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최고의 RTX 2070 슈퍼.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

2019.12.09. 11:46:21
조회 수
1,824
1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 트리플 팬을 장착한 그래픽카드입니다. 3개의 팬을 보면 과잉 투자라고 말할 분들이 분명 있을 겁니다. 물론 그래픽카드에서 쿨링팬의 숫자는 많을수록 좋긴 하지요. 하지만 최상위 GPU인 타이탄이나 지포스 RTX 2080 Ti도 아니고 지포스 RTX 2070 슈퍼에 트리플 팬까지 넣을 필요가 있을까 생각이 드는 것도 아주 이상하진 않을 겁니다. GPU 개발사가 성능 향상에만 몰두해 발열을 내팽겨친 것도 아니고, MSI는 이미 지포스 RTX 2070 슈퍼에 2개의 쿨링팬으로 구성된 트윈프로져 모델을 출시해 우수한 온도와 성능을 검증받은 바 있습니다. https://gigglehd.com/gg/5583876 이런 상황에서 지포스 RTX 2070 슈퍼에 트리플 팬을 장착해서 출시할 필요가 있을까요?

 

2.JPG

 

그럴 필요가 있습니다. 컴퓨터 부품의 온도가 낮을수록 좋다는 건 너무나도 지당한 말입니다. 적정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면 정상 작동을 보장하지만, 거기서 온도를 더 낮추면 부품의 수명이 늘어납니다. 그리고 부스트 클럭을 더 높이,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팬으로 실사용에 충분한 온도가 나옴에도 불구하고, 정말 고급형 그래픽카드는 당연히 트리플 팬을 써야 한다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튜닝 케이스처럼 시스템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경우에는 트리플 팬 모델이 더욱 필요해집니다. 그쪽이 더 비싸보이잖아요. 그러니 대표적인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브랜드인 MSI 게이밍 시리즈에 트라이프로져 모델이 나오는 건 지극히 당연합니다. 값어치를 알아보는 이들에게 트리플 팬은 결코 과잉 투자가 아닙니다. 

 

GGHD0185.JPG

 

제품명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
GPU NVIDIA 지포스 RTX 2070 슈퍼
GPU 스펙

SM 40개

CUDA 코어 2560개

텐서 코어 320개

RT 코어 40개

TU 160개

ROP 64개

GPU 클럭

기본 1605Mhz

부스트 1800Mhz

메모리 GDDR6 8GB 14Gbps 256비트
인터페이스 PCI-E 3.0 x16
출력 포트

디스플레이포트 1.4 x3

HDMI 2.0b x1

최대 연결 디스플레이 수 4개
최대 해상도 7680x4320
HDCP 버전 2.2
다이렉트 X 12
OpenGL  4.5
최대 사용 전력 215W
권장 파워 서플라이 650W
보조 전원 커넥터 8핀 2개
그래픽카드 크기 328x140x56.6mm
그래픽카드 무게 1522g
참고 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9886092 
가격 

736,700원(2019년 11월 다나와 최저가)

 

 

트리플 팬의 위엄

 

4.JPG

 

듀얼 팬에서 트리플 팬으로 바뀌었으니 그래픽카드가 엄청나게 커졌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분명 크긴 한데 압도적으로 크진 않네요. 307x155x50mm에서 328x140x56.6mm가 됐고 무게는 1485g에서 1522g로 늘었습니다. 팬 한개 만큼만 더 늘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기존의 트윈프로져도 2팬 제품 중에서는 결코 작지 않았고, 무게는 쿨링팬보다도 히트싱크가 더 큰 영향을 주니까 당연한 결과입니다. 트리플 팬의 쿨러 구성은 기본적으로 RTX 2080 SUPER 게이밍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쿨러 뿐만 아니라 기판도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보조전원이 8+6핀에서 8핀 2개로 업그레이드 됐거든요. 전원부 구성은 조금 다르지만 지포스 RTX 2070 슈퍼를 감당하기에 충분한 8+2 페이즈 구성입니다. 쿨링팬을 늘리고, 기판 구성을 변경해 높은 부스트 클럭을 더 오래, 안정적으로 유지할 여건을 다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5.JPG

