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젠4 스위트 스팟. AMD 라이젠 7000 non-X

2023.01.11. 09:47:31
조회 수
1,44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AMD AM5 플랫폼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틱-톡 주기대로 소켓 바꿈질에 열심이던 옆동네와 다르게, AMD는 AM4 플랫폼을 지독하다 싶을 정도로 오랫동안 붙들어온 근성을 보여 주었습니다. 하지만 근성이 모든 걸 다 해결해 주진 않지요. AM4의 라이젠 5000 시리즈야 지금도 현역 취급을 하기에 충분한 성능과 훌륭한 가성비를 갖춘 모델들이 있지만, DDR4 메모리를 대체할 DDR5 메모리가 나온 이상 언젠가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새로운 플랫폼이 바로 AM5고요. 

 

AM5는 작년 9월에 나온 라이젠 7000X 시리즈로 시작했습니다. 라이젠 X 시리즈는 노말 모델보다 더 넉넉한 전력 설정과 더 높은 클럭이 특징인 고성능 프로세서인데요. 이번에 나온 라이젠 7000X 시리즈는 전 세대와 경쟁 상대보다 더 높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 라이젠 X 시리즈보다 TDP를 더 높게 설정하는 과감한 시도를 했습니다. 그래서 라이젠 5 5600X까지만 해도 65W를 지키고 그 윗 모델도 105W였던 TDP가 7600X와 7700X는 105W, 7900X와 7950X는 170W까지 늘어났습니다. 

 

2.JPG

 

당연히 성능은 늘었습니다. 하지만 아쉽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라이젠 시리즈는 한결같이 탁월한 전력 대 성능비를 보여줬으나, 라이젠 7000X 들어 전력 사용량이 늘어났다는 지적이죠. 경쟁 상대의 고성능 프로세서가 3열 수냉 쿨러를 써도 쓰로틀링을 피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기를 많이, 그리고 비효율적으로 먹는데 라이젠 7000X 시리즈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니 이 정도 확장은 해볼 만 했다고 생각합니다만, 어쨌건 라이젠 7000X가 전작보다 많이 먹는 건 사실이긴 합니다. 

 

하지만 AMD는 다 계획이 있었습니다. CES 2023에서 AMD는 두 종류의 데스크탑 프로세서를 새로 발표했습니다. 하나는 라이젠 7000X3D입니다. 라이젠 7 5800X3D에서 실력으로 증명된 3D V 캐시를 장착해 최고의 게이밍 프로세서 자리를 예약한 제품이지요. 또 다른 하나는 라이젠 7000 non-X 모델입니다. 라이젠 7000X 시리즈와 비교하면 아키텍처는 물론이고 코어 구성부터 캐시 용량까지 주요 스펙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170W까지 올랐던 TDP를 65W로 줄여 전력 사용량을 대폭 낮췄습니다. 

 

3.JPG

 

사실 CPU의 전력 사용량을 낮추는 건 그리 어려운 일처럼 여겨지진 않습니다. 다른 스펙을 똑같이 유지해도 클럭만 높게 올라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면 되거든요. 라이젠 7000 non-X 시리즈 역시 그런 것처럼 보입니다. 우선 라이젠 7000X 시리즈와 비교하면 최고 부스트 클럭이 낮습니다. 또 TDP와 최대 허용 전류량이 낮기에, 다수의 코어가 높은 클럭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짧을 거라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이 말인즉 라이젠 7000 non-X의 성능은 라이젠 7000X보다 많이 떨어질 거란 소리죠.

 

그런데 아니었습니다. 라이젠 7000 non-X 시리즈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았다는 말은 아닙니다. 분명 절대적인 성능은 라이젠 7000X 시리즈가 더 높거든요. 하지만 170W와 105W에서 65W로 105W와 40W씩 TDP가 잘려 나갔고 실제 시스템 전력 사용량 역시 100W 이상이 줄어 들었으며, CPU의 풀로드 온도 역시 적지 않게 줄어 들었는데요. 성능 하락폭은 그만큼 크지 않았습니다. 항목에 따라서는 두 제품군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소개하겠습니다. 

 

 

테스트 조건

 

4.JPG

 

라이젠 7000 non-X 모델은 라이젠 9 7900, 라이젠 7 7700, 라이젠 5 7600의 3 가지 모델을 전부 테스트했습니다. 라이젠 7000X 시리즈는 라이젠 9 7900X를 사용했습니다. 윈도우 11의 게임 버그가 잡히고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면서 기존 게임 테스트 결과를 재사용할 수 없었으나, CPU 성능 테스트는 변하지 않았기에 이 부분만 라이젠 7 7700X의 테스트 값을 가져왔습니다. 라이젠 5000 시리즈는 5900X, 5800X 외에 라이젠 5000 시리즈 중에서도 저전력 모델인 5600을 추가했습니다.

