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폭발적 증가로 NAS가 주목받고 있다.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저장장치이다.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쓸 수 있기 때문에 코로나 팬데믹으로 촉발된 원격근무 상황에서도 필요한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접근 권한을 이용, 여럿이 파일을 공유함으로써 협업이 필요한 업무 환경에도 안성맞춤이다. 가정에서는 추억이 담긴 사진과 영상을 안심하고 보관할 수 있고, 영화와 음악파일을 담아두고 언제든 꺼내 듣고 볼 수 있다. 기업이라면 공유 문서를 저장하거나 포트폴리오를 차곡차곡 쌓아 두는 등 데이터 저장소 역할을 톡톡히 한다. 이처럼 NAS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아이피타임(ipTIME)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4베이 NAS 신제품 ‘ipTIME NAS400’을 새롭게 선보였다.
7여년 만에 업그레이드되어 돌아온 ‘ipTIME NAS400’은 더 빨라진 동작 클럭에 기존 듀얼코어에서 인텔 쿼드코어 프로세서로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으며, 메모리도 두 배 늘었다. HDD를 4대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RAID 구성이 가능해 필요에 따라 성능과 안정성 사이에서 적절한 밸런스를 찾을 수 있다. 부가기능도 만족스럽다. 두 개의 2.5Gbps 랜포트를 지원해 대역폭을 늘리고, 둘 중 하나의 네트워크가 끊겨도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두 개의 USB 3.0포트가 있어 외부 스토리지와 데이터 공유도 쉽다. 특히 특정 시점의 파일 시스템 내용을 저장하는 스냅샷 기능을 지원해 랜섬웨어는 물론이고, 악성코드, 바이러스 등으로 파일이 변경, 삭제된 경우 복구할 수 있으며, NAS 간 백업도 가능해 중요한 자료를 안심하고 보관할 수 있다. 이전 제품과 마찬가지로 MySQL, Apache, PHP 등을 지원하며, 공유기 내에서 WordPress, GNU Board 5, XpressEngine 등 설치가 가능해 돈 한푼 들이지 않고 나만의 홈페이지, 게시판, 블로그 등을 간단히 구축할 수 있다. 이처럼 누구나 쉽게 NAS를 이용할 수 있는 간편 기능까지 제공해 초보자는 물론이고,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파일 백업 및 관리, 공유를 위한 스토리지로 만족감이 높은 제품이다.
![]() |
||
▲ 인텔 쿼드코어 프로세서로 업그레이드된 4베이 NAS ‘ipTIME NAS400’ |
제품명 | ipTIME NAS400 |
주요사항 | 4Bay SATA NAS Server / 3.5인치, 2.5인치 SATA3 HDD 장착 가능 2.0GHz Quad-Core Intel CPU / 4Gbytes DDR4 DRAM / 듀얼 2.5기가 랜 USB 3.0 2포트 지원 / HDMI 포트 / 스냅샷 / MySQL, Apache, PHP Plug-in APP / ipDISK Drive / Cloud Backup / HDD 미탑재 |
포트 | DC In, 100/1000/2500Mbps LAN x2, USB 3.0 x2, HDMI |
버튼 | Power, RST, USB Copy |
LED | Power, Ready, LAN1, LAN2, HDD1, HDD2, HDD3, HDD4 |
CPU | Intel jasperlake N5105 Quad-Core CPU (2.0GHz) |
메모리 | 4Gbytes (DDR4 DRAM) |
지원 하드디스크 | 8.9Cm (3.5인치), 6.4Cm (2.5인치) SATA HDD x4 / CMR 기록방식 |
지원 USB 디스크 | EXT3 / EXT4 / BTRFS / NTFS |
본체 크기 / 무게 | 163 x 253 x 148 mm / 2668g (HDD 미포함) |
패키지 크기 / 무게 | 320 x 205 x 235 mm / 3668g (제품 포장, 본체 및 구성품 전체의 무게 포함, HDD 미포함) |
최대소비전력 | 33.8W |
전원 | 12V 외장 어댑터 (최저소비효율기준 만족제품) |
OS | Windows 7, 8, 8.1, 10, 11, Linux, Mac OS |
ipTIME의 디자인 철학 ‘미니멀리즘’을 이어받다
기존 ipTIME 제품군의 디자인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블랙과 화이트의 깔끔한 조화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미니멀리즘’은 ipTIME만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전면부 아래쪽에는 USB 복사 버튼과 리셋 버튼이 있다. |
![]() |
||
▲ 전면부에 동작 확인을 위한 LED가 있다. |
![]() |
||
▲ ipTIME NAS400 바닥면 |
확장성을 고려한 넉넉한 I/O포트
후면을 보면 커다란 공기 배출구가 눈에 먼저 들어온다. 후면 상단에는 살짝 감춰진 전원 버튼이 있으며, 그 밑으로는 미니 타입의 HDMI포트, 두 개의 USB 3.0포트, 그리고 2.5Gbps 속도를 지원하는 두 개의 LAN포트가 있다. 맨 밑에는 전원 입력 단자가 자리잡고 있다. 각 포트는 외부로 돌출된 부분 없이 깔끔하게 배치되어 있어 심플하면서도 매끈한 외형을 더욱 강조한다.
