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80 시리즈 슈프림의 포스는 다르다.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

2022.11.16. 09:19:56
조회 수
4,220
4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지포스 RTX 4090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소비자의 반응 말고 특정 부분이 너무 뜨거워서 문제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일단 그건 넘어가고요. 스펙과 성능, 그리고 우람하고 묵직한 덩치까지도 플래그쉽의 위용에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 주는데 성공하면서, 여러 논란거리는 '그래서 업그레이드가 아니란 말인가?'라는 질문으로 모든 반발들을 찍어누를 수 있을거라 보입니다.

 

문제는 그 아래인 지포스 RTX 4080인데요. GPU 스펙부터 완전히 다른 12GB와 16GB 모델을 4080이라는 하나의 이름을 써서 동시에 발표했다가 풍족한 질타를 맞고 결국 12GB는 취소했고요.(엄밀히 말하면 취소가 아니라 4070 Ti로 바꿔서 재등장할 예정입니다) 남은 지포스 RTX 4080 16GB 조차도 코어 수가 3080 Ti보다 줄어들고, 무엇보다 메모리 버스가 256비트로 깎였으니 업그레이드라 부를 수 없다는 등의 다양한 지적을 맞아 출시하기도 전부터 기대감이 쭈그러들었던 것처럼 보였습니다. 

 

2.JPG

 

그러나 지포스 RTX 4080의 성능이 공개된 지금은 좀 다르게 말해도 괜찮을 것처럼 보이네요. 그래도 80 시리즈는 그 이름 값을 해 낸다고 말이죠. 바로 윗 모델인 4090 사이의 간격은 여전히 크지만, 지포스 RTX 30 시리즈와 거리를 벌리는 데 성공했고요. 4090과 견줄만한 덩치는 여전하지만 전력 사용량과 보조 전원 구성 등의 부담은 굳이 비교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이 줄어들었거든요. 이 정도면 대충 만들어서 이름만 4080이라 붙이면 팔릴 거라는 안일한 생각 끝에 나온 제품이 아니라, NVIDIA가 이 정도면 4080이라 붙일 만 하다는 철저한 계산을 해낸 끝에 나온 결과물이 지포스 RTX 4080 16GB라고 해도 될 겁니다.  

 

그리고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는 4080의 이름값을 충분히 해 내는 그래픽카드입니다. 여기에는 긴 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상위 모델인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와 똑같은 쿨러를 장착했거든요. 이것 하나만으로도 MSI가 4080의 고급형 모델에 얼마나 과분한 대접을 해 주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덕분에 레퍼런스 이상으로 높인 클럭이 더 오래,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발열과 소음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JPG

 

제품명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
GPU NVIDIA 지포스 RTX 4080 
GPU 스펙

그래픽 프로세싱 클러스터 7개

텍스처 프로세싱 클러스터 38개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 76개

CUDA 코어 9728개

4세대 텐서 코어 304개

3세대 RT 코어 76개

텍스처 유닛 304개

ROP 112개

L2 캐시 65536KB

텍스처 레이트 761.5GB/s

TSMC 4N 공정

459억개 트랜지스터

GPU 클럭

기본 클럭 2235MHz

부스트 클럭 2625MHz

메모리 GDDR6X 16GB 22.4Gbps 256비트 버스, 대역폭 716.8GB/s
인터페이스 PCI-E 4.0 x16
출력 포트

디스플레이포트 1.4 x3

HDMI 2.1 x1

최대 연결 디스플레이 수 4개
최대 해상도 7680x4320
HDCP 지원
다이렉트 X 12
OpenGL  4.6
최대 사용 전력 320W
권장 파워 서플라이 750W
보조 전원 커넥터 16핀 1개(8핀 3개 변환)
그래픽카드 크기 336x140x71mm
그래픽카드 무게

2.4kg

가격 

미정 

 

 

외형: 변함 없이 포스 넘치는 4080 슈프림

 

4.JPG

 

