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 소개
최근 많은 분야에서 "4K"에 대한 이야기를 심심찮게 듣곤 합니다. 과거 1080P Full-HD 해상도가 천하를 재패하던 시절에는 1440P 이상 해상도가 대중화 되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일반 소비자가 컨텐츠를 소비하고 즐기던 시대에서 점차 컨텐츠를 생산하는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더 높은 해상도와 더 높은 화질의 동영상이 보급화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을 밟는 과정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도 4K 30FPS 동영상 촬영이 가능해진 세상이기에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고화질 동영상을 촬영하고 보관하기를 원하면서, 자연스럽게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다름 아닌 고용량 하드디스크였습니다. 하드디스크 자체를 구시대 유물로 취급하는 사용자도 존재하는 마당에 현시점에서 고용량 하드디스크가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까닭은 4K 해상도 동영상의 보급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4K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가능해졌지만, 많은 수의 픽셀을 한 화면에 담은 동영상은 그만큼 용량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H.264를 넘어 이제는 HEVC(H.265) 코덱을 활용할 수 있어 비교적 낮은 용량에 우수한 화질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는 했지만, 4K 동영상의 용량은 여전히 거대하게 느껴집니다. 일반적으로 4K 동영상의 적정 비트레이트는 사람마다 체감하는 바가 다르기는 하겠지만, 많은 이들이 활용하는 유튜브(Youtube)에서 권장하는 2160P(4K) 동영상의 비트레이트는 35~45Mbps입니다. 4K 60FPS로 간다면 권장 비트레이트가 최대 68Mbps에 달하며, 여기에 HDR으로 촬영된 영상이라면 권장 비트레이트가 85Mbps 수준까지 치솟게 됩니다. 720P나 1080P 해상도의 동영상과 비교해보면 파일 용량 자체가 상당히 커지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비록 최근 SSD가 상당히 저렴해지기는 했다지만, 512GB~1TB 용량의 제품 가격은 여전히 10~20만원 내외입니다. 같은 돈이라면 하드디스크는 6TB 내외의 용량을 지닌 제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당 가격 차이는 상당히 벌어지게 됩니다.
고용량 하드디스크의 수요가 늘어난 또 다른 이유는 데이터 보관의 안정성 때문입니다. 전기적인 신호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SSD는 수명과 데이터 무결성 측면에서 보자면 절대적인 신뢰를 보내기에 부족하다는 느낌을 여전히 지우기 어렵습니다.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선뜻 확답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따지자면 하드디스크 역시 마찬가지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플래터라 불리는 마그네틱 원형 판에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보존성 측면에서는 SSD보다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을 수 밖에 없으며, 장치 고장으로 인한 복구 역시 SSD보다 복구율이 우수한 편입니다.
4K 촬영과 맞물려 고용량 하드디스크 활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또 다른 사용자층은 다름 아닌 컨텐츠 크리에이터일 것입니다. 고화질 영상 컨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소스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본 데이터를 보존해야하는 상황도 연출될 수 있습니다. 10TB 이상 하드디스크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복합적인 측면에서 따져보았을 때, 고용량 하드디스크는 4K 영상을 주로 다루는 사람이나 멀티미디어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 그리고 최근 유튜브와 같은 스트리밍 매체를 통해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컨텐츠 크리에이터에게 적합한 장치일 것입니다. 씨게이트에서는 이런 유저들을 위해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제시했습니다. 바라쿠다 프로(BarraCuda Pro) 라인업으로 새롭게 등장한 이 제품은 14TB라는 어마어마한 용량을 하나의 몸체에 지니고 있는 하드디스크로, 씨게이트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으로 데이터 보관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씨게이트 BarraCuda Pro ST14000DM001 14TB HDD입니다. 그렇다면 14TB의 거대한 용량을 지닌 이 제품은 어떤 성능을 보여줄까요? 테스트를 통해서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 제품 외형
▲ 씨게이트 BarraCuda Pro ST14000DM001 14TB HDD(이하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 제품 정면 사진입니다.
▲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 우측 상단에는 씨게이트 로고 및 BarraCuda 로고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품명과 용량, 시리얼 넘버와 펌웨어 버전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측의 Rescue 로고도 눈에 띕니다.
▲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는 SATA 3 규격으로 동작하며, 내부에 헬륨이 충전되어 있어 측면부가 봉쇄되어 있습니다.
▲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 제품 후면 사진입니다.
3 . HDD 정보 확인
■ 공식 제품 사양
※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 HDD 데이터 시트 : https://www.seagate.com/www-content/datasheets/pdfs/barracuda-pro-14-tb-DS1901-9-1810KR-ko_KR.pdf
■ 하드디스크 정보
4 . 성능 테스트: 소프트웨어 소개
![]() |
![]() |
![]() |
![]() |
하드디스크의 대략적인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테스트는 연속 읽기/쓰기와 4K 읽기/쓰기 속도 테스트가 중점인 "벤치마크 툴"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사용 테스트"로 크게 나누었습니다.
