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리뷰] 손맛이 짜릿한 드론, 디스이즈엔지니어링 시프트 레드

2021.10.13. 16:32:20
조회 수
2,434
2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IT동아 남시현 기자] 4차 산업 혁명은 기존의 산업과 정보 통신 기술(ICT)을 융합해 효율을 끌어올리는 혁신을 뜻하지만, 전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무인 항공기를 뜻하는 ‘드론(Drone)’이다. 무인 항공기는 오래전부터 군용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 혹은 취미용 RC(리모트 컨트롤) 비행기의 형태로 존재해 왔지만, 통신과 배터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미디어나 물류, 유통은 물론, 농업, 건축 분야, 공공 안전 등 다양한 산업까지 그 용도가 확장됐다. 드론 전문 조사 기관 드로니(DRONEII)는 전 세계 드론 시장이 연평균 13.8% 성장률을 유지해 2025년까지 총 428억 달러(한화 약 51조 3천억 원)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디스이즈엔지니어링의 드론, '시프트 레드'. 출처=IT동아

드론 기술이 이동과 운송 분야를 뒤흔들 신기술로 대접받으면서 중국과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각국에서 드론 산업 육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다양한 기업들이 드론 산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단연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기업은 '디스이즈엔지니어링(이하 TIE)'이다. TIE는 국내 드론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드론 비행의 핵심 반도체인 비행 제어 장치(플라이트 컨트롤러) 기술을 갖고 있으며, 한 손으로 드론을 조작하는 조종기 특허와 드론이 공중에서 자세를 제어하는 호버링 기술도 갖고 있다. 대다수 기업들이 중국 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나, TIE 만큼은 원천 기술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편리한 조작과 기동성 앞세운 드론, TIE 시프트 레드

TIE 시프트 레드는 한 손으로 조종할 수 있는 휴대용 드론이며, 국내 기업 제품으로는 보기 드물게 국산 기술이 집약된 드론이다. TIE 시프트 레드의 무게는 배터리를 포함해 93그램(g)에 불과하며, 프로펠러를 제외한 본체 크기는 가로 및 세로 115밀리미터(mm)에 높이 57mm로 한 손에 들어온다. 프로펠러와 보호 장치까지 추가했을 때는 194x188x59mm로 제법 커진다. 날개는 4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장착돼있으며,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대역에 해당하는 2.4GHz(기가헤르츠) 및 5GHz 듀얼 밴드를 지원한다.

TIE 시프트 레드는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가 약 93g에 불과할 정도로 가볍다. 출처=IT동아

디자인은 플라스틱으로 돼있고, 바닥 지지대는 투명 실리콘으로 돼있다. 전면 방향으로는 500만 화소 카메라가 장착돼있고, 테두리에 파란색 LED가 점등되며 동작 상황을 표시한다. 후면에는 마이크로 SD 슬롯과 배터리 삽입구, 충전용 USB C형 단자가 배치돼있으며, 아래 방향으로 전원 버튼과 각종 센서류가 배치돼있다. 아직까지 배터리나 마이크로 SD 카드를 눌렀을 때 자동으로 빠져나온다거나, 모터가 외부로 노출돼있는 등의 부분은 보완이 필요해보인다.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은 전면에 500만 화소 카메라로 기록한다. 출처=IT동아

TIE 시프트 레드로 촬영한 다음 크기만 줄인 샘플 사진, 정지 이미지도 품질이 좋진 않다. 출처=IT동아

카메라는 500만 화소며, 렌즈는 최소 40cm에서 무한대까지 촬영된다. 정지 사진 및 비디오는 최대 FHD(1,920x1,080) 30프레임으로 촬영되고,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은 HD(1,280x720) 30프레임으로 전송된다. 이미지 품질이 교육용 노트북 웹캠 수준이어서 기대하기는 어렵고, 이미지의 좌우 및 수평 흔들림을 보정하는 짐벌(Gimbal) 기능도 없기 때문에 사진 및 영상 촬영 용도로 쓰기보다는 비행에 필요한 시야나 위치 데이터 확보 정도의 기능만 한다.