MSI의 플래그쉽인 슈프림은 지포스 RTX 30 시리즈에서 처음 데뷔하고, RTX 40 시리즈에서 새로 단장하면서 디자인 완성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MSI 게이밍 시리즈의 드래곤 엠블럼이 괜찮게 생겼다고 생각하지만, 슈프림에서는 이를 떼어내고 독자적인 로고와 브랜드를 도입해 게이밍 시리즈와는 완전히 다른 제품임을 확실히 했습니다. 또 슈프림만의 티타늄 색상 조합과 헤어라인 가공된 알루미늄 패널, 다이아몬드 커팅 처리한 모서리라는 기본 컨셉을 유지하면서 그 배치와 각도 등에 변화를 주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한층 더 높였습니다. 덕분에 플래그쉽을 찾는 게이머들이 더욱 선호하는 제품이 되었지요. 

 

그래픽카드 전면에는 3개의 100mm 대구경 쿨링팬이 장착됐습니다. 모두 크기와 디자인을 통일해 안정적인 구성을 노렸지요. 여기에 사용한 톡스 5.0 쿨링팬은 3장의 팬 날개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해 일반 쿨링팬보다 풍량을 23%, 풍압을 22% 높였습니다. 덕분에 더 낮은 속도에서도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어 소음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그래픽카드 전체 두께는 3.5슬롯에 해당되며, 그만큼 두꺼운 히트싱크를 장착하고 베이퍼 채임버와 사각형 히트 파이프를 넣어 쿨링팬까지 전달되는 열의 효율을 높였습니다. 전면 중앙과 측면 슈프림 로고, 뒷면 백플레이트의 슈프림 엠블럼에는 RGB LED를 넣어 튜닝 효과도 노렸습니다.  

 

5.JPG

 

박스 전면

 

6.JPG

 

박스 뒷면

 

7.JPG

 

박스 개봉

 

8.JPG

 

액세서리 구성은 상위 모델인 4090 슈프림과 같습니다. 

 

41.JPG

 

슈프림 마우스패드.

 

42.JPG

 

요새 흔한 장패드와 비교하면 크기는 평범한 편. 

 

43.JPG

 

윗면은 부드러운 천 재질이고 아래에는 고무 코팅이 되어 미끄러지는 걸 막아 줍니다. 

 

44.JPG

 

그래픽카드 지지대.

 

45.JPG

 

길이는 300mm.

 

46.JPG

 

지지대의 크기

 

47.JPG

 

슈프림 로고가 있는 받침대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뒷면 나사를 조여 고정합니다.

 

48.JPG

 

바닥은 미끄러지는 걸 막아 주는 고무 패드가 붙어 있습니다. 

 

9.JPG

 

16핀 12VHPWR 전원 어댑터는 4090과 다릅니다. 4090은 8핀 보조전원 4개와 연결하지만 4080은 3개로도 충분하거든요.

 

10.JPG

 

12VHPWR은 요새 말이 많은 규격이지만, 4080 수준의 전력 사용량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리라는 게 일반론입니다. 

 

11.JPG

 

그래픽카드 아래의 설명서

 

12.JPG

 

정전기 비닐 방지 봉투로 포장한 그래픽카드. 전면과 뒷면은 보호 비닐을 붙였으며 포트와 슬롯은 실리콘 캡을 씌웠습니다.

 

12-1.JPG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

 

13.JPG

 

그래픽카드 전면

 

14.JPG

 

그래픽카드 뒷면

 

15.JPG

 

그래픽카드 상단

 

16.JPG

 

그래픽카드 아래

 

17.JPG

 

출력 포트는 디스플레이포트 1.4 x3, HDMI 2.1 x1

 

18.JPG

 

그래픽카드 끝 부분의 방열판과 히트파이프

 

19.JPG

 

길이 336mm

 

20.JPG

 

높이 140mm

 

21.JPG

 

폭은 71mm로 3.5슬롯에 해당하며, 설치에는 최소 4슬롯이 필요합니다.

 

22.JPG

 

무게는 2.4kg이 살짝 안 되네요.

 

23.JPG

 

3개의 팬 날개 가장자리를 연결해 효율을 높인 톡스 5.0 디자인 쿨링팬

 

24.JPG

 

25.JPG

 

26.JPG

 

3개의 팬이 모두 똑같은 100mm 구경입니다. 