![]() |
||
▲ ipTIME NAS400 후면부 |
한편 USB포트는 기존 USB2.0 방식이 아닌 USB3.0을 사용해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한단계 더 끌어올렸다. USB포트에 USB메모리드라이브나 USB외장하드 등 저장장치를 연결하면 NAS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메모리카드 리더를 연결하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영상 데이터를 바로 NAS에 백업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USB저장장치 연결 후 NAS 전면에 있는 복사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자동복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동영상이나 음악 등 특정 파일, 복사하고자 하는 폴더 등을 사전에 지정하면 알아서 원하는 파일이 NAS로 복사되므로 백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또한 프린터를 연결할 경우 네트워크 프린터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USB포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쓸 수 있어 저장장치 이상의 가치를 느낄 수 있다.
![]() |
||
▲ 뒤쪽 USB포트에 USB스토리지를 연결해 쓸 수 있다. |
![]() |
||
▲ USB포트에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그림과 같이 관련 정보가 나타난다. |
![]() |
||
▲ USB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자동 복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 |
||
▲ 일반 프린터를 연결, 네트워크 프린터로 활용할 수 있다. |
LAN포트가 두 개인 것도 눈에 띈다. 두 개의 네트워크 라인을 동시에 연결해 하나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다른 하나가 백업으로 동작하여 지속적인 사용을 도와줄 뿐 아니라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 모드를 지원해 대역폭을 확장해 쓸 수 있다. 링크 어그리게이션은 여러 개의 물리적인 포트를 하나로 묶어 마치 하나의 포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쉽게 얘기하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두 배 늘리는 기술이다. 각 포트는 2.5Gbps 속도를 내므로 2.5Gbps 속도를 뛰어넘는 매우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가 많은 경우, 특히 외부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유용하다.
![]() |
||
▲ 2.5Gbps 속도를 지원하는 두 개의 LAN포트가 있다. |
![]() |
||
▲ 두 개의 LAN포트는 백업용으로 혹은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는 링크 어그리게이션으로 설정해 쓸 수 있다. |
미니 타입의 HDMI포트는 디스플레이와 연결, ‘ipTIME NAS400’의 모니터링을 위해 활용된다. ipTIME NAS400은 리눅스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를 다룰 줄 아는 전문가라면 USB포트에 키보드 등을 추가로 연결함으로써 ipTIME NAS400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다. 타사의 일부 NAS의 경우 TV와 연결해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할 목적으로 제공하는 HDMI포트와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경우 사용할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
![]() |
||
▲ ipTIME NAS400을 모니터에 연결하면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만날 수 있다. |
고성능 저전력으로 친환경에 더욱 다가섰다
외형은 기존 ‘ipTIME NAS4dual’과 거의 흡사하지만 성능을 책임지는 주요 칩셋은 업그레이드되었다. NAS의 두뇌인 CPU는 인텔 셀러론 N5105를 사용했다. 2021년 출시된 프로세서로, 4개의 코어를 가지고 있으며, 4개의 스레드를 처리한다. 기본 클럭은 2GHz이며, 최대 동작 클럭은 2.9GHz까지 올라가는 CPU이다. 최대 TDP는 10W로 설계되어 있어 소비전력에 민감한 미니PC 그리고 산업용PC에 많이 사용된다. 성능도 꽤 만족스럽기 때문에 일반PC용으로도 활용되는 CPU이다.
