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마크 프로그램인 3DMARK는 그래픽카드 테스트 시 반드시 구동하게 되는 프로그램이다. CPU와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나타내 주는 가장 대중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3DMARK는 고성능 그래픽카드의 레이트레이싱 성능 테스트부터 저전력 프로세서의 내장 그래픽 성능 측정까지 다양한 테스트를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벤치마크 용도로 특히 유명한 것은 다이렉트X 11 테스트인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다이렉트X 12 테스트인 타임 스파이다. 해당 테스트의 그래픽 스코어를 통해 그래픽카드의 등급이 실질적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3DMARK는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을 운영한다. 명예의 전당에는 해당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유저의 닉네임과 해당 시스템의 정보(CPU, GPU)가 1등부터 100등까지 순서대로 표기된다.
![]() |
||
또한 간단한 제품명 정도만 표기되는 것이 아니다. 해당 시스템을 누르면 CPU 코어 클럭, GPU 코어 클럭, GPU 메모리 클럭 등이 기재되어 있다. 아무 GPU나 사용해서는 안 되며, 오버클럭이 잘 되는 고사양 GPU를 사용하는 것이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그래픽카드 제조사 갤럭시는 이에 맞춰 자사의 플래그십 라인업을 'Hall Of Fame'으로 운영한다. 해당 라인업은 이름에 맞게 3DMARK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수 있을 만한 초고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번 시간에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2070 SUPER를 탑재한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SUPER Hall Of Fame D6 8GB 10th Anniversary Edition’을 확인해 봤다.
![]() |
||
GALAX 지포스 RTX 2070 SUPER Hall Of Fame |
|
제조공정 |
12nm |
코어 클럭 |
1605/1905 (부스트) MHz |
메모리 |
GDDR6 8GB(256bit/14000MHz) |
쿠다 코어 |
2560개 |
출력 포트 |
디스플레이포트 3개, HDMI 1개, USB-C 1개 |
TDP |
최대 255W |
전원 포트 |
8+8핀 보조전원 |
가격 |
910,000원(1월 31일 오픈마켓 최저가 기준) |
제품 문의 |
갤럭시코리아 (http://www.galax.kr) |
플래그십다운 구성을 갖췄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SUPER Hall Of Fame D6 8GB 10th Anniversary Edition(갤럭시 RTX 2070 SUPER HOF, 이하 RTX 2070 슈퍼 HOF)는 플래그십답게 상당히 크기가 크다. 성능도 그에 비례한다. 부스트 클럭이 RTX 2070 슈퍼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부스트 클럭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RTX 2070 슈퍼의 호쾌한 쿨링 솔루션 덕분이다. 초대형 히트싱크, 6개의 히트파이프, 90mm 크기의 트리플 쿨러를 갖췄다. 덕분에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제조 공정은 튜링 아키텍처 기반 12nm다. 쿠다 코어 개수는 2,560개로 상위 모델인 RTX 2080의 2,944보다는 384개 적다. 다만 RTX 2070 슈퍼 HOF가 아주 높은 코어 클럭을 지녔기에 두 그래픽카드 사이의 간극은 적다고 볼 수 있다.
![]() |
||
▲ GDDR6 8GB 구성. 부스트 클럭은 1905MHz, 메모리는 삼성 제품으로 표기 |
보조 전원은 8핀 두 개를 사용하며 권장 파워 서플라이는 고성능 그래픽카드답게 650W다. 소비 전력은 255W다. 워낙 덩치가 크고 클럭도 높기에 평범한 2팬 RTX 2070 슈퍼 그래픽카드보다 소비 전력이 대략 40W 정도 더 높다.
![]() |
||
▲ 3DMARK 파이어 스트라이크 콤바인 테스트 시 순간 소비전력은 GPU-Z 센서 기준 221.9W로 표기 |
출력 포트는 디스플레이포트 3개, HDMI 1개, USB-C 1개다. 최대 4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래그십답게 다양한 구성품이 제공된다. 장갑, USB, 그래픽카드 지지대, HOF OC 패널 등이 제공된다.
![]() |
||
![]() |
||
![]() |
||
![]() |
||
![]() |
||
▲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쿨러마스터 사의 제품으로 어떤 시스템이라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원하는 대로 쉽게 탈부착이 가능 |
![]() |
||
▲ 지지대 추가 바닥 면과 HOG 로고가 그려진 USB와 장갑이 동봉 |
![]() |
||
![]() |
||
![]() |
||
![]() |
||
▲ HOF OC 패널은 그래픽카드와 연결해 실시간 GPU 정보 확인 및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
![]() |
||
▲ 파워커넥터 4핀을 VGA 8핀으로 변환할 수 있는 메탈릭 화이트 슬리빙 보조 전원 케이블도 동봉 |
최고의 쿨링 솔루션을 탑재했다
3DMARK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그래픽카드는 대부분 오버클럭이 높게 되어 있다. RTX 2070 슈퍼 HOF는 이름 자체가 명예의 전당인 만큼 오버클럭에 적합한 쿨링 솔루션을 갖췄다.
RTX 2070 슈퍼 HOF는 최대 24mm 두께의 초대형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HOF ARMOR(이하 호프 아머)를 갖췄다. 24mm 알루미늄 히트싱크는 히트 파이프가 6개로 GPU에서 생기는 발열을 히트싱크 구석까지 빠르게 전달해 준다. 호프 아머는 쿨러와 PCB 사이에 위치해 PCB 강도를 높이며, PCB 위의 각 부품과 맞닿아 발열 면적도 최대화한다.
