 XPG SX6000 256GB M.2 2280



우선 첫번째로 볼 제품은 256GB 용량의 주력 모델이라고 볼 수 있는 ADATA의 SX6000 이다.  이 제품의 경우는 PCIe 2배속 레인을 사용하며  NVMe 1.2 버전을 지원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PCIe 2 레인만을 활용하는 제품으로 크게 보면 인텔의 옵테인 메모리와 동일한 대역폭을 갖고 있는 제품이다.  제품의 스펙으로 보면 최대 1,000MB/s 연속 읽기 속도와 800MB/s의 연속 쓰기 속도를 가진 제품이다.  이 라인업은 256GB를 시작으로 최대 1TB의 용량을 가진 제품으로 이루어졌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낸드 플래시는 3D 낸드 플래시 기반이다. 





아나 국내에서 볼 수 없었전 컨트롤러인 RTS5760는 올 해 열린 대만 컴퓨텍스를 통해 첫 선을 보였던 리얼텍 RTS576 시리즈 중에서 가장 낮은 스펙을 가진 제품이다. 이 스펙을 가진 칩셋 외에 RTS5762 는 PCIe 4배속 레인을 활용하는 제품이며 여기에서 조금 더 마이너적인 칩셋은 바로 RTS5763DL 이다.  이 칩셋의 경우는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다.  즉 오늘 소개할 이 제품은 가장 낮은 스펙을 갖고 있으며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는 엔트리 급에 해당되는 제품이다. 



ADATA, NVMe 1.3 PCIe Gen3 x4 M.2 2280 SX8200 240GB 








이 제품의 성능은 NVMe 1.3 그리고 PCIe 4 레인을 활용하는 제품으로 현재 출시한 NVMe 기반 제품 중에서 가장 빠른 성능을 갖고 있는 제품이며 제품 자체에 캐시 메모리까지도 갖고 있어서 하드웨어적인 스펙만으로 보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제품이다. 


■ 테스트 시스템 소개



● 프로세서 : 코어 i7 9700K

● 마더보드 : ASUS, Z390 MAXIMUS XI WIFI - 콜 오브 듀티 에디션

●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GTX 1080 FE 

● 메모리 : ADATA DDR4 8G PC4-24000 CL16 SPECTRIX D80 X 2 16GB

● SSD : 마이크론 MX500, 1TB 

● 운영체제 : 윈도우10 프로 64비트 최신 버전 (1803)

●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 엔비디아 게임-레디 드라이버 416.33 WHQL


ADATA SX6000, SX8200 의 성능은? 


HDTUNE PRO 5.7  SX6000 읽기 및 쓰기 성능




 

HDTUNE PRO 5.7  SX8200 읽기 및 쓰기 성능 




첫번째 테스트 였던 HDTUNE 5.70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SSD의 성능을 측정해보면 정확하게는 아니지만 제품의 스펙에서 볼 수 있는 읽기 및 쓰기 성능의 약 50% 에서 60% 정도만 측정을 해준다.  아마도 적절한 버전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해보이는데 용량별로 전송량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점이 아쉽다.    SX8200 모델의 연속 쓰기 성능이 용량을 넘어가기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점이 눈에 들어왔다. 


AS SSD Benchmark 2.0  



▲ 좌, ADATA SX6000 / 우, ADATA SX8200  


CrystralDiskMark 6.0.1  



▲ 좌, ADATA SX6000 / 우, ADATA SX8200  


동일한 M.2 의 유형을 갖고 있지만 컨트롤러가 지원하고 있는 NVMe 버전에 따라서 읽기 및 쓰기 성능이 전체적으로 크게 차이를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나 연속 읽기가 가장 크게 성능 차이를 냈다.  이런 적지 않은 성능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NVMe 버전이 1.2 의 경우 PCIe 2 레인만을 버전 1.3 의 경우 PCIe 4 레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역폭 차이와도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만약 인텔의 옵테인 메모리를 일반적인 스토리지로 사용하게 되면 PCIe 2 레인만을 사용하는 탓에 SX6000 과 비슷한 성능 결과를 낸다.  


ADATA TOOLBOX 


대부분의 SSD 제조사들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SSD의 내부적인 상태 및 펌웨어 업데이트 및 트림 등의 지원을 위해 그리고 ADATA 역시 다양한 SSD를 생산 하고 있는 만큼  별도의 소프트웨어 (혹은 앱)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부분을 대체적으로 활용도가 떨어지지만 펌웨어의 업데이트, 툴박스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마지막으로 복구가 되지 않도록 완전히 삭제하는 기능 등은 추후 이 제품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를 한다거나 시스템 등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는데 상당히 유용하다.  해당 보안 삭제를 하게 되면 내부적으로 나누었던 파티션도 모두 삭제가 되는 주의가 필요하다.  메뉴 중에서 시스템 최적화의 경우 초기 설치시 한번 정도만 실행을 해주면 설정 값이 그대로 고정 되기 때문에 해당 ADATA 제품을 시스템에 장착한다면 꼭 실행을 해주는 것이 좋다. 



