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엘더 레이크는 지금까지 CPU보다 상하로 길어지면서 기존에 쓰던 쿨러 가이드와는 호환이 되지 않아, 기존 PC 사용자들은 업그레이드하면서 쿨러도 새로 사야할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다행히도 AMD가 FX 시리즈까지의 AM3(+) 소켓에서 라이젠의 AM4소켓으러 넘어갈 때 쿨러 제조사들이 AM4 마운팅 키트를 제공한 것과 같이, 이번 엘더 레이크 출시에 맞춰 LGA 1700 소켓용 변환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대표 쿨러 제조사인 잘만도 마찬가지로, 신규 제품 구매자에게는 LGA 1700 마운팅 키드를 기본 제공하고, 기존 구매자에게는 배송비만 받고 지원해준다. 모든 제품에 지원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최근에 구매했다면 엘더 레이크 지원은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마침 처음 엘더 레이크가 출시된 후 약 2개월 만에 엘더 레이크 Non-K CPU가 나온 만큼, 잘만의 메인스트림 공랭 쿨러인 CNPS17X는 어느 정도의 냉각 성능을 보여줄지 점검해 봤다.
메인스트림 사용자를 위한 저소음 공랭 쿨러, 잘만 CNPS17X
잘만 CNPS17X는 2022년 1월 10일 가격 비교 사이트 기준 약 6만원 대에 판매 중인 보급형 공랭 쿨러다. 동일 면적 대비 약 15%의 방열 면적을 증가시키고 독립된 공기 유통 통로를 확보해 냉각 성능을 높여주는 4D 입체 냉각핀 기술이 적용되었다.
잘만 특허 듀얼 블레이드 임펠러 디자인의 140mm 쿨링팬은 흔히 유체 베어링으로 불리는 FDB(Fulid Dynamic Bearing)이 적용되었고, 써멀블록 고정을 위한 클립은 기존의 철사같이 얇은 형태에서 넓은 '면' 형식으로 번경, 조립시 부상 위험을 낮췄다.
또한 '면'이 써멀블록과 거리를 두도록 디자인되어 위치 조절이나 팬 교체등의 작업시 조금 더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
한편, 써멀블록과 맞닿는 쿨링팬 프레임에는 네 곳에 진동 흡수 패드를 덧대어 쿨링팬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하고, 써멀블록과의 충돌을 방지해 정숙한 동작 환경을 만드는데 일조한다.
덕분에 쿨링팬이 최대 속도로 동작할 때도 일반적인 소음도는 40데시벨 초반의 정숙함을 자랑한다. 위 소음도는 쿨링팬에서 약 5cm, 떨어진 위치에서 풍절음이 강하게 발생하는 블레이드 회전부의 소음을 측정한 것으로, 40데시벨은 도서관이나 주간의 조용한 주택가의 소음도를 의미한다.
오픈 케이스 상태로, 소음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사무실에서 측정했기에 어느정도의 오차는 감안해야겠지만, 생활 소음으로 인해 잘만 CNPS17X의 소음이 거슬린다는 느낌은 받을 수 없었다.
TDP 200W 능력의 CNPS17X, 엘더 레이크 코어 i7-12700에서는?
잘만 CNPS17X는 TDP 200W의 열 처리 능력을 갖췄다. 이를 위해 140mm 쿨링팬과 다섯 개의 U형 히트파이프를 결합했고, 히트파이프와 베이스간 접촉 면적 최대화 및 접촉 열 저항 최소화를 위한 특허받은 RDTH(Reverse Direct Touch Heatpipe) 기술도 적용되었다.
실제로 엘더 레이크 Non-K CPU에서는 어느 정도의 냉각 성능을 내줄지 알아봤다. CNPS17X에 번들된 엘더 레이크용 마운팅 키트를 이용해 코어 i7-12700F과 ASUS ProArt Z690 Creator WiFi(BIOS : 0803)에 잘만 CNPS17X를 장착했다.
팬 속도는 최고로 고정하고, 블랜더 3.0에서 Classroom 데모 파일을 CPU 렌더링할 때 온도를 측정했을 때, 최고 온도 89℃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온도가 조금 높아 보이지만, 앞선 리뷰서 코어 i7-12700F의 온도가 최대 터보 파워가 10W 높은 코어 i7-12700KF보다 높았던 것을 감안하면, 보급형 공랭 쿨러로서 무난현 성능을 발휘한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여기에 CNPS(Computer Noise Prevention System)라는 브랜드에 걸맞게 정숙한 환경을 제공하고, 쿨링팬이 ARGB LED 튜닝을 지원한다. 쿨링팬의 ARGB LED는 메인보드의 3핀 5V ARGB 커넥터와 연결하거나, 잘만 Z-Sync ARGB 컨트롤러와 연결해 색상과 동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단지, 기본 제공되는 팬의 ARGB 커넥터는 확장을 위한 암/수 결합형이 아닌 암커넥터 단독 구성이라, 추가적인 시스템 쿨링팬이나 ARGB LED 스트립, 케이스 등 다수의 ARGB 장치를 사용한다면 조금 불리해질 수 있다.
때문에 ARGB 장비들을 사용한다면, 잘만 CNPS17X 쿨링팬의 ARGB 커넥터는 데이지 체인의 마지막 부분에 연결하거나, Z-Sync ARGB 컨트롤러와 같이 ARGB 커넥터 확장 장비에 연결해 사용할 것을 권한다.
새로운 엘더 레이크 시대도 거뜬, 잘만 CNPS17X
엘더 레이크의 Non-K 모델과 H670/ B660/ H610 메인스트림 칩셋 기반 메인보드 출시로 엘더 레이크 PC 업그레이드의 부담이 덜해졌다. 물론 DDR5 메모리 가격과 물량 이슈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지만, DDR4 메모리도 사용할 수 있고, 보급형 Non-K CPU를 사용자라면 특별히 DDR5 메모리를 고집할 이유는 많지 않으리라 본다.
가격을 중시하는 메인스트림 사용자가 볼 때 잘만 CNPS17X는 전용 마운팅 키트를 통해 최대 터보 전력 200W 이하인 코어 i7 이하의 엘더 레이크 CPU 대응이 가능해졌다.코어 i9 모델들은 최대 터보 전력이 200W를 넘는 만큼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당초 제품 자체가 적절한 가격에 저소음 시스템 구축을 꾀하는 메인스트림 사용자 대상 모델인 만큼 특별히 문제될 내용은 아니다.
잘만 CNPS17X. 엘더 레이크 CPU를 위한 보급형 저소음 공랭 쿨러를 고민 중인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제품이라 판단된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