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쇼핑검색,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모니터 바꾼 티를 확실하게 내드립니다. MSI G322CQP 게이밍 170 WQHD HDR

2022.12.15. 00:03:40
조회 수
874
1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큰 맘 먹고 큰 걸 질렀습니다. 그런데 뭐가 좋아졌는지 체감이 잘 되지 않습니다. 분명 스펙은 오른게 맞는데도 말이죠. 이런 걸 성공한 업그레이드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게이밍 모니터를 몇 년 동안 60Hz로 쓰면서도 새로 샀으니 당연히 좋을거라고 생각하는 낙천적인 막눈도 분명 있지만, 돈을 썼는데 그에 상응하는 보람을 찾지 못하면 망했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들 역시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 점을 잘 아는 사람들은 물건을 새로 살 때 어떤 스펙이던 항상 한 단계 위를 고집합니다. 가격이나 크기에서 다소 무리를 하더라도 말이죠. 그래야 새로운 물건을 사서 쓰고 있다고 체감이 되니까요.

 

게이밍 모니터도 예외는 아닙니다. 너무 크면 책상 위에 놓기 부담될까봐 적당한 크기에서 타협하고, 커브드 모니터는 호불호가 갈린다고 해서 평면을 고를 수도 있습니다. 그 누구도 불호를 외치지 않을 안전한 선택이지만, 너무 평범해서 재미가 없으니 극호가 나오기도 어려운 선택이기도 합니다. 보다 강렬한 자극과 업그레이드 체감을 원하는 게이머라면 만족하지 못하고 어중간한 선택이라 느낄 테지요. MSI G322CQP 게이밍 170 WQHD HDR는 그런 게이머를 위한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32인치의 큰 화면에 1000R에 달하는 커브드 패널, 170Hz의 리프레시율까지 모니터 바꾼 티를 확실하게 내줄 스펙을 갖췄거든요. 

 

2.JPG

 

제품명 MSI G322CQP 게이밍 170 WQHD HDR
패널 종류 VA
표면 코팅 처리 안티 글레어(저반사 코팅)
화면 크기 32인치(80cm), 16:9 비율
가시 화면 영역 697.344x392.256mm
권장 해상도 2560x1440(WQHD)
픽셀 피치 0.2724mm
최대 표시 색상 10억 7천만 컬러(8비트+FRC)
명암비

2500:1 

곡률 1000R 커브드
색재현율 어도비 RGB 89.8%, DCI-P3 91.6%, sRGB 115.4%
밝기

250nits 

응답 속도 1ms MPRT
시야각 상하/좌우 178도
리프레시율

170Hz

부가 기능

NVIDIA 지싱크 호환,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레임리스 디자인 

HDR

OSD 기능

플리커 프리, 블루라이트 감소

5방향 내비게이션 버튼

게임 기능(게임 모드, 조준선, 프레임 표시, 타이머, 나이트 비전, 안티 모션 블러, 고정 종횡비) 

콘솔 모드(FHD 120Hz) 

스탠드 기능

-5~20도 각도 조절(틸트)  

0~100mm 높이 조절(엘리베이션)

입/출력 단자

DP 1.2a x1(2560x1440 170Hz) 

HDMI 2.0b x2(2560x1440 144Hz)

3.5mm 오디오 출력 

전원 공급 소비 전력 34.6W, 외부 어댑터, 100~240V, 50~60Hz
크기

701x480x369mm  

무게

7.7kg

베사 마운트 100x100mm
참고

일반: https://prod.danawa.com/info/?pcode=17864318

무결점: https://prod.danawa.com/info/?pcode=17864477

가격

일반 339,700원

무결점 350,400원  

(2022년 1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32인치 대형 커브드 패널에 높이 조절까지

 

3.JPG

 