컨트롤러는 상단의 컨트롤 링을 허공에서 움직이는 방식으로 조작한다. 출처=IT동아

TIE 시프트 레드의 핵심은 바로 컨트롤러다. 보통 드론 리모컨은 전후, 좌우, 상하, 제자리 회전 등의 레버를 복합적으로 조종하는 방식인데 반해, TIE 시프트 레드는 근거리 초정밀 감지(Near Field Micro Sense, NFMS)로 불리는 이 기술은 TIE에서만 접할 수 있는 고유한 조종 방식을 채택했다. 이 기술은 자성을 띄는 반지를 컨트롤로 위의 허공에서 움직여서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로, 레버보다 더욱 조종에 대한 이해가 쉽다. 조종기는 약 1시간 동안 연속으로 쓸 수 있고, 하단의 USB C형 단자로 충전한다.

손짓만으로 비행, 익숙해지는 데 시간은 걸릴 듯

비행 전 기체의 센서를 교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해주먼 더욱 안정적으로 비행한다. 출처=IT동아

본격적으로 비행할 준비와 장소를 확보했다면, TIE 시프트 레드 하단의 전원 버튼과 컨트롤러를 켜고 대기한다. 기기가 연결되면 기기와 리모컨이 동일한 멜로디를 내며 연결을 알린다. 이때 컨트롤 링을 리모컨 중앙에 맞대면 드론이 약 1미터(m) 높이로 뜨며 호버링을 시작하고, 이 상태에서 동작을 인식해 다양한 방향으로 드론이 움직인다.

기본 상태에서는 정지 비행(호버링)을 유지한다. 3~4m/s 수준의 바람이 불어도 호버링 자체는 잘 유지하는 편이었다. 출처=IT동아

참고로 TIE 시프트 레드는 무게가 가벼워서 등록이나 허가가 필요하지 않은 ‘모형 비행 장치’에 가깝지만, 촬영용 카메라와 시각 보조 장치를 갖췄기 때문에 ‘저위험 무인 비행 장치’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의 ‘드론정보포털’과 ‘Ready to Fly’ 앱을 실행해서 비행 가능 구역을 확인한 다음 관련 규정에 따라 비행해야 한다.

스마트폰으로 연동했을 때 보이는 화면(위)와 자율주행 비행 기능인 리제로 파일럿의 설정 가능 종류(하). 출처=IT동아

드론 비행은 컨트롤러를 활용한 시계 비행, 그리고 ‘SHIFT Drone’ 애플리케이션을 드론과 연동한 시각 보조 비행을 지원한다. 시계 비행은 말 그대로 주변의 가시거리가 넓은 상태에서 드론의 위치를 보면서 직접 조종하는 방식이고, 시각 보조 비행은 드론의 카메라가 보고 있는 화면을 스마트폰으로 보면서 비행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드론 조종이나 재미를 위한 목적이라면 시계 비행이 좋고, 영상 촬영을 연습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 있는 다양한 조종 방법을 원한다면 스마트폰에 연동해서 쓰자. 물론 스마트폰으로 화면을 본다고 해도 드론은 꼭 시야 내에 있어야만 한다.

배터리 하나당 비행 시간은 약 8~10분 정도로 생각하자. 출처=IT동아

TIE 시프트 레드의 최대 비행시간은 약 13분이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은 약 8분 정도 비행할 수 있었다. 바람이 적게 부는 상태에서는 호버링을 충분히 유지하지만, 기체가 가볍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다소 흔들거리는 편이다. 또한 동작 인식이므로 무의식중에 다른 각도로 손을 이동하는 경우에 기체 위치가 바뀌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부분은 익숙해져야 편할 듯하다. 물리 컨트롤러가 달린 기체와 비교해 세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편이었지만, 반대로 조작 자체는 쉬워서 진입 장벽은 더 낮다는 느낌이다.

