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네트워크 구축 시 PoE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PoE란 Power over Ethernet의 약자로, 랜케이블을 통해 DC전원을 함께 공급하는 기능이다. PoE를 활용하면 전력선 시공이 크기 줄어들기 때문에 비용뿐 아니라 설치 시간도 단축되고 노출되는 케이블을 줄일 수 있어 깔끔한 인테리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네트워크 기업인 이에프엠네트웍스는 PoE 기능이 적용된 8포트 스위칭 허브 ‘ipTIME PoE8003’을 최근 출시함으로써 PoE 네트워크가 필요한 환경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10/100/1000Mbps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가 8개로, 소규모 기업이나 영업공간에 적합한 ‘ipTIME PoE8003’은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UTP케이블로 PoE 장비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AP와 IP카메라, 브릿지, 라우터 등의 장치에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각 포트 당 최대 30W, 8개 포트 모두 더해 최대 120W까지 공급이 가능해 전력량도 충분하다. 두 개의 업링크 전용 포트가 있어 기가비트급 고용량 백본망 구성에 유용하며, 광전송을 지원하는 SFP 포트까지 갖췄다. KC 전기 안전 인증 및 EMC 전자파 인증을 취득했으며, 1년 365일 쉬지 않고 동작하는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저소음/저발열 설계와 과전류 방지 기능까지 안정성도 놓치지 않았다.
![]() |
||
▲ ipTIME PoE8003 |
주요사양 | 8포트 PoE LAN 지원 허브 / 기가비트 / 2포트 기가비트 Uplink + 1포트 SFP PoE 포트당 최대 30W, 총 120W 전력 지원 / VLAN 모드 지원 |
Standard | - IEEE 802.3 10BASE-TX - IEEE 802.3u 100BASE-TX - IEEE 802.3ab 1000BASE-TX - IEEE 802.3X Flow Control - IEEE 802.3af/at Power over Ethernet |
PoE Power | - MAX PoE output : 30W - Total pwer consumption : 120W - PoE port priority : Support |
Processing types | Store-and-forward |
Transmission model | IEEE802.3X full-duplex and Back pressure half-duplex |
Address database Table Size | 2K MAC address |
Packet forwarding rate | 8.92Mpps |
Backplane bandwidth | 12Gbps |
Network ports | - PoE port : Port 1-8, 10/100/1000Mbps Auto-Negotiation RJ45 - Uplink ports : Port 9-10, 10/100/1000Mbps Auto-Negotiation RJ45 SFP 11, 1000Mbps SFP Ports |
Ports Feature | Switch mode : Up to 100m (1000Mbps) Vlan mode : PoE ports(1-8) are isolated and can communicate with Uplink ports(9-10). |
LED | Power, VLAN, Link/Act 1~11 |
Component | PoE8003, Power Cable, Warranty, Bracket, Screws |
Input Voltage | AC 110~240V, 50-60Hz |
Operational Temperature | -10℃ ~ 55℃ |
Operational Humidity | 10% ~ 90% |
본체 크기 / 무게 | 200 x 118 x 44 mm / 848g |
패키지 크기 / 무게 | 230 x 190 x 70 mm / 1146g (제품 포장, 본체 및 구성품 전체의 무게 포함) |
최대소비전력 | 최대 120W |
색상 | Black |
소규모 네트워크 구축에 적합한 5포트 기가비트 스위칭 허브이다. 앞쪽에는 8개의 LAN포트를 비롯한 업링크 포트, SFP, 그리고 장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가 있으며, 뒤쪽에 전원연결부가 있는 전형적인 허브 형태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랙에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
![]() |
||
▲ 가이드를 장착한 모습 |
ipTIME PoE8003의 전원은 뒤쪽 단자를 통해 AC 전원이 직접 들어간다. 내부에 AC-DC 회로가 있어 전원케이블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 |
||
▲ ipTIME PoE8003 후면부 |
![]() |
||
▲ AC 전원 코드를 바로 연결해 쓴다. |
앞쪽에는 ipTIME PoE8003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LED가 있다. 우측 아래 PWR LED는 PoE8003의 전원인가 상태를 알려준다. 각각의 포트 아래에는 포트 번호가 있으며, 세모 모양의 LED가 LAN포트의 연결 상태를 알려준다.