 

27.JPG

 

뒷면의 슈프림과 지포스 RTX 로고

 

28.JPG

 

슈프림 브랜드의 엠블럼과 헤어라인 가공 처리된 백플레이트

 

29.JPG

 

그래픽카드 상단의 슈프림, MSI, 지포스 RTX 로고

 

30.JPG

 

사일런트와 게이밍 모드 전환 스위치, 16핀의 12VHPWR 보조전원 커넥터.

 

31.JPG

 

두꺼운 방열판

 

32.JPG

 

 

기판을 잡아주는 금속 재질의 휨 방지 가이드

 

 

33.JPG

 

쿨링팬과 RGB LED를 연결하는 2개의 케이블

 

 

비교: 4080 슈프림 vs 4090 슈프림

 

34.JPG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는 상위 모델인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 https://gigglehd.com/gg/13074335와 똑같은 쿨러를 사용했습니다. 쿨러를 분리하진 못했으나 겉에서 보이는 방열판의 형상이나 히트파이프 배치 등으로 보아하면 쿨러 내부 구성은 물론이고 기판까지도 똑같은 걸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4090 오버클럭 모델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환경에서 4080 오버클럭 모델을 실행하는 셈이니, 성능이나 안정성에서는 이보다 더 나은 조건이 없을 겁니다. 또 플래그쉽 모델의 묵직한 감성을 4080에서도 그대로 느낀다는 것 역시 장점이지요.  

 

35.JPG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4090과 3080 Ti를 가져왔습니다.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 https://gigglehd.com/gg/13074335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https://gigglehd.com/gg/10215298

 

36.JPG

 

크기보다는 슈프림의 달라진 디자인이 더 눈에 띄는군요. 

 

37.JPG

 

위에서 봐도 마찬가지. 지포스 RTX 30 시절에는 지포스 RTX가 눈에 띄었다면, 이제는 슈프림에 더 큰 의미를 두는 듯 합니다.

 

38.JPG

 

4090과 4080 슈프림의 비교. 똑같습니다. 

 

39.JPG

 

뒷면도 같습니다. 

 

40.JPG

 

히트싱크도 똑같습니다. 

 

41.JPG

 

 

이래서 쿨러는 물론이고 기판 설계까지 같은 걸 사용할거라 추측됩니다. 

 

 

성능은 3090 Ti 이상도 가능, 전력은 그 아래

 

42.JPG

 

지포스 RTX 4080의 코어 수는 3080 Ti와 3080 사이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에이다 러브에이스 아키텍처와 TSMC 4N 공정 덕분에 더욱 높아진 코어 클럭으로 성능 향상을 꾀했습니다. 3080의 320비트보다도 줄어든 256비트의 메모리 버스는 지포스 RTX 30 시리즈보다 대폭 늘어난 캐시 용량과 4090보다도 높은 메모리 클럭으로 대역폭을 확보했습니다. 이런 시도가 효과를 보인 곳도 있고 그렇지 못했던 곳도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은요? 3D 마크를 비롯한 대표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는 분명한 우세를 보였으며, 적지 않은 게임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메모리 대역폭과 코어 빨이 영향을 받는 일부 게임/항목에서는 3080 Ti보다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4080이 3090 Ti에 판정승을 거두었다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순수한 성능보다는 전력 사용량에 주목해야 합니다. 지포스 RTX 4090이 우악스러운 외형에 비해 실제 전력 사용량은 그 만큼 높지 않았음을 어필했던 것처럼, 지포스 RTX 4080 역시 전력 사용량은 상당히 낮습니다. 직접적인 비교는 하지 못했으나 지포스 RTX 3070 Ti와 비슷한 수준이라 봐도 될 듯 합니다. 성능은 3080이나 3090 급과 비교해야 할 제품인데도 말이죠. 일반적으로 클럭이 높아질수록 전력 사용량 역시 늘어나는데, 부스트 클럭 기준 2.6GHz가 넘는 고클럭 GPU와 낮지 않은 성능에도 불구하고 전력 사용량이 늘어나지 않은 이유는, 역시 삼성 8nm보다 발전한 TSMC 4N 공정의 효과가 크다고 여겨집니다.  

