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출시된 CPU 중 가장 인상적인 제품을 꼽으라면 십중팔구는 'AMD 라이젠7-4세대 5800X3D'를 언급할 것이다. 무려 96MB에 달하는 L3 캐시를 탑재함으로써 경쟁사 제품은 물론 자사의 상위 모델까지 모두 압살하는 엄청난 능력을 보여주며, 게이밍 프로세서의 최강자로 군림했다.
특히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는 AMD EPYC 프로세서에너 적용됐던 3D V-캐시(Cache)를 데스크톱용 프로세서에 접목했다는 점에서 AMD의 앞선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예라는 호평을 듣기도 했다. 이에 출시와 동시에 그야말로 역대급 괴물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게이머들 사이에서 머스트 헤브 아이템으로 인정받았다.
AMD가 이러한 역대급 괴물을 뛰어넘는 또 하나의 괴물을 내놓았다. 바로 'AMD 라이젠9 7950X3D'가 그 주인공이다. 이미 '라이젠 5800X3D'로도 차고도 넘치건만, 이보다 더 강력한 상위 모델을 출시함으로써 경쟁에 우위를 점하고자 한 것이다.
과연 괴물 프로세서라 불리는 'AMD 라이젠9 7950X3D'의 특징은 무엇이며,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테스트를 통해 알아봤다.
![]() |
||||||||||||||||||||||
|
'AMD 라이젠9 7950X3D'는 이미 출시된 'AMD 라이젠9 7950X'와 닮은 듯 다른 제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코어의 수나 클럭, PCI 지원 여부는 비슷하지만, 캐시 메모리의 용량에서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물론 TDP (열 설계전력)도 다르다.
![]() |
||
앞서 언급했듯 'AMD 라이젠9 7950X3D'는 3D V-캐시(Cache)라는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됐다. 이로 인해 앞서 출시된 '라이젠 5800X3D'와 마찬가지로 L3 캐시의 용량이 비약적으로 늘었다. 캐시를 3차원 적층 방식으로 수직 배치함으로써 기존 L3 캐시의 용량을 64MB에서 128MB로 무려 2배나 높인 것이다.
![]() |
||
기존 프로세서는 L3 캐시를 중심으로 코어가 배치된 형태로 설계됐다. 하지만 3D V-캐시 기술이 접목된 프로세서는 기존에 L3 캐시 다이의 높이를 줄이고, 그 위에 64MB 용량의 L3 캐시를 하나 더 쌓는 적층형 구조로 설계돼 128MB라는 말도 안되는 용량을 구현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L2 캐시와 합친다면 무려 144MB에 달하는 캐시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 |
||
이렇듯 새로운 적층 형태의 프로세서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밀도와 열 관리, 유기적인 연결성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적층의 L3 캐시와 기존 다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실리콘 전극 방식의 '하이브리드 본드(Hybrid Bond) 3D'라는 기술을 얹었고, 기존 L3 캐시의 높이를 줄여주는 다이 씨닝(Die Thining)까지 더해져 궁극적으로 3D V-캐시라는 새로운 기술이 탄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
||
결과적으로 L3 캐시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데이터 처리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프로그램 연산 및 게임의 초당 프레임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 것이다.
![]() |
||
여기까지는 이전에 출시된 '라이젠 5800X3D'와 동일한 특징이다. 하지만 'AMD 라이젠9 7950X3D'의 진짜 장점은 따로 있다. 바로 'AMD 라이젠9 7950X'와 동일한 부스트 클럭을 갖췄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TDP는 오히려 낮아졌다는 점이다.
![]() |
||
'라이젠 5800X3D'는 앞서 출시된 '라이젠 5800X'에 비해 높은 L3 캐시 용량을 갖춘 반면 부스트 클럭은 낮아 일부 작업에서는 성능이 뒤쳐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AMD 라이젠9 7950X3D'는 동일한 5.7GHz의 부스트 클럭으로 작동하기에 사실상 모든 면에서 'AMD 라이젠9 7950X'를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 |
||
이는 CPU를 이루는 2개의 CCD 중에 하나의 CCD에만 3D V-캐시를 적용했기에 가능한 결과물이다. 즉 하나의 CCD에는 3D V-캐시를 적용함으로써 L3 캐시의 용량을 늘리고, 또 다른 CCD는 기존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부스트 클럭을 높이게 된 것이다.
만일 캐시의 활용도가 높은 고성능의 컴퓨팅 작업이나 게임의 구동 시에는 3D V-캐시가 적용된 CCD를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높은 부스트 클럭을 요하는 일반적인 컴퓨팅 작업에는 다른 CCD를 먼저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 것이다.