![]() |
||
▲ 히트파이프 10개가 탑재됐다 |
또한 10페이즈 디지털 전원부가 적용됐다. 전력 효율 향상과 노이즈 감소에 맞춰 설계됐고, 그래픽카드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DrMOS 전원부라 전력 효율 및 내구성이 높으며 기존 모스펫보다 발열도 적다.
백플레이트가 장착된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백플레이트를 통해 PCB 휨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추가로 GPU와 전원부의 발열도 함께 나눠 해소할 수 있다.
쿨러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90mm 크기의 트리플 쿨러가 탑재됐다. 커다란 히트싱크에 모인 발열을 효율적으로 해소해 준다. 또한 일정 온도 이하 시 작동하지 않는 제로 팬 기능이 탑재돼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하이퍼 부스트 기능에 주목할 만하다. 하이퍼 부스트는 측면 포트 부분에 있는 버튼이다. 하이퍼 부스트 버튼을 누르면 쿨링팬이 최대 속도로 구동된다. 소음은 있지만, 성능은 확실하다.
![]() |
||
▲ 포트부 좌측 상단에 튀어나온 버튼이 하이퍼 부스트다 |
하이퍼 부스트 활성화 후 온도는 어떨까. 1920x1080 풀옵션 상태로 설정 후 15분 동안 그대로 둬 풀로드 상태로 만들었다. 풀로드 상태에서도 47도 정도로 아주 낮게 측정됐다.
![]() |
||
▲ 바이오 하자드 RE:2(DX11 1920x1080, 그래픽 우선)를 구동 후 15분 동안 둔 뒤 온도를 측정했다. 온도는 47도로 측정. 고성능 쿨링 솔루션 덕분에 풀로드 상태임에도 47도 정도로 아주 낮게 측정될 정도다 |
![]() |
||
▲ 하이퍼 부스트 활성화 시 소음은 평균 58.7dB 정도로 측정됐다 |
쿨링 솔루션 이외에도 화려한 RGB 기능도 주목할 만하다. RTX 2070 슈퍼 HOF는 정면 G 로고에 화려한 오로라 RGB 이펙트가 적용됐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사용자 임의로 색을 변경할 수 있었다. 측면 지포스 로고와 후면 백플레이트 부분의 Hall of Fame 로고에도 RGB LED가 적용된다.
![]() |
||
![]() |
||
![]() |
||
RTX 2070 슈퍼 HOF가 실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는지 간략한 테스트를 통해 알아봤다. 대조군은 RTX 2060 슈퍼(부스트 클럭 1710MHz)로 설정했다.
HOF AI
GPU 세부 설정이 가능한 HOF AI. 오버클럭 및 RGB 설정과 패널 설정, 팬 설정 등이 가능하다.
![]() |
||
![]() |
||
![]() |
||
![]() |
||
FutureMark사의 3DMARK 중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타임 스파이를 구동했다. 이를 통해 RTX 2070 슈퍼 HOF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 |
||
▲ DX11 기반인 파이어 스트라이크 그래픽 점수는 27,072점으로 측정된다. 참고로 RTX 2060 슈퍼의 22,707점보다 4,365점 더 높다 |
![]() |
||
▲ DX12 기반인 타임 스파이에서는 그래픽 점수 10,936점으로 측정. 참고로 RTX 2060 슈퍼의 9,017점보다 1,919점 더 높다 |
![]() |
||
바이오 하자드 RE:2
AAA급 게임인 바이오 하자드 RE:2에서 프레임을 측정해 봤다. DX11 API에 그래픽 우선 프리셋을 적용한 상태다. 그래픽 우선 프리셋을 적용하면 사용 비디오 메모리가 많아져 4GB를 훌쩍 넘어가지만, 테스트를 끝마칠 수는 있었다. 이어 수직 동기화를 해제하고 풀HD 환경에서 측정했다. 측정 구간은 클레어 B편 시작 부분에서 경찰서 헬기가 떨어진 뒷문 앞까지 이동하는 부분이다.
두 카드 간의 차이는 평균 35프레임이었다. RTX 2070 슈퍼 HOF의 경우 240Hz 모니터로도 즐길 수 있을 정도다.
![]() |
||
![]() |
||
섀도 오브 더 툼 레이더에 포함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통해 풀HD ‘가장 높게’ 프리셋에서의 성능을 알아봤다. DX11 API가 적용된 상태다. RTX 2070 슈퍼 HOF가 RTX 2060 슈퍼보다 평균 24프레임 더 높게 측정됐다.
![]() |
||
▲ RTX 2070 슈퍼 HOF |
![]() |
||
▲ RTX 2060 슈퍼 HOF |
오버워치
오버워치는 풀HD 해상도에 최상 옵션 및 렌더링 스케일 100%로 훈련장에서 프레임을 측정했다. 결과로 보면 RTX 2070 슈퍼 HOF는 최상 옵션에서도 240Hz 모니터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정도다.
![]() |
||
![]() |
||
RTX 2070 슈퍼 HOF에 대해 알아봤다. 갤럭시의 플래그십 라인업답게 고성능 쿨링 솔루션을 갖췄고, 이를 통해 고클럭으로 게임을 쾌적하게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하이퍼 부스트 기능을 활성화해 언제나 쉽게 그래픽카드의 최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RTX 2070 슈퍼 중 가장 뛰어난 제품군을 찾을 때 RTX 2070 슈퍼 HOF가 정답이라 볼 수 있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