세부적인 테스트 내용과 항목은 각 항목의 폴딩 메뉴를 펼치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벤치마크 툴
※ DB 유지를 위해 구형 버전을 지속적으로 활용해왔으나, 해당 리뷰부터는 신형 버전과 혼재하여 테스트를 진행함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ATTO Disk Benchmark 3.0.5
- ATTO Disk Benchmark 4.00.0f2
- Crystal Disk Mark 5.2.1 x64
- Crystal Disk Mark 6.0.2 x64
- HD Tune Pro 5.60
- HD Tune Pro 5.70
- SiSoftware Sandra Platinum (2017) SP4 24.14
- PCMark 8
■ ATTO Disk Benchmark 3.0.5 & 4.00.0f2
- 벤치마크 실행 후 Read/Write 속도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추출
■ Crystal Disk Mark 5.2.1 & 6.0.2 x64
- 기본 상태(Random)에서 벤치마크 측정
■ HD Tune Pro 5.60
- 측정할 장치의 파티션을 삭제 후 Read / Write 벤치마크 측정
■ SiSoftware Sandra Platinum (2017) SP4 24.14
- Diskpart로 측정 장치를 클린 상태로 전환 후 소프트웨어 내의 Storage Devices > Physical Disks 테스트
- Read / Read (4K) / Write / Write (4K) 테스트를 각각 진행
■ PCMark 8
- Benchmark > Storage 벤치마크 실행
■ 실사용 테스트
- Bandizip 압축 / 압축 해제 테스트
- 백신 파일 스캔 테스트 (Avast Free Antivirus 2017 / 18.5.2342)
■ Bandizip 압축 / 압축 해제 테스트
- Bandizip을 이용해 Dummy 폴더를 압축 / 압축 해제하면서 소요 시간을 측정
- 압축의 경우 파일을 묶기만 하는 형태의 "압축하지 않음" 선택
- Dummy 폴더는 4KB 파일 10,000개와 4MB 파일 2,500개, 10GB 파일 2개로 구성
■ 백신 파일 스캔 테스트 (Avast Free Antivirus 2017 / 18.5.2342)
- 지정 폴더 검사 형식으로 Dummy 폴더 검사 진행
- Dummy 폴더는 4KB 파일 10,000개와 4MB 파일 2,500개, 10GB 파일 2개로 구성
5 . 성능 테스트: 측정 결과
■ 벤치마크 툴
1. ATTO Disk Benchmark 3.0.5 & 4.00.0f2
![]() |
![]() |
* ATTO Disk Benchmark 3.0.5
- 최대 읽기 속도 : 246.32 MB/s
- 최대 쓰기 속도 : 244.23 MB/s
* ATTO Disk Benchmark 4.00.0f2
- 최대 읽기 속도 : 250.00 MB/s
- 최대 쓰기 속도 : 247.34 MB/s
2. Crystal Disk Mark 5.2.1 & 6.0.2
![]() |
![]() |
* Crystal Disk Mark 5.2.1 x64
- 연속 읽기 속도(Q32T1) : 257.9 MB/s
- 연속 쓰기 속도(Q32T1) : 256.9 MB/s
- 4K 읽기 속도(Q1T1) : 0.959 MB/s
- 4K 쓰기 속도(Q1T1) : 3.312 MB/s
* Crystal Disk Mark 6.0.2 x64
- 연속 읽기 속도(Q32T1) : 258.5 MB/s
- 연속 쓰기 속도(Q32T1) : 256.5 MB/s
- 4K 읽기 속도(Q1T1) : 0.960 MB/s
- 4K 쓰기 속도(Q1T1) : 2.741 MB/s
3. HD Tune Pro 5.60 & 5.70
※ 프로그램 상의 최대/최소 표기가 바뀌어 있습니다. |
※ 프로그램 상의 최대/최소 표기가 바뀌어 있습니다. |
![]() |
![]() |
* HD Tune Pro 5.60
- 평균 읽기 속도 : 201.5 MB/s
- 평균 쓰기 속도 : 201.3 MB/s
- 최대 읽기 속도 : 262.4 MB/s
- 최대 쓰기 속도 : 261.8 MB/s
* HD Tune Pro 5.70
- 평균 읽기 속도 : 201.8 MB/s
- 평균 쓰기 속도 : 201.4 MB/s
