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과 AMD 모두 DDR5와 PCIe 5.0을 메인으로 하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넘어갔지만 SSD 시장은 아직까지 PCIe 3.0이 보급형, PCIe 4.0이 고급형이다.
PCIe 3.0에서 4.0, 그리고 5.0으로 올라갈 때마다 대역폭이 2배씩 늘어나면서 이제는 SATA SSD 시절에서 아득히 멀어졌지만, 그만큼 발열도 높아지고 PCIe 5.0에 와서는 새롭게 M.2 25110 타입까지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M.2 2280 기준으로는 PCIe 4.0 NVMe SSD가 주력 제품으로 보인다.
웨스턴디지털(Western Digital, 이하 WD)에서 출시한 WD_BLACK SN850X NVMe SSD 히트싱크 2TB는 PCIe Gen4 제품군 가운데 최고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면서 기본 장착되어 있는 방열판(Heatsink)으로 메인보드 종류에 관계없이 일관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WD_BLACK 시그니처 히트싱크 장착된 초고속 PCIe 4.0 SSD
WD 저장장치는 HDD 시절부터 컬러 브랜드로 제품의 컨셉 및 특징을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해왔는데 '블랙(WD_BLACK)'은 그 중에서도 가장 성능이 뛰어난, 그리고 게임에 최적화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WD_BLACK SN850X 시리즈는 같은 PCIe 4.0 NVMe SSD였던 기존 WD_BLACK SN850에 비해 읽기/쓰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제품 용량도 최대 4TB까지 확장시켰다. WD 인하우스(in-house) 컨트롤러로 불리는 WD가 인수한 샌디크스(SanDisk)의 SSD 컨트롤러를 사용하며, WD-KIOXIA의 BiCS5 112단 3D TLC 낸드 플래시, D램 캐시로는 2GB DDR4 메모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SN850과 마찬가지로 히트싱크가 장착된 모델과 없는 모델이 별도로 출시되어 사용자 환경에 따라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속도가 빨라지면서 그만큼 발열이 심해진 PCIe 4.0 NVMe M.2 SSD들은 스로틀링을 막기 위해 발열 관리가 중요해졌는데, 메인보드에 M.2 히트싱크가 기본적으로 달려있는 경우 히트싱크가 없는 대신 가격이 저렴한 일반 모델을 선택해도 된다.
하지만 자체 M.2 히트싱크가 없거나 부실한 메인보드, 써멀 패드를 이용한 장착 방식 때문에 SSD 표면에 붙인 제품 스티커가 손상될까봐 걱정되는 사람은 히트싱크가 달려있는 모델을 구입하면 된다.
같은 2TB 용량을 기준으로 SN850X의 무게는 히트싱크가 없는 일반판이 약 8g, 히트싱크가 달린 모델이 약 25g 정도로 측정됐다. 공식 스펙에서 일반 모델은 7.5g, 히트싱크 장착 모델은 24g이나 오차 범위와 함께 사용된 디지털 저울이 1g 이하 무게는 표시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스펙에 부합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SN850X 히트싱크는 WD_BLACK 특유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적용한 히트싱크 디자인으로 방열 성능을 더 높였고, 사용자가 별도로 히트싱크를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M.2 슬롯에 장착할 수 있다. M.2 나사를 쓰지 않는 이지 래치 고정 방식이 적용된 최신 메인보드라면 드라이버도 필요없다.
또한 RGB 조명 효과를 내는 LED가 히트싱크 측면에 들어가 게이밍 PC에 장착하면 세련된 히트싱크 디자인과 함께 RGB LED 튜닝 효과도 보여준다.