집과 차와 화면은 클수록 좋다고들 하죠. 모니터도 화면 달린 물건이니 예외는 아닙니다. 집이 크면 청소하기 힘들고 차가 크면 주차하기 힘들지만 모니터는 그런 게 없지요. 책상 위 남은 공간이 허용하는 한에서 욕심을 부려도 됩니다. 그리고 32인치는 책상 위에 올려두고 쓸 게이밍 모니터 중에선 최적의 크기입니다. 2평 자리 고시원에 어거지로 우겨넣어 책만 봐야 하는 환경만 아니라면 32인치까지는 어떻게든 집어 넣을 수 있고요. 이 이상은 책상 위가 아니라 벽으로 가는 TV 취급을 받아야 하니까요. 혼자 쓸 게이밍 모니터 중에선 가장 크고, 또 가장 큰 만큼 게임 플레이에서 체감할 효과 역시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가성비를 높이기 위해 RGB LED를 비롯한 장식이나 있어도 쓰지 않을 부가 기능은 배제하고 화면에만 집중했습니다. 

 

G322CQP은 그냥 큰 게이밍 모니터가 아닙니다. 화면이 휘어 있는 커브드 모니터지요. 또 그냥 휜 것도 아닙니다. 곡률이 1000R로 커브드 모니터 중에서는 가장 많이 휘어 있는 편입니다. 화면이 크고, 그 화면이 휘어져 있으며, 그것도 많이 휘어져 있기까지 하니 실물을 마주하면 우선 헉 소리가 나오고요. 커브드 패널에서 나오는 화면의 몰입 효과 역시 더욱 큽니다. 또 커브드 모니터의 휘어있는 화면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며 허리를 굽히고 고개를 숙여 화면을 볼 필요도 없습니다. 이 모니터는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이 모두 가능하거든요. 높낮이 조절은 0~100mm, 각도 조절은 -5~20도까지 기능합니다. 그래서 거북목이나 등이 굽을거라는 염려는 옆으로 치워두고, 책상과 신체 조건에 맞춰서 바르고 꼿꼿한 자세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DSC00180.JPG

 

박스 전면.

  

DSC00179.JPG

 

박스 뒷면.

 

 

DSC00181.JPG

 

내부 포장.

 

DSC00183.JPG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DP 케이블, 설명서, 베사 마운트 고정 나사, 스탠드 나사, 스탠드 기둥, 스탠드 받침대.

 

DSC00184.JPG

 

뒷면에 부착된 보호 비닐. 

 

DSC00250.JPG

 

MSI G322CQP 게이밍 170 WQHD HDR 모니터입니다.


DSC00225.JPG

 

정면. 

 

DSC00219.JPG

 

1000R의 곡률로 휘어진 화면. 

 

DSC00221.JPG

 

 

697.344x392.256mm의 32인치 화면. 

 

DSC00223.JPG

 

좁은 베젤 디자인.

 

DSC00227.JPG

 

정면의 MSI 로고와 스탠드의 선정리 홀. 

 

DSC00228.JPG

 

우측 하단의 전원 버튼과 LED.

 

DSC00231.JPG

 

DSC00233.JPG

 

0~15도의 각도 조절

 

DSC00229.JPG

 

DSC00235.JPG

 

0~100mm의 높이 조절

 

DSC00220.JPG

 

DSC00237.JPG

 

크기는 701x480x369mm

 

DSC00208.JPG

 

뒷면. 

 

DSC00206.JPG

 

MSI 게이밍 엠블럼과 빨간색 OSD 버튼이 눈에 띕니다. 

 

DSC00191.JPG

 

100x100mm 규격의 베사 마운트 홀. 

 

DSC00186.JPG

 

뒷면 우측의 켄싱턴 락, 좌측에는 5방향 내비게이션 버튼과 전원 버튼, 전원 LED.

 

DSC00190.JPG

 

왼쪽부터 전원 어댑터, DP 1.2a x1(2560x1440 170Hz), HDMI 2.0b x2(2560x1440 144Hz), 3.5mm 오디오 출력 

 

DSC00185.JPG

 

모니터 하단.

 

 

DSC00192.JPG

 

 

모니터를 평평한 곳이나 스티로폼 포장재 위에 두고, 스탠드 기둥 윗부분을 뒷면에 끼웁니다. 

