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밍 노트북이 2023년 2월, 또 한 번 도약을 위한 새 획을 긋는다. 차세대 GPU인 RTX 40 시리즈를 얹은 노트북이 출시되기 때문이다.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세계에서 가장 빠른 노트북을 가능케 하는 RTX 40 시리즈는 4세대 Tensor 코어와 3세대 RT 코어로 구성되어 있어 DLSS 3를 통해 최대 4배 성능을 내며, 레이 트레이싱 성능도 최대 2배까지 올라간다. 향상된 프레임, 그리고 사실적인 그래픽으로 가상 세계를 구현해 어디서든지 고품질의 게이밍 경험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 게이밍 노트북 시장에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MSI는 새로운 RTX 40 시리즈 출시에 맞춰 최신 스펙으로 무장한 고성능 노트북 ‘Sword GF76 B13VFK’를 출시하고 국내 게이밍 노트북 시장 선점에 나섰다.
‘Sword GF76 B13VFK’는 최고의 시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17.3인치 대화면을 채택했으며, 인텔 13세대 코어 i7-13620H 프로세서와 RTX 4060 GPU를 장착해 어디서든 데스크탑PC 성능을 넘보는 몰입감 높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방송은 물론이고, 고품질의 빠른 영상 편집이 가능해 크리에이터를 위한 도구로도 만족스럽다. 특히 MUX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성능 저하 없는 강력함을 몸소 느낄 수 있으며, 시각적 경험을 높이기 위해 144Hz 주사율을 지원하는 IPS 타입 패널을 사용한 것도 특징이다. 새 히트파이프 디자인을 기반으로 설계된 냉각 장치는 발열로부터 안심하고 쓸 수 있도록 도우며, 새 CPU와 GPU에 맞게 외형도 리뉴얼되어 심미적 만족감을 준다. 남보다 앞선 도구로 게임과 창작작업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싶다면 꼭 필요한 노트북이다.
![]() |
||
▲ MSI Sword GF76 B13VFK |
모델명 |
MSI Sword GF76 B13VFK |
CPU |
인텔 13세대 코어 i7-13620H |
RAM |
DDR5-5200 16GB / 최대 64GB 인식 |
디스플레이 | 17.3인치 FHD 144Hz IPS 타입 패널 |
HDD/SSD |
512GB M.2 NVMe PCIe SSD |
그래픽 |
엔비디아 RTX 4060 8GB GDDR6 |
멀티미디어 |
내장 마이크 |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 |
802.11ax Wi-Fi 6 |
I/O |
1 x USB 3.2 Gen1 타입C (디스플레이 출력 지원) |
배터리 | 3-Cell, 53.5WHr |
크기 및 무게 |
398 x 273 x 25.2mm |
최신 CPU와 GPU로 무장한 만큼 디자인도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업그레이드되었다. 흔히 볼 수 있는 블랙 컬러의 바디를 갖고 있지만 게이밍 노트북으로서 강력함을 드러내기 위해 역동적 느낌을 강조했다. 표면을 무광 처리해 세련되고 멋지며, 상판에 MSI 게이밍 노트북의 상징인 드래곤 심벌을 음각으로 넣었다. 은은하게 비치는 엠블런, 그리고 양옆에 새겨진 날카로운 사선은 고급스럽고, 견고한 인상을 심어준다. 후면부와 바닥에 있는 넓은 면적의 드래곤 아머 패턴 그릴은 통풍이라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심미적 만족감도 준다. 노트북 측면부를 둘러 싸고 있는 엣지 라인에 불규칙한 패턴을 넣었으며, 키보드가 있는 부분에도 암호화된 문자를 연상시키는 패턴을 추가해 개성 넘치는 독특함을 보여준다. 우주를 항해하는 거대한 전함 또는 변화무쌍한 도시적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키보드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해 각각의 영역에서 각각 다른 RGB LED로 빛을 낸다. |
![]() |
||
▲ 호흡, 색상순환, 웨이브, 은은함 등 다양한 이펙트 설정이 가능하다. |
노트북 하단부에는 2W+2W 출력을 내는 스피커가 있다. 소리는 꽤 큰 편이며,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문제없이 깨끗하게 재생되는 편이다. 특히 고급 음향기기에 사용되는 Hi-Res 오디오 규격 DAC가 탑재되어 일반 CD보다 풍부한 고해상도 오디오의 음질을 느낄 수 있다.
![]() |
||
▲ 노트북 바닥에 2W+2W 출력을 내는 스피커가 있다. |
게임은 물론이고, 음악, 영화에서 서라운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Nahimic 사운드 기술도 넣었다. 가상 7.1 채널로 만들어내는 사운드는 현장감을 높여주므로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영상을 감상할 때 몰입감을 향상시킨다. 소리가 나는 방향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사운드 트래커, 블루투스로 사운드를 공유할 수 있는 나히믹 쉐어링, 인공지능으로 노이즈 및 왜곡을 최소화하는 스피커 튜닝 엔진 등을 담고 있다.