 

43.png

 

지포스 RTX 4080의 AD103 GPU

 

44.png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의 GPU-Z. 실제 테스트에서는 클럭이 2835MHz까지 올라갑니다. 

 

45.png

 

비교 대상으로 사용한 그래픽카드입니다.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 https://gigglehd.com/gg/13074335

MSI 지포스 RTX 3090 Ti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2S https://gigglehd.com/gg/12005292

MSI 지포스 RTX 3080 Ti 슈프림 X D6X 12GB 트라이프로져2S https://gigglehd.com/gg/10215298

 

3090 Ti는 기존 테스트 결과를 그대로 가져왔기에, 그 사이에 추가된 3D마크 스피드웨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그리고 리플레이 파일이 달라진 배틀그라운드 테스트가 빠져 있습니다. 

 

46.png

 

테스트 환경입니다

CPU: 라이젠 9 7900X https://gigglehd.com/gg/12982153

메인보드: MSI MAG B650M 박격포 WiFi (리뷰 예정)

메모리: DDR5-5200 32GB 듀얼채널 https://gigglehd.com/gg/11152437

파워: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리뷰 예정)

쿨러: MSI MEG 코어리퀴드 S360 https://gigglehd.com/gg/11407122

삼성 970 EVO 512GB(운영체제 설치용)

마이크론 MX500 2TB SSD(게임 설치용)

 

47.png

 

3D마크 스피드웨이 / 포트 로얄

 

49.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49-1.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50.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51.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52.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53.png

 

블렌더

 

54.png

 

옥테인벤치

 

55.png

 

Vray

 

56.png

 

사이버펑크 2077

 

57.png

 

사이버펑크 2077: DXR

 

58.png

 

더트 5

 

59.png

 

더트 5: DXR

 

60.png

 

F1 22

 

61.png

 

포르자 호라이즌 5

 

62.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63.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DXR

 

64.png

 

토탈 워: 워해머

 

65.png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66.png

 

파 크라이 6

 

67.png

 

파 크라이 6: DXR

 

68.png

 

디비전 2

 

69.png

 

와치 독: 리전

 

70.png

 

와치 독: 리전: DXR

 

71.png

 

보더랜드 3

 

72.png

 

컨트롤

 

73.png

 

컨트롤: DXR

 

74.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75.png

 

배틀그라운드

 

76.png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77.png

 

전력 사용량

 

 

MSI 슈프림: 의심의 여지가 없는 MSI 트라이프로져3S

 

78.JPG

 

지포스 RTX 4080의 레퍼런스 부스트 클럭은 2505MHz입니다. 슈프림은 이를 2625Mhz로 오버클럭했고, 실제 3D 게임에서는 그보다 더 높은 2835MHz까지 올라가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높은 클럭은 곧 높은 성능으로 이어지지만, 이를 위해서는 탄탄한 구성의 기판 설계와 우수한 부품, 그리고 고성능 쿨러가 필요합니다.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의 경우 4090 슈프림 모델에 사용했던 구성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그 성능이 충분한 수준을 넘어서 남아 돈다고 해도 지나친 표현이 아닙니다. 스트레스 테스트를 장시간 실행해도 GPU 온도 60도와 핫스팟 온도 70도를 칼같이 지키면서 낮은 소음을 유지했습니다. 또 그래픽카드의 모드 스위치를 게이밍에서 사일런트로 바꾸면 조용한 상태를 더욱 오랫동안 지속합니다.  

 

79.JPG

 

80.JPG

 

81.JPG

 

82.JPG

 

그래픽카드 전면, 상단, 백플레이트의 RGB LED

 

83.jpg

 

MSI 센터에서 RGB LED를 설정하고, 미스틱 라이트 기능을 통해 다른 부품과 동기화

 

84.png

 

MSI 센터의 게이밍 모드를 통해 성능 최적화

 

85.png

 

온도와 소음

 

86.JPG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그래픽카드 표면 온도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

 

87.JPG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라인업이 하나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포스 RTX 4090의 성능은 압도적이지만 그래픽카드 하나에 3백만 원 씩 태울 수 있는 게이머는 한정적이겠지요. 지포스 RTX 4080은 그보다는 현실적인 플래그쉽 그래픽카드입니다. 4090보다 저렴한 가격 뿐만 아니라, RTX 30 시리즈보다 더욱 부담이 줄어든 전력 사용량까지 모든 부분에서 현실적이지요. 