 

DSC00193.JPG

 

기둥 아래의 나사 2개로 고정합니다. 

 

DSC00194.JPG

 

기둥과 받침대를 손나사로 고정합니다. 

 

DSC00197.JPG

 

 

스탠드 바닥. 

 

 

 

2560x1440 @ 170Hz. 고해상도 고주사율

 

DSC00251.JPG

 

전력 사용량은 무시무시하고 가격은 그보다 훨씬 더 무서운 플래그쉽 그래픽카드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말인즉 해상도와 리프레시율 욕심을 전보다 더 낼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는 소리지요. 1920x1080 해상도는 여전히 게임 해상도의 표준 취급을 받고 있지만 32인치에서 풀 HD는 부족한 것도 사실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화면에 달라 붙어 집중하면 픽셀 알갱이를 헤아릴 수 있을 정도죠. 그래서 G322CQP는 그보다 한 단계 높은 2560x1440의 WQHD 해상도를 선택했습니다. 4K 만큼 그래픽카드에 부담을 주지 않지만 풀 HD보다는 높은 해상도로 그래픽을 표시하며, 32인치의 큰 화면에도 잘 어울리는 스펙입니다. 리프레시율도 높였습니다. 디스플레이포트를 통해 연결하면 170Hz의 부드러운 화면으로 고해상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해상도와 주사율 외에 다른 스펙도 우수합니다. 우선 게이밍 모니터에서 가장 많이 다지게 되는 응답 속도는 1ms MPRT를 달성했으며,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간이 인풋 랙 테스트에서도 표시되는 내용이 어긋나지 않는 빠른 반응을 보여 주었습니다. VA 패널답게 상하좌우 모두에서 178도의 넓은 시야각을 보여주며 2500:1에 달하는 명암비를 갖췄습니다. 밝기는 250니트로 평범한 편이나 윈도우나 게임에서 HDR 옵션을 켤 수 있도록 지원하며, sRGB 115.4%에 어도비 RGB 89.8%의 넓은 색 재현율로 10억 7천만 색상을 표시합니다. 패널 테스트에서도 준수한 색 정확도를 보여 주었고, 휘어있는 화면에도 불구하고 색상 밝기 균일성에서 고른 결과가 나왔기에 게임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감상 등의 용도로도 쓰기에 충분한 제품입니다.  

 

 

영상 내용은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다음과 같습니다. 

170Hz 게임 테스트 

170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테스트

플리커 프리 테스트

가변 리프레시율

티어링 테스트

MPRT 기능 

 

Cap 2022-12-13 22-22-59-604.png

 

2560x1440 해상도를 170Hz로 표시

 

Cap 2022-12-13 22-23-06-574.jpg

 

HDCP 지원

 

DSC00252.JPG

 

2560x1440 해상도

 

P3090743.JPG

 

RGB LED 픽셀

DSC00257.JPG

 

가독성 테스트

 

DSC00255.JPG

 

명암 표현

 

DSC00256.JPG

 

색상 표현

 

DSC00240.JPG

 

좌우 시야각 178도

 

DSC00242.JPG

 

상하 시야각 178도

 

DSC00253.JPG

 

사진 표시

 

DSC00254.JPG

 

영상 재생

 

인풋랙.gif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인풋랙 테스트. 두 화면에 표시되는 숫자가 똑같습니다. 이 정도의 테스트에서는 인풋랙을 느끼기 어렵다는 소리지요.

 

전력.jpg

 

화면 밝기 조절에 따른 전력 사용량 변화

 

Cap 2022-12-13 23-05-04-858.png

 

DisplayCAL에서는 sRGB 색역 크기 121.8%에 커버리지는 99.6%로 진단, 어도비 RGB는 색역 크기 84%로 진단했습니다. 