![]() |
||
그럼에도 불구하고 TDP는 120W로 오히려 'AMD 라이젠9 7950X'의 170W에 비해 50W나 줄었으니, 전력대비 성능 면에서도 큰 개선을 이루게 된 것이다. 말 그대로 성능과 전력의 공수양면에서 최강의 제품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 |
||
기본 사양 면에서도 나무랄 곳이 없다. 16개의 코어를 탑재했으며, 실제 작동 시 32개의 쓰레드로 인식된다. 멀티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이나 프로그램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줄 수 있다.
DDR5 메모리를 지원하고, 최신 PCIe 5.0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플랫폼을 구성하기에도 적합하다. 이렇듯 다양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MSRP(출시가)가 'AMD 라이젠9 7950X'와 동일한 699달러라는 점은 결과적으로 가격대비 성능 면에서도 압도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 |
||
그렇다면 3D V-캐시로 L3 캐시의 용량을 2배로 늘린 'AMD 라이젠9 7950X3D'의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몇몇 벤치마크 프로그램과 게임의 테스트를 통해 알아봤다.
비교 대상으로는 경쟁사의 최상위 라인업이라 할 수 있는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를 선정했다. 아울러 AMD 메인보드로는 'Crosshair X670E HERO'를, 인텔 메인보드로는 'ASUS PRIME Z690-A'를 사용했으며, 그래픽카드로 지포스 RTX4090을 장착했다.
![]() |
||
<테스트 사양>
CPU : INTEL i9-13900K, RYZEN 9 7950X3D
MB : ASUS PRIME Z690-A, Crosshair X670E HERO
RAM : DDR5-5600 8GB x 2ea
VGA : Geforce RTX 4090
SSD : Seagate FireCuda 520 M.2 NVMe 2TB
PSU : FSP HYDRO G PRO 1000W 80PLUS Gold Full Modular
OS : Windows 11 Pro 22H2
먼저 씨네벤치 R23을 구동한 후 결과를 알아봤다. 테스트 결과 싱글과 멀티 코어 테스트 모두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가 'AMD 라이젠9 7950X3D'를 소폭 앞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다음 7-ZIP 벤치마크를 통해 성능을 측정한 결과 앞서와 달리 'AMD 라이젠9 7950X3D'가 방대한 L3 캐시의 영향 탓에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를 약 8% 가량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
블렌더 벤치마크에서는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가 'AMD 라이젠9 7950X3D'를 앞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다음 게임에서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인기 게임을 구동한 후 프레임을 알아봤다. 먼저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배틀그라운드를 1920X1080의 해상도에서 최고 옵션을 적용해 구동한 후 평균 프레임 및 1% Low 프레임을 측정해봤다.
그 결과 평균 프레임에서 'AMD 라이젠9 7950X3D'는 평균 328점으로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에 비해서는 약 25% 가량 높은 것으로 측정됐다. 1% Low 프레임 역시 'AMD 라이젠9 7950X3D'가 약 10% 가량 높게 측정됐다.
![]() |
||
다음으로 최근 많은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로스트 아크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앞서 배틀그라운드와 마찬가지로 'AMD 라이젠9 7950X3D'는 평균 프레임에서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에 비해 약 10%를, 1% LOW 프레임에서 약 25%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DOTA2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는 더욱 놀라웠다. 'AMD 라이젠9 7950X3D'는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에 비해 평균 프레임에서 무려 약 48%, 1% LOW에서 25%나 높은 점수를 얻어냈다.
![]() |
||
레이싱 게임인 F1 22에서 평균 프레임을 알아본 결과 'AMD 라이젠9 7950X3D'는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에 비해 약 10%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새로운 왕을 영접하라 'AMD 라이젠9 7950X3D'
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결과 'AMD 라이젠9 7950X3D'는 경쟁 제품이라 할 수 있는 '인텔 13세대 코어 i9 13900K'에 비해 게임에서 확실한 우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 |
||
일부 벤치마크에서는 소폭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사실상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왔기에 전체적인 성능 면에서는 'AMD 라이젠9 7950X3D'에 더 많은 점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국내 출시 가격이 아직 책정되지 않았기에 가격대비 성능을 논하기는 이르지만, 하이엔드 게임을 위한 최고 사양의 게이밍PC를 꾸미고자 하는 소비자라면 현존 데스크톱용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
참고로 3D V-캐시(Cache)가 적용된 모델은 'AMD 라이젠9 7950X3D'외에도 'AMD 라이젠9 7900X3D'와 'AMD 라이젠7 7800X3D'도 함께 출시될 예정이다. 각 모델마다 코어의 개수와 클럭, 캐시 용량의 차이가 있으니, 용도에 맞는 모델을 선택한다면 후회 없을 것으로 보인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