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로 전통의 음향 브랜드 중에서 TWS를 아직 안 만든 회사는 없죠?
세계 최초로 다이나믹 헤드폰을 만든 브랜드가 아직 TWS 이어폰을 만들지 않았는데,
드디어 완전 무선 이어폰을 출시했습니다!
FREE BYRD 어떤 제품일까요?
Specification
본사 사이트에서 가져온 스펙입니다.
본 데이터는 샘플 1개의 측정 데이터로 전체 제품 특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1. Frequency Response + Target
가장 먼저 보는 그래프는 인이어 타겟을 적용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입니다. 1/3옥타브 스무딩을 적용하여 실제 청음과 비슷하고 보기에도 편한 그래프입니다.
영디비 코멘트
베이어다이나믹 플래그쉽 이어폰인 셀렌토와 밸런스가 비슷합니다. 셀렌토의 사운드를 무선으로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이어폰인데, 한 가지 문제가 있네요. 어떤 문제인지는 영상에서 확인해주세요!
2. Frequency Response Raw
주파수 특성 그래프의 Raw 데이터이고, 스무딩을 적용하지 않은 원본 그래프입니다.
3. THD
THD는 전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4. Impedance
블루투스 헤드폰은 드라이버를 직접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이 불가능
5. Delay
블루투스 제품 측정에 꼭 들어가는 Delay 항목입니다. 스마트폰에서 화면의 불빛과 블루투스로 전달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그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실제 스마트폰에서 지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딜레이는 전반적으로 빠른편입니다. 게임모드도 지원해서 Z Fold에서는 게임도 어느 정도 가능해 보입니다. Adaptive에서 기본이 느린 건 연결 안정성을 위한 버퍼로 보이네요. 앱에 따라 LL을 지원하니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6. Active Noise Canceling
먼저 이어폰/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AP 장비가 스피커로 핑크 노이즈를 보냅니다. 그러면 스피커에서는 일정 레벨로 핑크 노이즈가 나옵니다. 여기에 사람의 귀처럼 느낄 수 있게 만든 마이크(GRAS 45CA), 흔히 커플러라고 부르는 장비에 이어폰/헤드폰을 장착해 소음 감쇠 정도를 체크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Noise : 스피커에서 핑크 노이즈를 재생하고, 커플러가 노이즈 레벨 측정
② PNI : 커플러에 이어폰을 장착 후 노이즈가 감소한 레벨 측정
③ ANC : 커플러에 장착된 이어폰/헤드폰의 ANC를 켜고 노이즈가 감소한 레벨 측정 (PNI가 포함된 데이터)
회색 점선 그래프는 기본 핑크 노이즈 라인입니다(①번). 파란색 그래프는 이어폰/헤드폰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와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 비교로 차음 성능 그래프입니다(②번). 빨간색 그래프는 이어폰/헤드폰 착용 후 ANC를 켠 상태를 측정한 그래프입니다(③번).
베이어다이나믹에서 공개한 스펙보다 좋은 성능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25dB라인에 걸쳐있네요.
극저음 성능이 안 나와서 그런지 하위권인 -19.5dB로 측정되었습니다.
7. EQ
EQ는 브릴리언스 하나 괜찮았습니다. 인이어 타겟을 따라가는 특성입니다.
8. FR ANC OFF vs. ANC ON
ANC On과 Off 주파수 특성 비교 그래프입니다. Off와 주변 소리 모드에서 극저음이 좀 내려갑니다. 실내에서는 OFF나 극저음 사운드를 추천합니다.
<저작권자 ⓒ 영디비(http://www.0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