 

저렴한 가격으로 맛볼 수 있는 NVMe SSD 엔트리 및 퍼포먼스 제품


오늘 소개한 2개의 제품들은 모두 읽기 그리고 쓰기 속도가 정확하게 SATA3, 2.5 인치 기반의 약 2배 이상 나오는 성능을 갖고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이 가장 큰 장점은 바로 PCIe 2 레인만 활용하여 해당 인터페이스가 갖고 있는 최고의 속도 정도 까지만 내어 처음 NVMe 를 접하는 사용자들에게 쓸만한 제품이라고 평가를 할 수 있을 듯 하다. 


처음으로 리얼텍의 NVMe 컨트롤러를 사용한 SX6000 제품은 제품의 성능을 봤을 때 SATA3 포트를 사용하는 SSD의 약 1.8배 정도 성능을 냈다.  처음으로 도입된 "리얼텍 NVMe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단점이 있지만 현재 온보드 랜컨트롤러 및 사운드 코덱 시장에서 큰 점유률을 갖고 있는 만큼 제품에 대한 호환성 부분의 크게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번째로 소개한 SX8200 240GB 는 확인된 PCIe 4 레인 그리고 NVMe 1.3 를 지원하는 현재 낼 수 있는 높은 성능 스펙을 갖고 있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외에 이 두가지 제품들은 모두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SSD 방열판을 제공하고 있는데 만약 마더보드에 NVMe 방열판을 갖고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면 포함되어 있는 방열판 보다라는 마더보드에 있는 방열판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결론적으로 2가지 제품은 가격에 따른 성능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조금 저렴하게 NVMe SSD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SX6000 을 그리고 보다 높은 성능을 갖고자 한다면 SX8200 를 선택하면 되는데 조금 더 여유가 있다라면 2가지 제품 모두 상위 용량을 가진 제품을 구입하는 게 컴퓨터 게이밍 시스템에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듯 하다. 


 

최신 리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진짜 '나만의 이야기' 펼쳐지는 무협 MMORPG, 역수한 게임메카
HIFIMAN ANANDA Stealth, 하이파이맨 아난다 스텔스 헤드폰 측정 0db
TANGZU WANER SG 2, 탕주 상관완아 2 이어폰 측정 0db
AFUL DAWN-X, 에이풀 던엑스 14 드라이버 이어폰 측정 0db
로마 총독에게 수면은 사치, 바쁜 도시시뮬 '아노 117' 게임메카
사진 촬영의 재미가 가득하다, 소니 일체형 풀프레임 ‘RX1RIII’ 베타뉴스
클레르 옵스퀴르 같은 우리가 열광했던 명작 게임들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제가 보내 드릴테니까 직접 확인해보세요 '지스타 2025'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오늘나온~ 버거킹 정승제 6318버거 정답일까? 오답일까?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이 모니터는 5090이 필요해요. MSI MPG 272URX QD-OLED 240 4K UHD (1) 기글하드웨어
[리뷰] 게이밍 모니터 추천 2025레노버 리전 2410, 2710 실제 사용 비교 FPS, 콘솔, 영상용 차이 총정리 (1)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스냅드래곤 새 칩 보고 왔습니다ㅋㅋㅋ 근데 네이밍이 왜 이럼 (1)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편의점 세계일주~ 괌도시락, 도쿄닭구이, 여경래 향라치킨 11월 둘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에어팟 프로 3 리뷰... 이걸 원했던거지?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내 책상을 예쁜 여름빛으로 물들일 수 있는 시원한 기계식 키보드 '에포메이커 TH108' 2개월 롱텀 리뷰 4K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더 강해져서 돌아온 ATMOS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 가성비, 품질, 정숙성의 3박자와 함께 보급형 시장을 노리는 정격 650W 쿨엔조이
Segotep BN8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가성비의 강자 세고텝이 KR버전으로 선보이는 브론즈 ATX 3.1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Segotep BN7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한국 시장을 위해 KR버전으로 등장한 세고텝의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1)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 준수한 성능과 함께 골드 급의 정숙한 쿨링 설계를 그대로 만나다! (1) 쿨엔조이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800W 80PLUS실버 ATX3.1 : 실버 등급에서 보여주는 클래식의 품격 (1) 쿨엔조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