![]() |
||
▲ 위쪽이 인텔 쿼드코어 프로세서이고, 아래쪽이 RAM이다. 프로세서는 냉각팬에 의해 방열이 된다. |
메모리도 DDR3가 아닌 DDR4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용량은 기존 2GB에서 4GB로 늘었다. 넉넉한 메모리 용량을 갖춰 동시 실행 또는 동시 접속시에도 빠르게 처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소비전력도 낮은 편이다. 최대 전력소모는 제품 사양에 33.8W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HDD가 하나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소비전력을 직접 측정해 보니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초기 부팅 후 약 20W까지 올라갔지만 이후 7W 전후에서 유지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HDD가 대부분 10W 이내로 전력을 소모하니 HDD 4개를 모두 장착해도 소비전력에 대한 큰 부담은 없다.
![]() |
||
▲ 전력 소모 그래프 |
저전력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NAS 뒤쪽에는 대형 냉각팬이 있다 보니 발열량도 낮은 편이다. 약 24시간 구동 후 열화상 카메라로 외부 온도를 측정하니 27~28도로 낮게 나타났다.(실내 온도 20도)
![]() |
||
▲ ipTIME NAS400 전면부 열화상 이미지 |
![]() |
||
▲ ipTIME NAS400 후면부 열화상 이미지 |
한편 냉각팬은 PC케이스에도 많이 쓰이는 90mm 크기를 사용했다. Auto-Fan 기능을 적용, 내부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온도에 따라 팬 속도가 자동 조절되므로 소음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발열에 의한 동작 오류를 제거한다. 일상 생활환경에서는 팬 소음도 거의 느껴지지 않아 동작되고 있는지 모를 정도이다.
![]() |
||
▲ 90mm 크기의 냉각팬이 열을 바깥으로 빼낸다. |
![]() |
||
▲ 냉각팬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
ipTIME NAS400은 HDD 절전 기능도 갖고 있어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하드디스크는 슬립모드(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전기 소모를 줄이고, 하드디스크의 수명 연장도 기대할 수 있다.
![]() |
||
▲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HDD를 전원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
한편 전원 어댑터는 DC12V/6A 대용량이 제공되므로 안에 장착된 HDD는 물론이고 USB로 연결되는 저장장치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WOL 원격부팅 기능도 지원해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 평상시에는 끈 상태(대기상태)로 유지하다가 필요할 때만 원격으로 켜서 사용할 수 있다.
![]() |
||
▲ 전원 어댑터는 DC12V/6A 대용량을 지원한다. |
쉬운 설치가 강점
초보자에게 ‘NAS’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윈도우 설치하는 것도 버거운데 직접 HDD를 장착하고, 세팅까지 맞출 것을 생각하면 앞이 새까맣다. 그러나 ipTIME 인터넷 공유기가 제공하는 ‘쉬운 설치’는 ipTIME NAS에서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다.
HDD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자석으로 고정되어 있는 전면 커버를 벗겨내면 4개의 HDD를 담아두는 베이가 나타난다. 좌측에 있는 손나사를 풀어내면 베이가 분리되며, 여기에 HDD를 고정하면 된다. 베이에 HDD를 끼우고 나사를 이용해 고정 후 다시 안쪽에 밀어 놓으면 끝. HDD는 NAS 장비에 주로 쓰는 3.5인치 타입 뿐만 아니라 노트북 하드디스크로 불리는 2.5인치 타입도 쓸 수 있다. 참고로 ipTIME 측에 따르면 각 베이 별 용량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16TB 용량의 HDD 4개를 모두 장착, 1개의 논리 드라이브로 구성할 경우 64TB 용량을 모두 쓸 수 있다.
![]() |
||
▲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자석 고정 방식의 커버를 가지고 있다. |
![]() |
||
▲ 4개의 HDD베이로 구성되어 있다. |
![]() |
||
▲ 전면 나사를 풀어내면 베이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
![]() |
||
▲ 분리된 HDD 베이 |
![]() |
||
▲ 3.5인치 HDD가 장착된 모습 |
![]() |
||
▲ 2.5인치 HDD가 장착된 모습 |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한 초기 설정 과정도 간단하다. 랜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넣은 후 ‘NAS 도우미’ 소프트웨어를 동일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PC에서 실행시키면 ‘ipTIME NAS400'을 자동으로 찾아준다. 모니터도, 키보드도 없는 NAS가 제대로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IP를 받아 동작 중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NAS 도우미’를 이용하면 관리화면 웹페이지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IP주소를 재지정하거나 펌웨어도 마우스 클릭만으로 쉽게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
▲ ipTIME NAS 도우미 앱을 사용하면 누구나 쉽게 NAS를 설정할 수 있다. |
![]() |
||
▲ 마법사 기능을 이용해 초기 네트워크, DDNS, HDD 구성 설정을 쉽게 할 수 있다. |
또한 NAS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된 인터넷 공유기의 설정도 만져줘야 한다. 이 역시 네트워크의 기초적인 지식이 없다면 직접 해결하기에는 만만치 않은 일이다. 그러나 ipTIME NAS400은 기존 ipTIME 인터넷 공유기 제품과 연동하여 포트포워딩 등 필요한 모든 설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따로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
||
▲ ipTIME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포트포워딩과 같은 필수 설정이 알아서 진행된다. |
ipTIME NAS 제품군은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면 NAS에 간편하게 접속해 데이터를 쓰고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ipDISK Drive' 툴을 제공한다. 특히 ipTIME NAS40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있더라도 서버 주소 및 계정 등 간단한 정보 입력을 통해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특정 드라이브로 자동 연결해줌으로써 마치 PC에 내장된 하드디스크에 접속하는 것처럼 ipTIME NAS400의 공간을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다. 자체 DDNS도 지원하므로 IP주소가 아닌 *.ipdisk.co.kr과 같은 이름으로 쉽게 접속할 수 있다.