비행을 돕는 안전 기능이 많진 않다. 따라서 비행할 때 매번 주의해야 한다. 출처=IT동아

아쉽게도 배터리가 끝나기 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홈 위치로 돌아오는 기능 없이 제자리에서 착륙하므로 배터리 상태를 잘 확인해야 하고,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회피하거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장애물도 잘 피해서 비행해야 한다. 대신에 통신이 불안정하면 자동으로 호버링을 유지하는 기능, 그리고 드론 긴급 정지 기능 정도는 있다.

손쉽게 ‘드론’을 이해하고 싶다면

TIE 시프트 레드는 국산 드론의 가능성과 방향을 보여주는 실증형 기체라는 느낌이다. 출처=IT동아

TIE 시프트 레드는 우리나라 드론 기술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제품이다. 조이스틱으로 조종하는 기존 시중의 드론들과는 확실하게 차별점을 두고 있고, 누구나 쉽게 조종할 수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타사의 고성능 드론들과 비교해 안정성이나 비행 성능이 조금 부족하기는 하지만, 이 제품은 TIE의 기술을 실증하는 목적이 더 강하므로 타사 드론과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 가격은 드론 본체와 배터리, 컨트롤러가 포함된 가격이 19만 원대고,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펠러나 컨트롤 링, 추가 배터리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무난한 가격대에 취미 생활로 즐길 수 있는 초경량 비행체를 찾는다거나, 국산 드론 기술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싶다면 정답은 디스이즈엔지니어링의 시프트 레드일 것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
갤럭시 생태계 드디어 완성?! 삼성 브라우저 PC버전 베타 써봄!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티타늄에 금발랐다! 스피커를 대체할 최고급 1DD | DITA VENTURA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소기름에 튀긴 우지라면이 돌아왔습니다 [삼양 1963]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리뷰] 겁쟁이도 살아남을 수 있는 서바이벌의 재미 ‘아크 레이더스’ 게임동아
고급기술 지원으로 활용성 높인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에이서 니트로 16S AI AN16S-61-R96T 노트포럼
필립스 에브니아 32M2N8900 : 최신 사양과 감성을 고루 갖춘 플래그십 4K OLED 모니터 쿨엔조이
지클릭커 WK98 8K 풀윤활 무선 기계식 키보드 : 8K와 실용적인 배열의 조합! 쿨엔조이
ESSENCORE KLEVV DDR5-6000 CL30 CRAS V RGB 패키지 서린 (32GB(16Gx2)): 신뢰도 높은 SK하이닉스 모듈과 감성 넘치는 RGB LED 쿨엔조이
두통에 손으로 누를 필요 없이...풀리오 ‘에어 괄사 마사지기’ 베타뉴스
2025년 최신 플래그십 카메라 실전 비교 아이폰17프로 vs 갤럭시S25울트라 I 스페인 거리에서 800장 넘게 찍은 사진으로 보는, 당신의 다음 스마트폰 선택에 도움될 영상 동영상 있음 톡써니
7500원에 새벽배송? 차량용 거치대 이거사세요! 내돈내산 리얼 베스트 거치대 추천템 공개!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매워죽는 용사라면, 김밥축제 1등김밥~ 11월 첫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시스템 모니터링과 감성 연출을 동시에 '리안리 8.8 Universal Screen' 미디어픽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EX WHITE'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 미디어픽
[리뷰] 선량한 주인공은 가라! 내가 범인인 이색 추리게임, ‘요람’ 게임동아
iPadOS 26, 멀티태스킹의 새로운 변화! 아이패드는 맥이 되고 싶은걸까?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만리 그래픽카드 고급화 전략이 성공하려면? (feat. Manli 지포스 RTX 5090|5080 가야르도 화이트) [대원CTS] (1)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완성도를 조금 더 높인 와이파이 6 익스텐더, ipTIME Extender-AX3000Q (1) 보드나라
나만 좋아했니? 추억의 2인자 음료 (1) 마시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