![]() |
||
▲ 각각의 포트에는 LED가 있어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다. |
![]() |
||
![]() |
||
![]() |
||
▲ 2개의 기가비트 업링크 포트가 있다. |
광전송을 지원하는 SFP 포트도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마개로 포트를 보호할 수 있다. SFP 포트를 이용하면 UTP 케이블이 지원하는 최대 거리인 100미터를 초과하는 원거리 환경에서도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 |
||
▲ SFP 포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로 막아 보호할 수 있다. |
왼쪽 8개 LAN 포트는 모두 PoE를 지원한다. PoE 기술 기반의 AP, 네트워크 카메라, IP폰, PoE스플리터와 같은 장비의 경우 흔히 랜선이라 부르는 UTP케이블 하나만 연결하면 데이터는 물론이고 전원까지 한 번에 해결된다. 랜선으로 구동에 필요한 전원까지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각 장치마다 전력선 시공 없이 구축이 가능하다. 기관, 학교, 학원, 관공서, 일반 건물 등 건물 내의 네트워크 장치를 설치할 때 전력 설비를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 |
||
▲ PoE를 지원하는 AP인 ipTIME Ring-mini 제품이다. 랜케이블 하나만으로 이더넷과 전력을 동시에 해결한다. |
포트당 출력도 넉넉하다. ipTIME PoE8003은 IEEE v802.3af 표준을 지원하며, 8 포트 모두 사용시 각 포트당 15.4W 전력을, 전체 포트에 대해서는 총 120W 전력을 지원한다. 따라서 8개 PoE 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각 포트당 출력 가능한 최대 출력은 30W이다. PoE+고전력 장비를 120W 범위 이내애서 활용할 수 있다.
![]() |
||
▲ PoE의 활용 예. PoE를 지원하지 않는 유무선 공유기도 스플리터를 이용해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다. / 이미지 = ipTIME |
한편 ipTIME은 PoE 스위치 허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ipTIME 인젝터-GIGA’와 ‘ipTIME 스플리터1’도 함께 출시하고 있다. ‘ipTIME 인젝터-GIGA’는 단일기기의 소전력 PoE 호환장비에 UTP케이블로 직류전원과 이더넷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전력선 없이 구동하는 기기이다. ‘ipTIME 스플리터1’은 PoE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PoE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에 5V/9V/12V 전원과 데이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래 그림처럼 PoE를 지원하지 않는 공유기와 연결시 전원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 |
||
▲ ‘ipTIME 인젝터-GIGA’ (좌) / ‘ipTIME 스플리터1’ (우) (이미지 출처 = ipTIME) |
가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VLAN Isolation 기능을 지원한다. 전면 우측 하단에 있는 ‘VLAN’ 스위치를 On으로 전환하면 사용할 수 있다. 8개 포트가 하나의 네트워크망이 아닌 각각 분리된 망으로 동작한다. 각 포트가 독립적인 네트워크가 되는 셈이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비처럼 업링크 포트와 통신만 가능할 뿐 PoE 포트 상호간 통신은 불가능하다. 내부망이라도 보안이 요구되는 환경에 매우 유용하다. 관리 권한이 있는 PC에 대한 독립적 구성이 가능하며, 각 포트에 또 다른 허브를 연결하게 되면 팀 단위로 분리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기숙사, 아파트, PC방처럼 다수가 이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
||
▲ 우측에 VLAN On/Off 스위치가 있다. |
아래 사진은 VLAN을 활용한 네트워크 구성 예이다.
![]() |
||
▲ VLAN 기능의 활용 예. 각 포트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이미지 = ipTIME |
이 밖에 크로스나 다이렉트 구분 없이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과전류 방지 회로를 탑재해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스위칭 허브가 그러하듯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전원만 연결하면 바로 쓸 수 있어 구매 후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