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구성에 있어 그래픽카드라는 요소는 사용자의 PC 구성과 목적에 따라 굉장히 다양하게 나뉜다.
대표적으로 게이밍에 포커싱된 PC를 맞추고자 하는 사용자라고 한다면 게이밍 퍼포먼스에 중점을 두고 구매를 할 것이며, 반대로 간단한 사무 업무를 보고자 하는 사용자라고 한다면 내장 그래픽 코어 혹은 저렴한 엔트리급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는 한다.
그렇다면 전문 워크스테이션용 PC에서는 어떤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는 할까? 이러한 소비자들을 위해선 보통 NVIDIA는 쿼드로 AMD는 PRO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는 한다.
보통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찾고자 한다면 NVIDIA사에선 쿼드로를 AMD에선 PRO 라인업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는게 보통인데, 금번 기사에서 소개하고 살펴볼 그래픽카드도 앞서 언급한 다양한 용도 속에 전문가들을 타겟으로 한 AMD의 새로운 그래픽카드가.
바로 AMD의 라데온 PRO W6600인데 실제 제품의 성능은 어떤지 한번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 슬림한 1슬롯 디자인이 적용된, 라데온 PRO W6600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살펴보기에 앞서 전반적인 제품 디자인을 살펴볼까 한다.
제품의 전면에는 사진과 같이 AMD의 PRO 그래픽카드 라인업에서 볼 수 있는 블루색 색상의 디자인과 함께 AMD 라데온 PRO W6600가 각인되어 있으며, 쿨링은 약 55 ~ 60mm의 크기를 가진 블로워 팬이 담당하고 있다.
AMD 라데온 PRO W6600의 후면 디스플레이 포트의 구성으로는 4개의 1.4DP 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지원 해상도로는 8K(7680*4320)를 지원하고 있다.
그래픽카드의 사이즈는 사진과 같이 그래픽카드 슬롯 한개 만을 사용하고 있어, 멀티 GPU 구성에 있어서도 용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핀으로는 TBP(Total Board Power)가 130W인 만큼 6 Pin 케이블 하나만을 요구하며, 권장 파워 서플라이에 있어서도 350W로 작은 용량을 필요로 한다.
■ 28CU를 품은, 전문가용 그래픽카드 AMD 라데온 PRO W6600
이어 AMD PRO W6600의 GPU 스펙을 살펴보면은 28개의 CU를 기반으로 1,792개 스트림 프로세서에 32MB의 인피니티 캐시, 8GB GDDR6(Hynix)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GPU 클럭으로는 2,331MHz에 부스트 클럭 2,580MHz으로 동작을 한다.
대략적인 GPU의 스펙을 살펴보면 기존 데스크탑 그래픽카드인 RX 6600XT의 다운 그레이드 버전으로 보이는데, 추측으로는 RDNA2 아키텍처를 적용한 GPU인 만큼 동일한 Navi 23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 RDNA2로 무장한 AMD PRO W6600, 실제 성능은?
가장 먼저는 기본적인 GPU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3D MARK 벤치마크를 진행했으며, 대략적인 성능 비교 군을 위해 사용된 그래픽 카드로는AMD 데스크탑 그래픽카드인 RX 6600XT 준비해 봤다.
벤치마크 결과 3D MARK GPU 스코어 즉 GPU의 퍼포먼스를 비교해 보면 평균 15% 내외로 AMD PRO W6600이 소폭 밀리는 모습을 보이는데, 아무래도 기본적인 CU 및 스트림 프로세서의 차이가 있는 만큼 RX 6600XT 대비로는 약간 밀리는 성능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라데온 PRO W6600는 전문가용 그래픽카드인 만큼 렌더링과 같은 작업에 있어 조금 더 특화된 그래픽카드라 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실질적인 작업 환경에 있어서는 어떤 차이를 보여줄까?
가장먼저는 렌더링 벤치마크로 자주 사용되는 블렌더를 준비해 봤는데 일반적인 순수 CPU로만 렌더링 한 벤치마크 결과 값과 CPU + GPU를 겸한 벤치마크로 진행했다.
순수 CPU 렌더링 즉 R5 5600X로만 진행한 벤치마크에서는 9분 36초(576)를 기록한 반면 AMD RX 6600XT를 겸한 CPU + GPU 렌더링에 있어서는 3분 45초로(225)로 매우 빠른 렌더링 성능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금번 리뷰에서 소개하고 살펴보는 AMD PRO W6600와의 조합에서는 이보다 더 빠른 3분 9초(189)로, RX 6600XT 대비 약 20%가량 더 빠른 렌더링 성능을 기록했다.
아무래도 작업용 GPU인 만큼 앞선 이러한 작업 성능에 있어서는 더욱 빠른 퍼포먼스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서 3Ds Max, Maya 등 다양한 작업성능 벤치마크가 진행되는 스펙뷰버프 2020(SPECviewperf 2020)도 준비해 봤다.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면 AMD RX 6600XT 대비 부분적으로 부족한 성능을 보이기도 하지만, 렌더링과 관련된 energy-03와 WireFrame 3D 모델 렌더 성능이 포함되어 있는 snx04에선 매우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아무래도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기본적인 GPU의 스트림 프로세서가 소폭 적은 만큼 부분적인 퍼포먼스는 조금 부족한 것으로 보이지만, 작업용 GPU인 만큼 렌더링과 관련된 퍼포먼스에서는 확연한 성능 차이를 보여 줬다.
■ AMD 라데온 PRO W6600, 게이밍 퍼포먼스로도 준수
.
마지막으로 게이밍 벤치마크도 진행해 봤는데 AMD PRO W6600의 경우 앞서 필자가 언급했듯 RDNA2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GPU로, 게이밍 퍼포먼스에 있어서도 준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게이밍 퍼포먼스에 있어 전반적으로 AMD RX 6600XT와 비교시 3D MARK와 비슷한 차이로 평균 15% 내외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나,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라는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준수한 퍼포먼스라 생각된다.
■ 작업 퍼포먼스, 멀티 GPU 대응에 용이한 AMD 라데온 PRO W6600
다양한 그래픽카드 속에 금번 기사에서는 작업용 그래픽카드로서 AMD에서 새롭게 내놓은, 라데온 PRO W6600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현 그래픽 카드 시장에 있어 대부분의 그래픽카드 가격 상승은 물론 일부 모델은 구하기 조차 힘든 상황인데, 무난한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로서 새로운 제품을 찾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긍정적인 소식을 전해준 제품이 아닐까 싶다.
앞서 소개하고 살펴본 내용과 같이 일반적인 GPU 퍼포먼스에 있어서도 RDNA2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전문가용 및 작업 렌더링과 같은 용도에선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으니 말이다.
거기에 더해 그래픽카드 슬롯 활용에 있어서도 1슬롯을 사용하는 만큼 멀티 GPU에 용이하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으니, 준수한 작업용 그래픽카드 및 멀티 GPU 구성에 용이한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찾고자 한다면 금번 AMD PRO W6600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