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피벗되는 2K 사무용 모니터.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

2021.09.24. 05:04:14
조회 수
6,788
7
댓글 수
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회사에 출근해서 월급을 받아 생활하는 직장인조차도 사무용이라는 말을 폄하할 때가 있습니다. 게이밍 PC라면 번쩍거리는 RGB LED가 박힌 시끄러운 기계식 키보드와 비싼 그래픽카드를, 워크스테이션이라면 묵직한 케이스를 꽉 채운 고 rpm의 쿨러 소음을 어렵지 않게 떠올리는 이들조차 사무용 컴퓨터라는 말을 듣는 순간 펜티엄, 셀러론, 내장 그래픽, 멤브레인 키보드가 머리 속을 맴돌 겁니다. 좀 더 솔직하게 표현하면 사무용 컴퓨터는 곧 똥컴이라는 고정 관념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소리죠.

 

하지만 이건 사무용으로 쓰는 프로그램에 높은 연산 능력이 필요하지 않다는 말이지 아무거나 막 써도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 둘은 분명 다른 것이니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직원의 노고에 큰 가치를 두지 않는 곳에서는 사장님 아들 차가 5번 쯤 바뀔 동안 사무실 컴퓨터는 10년 째 변함없는 모습을 보여줘 환경 보호에 이바지하겠지만, 적절한 장비가 업무 효율을 높여주고 직원의 사기 진작에 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관리자라면 사무용 컴퓨터에 합당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겁니다. 

 

2.JPG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는 사무용 모니터입니다. MSI의 주력 제품인 게이밍 모니터처럼 부드럽고도 빠릿한 화면 뒤에 화려한 RGB LED를 두르지 않았습니다. 최근 각광받는 전문가용 모니터처럼 넓은 색 표현과 칼같은 정확함을 보여주는 것도 아닙니다. 이 사무용 모니터의 스펙은 MSI의 게이밍 모니터나 전문가용 모니터와 비교하면 특출난 부분이 전혀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하지만 사무용 모니터에서 그런 스펙을 찾아야 할 이유 역시 전혀 없습니다. 가격만 오르겠죠.

 

그래서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는 사무용 모니터에 굳이 넣어야 할 필요 없는 스펙은 전부 뺐습니다. 대신 일을 더욱 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스펙들만 골라 넣었습니다. 27인치의 화면에 WQHD 해상도를 조합해 24인치에 풀 HD보다 더 넓은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4K만큼 시스템이나 눈이 부담되지 않습니다. 회전과 틸트, 피벗까지 지원하는 스탠드는 회사의 수 만큼이나 다양한 근무 환경과 사용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움직이거나 배치해 쓸 수 있습니다. 

 

3.JPG

 

제품명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
패널 종류 IPS 
표면 코팅 처리 안티 글레어(저반사 코팅)
화면 크기 27인치(68cm), 16:9 비율
가시 화면 영역 596.73x335.664mm
권장 해상도 2560x1440(WQHD) 
픽셀 피치 0.2331mm
최대 표시 색상 1670만 컬러(8비트)
명암비 1000:1
곡률 평면
색재현율 sRGB 109.02%
밝기 250cd
응답 속도 5ms GTG
시야각 상하/좌우 178도
리프레시율

75Hz

부가 기능

프레임리스 디자인 

1W x2 스피커

OSD 기능

플리커 프리

블루라이트 감소

스탠드 기능

-5~20도 각도 조절(틸트) 

0~110mm 높이 조절(엘리베이션)

-30~30도 좌우 회전(스위블)

-90~90도 패널 회전(피벗)

입/출력 단자

DP 1.2 x1(2560x1440 75Hz)

HDMI 1.4 x1(2560x1440 75Hz)

USB-C x1(2560x1440 75Hz)

3.5mm 오디오 출력 

전원 공급 35W. 외장 어댑터 사용, 100~240V, 50~60Hz
크기

613.5x401.5x200.81mm

무게

5.8kg

베사 마운트 75x75mm
참고

일반: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122336

무결점: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136568

가격

일반: 362,540원

무결점: 361,000원

(2021년 9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큰 화면을 자유자재로 배치해 쓰기

 

DSC01414.JPG

 

모든 회사가 탄탄한 복지와 훌륭한 직원 식당을 제공하진 않습니다. 주는 대로 쓸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면 창고 구석에서 건져낸 21인치 모니터를 마주해도 입을 꾹 다물어야죠. 하지만 카톡이나 두드리는 스마트폰은 해마다 화면이 커지는 세상인데, 직장에서 돈벌이하는데 쓰는 사무용 모니터도 어느 정도는 키워야 맞지 않을까요? 그런 점에서 27인치는 사무용으로 쓰기에 상당히 괜찮은 크기입니다. 27인치라면 좀 더 커진 글씨로 좀 더 편하고 쾌적하게 사무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도, 책상 위의 공간을 생각만큼 많이 차지하지 않습니다. 4K 급의 고해상도를 써야 하는 게 아니라면 27인치면 충분한 크기입니다. 