 

그리고 MSI 지포스 RTX 4080 슈프림 X D6X 16GB 트라이프로져3S은 새로워진 슈프림 시리즈의 디자인으로 제품 완성도를 한층 더 고급스럽게 끌어 올렸으며, 상위 모델과 동급의 쿨러를 장착해 강력한 쿨링 성능과 안정적인 환경을 확보하고, 높은 성능을 더욱 오랫동안, 그리고 조용하게 유지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메인스트림 GPU야 저렴한 가격을 가장 우선해서 선택하겠지만, 플래그쉽 모델이라면 MSI 슈프림처럼 가격과 위치에 어울리는 포스를 갖춘 그래픽카드를 선호하는 것이 당연해 보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게이머를 위한 RDNA3 아키텍처. AMD 테크 딥다이브
주간뉴스 11/13 - 4세대 에픽/인텔 맥스 발표, 4080/4070 Ti, 8세대 삼성 V낸드, HKMG 모바일 D램, 친중국 ...
아직도 풀HD 쓰니? MSI G27CQ4 E2 게이밍 170 WQHD HDR
컨슈머 그래픽카드에도 설치 가능한 성장형 라데온 프로 드라이버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게임하기 딱 좋은 라이젠5 7500F 컴퓨터 [2025년 7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동영상 있음 다나와
27인치 커브드 모니터가 15만원대?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미들레인지 게이밍 그래픽카드, ASRock 라데온 RX 9070 XT 스틸레전드 D6 16GB (1) 브레인박스
HDMI 다중 모니터 환경을 위한, 갤럭시 GALAZ 지포스 RTX 5050 BLACK OC D6 8GB DUAL HDMI (2) 브레인박스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 막내 그래픽카드,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 이엠텍 브레인박스
2세대만의 엔트리 세대 교체,기가바이트 지포스 RTX 5050 Gaming OC 제이씨현 보드나라
PCCOOLER CPS C3 T700 ARGB : 깔끔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6만 원대 어항 케이스 쿨엔조이
GIGABYTE X870 AORUS STEALTH ICE 제이씨현: 깔끔함의 대명사 화이트 메인보드를 스텔스로 더 깔끔하게 쿨엔조이
알파스캔 AOC 27G42 : 가격 부담을 줄이고, 성능은 유지. 최적의 FHD 게이밍 모니터 쿨엔조이
GAMDIAS CHIONE P5-360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겜디아스 수랭 쿨러 쿨엔조이
265KF+RTX 5080 데스크톱 PC, 과연 게임 성능은?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고급진 외형~ 가성비로 무장하다. SAPPHIRE 라데온 RX 9060 XT NITRO+ OC D6 16GB 그래픽카드 [써보니] (1) 위클리포스트
18인치 쇼크! 이쯤되면 걸어다니는 데스크톱PC 아님? MSI 크로스헤어 18 HX AI A2XWGKG-U9 QHD+[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BTF 시대, 진짜는 지금부터! ASUS TUF Gaming B850-BTF WIFI W 케이벤치
그래픽카드 살 때 대참사 막아주는 팁 1~4 (5) 동영상 있음 다나와
앱코 UD20M 미니웨일 BLACK : 큐브 타입의 미니 어항 케이스! 쿨엔조이
마이크론 Crucial X10 Portable SSD 아스크텍 (6TB): IP65 방수방진을 지원하면서 작고 빠른 고용량 스토리지 쿨엔조이
무시공 셀프설치로 14인치 안드로이드 내비 + 후방카메라까지? 갓성비 조합 찾아냄 카슬라 이거면 끝!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28TB 외장하드? NAS 케이스 갈이 했습니다. (1) 동영상 있음 민티저
작정하고 내놓은 가성비 수랭 쿨러 'MSI MAG 코어리퀴드 A13 360'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