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오딘: 발할라 라이징으로 알아본 GIGABYTE RTX 3060 EAGLE V2 제이씨현 리뷰

2021.07.22. 15:32:38
조회 수
3,386
3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 . 시작하며...


1624875156215_2.jpg

 

근래 게임 업계의 사정은, PC건 모바일이건 상관없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예상보다 장기화된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의도치 않게 게임 관련 수요가 증가했음에도 코인 채굴 이슈 때문에 그래픽 카드 구입은 거의 불가능했었고... 특정 게임으로부터 시작된 트럭 시위와 그 여파는 게임계 전반으로 퍼져나가 그동안 쌓여있던 유저들의 불만이나 불신감이 드러나기도 했지요. 딱히 코로나 사태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게이머들이 열광할 만한 대형 타이틀의 출시가 부족했던 것도 있고, 기다려왔던 AAA급 게임의 뚜껑을 열어보니 막상 기대 이하였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나마 최근에는 점차 그래픽 카드 수급이 원활해지고 있으며 배틀필드 2042나 디아블로 2: 레저렉션과 같은 기대작의 출시도 예정되어 있고, 모바일쪽에서도 웬만한 대형급 게임들의 경우 PC 환경이 포함된 멀티 플랫폼으로 출시되는 경우가 많아져서 다소 숨통은 트여지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re_ProjectLH 2021-07-16 오후 2-01-27-887.jpg

 

또 최근 모바일 게임계에는 한차례 이변이 있었지요. 약 4년간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앱스토어의 매출 1,2위를 유지하고 있던 리니지M과 리니지2M이 신규 게임인 "오딘: 발할라 라이징"(라이온하트 스튜디오 제작, 카카오게임즈 유통)에 밀려난 것인데, 출시 초기에 잠시 밀리는 상황은 간간히 있어왔지만 오딘의 경우 출시 후 3주째 1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중입니다.

2분기에 출시된 대형 타이틀 중 트릭스터M은 원작에 대한 존중도가 없다시피 한데다 완성도도 낮은 상태로 출시되어 이미 유저들이 70% 이상 빠져나갔고, 제2의 나라는 리니지 BM(비즈니스 모델, 단순히 요약하면 과금 구조)에서 그나마 차별화에 신경을 쓴 모습은 보이며 지브리 특유의 아트워크도 있어 나름 선방하고 있지만 유저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고 있지요.

 

그럼 오딘: 발할라 라이징은 뭔가 다른가? 하면 딱히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래픽이나 사운드는 좋은 편이지만, 옛날 방식의 전투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어 공격 회피나 스킬 캔슬 등 유저의 컨트롤은 불가능하고 결국 말뚝딜만 해야 합니다. 실제로 보스의 공격 범위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긴 하는데, 유저가 이를 보고 공격이 시작되기 전에 범위에서 멀리 벗어난다 해도 데미지는 그대로 들어오는 식입니다. 이는 즉, 자동 사냥 및 캐릭터의 스펙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리니지 BM의 그림자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한 과금 유도 정책을 가진 셈입니다.

 

re_ProjectLH 2021-07-16 오후 1-31-28-177.jpg

 

이외에도 여러 아쉬운 점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딘이 모바일 양대마켓에서 매출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앞서 언급했던 트럭 시위의 여파로 인해서 3N 개발사에 대한 불신이 깊어졌기 때문에 리니지류 게임을 즐겨하던 다수의 유저들이 오딘으로 옮겨간 것도 있겠고, 출시 초기부터 PC 플랫폼과 계정이 연동되는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한다는 점도 한몫 했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현재 시점에서 모바일과 PC의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 게임은 NC소프트의 퍼플 기반 게임들, 원신, 그랑사가, 제2의 나라(베타) 등 여럿 있으나, 장시간의 자동 사냥을 필요로 하는 리니지식의 게임에서 PC 환경을 지원한다는 것은 어쨌든 큰 장점일 것입니다. 크로스 플레이가 활성화되기 이전의 PC 환경에서 모바일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앱플레이어를 사용하는 방법 밖에 없었지만 앱에 따라 호환성이나 안정성 면에서 불안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개발사가 직접 제공하는 PC 버전이 있다면 유저 입장에서 좋을 수 밖에 없겠지요.

 

오딘의 PC 버전은 홈페이지와 런처를 거치는 일반적인 온라인 게임들과 비슷한 형식인데, 모바일 버전이 기반인 듯한 UI나 조작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축키 표시도 앱플레이어의 가상키와 비슷하고 설정창의 구성도 모바일 버전과 동일한 점(특히 해상도나 프레임 설정)도 그렇고, PC용 클라이언트라는 느낌보다는 오딘 전용 앱플레이어라는 느낌이 더 강한 편입니다.(물론 앞서 언급했던 타 크로스 플레이 게임들도 마찬가지이긴 합니다) 때문에 유저에 따라서는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론 PC 버전의 존재 덕분에 유입자 수가 늘었으며 신규 IP임에도 PC방 점유율에서 10위권 대에 들게 되었죠.