 

Cap 2022-12-14 15-18-28-968.jp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색역

 

Cap 2022-12-14 15-18-46-604.png

 

감마는 표준인 2.2에 근접한 2.3을 기록

 

Cap 2022-12-14 15-18-53-722.png

 

최대 밝기는 260, 최고 대비도는 3070:1이 나왔습니다.

 

Cap 2022-12-14 15-19-17-737.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

 

Cap 2022-12-14 15-19-22-770.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

 

Cap 2022-12-14 15-19-32-401.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

 

Cap 2022-12-14 15-19-39-851.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

 

Cap 2022-12-14 15-20-45-649.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

 

Cap 2022-12-14 15-20-52-202.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

 

Cap 2022-12-14 15-20-59-117.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

 

Cap 2022-12-14 15-21-03-250.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

 

Cap 2022-12-14 15-21-09-654.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E 1.84를 기록했습니다. 고급형 모니터들은 델타 E의 평균 값이 2 이하라고 홍보를 많이 하지요.  

 

 

기능 빵빵한 게이밍 OSD

 

DSC00210.JPG

 

MSI 게이밍 모니터의 OSD 기능은 제품마다 다릅니다. 입력 포트가 많고 해상도가 큰 모델이라면 PIP나 PBP 같은 기능을 넣고, 고급형 제품의 경우 USB 허브와 컨트롤 앱을 넣어 편의성을 확보합니다. 하지만 모든 게이머가 그런 기능을 필요로 하는 건 아니죠. 기능이 많아봤자 모니터 가격만 오른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G322CQP처럼 가성비를 중시한 모델에서는 게이밍 모니터에 꼭 필요한 기능에만 집중하고, 조작 방식도 뒷면의 5방향 내비게이션 버튼만 제공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해도 풍부한 기능과 편리한 조작성을 모두 제공한다는 MSI 게이밍 OSD의 기본적인 설계 디자인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게이밍 모니터의 필수 기능 취급을 받는 어댑티브 싱크는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과 NVIDIA 지싱크 호환을 제공하며, 중앙에 조준선을 표시하고 리프레시율과 타이머를 상단에 띄워 게임 플레이를 돕기도 합니다. 어두운 장면 위주로 구성된 게임에선 나이트 비전 기능으로 암부 밝기를 끌어 올리며, 이미지 향상과 선명도 조절 기능을 통해 더욱 또렷한 화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게임 화면 모드와 프로 모드 프리셋과 내비게이션 버튼에 할당된 빠른 실행 기능으로 화면을 취향대로 빠르게 설정합니다. HDMI 포트에선 CEC 기능과 FHD @ 120Hz의 콘솔 모드를 제공하니 콘솔 게임기와 함께 쓰기도 편리합니다. 

 

DSC00311.JPG

 

게임 관련 기능이 모인 게이밍

 

게임 모드.gif

 

게임 모드

 

나이트 비전.gif

 

나이트 비전

 

DSC00268.JPG

 

중앙 조준선, 리프레시율, 알람 시계 표시

 

Cap 2022-12-13 22-23-47-464.png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NVIDIA 지싱크 호환 지원

 

DSC00312.JPG

 

게임 외의 화면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

 

프로 모드.gif

 

프로 모드 프리셋

 

블루라이트.gif

 

블루라이트 감소, HDCR 기능

 

이미지 향상.gif

 

이미지 향상 기능

 

DSC00313.JPG

 

보통의 화면 설정 기능인 이미지

 

밝기.gif

 

밝기

 

명암.gif

 

명암

 

선명도.gif

 

선명도

 

화밸.gif

 

색온도

 

DSC00303.JPG

 

화면 크기

 

DSC00314.JPG

 

입력 소스 선택

 

DSC00315.JPG

 

내비게이션 버튼의 빠른 실행 기능 설정

 

DSC00319.JPG

 

빠른 실행 기능 

 

DSC00316.JPG

 

OSD 표시 설정과 DP 오버클럭킹, HDMI CEC 기능

 

DSC00304.JPG

 

우측에 표시된 화면 정보

 

 

MSI G322CQP 게이밍 170 WQHD HDR

 