- 최대 읽기 속도 : 262.4 MB/s
- 최대 쓰기 속도 : 261.8 MB/s
4. SiSoftware Sandra Platinum (2017) SP4 24.14
![]() |
![]() |
![]() |
|
- 연속 읽기 평균 속도 : 202.84 MB/s
- 연속 쓰기 평균 속도 : 203.14 MB/s
- 4K Block 읽기 평균 속도 : 201.9 MB/s
- 4K Block 쓰기 평균 속도 : 196.8 MB/s
5. PCMark 8
- Storage 2.0 점수 : 3,338
■ 실사용 테스트
1. Bandizip 압축 / 압축 해제
![]() |
![]() |
- 압축(ZIP) 총 소요 시간 : 5분 5초
- 압축 해제(UNZIP) 총 소요 시간 : 4분 50초
2. Avast Free Antivirus 2017 / 18.5.2342 파일 스캔 테스트
- 총 실행 시간: 1분 52초
6 . 온도/소음 측정
■ 온도 측정
온도 및 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Crystal Disk Mark 5.2.1의 연속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단,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약 10분간 일반적인 작업 상황을 연출해 하드디스크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높이는 작업을 진행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성능 측정 시 테스트룸의 실내 온도는 22±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 Crystal Disk Mark 5.2.1 테스트를 이용한 온도 측정
* IDLE - LOAD 테스트를 마치고 10분 후 측정
* LOAD - Crystal Disk Mark 5.2.1 테스트를 4GB x 9 사이클로 설정한 후 10분간 연속 테스트 진행
■ 온도 측정 결과
![]() |
![]() |
▲ 부팅 직후 상태(작업 상황 연출 전) | ▲ 부팅 직후 상태(작업 상황 연출 후) |
![]() |
![]()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IDLE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LOAD |
■ 소음 측정
HDD 소음 테스트는 기존에 플웨즈 리뷰에서 자주 사용했던 Class2 인증 장비 Cirrus사의 CR-172A를 사용하였습니다.
차폐된 공간에서 최대한 HDD의 소음만을 측정하기 위해 차음량 STC 25 수준 보증, 대략적인 소음수준 판별을 위한 간이소음측정 박스인 TS95 Noise Test Booth를 사용하였습니다.
STC(Sound Transmission Class)란 소리가 특정한 벽을 통과했을 때의 소음감쇄정도를 정의한 단위를 말하며, 일상대화 위주로 125~4,000Hz 범위의 Speech Frequencies를 척도로 합니다. STC 단위가 10 변동하였을 시의 체감소음 차이는 두 배로 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은 같은 음압(dB)이라고 하더라도 주파수에 따라 크게 다른 느낌을 받는데, 고주파음을 견디기 힘든 것이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1KHz의 40dB와 20Hz의 90dB는 사람에게 같은 수준의 높은 소음으로 느껴집니다. 따라서, 옥타브 밴드(Octave Band)인 일명 각 주파수의 소음레벨을 각기 측정하여 NC(Noise Criteria), curve를 통해 최소 가청한계를 구하는 것이 실체감에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테스트 벤치에서는 HDD의 소음만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고, 일부 HDD는 외장 도킹 시스템에서 정상동작하지 않는 관계로, TS95 Noise test booth에 HDD를 외부에 있는 PC와 직접 연결하여 HDD를 동작시켰습니다. HDD와 측정 기기의 거리는 약 30cm를 유지하였습니다.