다만 M.2 2280 규격 SSD를 위아래로 감싸는 형태의 히트싱크를 사용하다 보니 너비(23.40mm)와 높이(8.8mm)가 일반 M.2 2280 규격을 초과하기 때문에 M.2 슬롯과 주변 부품, 그래픽 카드 등의 간섭이 발생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SN850X 히트싱크 2TB 모델은 기존 SN850 2TB와 동일한 5년 보증 및 1,200 TBW 쓰기 내구성을 갖췄다. 히트싱크가 없는 일반 모델과 다르게 WD_BLACK 스티커가 추가로 들어간다.
장착된 제품에 맞춰 최적화되는 WD_BLACK 대시보드
WD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WD_BLACK 대시보드(Dashboard)는 시스템에 장착된 WD 저장장치 종류에 따라 최적의 테마와 맞춤형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하다.
제품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도 매우 직관적으로 SSD에서 가장 중요한 전체 용량 및 사용량, SSD 온도, 잔여 수명, 인터페이스 속도 등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최신 펌웨어 버전이 있을 때도 WD 대시보드를 확인해서 바로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WD는 예전부터 게임 모드를 통해 SSD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막아 게임 중 버벅거리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는데, 게임 모드 2.0은 게임 내 빠른 로딩에 적합한 게임 에셋 뿐만 아니라 로딩 시간 예측과 같은 보다 개선된 PC 성능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에 있는 게임을 실행하면 장치에서 게임 모드를 자동으로 시작하며, 기존과 동일하게 게임 모드 옵션을 바꿀 때는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하다.
SN850X 일반 모델과 히트싱크 모델의 차이는 바로 WD_BLACK 대시보드 내 RGB 항목의 존재 유무다. 히트싱크 윗쪽으로 RGB LED가 들어간 SN850X 히트싱크 모델은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조명 효과를 바꿀 수 있고, Razer와 ASUS, GIGABYTE, MSI 등 다른 업체의 RGB LED 동기화 애플리케이션과도 연결 가능하다.
다만 RGB LED가 단색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레인보우 효과와 같은 화려한 RGB 조명을 보여주진 못한다.
이전 모델보다 더 빨라진 읽기/쓰기 속도
WD_BLACK SN850X 시리즈는 같은 PCIe 4.0 x4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존 SN850의 읽기/쓰기 성능을 더 상향시킨 업그레이드 모델이다.
기존 SN850은 순차 읽기만 PCIe 4.0에 맞추고 나머지 순차 쓰기 및 임의 읽기/쓰기 속도는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SN850X는 순차 읽기 속도를 더 향상시킨 것은 물론 나머지 성능도 끌어올려 진정한 WD_BLACK 제품다운 스펙을 갖췄다.
테스트 시스템은 AMD 라이젠 9 5900X 및 X570 메인보드로 PCIe 5.0을 지원하는 최신 사양은 아니지만 PCIe 4.0 x4 인터페이스의 NVMe M.2 SSD를 지원하므로 SN850X의 성능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CrystalDiskInfo에서도 PCIe 4.0 x4 인터페이스로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SSD 성능 측정 및 표기를 위한 기준으로 많이 쓰이는 CrystalDiskMark로 SN850X 히트싱크 2TB 모델을 테스트한 결과 제품 공식 스펙에 명시되어 있는 순차 읽기(7,300MB/s) 및 순차 쓰기(6,600MB/s) 속도를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용량의 90%가 사용된 상황에서도 순차 읽기/쓰기 성능은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ATTO 디스크 벤치마크 결과는 CrystalDiskMark보다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이전 SN850 2TB 모델의 순차 쓰기 최대 속도(5,100MB/s)보다 높은 6,220MB/s(6.22GB/s)를 기록하면서 쓰기 성능의 개선을 보여준다.
다만 이 같이 빠른 속도는 PCIe 4.0 x4 인터페이스와 D램 캐시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 실제 낸드 플래시 구간의 쓰기 속도는 캐시 영역 이후로 넘어가는 장시간 쓰기 테스트를 거쳐야 파악할 수 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로 SN850X 히트싱크 2TB의 전체 용량 90% 쓰기를 실시한 결과 약 30%에 달하는 캐시 구간을 보였으며 실제 낸드 쓰기 속도 1,400~1,700MB/s 정도를 보였다.