 

인텔 CPU에선 코어 i5-12400과 코어 i5-13500을 골랐습니다. 코어 i5-12400은 현 세대 메인보드와도 호환되는 프로세서이며 전력 사용량이 낮은 편이기에 넣었고, 코어 i5-13500은 나름 13세대 코어 프로세서고(실제로는 이전 세대를 재사용했지만 인텔이 그렇다고 주장하는데 맞춰 줘야죠), E 코어 수만 늘리긴 했어도 어쨌건 6+8코어라는 적지 않은 볼륨을 지녔으며, 인텔 프로세서 중에서는 그래도 전력 사용량이 낮은 축에 속한다고 판단해서 골랐습니다. 물론 라이젠 7000 non-X보단 더 먹지만요. 

 

AMD는 AM5에서 DDR5-6000 메모리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고 주장하며, 실제로도 DDR5-6000을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텔은 보급형 제품에서 메모리 스펙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메모리 스펙을 플랫폼마다 다르게 설정하면 또 무슨 소리를 들을지 모르니 AM5와 인텔 LGA 1700은 똑같이 DDR5-6000으로 맞췄습니다. 쿨러 역시 360mm 라디에이터를 쓴 고성능 수냉 쿨러인 MSI MEG 코어리퀴드 S360를 써서 온도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습니다. 

 

5.png

 

메인보드

AM5: MSI MAG B650M 박격포 WiFi https://gigglehd.com/gg/13309164

AM4: MSI MEG B550 유니파이 https://gigglehd.com/gg/9497905 

인텔: MSI MPG Z690 포스 WIFI https://gigglehd.com/gg/11458013 

 

파워

AM5;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https://gigglehd.com/gg/13318499

AM4: EVGA 1000 GQ 80+ 골드 1000W

인텔: 시소닉 PRIME 1300 Platinum SSR-1300PD Full Modular 

 

메모리

DDR5: 6000MHz 36-36-36-96 16GB x2

DDR4: 3600MHz 16-16-16-36 8GB x2

 

쿨러

AM5/인텔: MSI MEG 코어리퀴드 S360 https://gigglehd.com/gg/11407122 

AM4: BYKSKI B-FRD 360 RBW https://gigglehd.com/gg/5761047  

 

SSD: 윈도우 설치용 NVMe M.2 512GB, 게임 설치용 SATA 6Gbps 2TB

그래픽카드: MSI 지포스 RTX 3080 게이밍 X 트리오 D6X 10GB 트라이프로져2 https://gigglehd.com/gg/8242387  

드라이버: 지포스 527.56

운영체제: 윈도우 11 21H2(2023년 1월 첫째 주 기준 최신 버전)

 

 

온도/전력

 

라이젠 7000 non-X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이 온도와 전력 사용량입니다. 그래서 이것부터 소개합니다. 전력 사용량은 많이 줄었습니다. 3D 마크의 경우 기존 라이젠 5000X 시리즈와 비교해도 될 정도로 줄어들었고요. 시네벤치는 그보다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라이젠 7 7900은 최신 코어 i5보다도 더 낮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게 인상적이네요. 온도 역시 뛰어납니다. 실온 15도의 추운 곳에서 테스트하긴 했지만, 풀로드에서 50도 초반의 온도를 보고 있으니 굳이 3열 수냉 쿨러를 라이젠 7000 non-X에 쓸 필요까진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이 정도면 평범한 공냉 쿨러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네요. AMD가 라이젠 7000 non-X 시리즈에 번들 쿨러를 넣어주는 것도, 그걸로 감당할 만한 온도가 나오기에 그랬던 거라고 생각됩니다. 