 

그래픽카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GPU 바로 위에 대구경 팬을 달고, 그 가장 중요한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느라 열심히 일하는 전원부 위에도 역시 똑같이 큰 팬을 달았습니다. 출력부 쪽에는 딱히 온도가 열을 발산할 부품이 없으니 작은 팬으로도 충분합니다. 어차피 팬 바로 아래에 있는 부품만 식히는 게 아니라, 촘촘한 히트싱크와 빽백한 히트파이프를 타고 전달된 열이 곳곳으로 분산되니 옆에서 팬이 돌아줘도 충분한 효과는 있습니다. 쿨링팬의 크기는 달라도 3개 모두 차별 없이 MSI만의 톡스 3.0 팬을 넣어 열 배출 효율과 성능을 높이고 소음은 낮췄습니다. 3개의 팬 사이에는 4개의 RGB LED를 넣었습니다. 3개의 슬롯 정도는 비워놔야 들어갈 거대한 그래픽카드의 존재감을 더더욱 강조하는데 제격입니다. 그래픽카드 측면에는 MSI와 지포스 로고를 넣어 케이스 안에서도 이름을 과시하며, 뒷면은 티타늄 색상의 백플레이트로 마무리했습니다. 

 

6.JPG

 

박스 전면

 

7.JPG

 

박스 뒷면

 

8.JPG

 

포장 구성

 

9.JPG

 

설명서, 컵 받침대, 빠른 설치 가이드

 

 

10.JPG

 

트리플 팬 그래픽카드에 제공되는 받침대

 

11.JPG

 

그래픽카드의 길이에 맞춰서 제작됐습니다.

 

12.JPG

 

그래픽카드를 보호하는 포장 비닐과 실리콘 캡

 

13.JPG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의 전면.

 

14.JPG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의 뒷면.

 

15.JPG

 

윗부분. MSI 지포스 RTX 로고가 보입니다. 

 

16.JPG

 

아랫부분. 거대한 히트싱크와 히트파이프가 보입니다.

 

17.JPG

 

출력 포트는 DP 1.2 3개, HDMI 2.0 1개.

 

18.JPG

 

반대편은 히트싱크를 뚫고 나온 5개의 히트파이프가 있습니다. 

 

18-1.JPG

 

두 가지 형태의 날개를 조합한 톡스 팬. 쿨링 성능은 높이고 소음은 줄여줍니다.

 

19.JPG

 

20.JPG

 

21.JPG

 

3개의 쿨링팬이 달려 있습니다.

 

22.JPG

 

가장 오른쪽의 팬 구경은 100mm.

 

23.JPG

 

중앙 팬 구경도 100mm.

 

24.JPG

 

왼쪽 팬 구경은 90mm.

 

25.JPG

 

보조전원은 8핀 2개.

 

26.JPG

 

멀티 GPU 환경 구성 시 필요한 NVLink 커넥터.

 

26-1.JPG

 

 

27.JPG

 

그래픽카드 안쪽의 히트싱크와 히트파이프.

 

28.JPG

 

쿨링팬과 RGB LED 연결 단자.

 

29.JPG

 

저울에 올려보니 1519g이 나옵니다. 

 

30.JPG

 

크기는 328x140x56.6mm

 

31.JPG

 

확장 슬롯 3개는 비워둬야 할 두께입니다.

 

32.JPG

 

2팬 모델인 트윈프로져와 비교. 쿨링팬 사이의 빈 공간을 줄였기에 길이가 아주 크게 차이나진 않습니다.

 

33.JPG

 

두께는 비슷합니다.

 

34.JPG

 

3개의 쿨링팬 위/아래에 장착된 RGB LED.

 

35.JPG

 

MSI 지포스 RTX 네이밍 플레이트에도 RGB LED가 있습니다. 

