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가 최근 출시한 4세대 라이젠 5000 시리즈가 장안의 화제 불러모으고 있다. 지난 10월 9일 리사수 최고 경영자가 온라인을 통해 공식 발표했을 때까지만 하더라도 큰 기대를 하지 않는 사람이 태반이었다.
이러한 돌풍에 대해 '어느 정도는 예상했다'는 반응도 있지만, '이 정도 일줄은 몰랐다'는 반응이 더 많았다.하지만 뚜껑을 열어 확인해 본 신제품의 성능은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수준이었다.
![]() |
||
그렇다면 유저들이 이처럼 AMD 라이젠 5000 시리즈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봤다.
![]() |
||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총 4종으로 최상위 모델인 '라이젠9 5950X'를 비롯해 '라이젠9 5900X', '라이젠7 5800X', '라이젠5 5600X' 등이다.
라이젠 5000 시리즈 프로세서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7nm 공정과 아키텍처의 변화를 통한 L3 캐시의 접근 효율성 향상 그리고 IPC(코어당 효율)의 향상과 와트당 성능 개선 등이 그것이다.
![]() |
||
ZEN2 아키텍처의 경우 8코어 프로세서를 기준으로 4개의 코어가 16MB 용량의 L3 캐시를 공유하는 방식이었다면, ZEN3는 8개의 코어가 32MB의 L3 캐시를 공유하고 있어 접근 효율성이 그만큼 높아졌다. 캐시의 용량은 동일하지만 구조의 변화를 통해 레이턴시를 줄인 것이다.
![]() |
||
그럼 출시된 신제품의 사양을 살펴보자. 먼저 '라이젠9 5950X'는 16개의 코어와 32개의 쓰레드를 갖췄고, 최대 4.9GHz의 클럭으로 작동한다. 여기에 L2+L3 캐시의 용량이 72MB이며, TDP는 105W다. 라이젠 5000 시리즈의 맏형이라 불리는 제품이다.
![]() |
||
![]() |
||
![]() |
||
![]() |
||
과연 'AMD 라이젠 5000 시리즈'의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경쟁사 제품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해봤다. 비교 제품군으로는 '인텔 10세대 코어 i9 10900KF'와 '인텔 10세대 코어 i7 10700K', '인텔 10세대 코어 i5 10400'을 선정했으며, 추가로 이전 세대 라이젠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라이젠5 3600'도 비교 대상에 포함했다.
<테스트 사양>
- 메인보드 : AMD B550 / 인텔 B460
- 메모리 : 16GB DDR4-3600
-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RTX3090
- SSD : 1TB SATA3 SSD
- 운영체제 : 윈도우10 64bit
먼저 3D MARK TIMESPY를 구동해 종합 점수를 알아봤다. 라이젠 5000 시리즈 중 최상위 모델인 5950X는 16994점으로 AMD CPU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막내에 해당하는 5600X도 15733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여줬다. 반면 인텔 10세대 코어 프로세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는데, 최상위 모델인 10900KF가 17521으로 모든 CPU 중 최고의 점수를 보여줬다.
![]() |
||
다음으로 씨네벤치 R20을 구동해 싱글 쓰레드 점수와 멀티 쓰레드 점수를 먼저 싱글 테스트에서 5950X는 63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다른 5000 시리즈 제품 역시 대체적으로 높게 측정됐다.
![]() |
||
![]() |
||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라면 'AMD 라이젠5 3600'이 기대 이상으로 높은 성능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것다. 게다가 최근 멀티팩의 출시로 가격이 저렴해졌으니, 소위 말하는 가성비 면에서 충분히 매력을 느낄 수 있다.
만일 라이젠 5000 시리즈의 가격이 부담스러워 구매를 망설이는 유저라면 'AMD 라이젠5 멀티팩'이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
||
![]() |
||
![]() |
||
![]() |
||
'AMD 라이젠 5000 시리즈'는 다수의 코어를 탑재해 멀티 태스킹 및 초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연결이 가능하고, 7nm 공정과 아키텍처의 변화를 통한 L3 캐시의 접근 효율성 향상 그리고 IPC의 향상과 와트당 성능 개선을 이룬 점이 눈에 띈다.
![]() |
||
이러한 점들로 미뤄봤을 때, 올 겨울 PC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고 있는 유저라면 라이젠 5000 시리즈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