 

DSC01407.JPG

 

최근의 유행에 따라 모니터 상단과 좌우 베젤은 최대한 깎아낸 프레임리스 디자인을 사용했습니다. 모니터 아래쪽에는 전원 LED와 OSD 버튼이 있습니다. 게이밍 모니터라면 버튼을 뒤로 숨기기도 하겠지만, 사무용 모니터에서 그 정도까지 공을 들일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또 MSI 모니터치고는 드물게 스피커도 달려 있습니다. 음악 감상하라고 만든 건 아니니 음질이 아주 뛰어난 수준은 아니나 볼륨 하나는 빵빵합니다. 영상 입력 단자는 DP, HDMI, 그리고 흔치 않은 USB-C가 하나씩 있습니다. 슬림 노트북이나 2in1 태블릿의 연결 단자가 USB-C 하나로 정리되는 상황에서, 노트북에 연결해 쓰기에도 괜찮다는 소리죠.

 

DSC01403.JPG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스탠드입니다. 틸트, 엘리베이션, 스위블, 피벗까지 좋은 스탠드에 있어야 할 기능은 다 있습니다. 쓰는 사람의 취향에 맞춰 모니터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고, 옆으로 돌려서 서브 모니터로 놓고 쓸 수도 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소감이지만, 지금까지 만져본 모니터 스탠드 중 가장 부드럽게 움직이기도 했고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모니터 자체를 이리저리 옮겨가며 쓰는 수준을 원한다면 모니터 암을 달아야 하겠지만, 평범한 사무실에서 그 정도까지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죠. 대부분의 상황에선 MD271QP의 기본 스탠드만으로 충분할 겁니다. 

 

DSC01389.JPG

 

제품 박스

 

DSC01391.JPG

 

스티로폼에 수납된 케이블과 모니터 본체

 

DSC01392.JPG

 

스탠드 기둥, 스탠드 받침대, 설명서,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DP 케이블, HDMI 케이블

 

DSC01443.JPG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

 

DSC01429.JPG

 

정면

 

DSC01425.JPG

 

27인치(68cm) 크기의 화면. 오른쪽의 종이는 A4입니다. 

 

DSC01428.JPG

 

프레임리스 디자인을 채택해 얇게 줄인 베젤

 

DSC01427.JPG

 

중앙의 MSI 로고. 

 

DSC01426.JPG

 

우측 하단의 OSD 버튼 

 

DSC01418.JPG

 

옆에서.

 

DSC01423.JPG

 

스탠드가 차지하는 공간

 

DSC01417.JPG

 

두께

 

DSC01441.JPG

 

-30~30도 좌우 회전(스위블)

 

DSC01419.JPG

    

-5~20도 각도 조절(틸트) 

 

DSC01438.JPG

 

피벗한 상태에서 각도 조절

 

DSC01430.JPG

 

0~110mm 높이 조절(엘리베이션)

 

DSC01421.JPG

측면에서 본 높이 조절

 

DSC01436.JPG

 

-90~90도 패널 회전(피벗).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됩니다. 

 

DSC01400.JPG

 

뒷면입니다. 

 

DSC01393.JPG

 

HDMI, USB-C, DP, 3.5mm 오디오, DC 전원 입력 단자. 그 아래에는 제품 정보가 있습니다.

 

DSC01394.JPG

 

75x75mm 구경의 베사 마운트 홀. 스탠드와 베사 마운트 홀을 함께 쓸 순 없습니다.

 

DSC01395.JPG

 

모니터 하단의 전원 LED와 OSD 조작 버튼.

 

DSC01396.JPG

 

켄싱턴 락.

 

DSC01397.JPG

 

기둥을 모니터 뒷면에 끼워줍니다. 나사로 고정할 필요 없이 구멍에 맞춰 끼우기만 하면 잠금 장치가 걸립니다.

 

DSC01398.JPG

 

기둥을 받침대에 꽂아줍니다. 

 

DSC01399.JPG

 

바닥의 손나사를 돌려 고정합니다. 스탠드가 안정적으로 모니터를 지탱할 수 있도록 바닥에 철판을 대서 무게를 늘렸습니다. 