![]() |
||
▲ ‘ipDISK Drive' 툴을 이용하면 NAS를 내 로컬 드라이브터럼 활용할 수 있다. |
물론 모바일용 앱도 제공한다. iOS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ipDISK’를 검색해 내려 받으면 된다. PC용과 마찬가지로 NAS에 있는 영화나 음악,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4개의 HDD로 RAID 구성이 자유롭다
최대 4개의 HDD를 장착할 수 있는 ‘ipTIME NAS400’. 4-베이 방식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RAID를 구성함으로써 속도와 용량, 그리고 데이터 복구 등 사용자의 활용 목적에 맞게 NAS를 사용할 수 있다.
![]() |
||
▲ 4개의 베이를 이용해 저장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
여러 개의 HDD를 1개의 논리 드라이브로 묶어 저장하는 JBOD를 비롯해 분산 저장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RAID 0, 그리고 데이터를 중복 저장해 HDD가 고장 나더라도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RAID 1 등 기존 방식 외에 RAID 5, RAID 6, RAID 10 등도 사용할 수 있다.
![]() |
||
▲ 다양한 RAID 구성 방식을 지원한다. |
3개 이상의 HDD 장착시 사용되는 RAID 5는 HDD 하나를 복구용으로 사용하므로 HDD 하나가 고장 나도 데이터를 되살릴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HDD를 복구용으로 사용하는 RAID 6(하드디스크 4개 연결시 설정)도 마찬가지로 두 개까지 HDD에 문제가 발생해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4개의 HDD를 모두 장착할 경우 사용되는 RAID 10은 HDD를 두 개씩 묶어 RAID 1로 구성(하나는 복구용)하고, 이렇게 묶어진 두 쌍의 하드디스크를 다시 RAID 0로 설정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은 입출력 빈도가 큰 경우 활용하면 좋다.
이처럼 ipTIME NAS4는 4개의 베이를 활용, 다양하게 RAID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AS의 활용 목적인 데이터의 안정성은 물론이고, 용량 확장이나 빠른 액세스 등의 장점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서비스로 NAS 활용 200% UP!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공공기관 등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쉽게 공유하기 위한 NAS. 제조사인 이에프엠네트웍스는 소비자가 어떤 환경에서도 네트워크 스토리지로서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또한 광범위하게 지원하고 있다.
![]() |
||
▲ NAS로서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우리에게 익숙한 윈도우 파일 공유는 물론이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편리한 FTP를 이용해 자료를 빠르게 올리고 내릴 수 있다. 개인 소유의 PC가 아닌 공공장소에서도 접근해 쓸 수 있도록 웹하드도 지원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 관리하고 있는 ipTIME NAS400에 접근하여 파일을 올리고 내려 받을 수 있다. 물론 모든 서비스 이용시 ipTIME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DDNS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된 IP주소를 몰라도 ‘newstap.ipdisk.co.kr’과 같은 형식의 주소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NAS에 저장된 특정 파일을 NAS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카페나 블로그 방문자 등 제 3자과 공유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용 URL 링크 생성도 가능하다.