 

 

 

더 높은 부스트 클럭이 가능한 이유

 

36.JPG

 

NVIDIA의 공식 스펙에 의하면 지포스 RTX 2070 SUPER의 부스트 클럭은 1770MHz입니다. https://www.nvidia.com/ko-kr/geforce/graphics-cards/rtx-2070-super/ 이에 비해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의 부스트 클럭은 1800MHz입니다. 이것만 보면 30MHz 정도 팩토리 오버클럭을 한 것처럼 보입니다. 오버클럭이 많이 되지 않았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 돌려보면 1800MHz가 나오지 않거든요. 높을 땐 1995MHz, 스트레스 테스트를 계속 실행해 온도가 일정 수준까지 올린 상태에서도 1950MHz는 뽑아 줍니다. 당연히 지포스 RTX 2070 슈퍼의 파운더스 에디션보다 더 높은 성능을 냅니다. MSI 게이밍 시리즈 그래픽카드의 든든한 전원부 구성과,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트라이프로져 쿨러의 조합이 있기에 가능한 결과입니다. GPU가 지포스 RTX 2070 슈퍼라고 해서 다 같은 그래픽카드가 아닙니다. 

 

37.JPG

 

더 좋은 쿨러를 달아 성능이 올랐습니다. 이것만으로도 트라이프로져의 효과는 충분합니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닙니다. 성능이 올랐는데 GPU 온도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구체적인 온도야 테스트 조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번 벤치마크에선 3D마크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연속 실행해도 65도를 넘지 않았습니다. 비슷한 조건에서 트윈프로져는 67도가 나왔지요. 원래 낮았던 온도를 더 낮게 낮췄습니다. 그것도 쿨링팬이 전속력으로 회전해서 얻어낸 결과가 아닙니다. 아이들 시엔 아예 작동을 멈추는 제로 프로져를 기본으로 깔고 가면서, GPU 부하에 따라 팬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했는데도 그 온도입니다. 풀로드 테스트 시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은 38dBA 초반. 쿨링팬이 달린 컴퓨터 부품 중 이만큼 조용한 제품이 또 있을까 싶군요. 

 

38.JPG

 

테스트 환경입니다.

AMD 라이젠 7 3700X https://gigglehd.com/gg/5201526

MSI MEG X570 갓라이크 메인보드 https://gigglehd.com/gg/5201838

와사비망고 UHD320 Real4k HDMI 2.0 옵티컬 재은이 모니터 https://gigglehd.com/gg/3236938 

DDR4-2133 8GB x2 메모리, 윈도우 10 1903, 1000W 파워 

 

Cap 2019-12-07 20-08-52-176.png

 

GPU-Z 스크린샷

 

Asset 1-100.jpg

 

3D마크 타임 스파이

 

Asset 2-100.jpg

 

3D마크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Asset 3-100.jp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Asset 4-100.jp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Asset 5-100.jp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Asset 6-100.jpg

 

3D마크 포트로얄

 

Asset 7-100.jpg

 

3D마크 DLSS 테스트

 

Asset 8-100.jpg

 

VR마크

 

Asset 9-100.jpg

 

애쉬즈 오브 더 싱귤러래티

 

Asset 10-100.jpg

 

어새신 크리드: 오딧세이

 

Asset 11-100.jpg

 

데이어스 엑스: 맨카인드 디바이디드

 

Asset 12-100.jpg

 

히트맨

 

Asset 13-100.jpg

 

배틀그라운드

 

Asset 14-100.jp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Asset 15-100.jpg

 

토탈 워: 삼국

 

Asset 16-100.jpg

 

파 크라이 5

 

Asset 17-100.jpg

 

포 아너

 

Asset 18-100.jpg

 

레인보우 식스: 시즈

 

Asset 19-100.jpg

 

디비전 2

 

Asset 20-100.jpg

 

월드 워 Z

 

Asset 21-100.jpg

 

소비 전력

 

Cap 2019-12-08 03-38-59-998.png

 

아이들 시 온도는 40도였다가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작하면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쿨링에 여유가 있을 땐 GPU 클럭이 1995MHz를 찍는군요.