 

 

사무용으로 WQHD 75Hz면 충분

 

DSC01404.JPG

 

모니터 해상도에서 1920x1080과 2560x1440 사이에는 2019년과 2021년의 비트코인 시세만큼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그 차이는 크지만 내용은 간단합니다. 1920x1080에서는 웹 페이지나 문서를 하나 띄우면 나머지 공간이 애매해져, 카카오톡이나 파일 탐색기 정도나 열어두는 게 고작입니다. 하지만 2560x1440에서는 두 개의 웹 페이지나 문서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동시에 띄워둘 수 있습니다. 이 하나의 차이가 작업 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어마어마합니다. 창 뒤에 가려진 다른 창을 보기 위해 일일이 전환할 필요 없이 눈만 좌우로 돌리면 되니까요. 한번이라도 직접 써본 분들은 풀HD론 못 돌아갑니다.

 

DSC01402.JPG

리프레시율은 75Hz입니다. 100Hz를 넘어서는 게이밍 모니터와 비교하면 높은 값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게임도 아닌 문서와 웹 페이지를 100Hz 이상의 부드러운 값으로 보여줘봤자 체감할 상황이 자주 있을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고요. 그리고 60Hz보다는 75Hz가 더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준다는 점은 자명합니다. 그리고 안티 글레어 저반사 코팅 처리해 반사되는 빛에 신경 쓸 필요 없이 편안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시야각이나 반응 속도, 명암비를 비롯한 패널의 다른 스펙들은 게이밍 모니터나 전문가용 모니터 수준으로 특출나게 높진 않습니다. 하지만 사무용으로 쓰기에는 차고도 충분합니다.  

 

DSC01406.JPG


게이밍이나 전문가용 모니터만큼 많은 기능을 제공하거나 설정을 바꿔가며 쓸 필요는 없기에, OSD는 별도의 설정 프로그램이나 5방향 내비게이션 버튼으로 방대한 기능을 조작하는 게이밍 OSD가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화면 바로 아래의 버튼을 사용해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화면 밝기와 프리셋, 감마와 색온도 조절을 비롯해 모니터 설정에 꼭 필요한 기능들은 전부 제공합니다. 블루라이트 감소 기능을 써서 더 편안하게 문서를 보고, 오버드라이브를 사용해 응답 속도를 더 높이거나, 화면 밝기 설정으로 부족하다고 생각될 경우 절전 기능을 써서 전력 사용량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DSC01454.JPG

 

2560x1440 해상도로 두 개의 창을 겹치지 않게 배치하고도 공간이 남습니다. 

 

DSC01446.JPG

 

상하 시야각 178도


DSC01445.JPG

 

좌우 시야각 178도

 

 

DSC01452.JPG

 

명암 표현

 

DSC01451.JPG

 

색상 표현

 

 

DSC01453.JPG

 

가독성 테스트

 

P3090674.JPG

 

RGB LED 픽셀

 

 

 

ezgif.com-gif-maker.gif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간이 인풋랙 테스트. 두 화면에 표시되는 값의 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75Hz 리프레시율, 프레임 스킵, 플리커 프리 테스트 영상.

 

62febc064cdba8484d61f0de64098ea0.jpg

 

화면 밝기 설정에 따른 전력 사용량의 변화. 절전 모드를 사용하면 100%에선 변함이 없지만 그 아래에서는 3~5W 가량 더 떨어집니다. 

 

Cap 2021-09-22 03-35-57-477.png

 

윈도우에서 MSI MD271QP로 인식

 

Cap 2021-09-22 03-36-19-807.jpg

 

HDCP 지원

 

 

Cap 2021-09-22 03-49-27-639.jpg

 


스파이더를 사용해 측정한 색상 영역에서는 sRGB 96%가 나왔습니다. 스파이더 계측은 주변 상황에 영향을 받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Cap 2021-09-22 03-49-35-014.png

 

디스플레이 감마는 2.1. 표준인 2.0과 2.2 사이가 나왔습니다. 

 

Cap 2021-09-22 03-49-46-579.png

 

최대 밝기는 346cd, 명암비는 920:1이 나왔습니다.

 

Cap 2021-09-22 03-49-56-175.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01-921.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05-774.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12-361.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19-375.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25-841.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33-495.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40-188.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일 때의 화면 표현

 

Cap 2021-09-22 03-50-49-893.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 E 2.32를 기록했습니다. 

 

DSC01455.JPG

 

사진 표시

 

DSC01456.JPG

 

영상 재생

 

DSC01460.JPG

 

OSD 메뉴. 밝기, 컨트라스트, DCR, 영상 모드, 색온도, 화면 비율, 입력 소스 등을 설정합니다. 