![]() |
||
▲ 윈도우 파일 공유 설정 화면 |
![]() |
||
▲ FTP 설정 화면 |
![]() |
||
▲ DDNS 설정 화면 |
DLNA를 이용해 스마트 TV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미디어 서버도 제공한다. 따라서 NAS에 담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 연결 형태에 따라 무선으로도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 |
||
▲ 미디어 서버(DLNA) 설정 화면 |
특히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와 빠르고 효율적인 속도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토렌트도 지원한다. 토렌트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더 이상 PC를 켤 필요 없이 NAS 장비에서 해당 파일을 직접 내려 받을 수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매번 NAS에 접속하지 않아도 원격 GUI로 토렌트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 공개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간단한 설정 과정만 거치면 토렌트 파일이나 마그넷 링크를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RSS 피드도 지원하므로 토렌드 사이트를 걸어 두고 알아서 파일을 내려 받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포함 또는 제외할 단어를 기반으로 추가될 시드를 필터링 할 수 있다.
![]() |
||
▲ 토렌트 설정 화면 |
네트워크 스토리지 뿐만 아니라 웹서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아파치(Apache), MYSQL도 지원한다. 따라서 서버를 임대하는 등 돈을 따로 들이지 않아도 NAS에 WORDPRESS, GNUBOARD5 등을 설치함으로써 홈페이지와 게시판, 개인 블로그 등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NAS가 가지고 있는 넉넉한 저장공간을 활용해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료실로도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지식이 요구되지만 인터넷에는 따라 하기만 해도 쉽게 게시판 생성이 가능하도록 많은 자료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라고 해서 뒷걸음 치기보다는 관심이 있다면 한번 도전해 보는 것도 좋다.
![]() |
||
▲ 다양한 플로그인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NAS를 홈페이지와 게시판, 개인 블로그로 활용할 수 있다. |
![]() |
||
▲ MySQL 서버 설정 화면 |
![]() |
||
▲ Apache 서버 설정 화면 |
NAS는 혼자서도 쓸 수 있지만 기본적인 목적은 다수가 데이터를 공유하는데 있다. 따라서 파일에 따라, 혹은 폴더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ipTIME NAS400은 사용자 계정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를 생성하고, 이들 사용자를 묶어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나 그룹마다 이용할 수 있는 폴더를 할당하고, 읽기 및 쓰기 권한을 개별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 |
||
▲ 폴더, 파일에 따라 사용자 권한 부여가 가능하다. |
![]() |
||
▲ NAS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 설정이 가능하다. |
랜섬웨어, 바이러스도 걱정 없는 ‘파일 시스템 스냅샷’ 지원
‘파일 시스템 스냅샷’ 기능도 가지고 있다. 파일 스냅샷은 특정 시점의 파일 시스템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으로, 랜섬웨어를 비롯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의해 또는 사용자가 실수로 특정 폴더의 파일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저장된 스냅샷 저장 시점으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윈도우 등에서 제공하는 복원, 맥 시스템에 있는 타임머신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 |
||
▲ 스냅샷 설정 화면 |
의도치 않게 혹은 해킹 등으로 인해 파일이 삭제되거나 손상이 되더라도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사고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참고로 ipTIME이 제공하는 파일 스냅샷은 파일 시스템 중 하나인 BTRFS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BTRFS로 HDD를 포맷하면 된다. 스냅샷도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HDD의 용량 범위 내에서는 무제한으로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NAS간 백업 기능도 가지고 있다. 매우 중요한 데이터의 경우 NAS 상호 백업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만일의 경우에도 데이터를 최대한 살려낼 수 있다.
![]() |
||
▲ NAS간 상호 백업 기능을 지원한다. |
쿼드코어로 더 빨라진 4베이 NAS… ipTIME NAS400
NAS. 잘 쓰면 구입비용의 몇 배를 뽑아낼 만큼 유용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자리만 차지하는 스토리지에 불과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꾸준한 사후 관리가 제공되는 NAS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ipTIME NAS400은 국내 기업에 의해 탄생한 제품이다 보니 한글 사용은 물론이고, 국내 사용환경을 수시로 반영하며, 소비자의 요구를 잘 따르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지금까지 꾸준하게 업데이트되고 있는 펌웨어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게다가 기존 ipTIME 공유기를 통해 검증된 쉽고 간편한 UI, 그리고 쉬운 설정은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반 소비자(개인)의 문의나 A/S에 대한 대응도 대체로 만족스럽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처럼 국내 시장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ipTIME의 4-베이 NAS. HDD 베이가 부족해 한계를 느꼈던 소비자로서는 반가운 제품이다. 게다가 기존보다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CPU와 메모리를 장착해 속도까지 만족스럽다. 안정성을 바탕으로 꾸준하게 성능과 기능 업데이트가 예상되는 ipTIME NAS400. NAS 구매를 고민해 온 소비자라면 관심을 둘 만한 제품이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