전용 히트싱크로 스로틀링 걱정 없는 발열 관리
PCIe 4.0 고성능 SSD를 표방하는 WD_BLACK SN850X 시리즈는 안정적인 발열 관리와 제품 수명을 위해 히트싱크가 꼭 필요하다. 히트싱크가 없는 모델은 그만큼 발열이 적어서 그냥 사용할 수 있다고 착각하기 쉬운데, 메인보드의 M.2 히트싱크나 별도의 DIY 히트싱크를 붙여줄 거라는 전제 하에 빠진 것이지 일반 모델과 히트싱크 모델의 발열이 다른 것은 아니다.
따라서 히트싱크가 없는 SN850X 일반 모델을 메인보드에 그냥 붙여서 사용하면 나래온 더티 테스트와 같은 극한의 쓰기 작업에서 SSD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면서 순식간에 90도를 웃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rystalDiskInfo에서도 SSD 상태가 나쁨으로 표시되어 강제로 테스트를 종료했다.
반면 SN850X 히트싱크 장착 모델은 일반 모델이 발열 위험으로 약 3분 만에 중단한 나래온 더티 테스트를 14분에 걸쳐 통과하면서도 SSD 온도를 80도 이내로 유지하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FLIR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SN850X 히트싱크 온도는 70도 초반으로 나왔다.
물론 이 결과를 SN850X 일반 모델은 발열이 높고 히트싱크 장착 모델을 반드시 구입하라는 뜻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성능 증가에 따른 발열 제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메인보드 M.2 히트싱크나 별도의 M.2 쿨링 솔루션으로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SN850X는 PCIe 4.0 SSD를 저장공간 확장용으로 쓸 수 있는 소니의 가정용 콘솔 게임기 PS5에 사용할 수 있다. 전용 SSD 확장 규격을 만든 마이크로소프트 Xbox Series X|S와 달리 PS5는 일반 M.2 2230/2242/2260/2280/22110 규격의 PCIe 4.0 NVMe SSD를 지원한다.
특히 고성능 PCIe 4.0 NVMe M.2 SSD를 콘솔 내부에 장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발열까지 고려해 최대 너비 25mm, 높이 11.25mm까지 설치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SN850X 히트싱크 모델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다.
다만 SN850X의 시스템 호환성에서 PS5 지원은 히트싱크 장착 모델만 해당되는데, 이는 위에서 측정 온도 테스트처럼 장시간 안정적인 발열 제어를 위해서는 히트싱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히트싱크가 없는 일반 모델도 사용자가 별도로 PS5 사이즈에 맞는 M.2 히트싱크를 장착할 수 있다면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히트싱크 종류에 따라 발열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관련 지식이 없는 일반 소비자라면 검증된 SN850X 히트싱크 모델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관된 고성능, WD_BLACK SN850X NVMe SSD 히트싱크 2TB
WD_BLACK SN850X는 기존 SN850에서 향상된 읽기/쓰기 속도를 제공하여 PCIe 5.0 SSD가 보편화되지 않은 지금 최신 인텔 및 AMD 시스템 메인 스토리지로도 적합하다. 최대 7,300MB/s 순차 읽기 및 6,600MB/s 순차 쓰기 속도로 PCIe 3.0 SSD보다도 2배 이상 빠른 성능을 보여준다.
메인보드에 괜찮은 M.2 히트싱크가 제공된다면 일반 모델이 가성비 있는 선택이지만 SSD 전체를 감싸는 WD_BLACK 시그니처 디자인 히트싱크과 RGB 조명 효과, 일관된 방열 성능을 원한다면 SN850X 히트싱크 모델이 제격이다.
PS5 게임을 즐기는 사람도 간편하게 본체보다 2배 이상 많은 게임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