 

re_DSC05666.jpg

 

이렇듯 오딘: 발할라 라이징은 게임 자체만으로 보면 크게 경쟁력이 있어보이진 않지만, 어찌됐든 4년에 걸친 리니지 형제의 독주를 막아냈다는 점은 꽤 인상적이며 초기부터 크로스 플레이를 통해 일반적인 PC 유저들까지 유입시킨 것은 괜찮은 한 수였다고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가격 및 성능으로 가장 무난한 포지션에 위치하는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 NVIDIA RTX 3060은 오딘의 PC 버전을 어느 정도까지 소화해낼 수 있을까요? 모바일 기반으로 보이긴 해도 2021년의 신규 3D MMORPG 게임인 만큼 그래픽도 화려한 편이고 옵션도 다양하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가 좋을수록 더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럼 GIGABYTE GeForce RTX 3060 EAGLE V2 D6 12GB 제이씨현을 사용하여 오딘: 발할라 라이징을 얼마만큼 원활하게 즐길 수 있을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_DSC05675.jpg

2 . 테스트 제품 소개

spec1.jpg

spec2.jpg

 

re_DSC05659.jpg

 

re_DSC05661.jpg

 

re_DSC05665.jpg

 

re_DSC05666.jpg

 

re_DSC05669.jpg

 

re_DSC05671.jpg

 

re_DSC05672.jpg

 

re_DSC05677.jpg

 

re_DSC05683.jpg

 

re_DSC05684.jpg

 

re_DSC05687.jpg

 

re_DSC05688.jpg

 

re_DSC05690.jpg

3 . 테스트 구성

re_DSC05691.jpg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testbench.jpg

 

re_gpuz.jpg

▲ GIGABYTE GeForce RTX 3060 EAGLE V2 D6 12GB 제이씨현의 GPU-Z 정보


4 . 게임 설정 및 그래픽 비교

re_setting_낮음.jpg

▲ 그래픽 품질 "낮음" 설정 및 프레임 "최고" 설정

 

re_setting_최고.jpg

▲ 그래픽 품질 "최고" 설정 및 프레임 "최고" 설정

 

그래픽 설정 화면은 모바일 버전을 기반으로 하여 해상도나 프레임 설정이 "낮음-보통-높음-최고"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기기마다 해상도가 다른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만큼 해상도 설정은 배율(오버워치 등의 렌더링 스케일)로 동작하며, 실제 해상도는 데스크톱의 현재 해상도로 동작합니다.

프레임은 "낮음"부터 순서대로 20-30-40-60 프레임으로 설정되는데, PC 버전의 경우 게임 모드를 변경하면 게임이 재시작되거나 게임 모드를 다시 변경하기 전까지는 프레임이 무제한으로 설정되므로 벤치마크에 활용하였습니다.

 

 

 

벤치마크는 일종의 프리셋인 그래픽 품질 중 "낮음"과 "최고"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그래픽 품질에 따른 화질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벤치마크 구간은 초반 사냥터 중 하나인 "폐성터"이며 10분간 자동 사냥하는 것으로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re_ProjectLH 2021-07-15 오후 5-31-48-445.jpg

 

re_ProjectLH 2021-07-16 오전 9-37-22-206.jpg

 

5 . 벤치마크 결과 및 결론

 그래픽 품질별 결과

 

graph01.png

 

graph02.png

 

 

 

 해상도별 결과

 

graph03.png

 

graph04.png

 

graph05.png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벤치마크 결과,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인 GIGABYTE GeForce RTX 3060 EAGLE V2 D6 12GB 제이씨현으로 1080P 및 1440P는 무리없이 즐길 수 있겠으며, 2160P는 "낮음"으로 평균 60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2160P의 "최고" 설정으로는 평균 39.2프레임, 최소 32프레임이 측정되었는데 오딘의 경우 자동 사냥 기반의 게임인 점을 감안하면 30프레임 수준으로도 게임을 즐기는데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기본적으로는 타 PC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해상도에 따른 차이가 크며, 그래픽 품질의 변경에 있어서도 해상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프레임 확보를 위해서는 데스크톱 자체의 해상도(전체 화면 및 전체 장 모드 기준)나 해상도 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re_ProjectLH 2021-07-16 오후 1-25-39-634.jpg

 