DSC00249.JPG

 

32인치의 큰 화면이 1000R의 곡률로 휘어 있어 화면 몰입도가 높고 존재감도 확실한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2560x1440의 높은 해상도를 170Hz의 부드러운 리프레시율로 표시하며 1ms의 응답 속도까지 갖춰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로 쓰기에 적합합니다. RGB LED처럼 호불호가 갈리거나 사용처가 많지 않은 편의 기능은 제외하면서도, 엘리베이션을 지원하는 스탠드를 넣는 등 꼭 필요한 기능은 빼놓지 않았습니다. 이와 동급의 스펙을 지닌 게이밍 모니터 중에서는 가장 저렴해 가성비도 우수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벤타나, 세계 최초 데이터센터급 RISC-V 프로세서 발표
IBM과 Rapidus가 일본에서 2nm 반도체를 공동 개발/생산
TCL NXTPAPER 12 Pro. 종이 같은 IPS 디스플레이?
더 싸고, 더 좋다. AMD 라데온 RX 7900 XTX
주간뉴스 12/12 - 7900 언박싱, 인텔 로드맵 예고, NVMe 하드, MCR DDR5, 녹투아 드라이버, 25년부터 USB-C...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정말 안타까운 상황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쏘나타 N라인 자세 나온다 ll 현대차 쏘나타 디 엣지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코란도 부활? "토레스 전기픽업부터 KR10, 새로운 대형 전기차까지 ll 쌍용차 비밀병기 총출동 동영상 있음 Motorgraph
더위도 문제 없는 바람직한 케이스를 원한다면 '리안리 LANCOOL 216' 뉴스탭
[리뷰] 상위 1% 성능, MSI 타이탄 GT77HX 13VI로 살펴본 13세대 인텔 코어 i9-13950HX IT동아
블루샤크 23년 모델 컬러까지 직접 볼 수 있다 | 남자는 역시 핑크 | 3년만에 출시되는 R1 가성비의 R1 라이트 가벼운 매력 H1, 솔로에라 | 2023 서울 모빌리티 모터쇼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애플은 벽잡고 반성해,,, 3만원대 맥세이프 보조배터리 레전드템 찾았습니다;;; (광고없음) 동영상 있음 THE EDIT
쏘나타 부활 가능? ll 2023 서울모빌리티 현대차 전시관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세계에서 가장 비싼 전기바이크 브랜드 에너지카 한국 출시? | 에쎄에쎄9 리벨레 에고 실물 영접 | 2023 서울 모빌리티 모터쇼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32인치 4K 모니터에 입문해보자,라익미 울트라 UL325UHD 4K IPS 광시야각 케이벤치
유아용 킥보드 세계 1위 마이크로 킥보드에서 전기차 출시? | 마이크로 리노 진짜 너무 귀엽다 | 2023 서울 모빌리티 모터쇼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40dB ANC와 맞춤형 사운드 프로필, 고음질 블루투스 이어폰 낫싱 이어2 케이벤치
HP 오멘 끝판왕입니다 최고 사양의 GPU, CPU를 탑재한 'HP OMEN 17' 동영상 있음 도레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성능 프로세서, 13세대 인텔코어 i7-13700 노트포럼
DDR4로 가성비 높인 13세대 게이밍 메인보드, Intel ASUS PRIME Z790M-PLUS D4 베타뉴스
쏘나타 '폼' 미쳤다! 먼저 산 사람은 어쩌라고..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BMW 100주년 R18 실물 보고 왔습니다 | BMW 모토라드 | 2023 서울 모빌리티 모터쇼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현대의 전기스쿠터 기술을 가장 먼저 경험해 볼 수 있는 모델 Eciti | 대림의 23년 야심작 보고 왔습니다 | DNA모터스 | 2023 서울 모빌리티 모터쇼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처음부터 끝까지 갓겜이었던 게임 TOP 13 (우리가 게임을 접을 수 없는 이유)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당신의 비즈니스 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꿔 드립니다, HP 미니PC 노트포럼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