 

DSC01458.JPG

 

 

DCR 기능에 따른 화면 표시 변화

 

DSC01464.JPG

 

영상 모드와 색온도 설정

 

DSC01482.JPG

 

영상 모드 설정에 따른 화면 변화. 가장 마지막의 로우 블루라이트에서는 눈의 피로를 줄여주기 위해 노란색을 많이 빼서 표시합니다.

 

DSC01468.JPG

 

화면 비율, 입력 소스, 감마 설정

 

DSC01472.JPG

 

OSD 언어, 타이머, OSD 초기화

 

DSC01476.JPG

 

오버드라이브, 볼륨, 에코 모드


Cap 2021-09-22 04-34-53-994.png

 

여러 창을 정리해주는 디스플레이키트 프로그램을 쓸 수 있습니다.

 

Cap 2021-09-22 04-35-05-806.png

 

디스플레이 해상도, 리프레시율, 색상, 표시 방향 설정

 

Cap 2021-09-22 04-35-09-139.png

 

표시 모드 설정

 

Cap 2021-09-22 04-35-15-940.png

 

기타 부가 기능

 

 

MSI 모던 MD271QP IPS 아이세이버

 

DSC01409.JPG

 

스펙이 아주 화려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사무용 모니터가 그래야 할 이유는 없겠죠. 작업 효율을 늘려줄만한 요소들은 빼놓지 않고 전부 갖춘 모니터입니다. 27인치 크기에 WQHD 해상도로 여러 창을 겹치지 않게 배열해 쓸 수 있으며, 회전과 각도 조절부터 시작해 높이 조절과 피벗까지 가능한 스탠드를 통해 저마다 다른 사용 환경에 맞춰 쓸 수 있습니다. 또 최근 출시되는 슬림 노트북과 2in 태블릿은 다른 포트는 없어도 USB-C 하나는 꼭 넣어, 거기에 충전부터 화면 출력까지 모든 기능을 넣는 제품들이 많은데요. MD271QP는 USB-C 포트로 화면을 입력받을 수 있으니 최신 노트북을 연결하는 용도에도 알맞습니다. 

 

DSC01411.JPG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샤오미 제품의 블랙리스트에 대한 XDA의 분석
EU, 모든 핸드폰/태블릿/헤드폰의 충전 포트를 통합하는 법안 제출
스팀 덱(Steam Deck) 공식 FAQ 발표
리얼미 GT 네오 2. 최초의 다이아몬드 강화 서멀 페이스트 사용 스마트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볼보 신형 XC90 B6 울트라 트림 시승기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전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래픽카드 써봤습니다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오버클럭을 '공식' 지원하는 게이밍 노트북ㅋㅋㅋ OMEN 16 2025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35만원대 통화녹음되는 세컨폰? 심지어 컬러전자잉크 디스플레이 Bigme HiBreak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세계 최초! 이젠 하드가 30TB 입니다 ㄷㄷㄷㄷ | Seagate IronWolf Pro 30TB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일체형 수랭 쿨러가 장착된 그래픽카드ㅋㅋㅋ | 컬러풀 RTX 5080 넵튠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갤럭시 S25 엣지, S25 플러스와 동시에 분해 해봤습니다... 무게를 대체 어떻게 줄였을까요?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리뷰] ‘무난히 좋은 노트북’의 미덕, 에이수스 비보북 S16(M3607KA) IT동아
Wi-Fi 6 가성비 공유기의 정석 ‘ipTIME AX3000BCM’ 뉴스탭
마구마구 쏟아지는 신제품~ 8월 셋째 주 편의점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The Ultimate Micro ATX Gaming PC Build | 9950X3D & RX 9070 XT | DeepCool CH260 | TForce XTREEM 동영상 있음 PC SNAP
게임을 이렇게 만들면 사람들은 살 수밖에 없다... 모험가 엘리엇 천년의 이야기 리뷰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Quiet Creator PC Build | O11D Mini V2 | NFA12x25 G2 | Intel 285K & PNY RTX 5080 | TCREATE Expert 동영상 있음 PC SNAP
드디어 폼 돌아온 원조의 품격 샤오미 스마트 밴드 10 개봉기 동영상 있음 UnderKG
내가 한우 프랜차이즈 안가는 이유 동영상 있음 맛상무
인조잔디에서는 '이거' 신으세요! 아디다스의 새로운 AG 스터드 비교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모니터 2대 산 것 같아. MSI MAG 272URDF E16 기글하드웨어
무협을 몰라도 왠지 모르게 빠져든다, 연운 체험기 게임메카
레트로 CRT TV 컨셉의 게임기 R36T 살펴 보겠습니다!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LAN 포트없는 노트북서 안정적 유선 네트워크를,ipTIME U2LAN/ UC2LAN (2) 보드나라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