![]() |
||
▲ Nahimic 사운드 |
특히 새로 추가된 ‘Easy Surround’는 몰입 효과를 극대화한다.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자의 뒤쪽에 추가 배치함으로써 기존 2채널의 한계를 극복하는 입체감을 안겨준다.
![]() |
||
▲ 블루투스 스피커를 이용, 사운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
넉넉한 I/O포트
노트북이지만 부족함 없이 쓸 수 있도록 여러 I/O 포트를 제공한다. 먼저 가장 많이 쓰는 USB포트는 모두 4개가 있다. 1개의 USB 2.0 타입A, 2개의 USB 3.2 Gen1 타입A, 그리고 1개의 USB 3.2 Gen1 타입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격 별로 다양하게 준비해 상황에 맞게 USB포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가비트 속도를 내는 유선 LAN포트가 있으며, 헤드폰 출력과 마이크 입력이 가능한 콤보형 오디오 단자도 제공한다.
![]() |
||
▲ 노트북 우측 I/O 포트 |
![]() |
||
▲ 노트북 좌측 I/O 포트 |
우측에 있는 HDMI 포트는 4k 해상도로 출력할 경우 최대 120Hz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8k 디스플레이와 연결하면 60Hz로 영상을 보여주므로 초고해상도 영상도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한편 측면에 있는 USB 타입C 포트는 디스플레이 출력을 지원해 노트북 디스플레이를 포함, 총 3대의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축할 수 있다. 보다 확장된 시야로 게임에 몰입할 수 있으며, 영상 편집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는 더 넓은 화면에서 작업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144Hz 주사율 지원하는 17.3인치 디스플레이
180도 개방할 수 있는 힌지를 적용했다. 아래 사진처럼 디스플레이를 180도 펼칠 수 있다. 마주 앉은 상대방과 화면을 공유할 필요가 있을 때 매우 편리하며, 수직형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할 경우 충분히 디스플레이를 펼쳐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144Hz 주사율을 지원한다. |
제품 사양에 따르면 최대 밝기는 250nits이며, 직접 측정해 보니 약 255cd/㎡로 나타났다. 300cd/㎡이 넘는 다른 노트북과 비교했을 때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 |
||
▲ 최대 밝기는 약 255cd/㎡로 측정되었다. |
성능과 전력 효율 모두 잡은 인텔 13세대 코어 i7 장착
인텔의 고성능 최신 프로세서인 13세대 코어 i7-13620H를 사용했다. 6개의 P-코어와 4개의 E-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고성능 코어로 불리는 P-코어는 게임, 그리고 영상 편집과 같은 무거운 작업에서 파워풀한 성능으로 처리 속도를 높인다. 전력 효율 코어인 E-코어는 멀티 스레드 성능에 최적화되어 백그라운드 작업이 중단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빠릿빠릿한 성능이 요구될 때에는 강력함을, 일상적인 작업 환경에서는 높은 전력효율을 보여준다. P-코어는 하이퍼스레드 기술이 적용되어 최대 스레드 수는 16이다. P-코어의 최대 클럭은 4.9GHz까지 올라간다.
![]() |
||
▲ CPU-Z로 본 인텔 13세대 코어 i7-13620H 프로세서 정보 |
다음은 프로세서를 포함한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PCMARK 10 테스트 결과이다. 이전 세대인 코어 i7-12700H+RTX 3060의 테스트 결과와 비교하면 약 15% 정도 높아졌다.
![]() |
||
![]() |
||
▲ CINEBENCH R23 싱글코어 테스트 결과 |
![]() |
||
▲ CINEBENCH R23 멀티코어 테스트 결과 |
메모리는 DDR5-5200 규격을 사용했다. 인텔 13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최적화된 DDR5는 읽기 및 쓰기 속도를 더욱 향상시켜 체감 성능을 높인다. 두 개의 슬롯에 각각 8GB씩, 총 16GB용량의 메모리카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최대 64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 |
||
▲ CPU-Z로 본 메모리 정보 |
SSD 용량은 512GB로 구성되어 있으며, NVMe PCIe 4.4 x 4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다. 이전 세대보다 대폭 향상된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으므로, 부팅이나 게임 로딩 시간을 크게 단축한다.
![]() |
||
▲ SSD 등록 정보 |
![]() |
||
▲ SSD 테스트 결과 |
여분의 NVMe M.2 타입 SSD 슬롯이 추가로 제공되므로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 |
||
엔비디아 최신 GPU인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 중에서도 메인스트림에 해당하는 RTX 4060을 장착했다. 3072개의 쿠다 코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Ada Lovelace 아키텍처를 적용해 최대 2배의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보여준다. 특히 4세대 Tensor 코어를 통한 DLSS 3 구현으로 이미지 품질과 프레임을 모두 끌어 올렸으며, 3세대 RT 코어가 궁합을 맞춰 최대 2배의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보여준다. AV1 코덱에 대한 인코딩도 지원한다. 따라서 영상 편집 업무에서는 보다 빠른 처리 속도로 작업 환경을 개선한다. 참고로 엔비디아 지포스 제어판에서 확인할 수 있는 GPU 최대 전력량(TGP)는 105W이다.