![]() |
![]() |
■ 소음 측정 결과
1. STC 기준 소음 측정값
![]() |
![]()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IDLE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LOAD |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IDLE : 35.7 dBA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LOAD : 38.9 dBA
사운드 박스 유휴 상태 : 28.5 dBA |
▲ 사운드 박스 유휴 상태 |
2. NC 기준 소음 측정값
![]() |
![]()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IDLE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 LOAD |
![]() |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IDLE 1kHz : 15.6 dBA 10분간 고부하 테스트 LOAD 1kHz : 17.7 dBA
사운드 박스 유휴 상태 1kHz : 14.8 dBA |
▲ 사운드 박스 유휴 상태 |
7 . 결론
거대한 용량과 높은 신뢰성을 갖춘 하드디스크, Seagate BarraCuda Pro ST14000DM001 14TB HDD
'10TB 정도의 용량에서 한계에 봉착할 것이다', 과거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4TB 수준에 머무르던 시절 많은 전문가와 관계자들이 일관적으로 지적하던 하드디스크의 기술적 한계점은 10TB 내외였습니다. 하드디스크 내에 투입되는 플래터를 얇게 제조하여 많은 수량을 넣는다고 해도 한계치가 명확했기 때문입니다. 하드디스크의 본격적인 시작점을 알렸던 PMR(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수직 자기 기록 방식)의 등장부터 물리 섹터의 크기를 4KB(4,096Byte)로 통일하면서 새로이 도입한 AF(Advanced Format) 시절을 거치면서 하드디스크는 꾸준히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플래터당 용량이 1TB에 육박한다고 해도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넣을 수 있는 플래터의 갯수가 최대 5개 수준이었기 때문에 용량 확장의 한계점이 명확해 보였습니다. 10TB 수준의 용량이 한계치일 것이라는 전망은 이런 문제점에 기인한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한계점에 봉착하면 늘 새로운 방법을 찾아왔듯, 다년간 정체되었던 하드디스크 기술은 헬륨 충전 방식과 새로운 저장 방식인 SMR(Shingled Magnetic Recording; 기와식 자기 기록 방식)의 등장은 하드디스크 용량의 한계를 높이는 것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물론 PMR 방식과 SMR 방식은 동작 원리가 다른 탓에 시스템 사용 패턴에 따라 극심한 속도 차를 느낄 수도 있지만, 단순히 데이터를 보관하는 용도라면 저렴하면서 높은 용량을 지니는 SMR 방식의 하드디스크도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자기 기록 방식 이상으로 주목해야할 것은 다름 아닌 헬륨 충전입니다.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리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플래터의 숫자를 늘리는 것인데, 이미 현존하던 하드디스크는 7,200~10,000 RPM이라는 속도로 고속 회전을 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디스크 내부에 강한 기류를 형성한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플래터의 숫자를 5개 이상으로 늘리지 못하는 제약 사항이 발생했고, 하드디스크의 용량 증설은 한계에 다다른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내부에 공기의 약 1/7 수준 밀도를 지닌 헬륨을 채워넣으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했으며, 플래터의 갯수를 늘려 용량을 증설하는 것 역시 성공했습니다. 이번에 테스트를 통해 살펴본 씨게이트 BarraCuda Pro ST14000DM001 14TB HDD (이하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제품과 같이 14TB에 육박하는 하드디스크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에도 역시 헬륨 충전 기술이 활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는 씨게이트의 대표적인 하드디스크 라인업 'BarraCuda'에 속한 제품으로, 고용량 PC 업무나 대용량 게임, 4K 동영상 저장 등 다양한 목적과 용도에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하드디스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씨게이트 최초로 14TB 용량 하드디스크가 등장하면서 이전까지 최대 용량으로 군림하던 12TB보다 2TB가 늘어난 용량이어서 더 많은 플래터를 적용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12TB 하드디스크와 마찬가지로 8장의 플래터를 채용한 대신 플래터당 용량이 1.5TB에서 1.75TB로 늘어나면서 도합 14TB의 용량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물론 하드디스크의 핵심인 보증기간이나 최대 수명과 같은 기본적인 부분에도 충실합니다.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는 5년 무상 보증 기간과 더불어 연간 300TB의 작업 부하를 보증합니다.
제품의 실성능 측면에서도 장점이 충분히 두드러졌는데,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는 헬륨 충전이 적용된 하드디스크의 특징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덕분에 실제 테스트에서도 40℃ 이하의 낮은 평균 온도과 40dBA 이하의 무난한 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성능 역시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연속 읽기/쓰기를 기준으로 최대 속도가 250MB/s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 하드디스크 제품군 중에서는 최상위권에 속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목할 부분은 씨게이트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Seagate Rescue Service Plan)의 제공입니다. 최근 씨게이트의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을 소개(관련 링크 바로가기)해드렸듯, 씨게이트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복구하여 새로운 디스크로 제공해준다는 부분은 사용자에 따라서 매우 강력한 메리트로 작용할 것입니다. 특히 고용량 하드디스크의 경우 데이터 복구 업체에 복구를 의뢰할 경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는 충분히 긍정적으로 비추어지는 부분입니다.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는 씨게이트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을 2년간 무상 제공하며, 추가 비용 지불을 통해서 최대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강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최근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AAA급 게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디스크 공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구입해 디스크 공간을 늘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용량 문제를 속시원히 해결할 수 있다면 미니 PC와 같이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시스템에서도 충분히 넓은 디스크 공간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특히 하드디스크의 고장과 관련한 부분에 있어서 씨게이트는 다년간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소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왔고, 씨게이트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을 통해 사용자의 소중한 데이터를 씨게이트가 자체적으로 복구해주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쌓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10TB 이상 고용량 하드디스크가 필요한 사용자라면 응당 데이터 손실과 복구에 대한 부분도 염두에 두어야 할텐데, 씨게이트 BarraCuda Pro 14TB를 통해서 용량과 복구의 고민을 한 방에 해결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글 작성 기준 인터넷 최저가 : 770,000원)
작성자 : 플레이웨어즈 JesuaR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