 

Cap 2023-01-10 22-05-49-281.png

 

시스템 전체 소비 전력: 시네벤치 R23

 

Cap 2023-01-10 19-37-48-582.png

 

시스템 전체 소비 전력: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3-01-10 19-40-38-932.png

 

CPU 온도: 아이들

 

Cap 2023-01-10 19-40-58-412.png

 

CPU 온도: 시네벤치 R23

 

 

 

성능

 

라이젠 7000 non-X의 성능은 라이젠 7000X보다 낮습니다. 이건 당연한 일입니다. 중요한 건 '낮다'가 아니라 '어디'와 '얼마나'입니다. 싱글 스레드 테스트의 경우 낮은 부스트 클럭으로 인해 약간의 성능 하락이 보였으며, 멀티 스레드의 경우 그 격차가 더욱 커졌습니다. 특히 라이젠 7 7900X의 경우 코어 수가 12개로 가장 많지만 TDP는 똑같이 65W로 제한됐기에 성능 하락 폭이 가장 커 보입니다. 하지만 전력 조건을 제한해도 젠4 아키텍처와 코어 수를 비롯한 근본은 변하지 않았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은 발휘해 줍니다. TDP를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세대인 라이젠 5000 시리즈나 경쟁 상대와 비교해서 갱쟁력을 갖춘 성능을 보여주기에, 전기를 더 쓰는 건 싫지만 성능 업그레이드를 원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Cap 2023-01-10 19-23-49-392.png

 

CPU-Z 17.01 싱글

 

Cap 2023-01-10 19-24-07-024.png

 

CPU-Z 17.01 멀티

 

Cap 2023-01-10 19-24-18-741.png

 

CPU-Z 19.01 싱글

 

Cap 2023-01-10 19-24-31-558.png

 

CPU-Z 19.01 멀티

 

Cap 2023-01-10 19-24-46-924.png

 

CPU-Z AVX2 싱글

 

Cap 2023-01-10 19-24-56-340.png

 

CPU-Z AVX2 멀티

 

Cap 2023-01-10 19-25-10-158.png

 

CPU-Z AVX-512 싱글(라이젠 5000, 인텔 프로세서는 AVX-512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Cap 2023-01-10 19-25-20-958.png

 

CPU-Z AVX-512 멀티(라이젠 5000, 인텔 프로세서는 AVX-512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Cap 2023-01-10 19-25-32-458.png

 

시네벤치 R23 싱글 

 

Cap 2023-01-10 19-25-42-374.png

 

시네벤치 R23 멀티

 

Cap 2023-01-10 19-25-57-258.png

 

7Zip 압축

 

Cap 2023-01-10 19-26-07-157.png

 

7Zip 압축 풀기

 

Cap 2023-01-10 19-26-18-056.png

 

7Zip 전체

 

Cap 2023-01-10 19-26-34-406.png

 

코로나 렌더링

 

Cap 2023-01-10 19-27-36-622.png

 

X.264 인코딩

 

Cap 2023-01-10 19-27-54-423.png

 

블렌더: 몬스터

 

Cap 2023-01-10 19-28-03-123.png

 

블렌더: 정크샵

 

Cap 2023-01-10 19-28-12-690.png

 

블렌더: 클래스룸

 

Cap 2023-01-10 19-28-29-307.png

 

vRay

 

Cap 2023-01-10 19-28-47-573.png

 

wPrime 32M

 

Cap 2023-01-10 19-28-57-889.png

 

wPrime 1024M

 

Cap 2023-01-10 19-29-34-673.png

 

패스마크

 

Cap 2023-01-10 19-29-47-958.png

 

긱벤치 5: 싱글

 

Cap 2023-01-10 19-29-58-636.png

 

긱벤치 5: 멀티

 

Cap 2023-01-10 19-30-13-888.png

 

PC마크 10

 

Cap 2023-01-10 19-31-20-321.png

 

SPECViewperf 2020: 3dsmax-07

 

Cap 2023-01-10 19-31-32-989.png

 

SPECViewperf 2020: catia-06

 

Cap 2023-01-10 19-31-53-939.png

 

SPECViewperf 2020: enegry-03

 

Cap 2023-01-10 19-32-22-672.png

 

SPECViewperf 2020: creo-03

 

Cap 2023-01-10 19-32-37-303.png

 

SPECViewperf 2020: maya-06

 

Cap 2023-01-10 19-32-47-802.png

 

SPECViewperf 2020: medical-03

 

Cap 2023-01-10 19-32-57-519.png

 

SPECViewperf 2020: snx-04

 

Cap 2023-01-10 19-33-09-162.png

 

SPECViewperf 2020: solidworks-07

 

Cap 2023-01-10 19-33-29-552.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3-01-10 19-33-38-382.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PU

 

Cap 2023-01-10 19-33-50-012.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3-01-10 19-34-06-504.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피직스

 

Cap 2023-01-10 19-34-28-662.png

 

로스트 아크

 

Cap 2023-01-10 19-34-41-402.png

 

리그 오브 레전드

 

Cap 2023-01-10 19-34-51-804.png

 

보더랜드 3

 