결론적으로 오딘: 발할라 라이징은, 현세대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게임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사실상 모바일 기반의 게임이다보니 텍스쳐 "최고" 설정임에도 군데군데에서 보이는 저화질 텍스쳐의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LOD(Level of Detail)를 별도로 설정할 수 없는 등 PC 게임이라 하기엔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컨트롤이나 탐험 요소가 거의 무의미한 계열의 게임이기 때문에 충분히 감안할 수 있는 부분이고 어쨌든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인 RTX 3060 기준으로 최적화는 합격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re_ProjectLH 2021-07-16 오후 2-06-47-449.jpg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최근에 나온 대형 모바일 게임들은 대부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여 모바일과 PC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쪽은 환경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손쉽게 즐길 수 있다는게 가장 큰 장점이지만 3D 게임의 퀄리티가 높아질수록 배터리에 대한 부담이 큰 편이고... PC쪽은 플레이 환경에 제약이 있지만 그래픽 성능이나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플랫폼을 하나의 계정으로 묶어 유저가 선택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크로스 플레이"는 개발사가 꾸준히 지원해준다는 전제하에 상당한 메리트로 작용할 수 있고, 오딘: 발할라 라이징은 이를 잘 활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re_ProjectLH 2021-07-16 오후 2-22-50-799.jpg

 

이러한 게임들이 더욱 많아진다면 유저 입장에서 나쁠 것은 전혀 없겠지요. 특히 PC쪽은 로스트아크가 선전중이긴 하지만 순위권에는 여전히 리그 오브 레전드나 서든어택,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등 오래된 게임들이 많기 때문에... 전용 앱플레이어 같은 느낌이 들긴 해도 PC 환경에서 괜찮은 3D 그래픽을 감상하며 즐길 만한 게임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는 것도 괜찮은 흐름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게이밍 환경을 구성한다면, 성능이 너무 과하지 않으면서도 적당한 가격대에 위치한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가 적당하겠지요. 오딘: 발할라 라이징을 비롯한 현재의 크로스 플레이 게임들을 즐겨 하거나, 앞으로도 다수 출시될 크로스 플레이 지원 게임에 관심이 있는 유저라면 GIGABYTE GeForce RTX 3060 EAGLE V2 D6 12GB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로 게이밍 환경을 구성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re_DSC05675.jpg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정식출시 Gamesir 유선 컨트롤러가 2만원! 퀄리티는 기본에 디자인도 너무 이쁘네~ (2)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대화면 AI 노트북, ACER 스위프트 GO 16 AI SFG16-61-R0UV 노트포럼
휴대성 까지 만족시키는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 ASUS ROG 제피러스 G14 GA403WR-QS128W 노트포럼
Lian Li CL Wireless Inside – Next Level Gaming PC | 9950X3D | RTX 5080 | TForce Xtreem ARGB 동영상 있음 PC SNAP
더욱 저렴해진 가격에 필수적인 기능들은 모두 갖춘 가성비 스마트폰 짐벌 Insta360 Flow 2 동영상 있음 인프제 INFJ
macOS 26 투명디자인에 속았죠? 진짜는 스팟라이트! (macOS 26 Tahoe beta2) 동영상 있음 고나고
시장가격 파괴 프린터 등장? 레이저 흑백 정품 토너가 1만4천원대? brother 초저가 유지비 프린터 HLB2180DW 토너세이브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효율적 공간활용! 나만의 휴식공간 완성!! 핏쳐 전동 리클라이너 ERE1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화이트 감성의 프리미엄 올인원 일체형 오디오, 브리츠 BZ-T8500 Plus 베타뉴스
코어 울트라7 265K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ROG STRIX B860M-G GAMING WIFI - 코잇 브레인박스
GIGABYTE B760M AORUS ELITE GEN5 피씨디렉트: 어로스 엘리트, PCIE 5.0으로 업그레이드 쿨엔조이
르노 세닉 Etech 100% Electric 리뷰! 그랑 콜레오스 성공 이을까?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화이트 감성과 최상급 성능의 조화 'MSI MPG X870E 엣지 TI WIFI' 미디어픽
블랙 &화이트의 완벽한 밸런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BLACK OC D7 8GB' (1) 미디어픽
최신 인텔 플랫폼을 위한 실속형 메인보드 'ASUS PRIME H810M-A 코잇' 미디어픽
나만 그리고 가족들의 퍼스널 클라우드, Synology BeeStation Plus (BST170-8T) 브레인박스
결국 음식물처리기 다 써보고 내린 결론 (미닉스 더플렌더 PRO)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인도 1위 스마트워치 브랜드 신제품 공수해 왔습니다 동영상 있음 UnderKG
작고 이쁜, 긱한 마그네틱 게이밍 키보드, 멜긱 리얼67 #Melgeek 동영상 있음 DmonkTV
16만 유튜버가 직접 잡아 보내주는 민물매운탕 밀키트 동영상 있음 맛상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