 

Cap 2019-12-08 03-39-16-946.png

 

풀로드 상태가 지속되면 1950MHz의 클럭을 유지합니다. 이 때 GPU 온도는 65도.

 

아이들.JPG

 

아이들 상태의 열화상 카메라 이미지

 

풀로드.JPG

 

풀로드 상태의 열화상 카메라 이미지


 

 

소음 테스트. 38dBA 초반을 유지합니다.

 

 

 

 

MSI 지포스 RTX 2070 SUPER 게이밍 X 트리오 D6 8GB 트라이프로져

 

GGHD0208.JPG

 

3개의 쿨링팬으로 구성된 트라이프로져 쿨러를 장착해, 더 높은 성능을 더 낮은 온도에서 더 조용하게 뽑아내는 그래픽카드입니다. 지포스 RTX 2070 슈퍼 GPU의 잠재력을 전부 이끌어내는 구성의 기판 설계와 고성능 쿨러를 조합하고, 묵직한 트리플 팬의 그래픽카드에 5개의 RGB LED를 장착해 튜닝 효과를 한층 더 높였습니다. 여러 지포스 RTX 2070 슈퍼 그래픽카드 중에서 단연 최고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습니다. 

 

GGHD0184.JPG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소비자 90%가 속았다.. 완전 자동은 따로 있다! 업계 최초 완전자동 음식물처리기 알려드림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가성비 AI 메인보드로 돌아온, ASRock H810M-X (에즈원) 메인보드 브레인박스
하루 매출 800만원 대박난 딤섬집 탈탈 털어보기~(광고 아님)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레노버 Y700이 부담이면.. 이건 메인으로 괜찮을까? 'ALLDOCUBE iPlay70 mini Ultra' 동영상 있음 도레
컴팩트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가진 휴대용 배터리, 벨킨 부스트차지 파워뱅크 20K With 디스플레이 (BPB028) 브레인박스
2팬으로 충분하다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60 Ti Twin Edge OC D7 16GB’ 미디어픽
단단하고 부족함 없는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860-Plus WiFi 베타뉴스
[시승기] 폭스바겐 신형 골프 GTI "그래 이 맛이야... 이상하게 잘 달려" (2) 오토헤럴드
전기자전거, 아무거나 타면 무릎 나갑니다!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잘생긴 게 죄라면 너는 유죄다, 리안리 Vector V100 ARGB 케이스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미친 크기의 5L짜리 초소형 컴퓨터를 만들어 봤습니다(스몰폼팩터 SFF) 동영상 있음 민티저
예상 뒤엎은 성능 반전..? 폴드7 | 플립7 성능 무조건 봐야 할 이유 생겼습니다!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리뷰] 1800mm 데스크 셋업 끝판왕핏쳐 모션데스크 E2 사용기전동 듀얼모터+높이 저장 기능까지 이게 20만원대라고요?! 3차 완판 이유 납득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샤오미 자체 칩셋 + 아이패드 프로급 디스플레이를 넣은 태블릿?!! [샤오미 패드 7 울트라 언박싱]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세계최초 RTX 프라이드 Ti 게이밍PC ㅋㅋㅋ 미친 ㅈㄹ빨라 Ryzen9를 품고 시속 100km/h로 달립니다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손안의 윈도우 콘솔’... 인텔 루나레이크 품은 완전체 핸드헬드PC 'MSI Claw 7 AI+ A2VM-U7' 뉴스탭
들기름 막걸리, 이정후 도시락, 맥시칸 맥주. 상상도 못한 편의점 신제품들~ 7월 셋째 주 편의점 신상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뭐냐.. 삼성 할 수 있었네? 갤럭시Z 폴드7 | Z 플립7 첫인상. 솔직히 이것만 봐도 기변각!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감성 케이스의 새로운 기준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미디어픽
이 게임을 보고 다시 확인했다... 소니가 망각한 독점작의 중요성을 (오픈월드 게임 고스트 오브 요테이)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