![]() |
||
▲ GPU-Z로 본 RTX 4060 정보. GPU-Z가 아직 노트북용 RTX 40 시리즈를 인식하지 못해 일부 항목은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지만 쿠다 코어를 비롯한 클럭, 메모리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 |
||
다음은 GPU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3DMark 테스트 결과이다. 기존 RTX 3060 탑재 노트북과 비교하면 대체로 20% 가량 성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 |
||
![]() |
||
다음은 ‘Cyberpunk 2077’ 벤치마크 결과이다. 왼쪽부터 DLSS OFF, DLSS 고성능(DLSS Frame Generation OFF), DLSS 고성능(DLSS Frame Generation ON) 순서이다. DLSS를 끈 상태에서 평균 프레임은 약 31프레임에 불과했으나 DLSS를 고성능 모두로 두고 측정하니 약 89.7프레임까지 올라갔다. 특히 RTX 40 시리즈부터 사용이 가능한 ‘DLSS Frame Generation’을 켜고 재측정 해보니 약 145프레임까지 껑충 뛰었다. 이처럼 RTX 40 시리즈가 갖고 있는 딥러닝 기반의 프레임 생성 기능은 이전 세대에서 볼 수 없는 성능 향상을 안겨주므로 최신 AAA 게임도 더욱 사실적인 그래픽으로 게임에 몰입할 수 있다.
![]() |
||
![]() |
||
일부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에서만 볼 수 있는 ‘MUX 스위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는 흔히 내장 그래픽이라고 부르는 CPU 내부에 있는 통합 그래픽을 통해 출력된다. 이를 ‘옵티머스’라 부른다. RTX 40 시리즈처럼 외장 GPU가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게임에서 GPU가 복잡하게 연산해 만들어낸 비디오 신호는 CPU에 있는 통합 그래픽으로 보낸 후 디스플레이로 출력된다. 외장 GPU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해 전력을 아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전환에 따른 대기 시간이 발생되거나 호환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MUX 스위치를 적용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기존 옵티머스’ 모드로 동작하거나 혹은 통합 그래픽을 거치지 않는 개별 그래픽 모드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단 1%의 성능 향상도 아쉬운 게이머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이 제품은 아래 사진처럼 옵티머스 모드인 MS하이브리드 그래픽 모드 또는 개별 그래픽 모드 중에서 선택해 쓸 수 있다.
![]() |
||
▲ MSI센터 앱에서 논옵티머스를 선택할 수 있다. |
한편 GPU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리기 위해 오버클럭 기능을 넣었다. MSI 노트북 관리 소프트웨어인 MSI센터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코어 클럭과 VRAM 메모리 클럭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위에 언급된 모든 테스트는 코어 클럭 및 VRAM 메모리 클럭을 올리지 않은 기본값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 |
||
▲ GPU에 대한 오버클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강력한 냉각 효과로 안정적 성능 유지
최고 등급의 CPU와 GPU를 사용했음에도 강력한 냉각 성능을 갖춤으로써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양쪽에 두 개의 냉각팬이 열을 빠르게 배출하며, 6개의 히트파이프가 CPU와 GPU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이 이동시킨다. 특히 CPU와 GPU의 히트파이프를 공유하는 형태로 설계해 어느 한쪽이 온도가 높더라도 열을 빠르게 이동시킨다.
![]() |
||
▲ 두 개의 냉각팬이 열을 빠르게 배출한다. |
실제 냉각 성능은 어느 정도일지 배틀그라운드 게임을 약 1시간 플레이한 후 열화상 카메라로 노트북 표면 온도를 측정해 봤다(실내 온도 22도). 아래 이미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팬에 의해 열이 빠져나가는 에어벤트에 열이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CPU와 GPU 사용량이 꽤 높지만 가장 높은 곳의 온도는 50도를 넘지 않았다.
![]() |
||
▲ 노트북 전면 열화상 이미지 |
![]() |
||
▲ 노트북 후면 열화상 이미지 |
한편 냉각팬은 MSI센터 앱을 이용해 CPU 및 GPU의 작동에 따라 세심하게 조절할 수 있다.
![]() |
||
▲ 냉각팬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
사용자 맞춤 설정 가능한 컨트롤 타워 ‘MSI Center’ 앱 제공
노트북을 쉽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용 소프트웨어인 ‘MSI Center’를 함께 제공한다. CPU와 GPU의 점유율, 메모리와 SSD 사용량은 물론이고, 동작 클럭, 냉각팬과 온도 등 노트북의 전반적인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제어 기능을 이용해 노트북을 상황에 따라 익스트림, 균형, 조용, 배터리 절전 등의 모드로 설정해 쓸 수 있다. 또는 AI 모드를 통해 자동으로 노트북의 자원을 조절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