Cap 2023-01-10 19-35-02-512.png

 

컨트롤

 

Cap 2023-01-10 19-35-12-902.png

 

배틀그라운드

 

Cap 2023-01-10 19-35-23-719.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3-01-10 19-35-32-662.png

 

더트 5

 

Cap 2023-01-10 19-35-44-085.png

 

F1 22

 

Cap 2023-01-10 19-36-01-452.png

 

포르자 호라이즌 5

 

Cap 2023-01-10 19-36-13-932.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3-01-10 19-36-27-949.png

 

가디언즈 오브 더 갤럭시

 

Cap 2023-01-10 19-36-41-562.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AMD 라이젠 7000 non-X

 

마지막.JPG

 

TDP를 65W로 제한해 전력 사용량을 낮췄지만, 젠 4 아키텍처와 코어 수, 캐시 용량 등의 핵심 스펙을 유지해 전력 대 성능비를 높인 CPU입니다. 라이젠 7000 non-X 시리즈는 라이젠 7000X 시리즈보다 가격이 저렴하기에 보급형 모델로 취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항목에서는 라이젠 7000X 시리즈에 버금가는 성능을 낼 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과 온도가 크게 줄어들면서 전성비가 크게 올랐습니다. 그래서 라이젠 7000 시리즈의 보급형이 아니라 저전력에 특화된 모델로 취급하는 게 더 합당하다고 여겨집니다. PCIe 5.0과 DDR5 메모리를 비롯한 최신 기술을 지원하며 높은 성능을 지닌 최신형 프로세서를 쓰고 싶지만, 높은 전력 요구와 뜨거운 온도가 꺼려진다면 라이젠 7000 non-X는 현 시점에서 최고의 선택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라온시큐어 TouchEn nxKey 취약점 공개
일론 머스크의 신기록: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잃은 사람
주간뉴스 1/8 - CES 2023, 인텔/AMD 저전력/모바일, 4070 Ti/RTX 40 랩탑, 반도체 적자, 디스플레이 기술, ...
성능도, 전력도 다 잡았다. MSI 지포스 RTX 4070 Ti 게이밍X 트리오 D6X 12GB 트라이프로져3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하이엔드 PC빌드 적극 지원하는 우드 패널 어항형 빅타워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ULTRA 케이벤치
MSI MAG 322URDF800 E16 : 듀얼 모드로 상황에 따른 최적화된 환경 완성! 쿨엔조이
4K 편집부터 AI 성능까지 인상적인 ASUS NUC 15 PRO+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출력·복사·스캔 다 되는데? 가성비 훌륭한 무한 잉크 복합기 등장! '브라더 DCPT536DW' 동영상 있음 도레
메인스트림 시장 재편!,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D7 8GB 디앤디컴 블루프레임
데스크테리어의 진화,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PC 케이스 케이벤치
모바일 최고 스펙 게이밍 노트북,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보드나라
슬림한 사이즈에 5070Ti를 태워? 2025년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의 등장! ACER 헬리오스 네오16 슬림 성능테스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곡선을 감싸는 앰비언트 라이트.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기글하드웨어
전망 좋은 루프탑.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기글하드웨어
이제는 저렴해진 코어5 14600KF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TUF Gaming B760M-PLUS II - 코잇 브레인박스
27년된 삼성 매직스테이션에 라데온 9060XT를 태워? 게임쌉 가능한 올드PC의 변신 공개! 테크놀로지아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올해의 어항형 트렌드!? 파노라마 커브드 글래스 적용한 듀얼 챔버 케이스, 다크플래시 DY570 ARGB BTF 케이벤치
Lian Li CL Wireless Inside – Next Level Gaming PC | 9950X3D | RTX 5080 | TForce Xtreem ARGB 동영상 있음 PC SNAP
시장가격 파괴 프린터 등장? 레이저 흑백 정품 토너가 1만4천원대? brother 초저가 유지비 프린터 HLB2180DW 토너세이브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코어 울트라7 265K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ROG STRIX B860M-G GAMING WIFI - 코잇 브레인박스
GIGABYTE B760M AORUS ELITE GEN5 피씨디렉트: 어로스 엘리트, PCIE 5.0으로 업그레이드 쿨엔조이
화이트 감성과 최상급 성능의 조화 'MSI MPG X870E 엣지 TI WIFI' 미디어픽
블랙 &화이트의 완벽한 밸런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BLACK OC D7 8GB' (1) 미디어픽
최신 인텔 플랫폼을 위한 실속형 메인보드 'ASUS PRIME H810M-A 코잇'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