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을 구입하려는 사람들, 그중에서도 고용량 모델 선택의 이유를 물었을때, 많은 답변중 하나가 바로 사진을 많이 찍고 저장하기 때문에 고용량 모델을 선택했다는 답변이 많았다.
또, 사진을 많이 찍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많은 사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클라우드 사진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대표적으로 '구글 포토'가 있었다.
구글 포토에서는 작년 상반기 까지만해도 무료로 무제한 사진 저장, 쉬운 분류 기능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저장 공간이 유료화되고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프라이버시 문제등이 부각되면서 제 3자의 서비스 공간에 사진을 관리하는 것이 다소 불안해 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사람들은 보다 믿을 수 있고 편리한 사진 관리 환경은 없을까 찾기 시작했고, 대표적인 대안으로 NAS를 활용한 개인 클라우드 공간 구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다양한 NAS 제조사중 한 곳인 Synology NAS에서 이러한 니즈에 가장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준비해보았다.
■ 개인 클라우드 공간? NAS란?
NAS의 인식이 많이 알려지긴 했지만, 아직도 생소한 사람들을 위해 설명해보자면,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인터넷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NAS는 인터넷에 나만의 데이터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서버를 개인화 시킨것으로, 문서, 동영상, 사진 등과 같은 무수한 데이터 파일들을 중앙 집중식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터넷을 활용 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NAS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여타 유명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만의 서버이고 내가 관리자인 만큼, 자유롭게 원하는 데이터 형식을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고, 공개되어 있지 환경이기에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NAS는 이러한 데이터 저장 및 활용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백업용, CCTV 환경 지원, 기타 다양한 관리 애플리케이션도 지원해 사용 역량에 따라 무궁무진한 환경 구축이 가능한 솔루션이다.
여러 NAS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주목 받는 NAS는 바로 Synology의 NAS로, 그 이유는 서론에서도 언급했던 구글 포토에 비교해도 모자람 없는, 혹은 더 유용한 사진 관리 솔루션인 Synology Photos가 기본 제공되기 때문이다.
■ 고성능 고용량 지원의 최신 NAS를 원한다면, Synology DS923+
구글 포토를 대체할 Synology Photos를 이용하려하며, 겸사겸사 NAS를 적극 도입해보려 마음 먹었다면 어떠한 제품을 고르면 좋을까?
고성능 고용량 활용이 가능한 최신 제품을 선택하고 싶다면, 4베이를 지원하는 Synology DS923+ 모델을 눈여겨보는 것을 추천한다.
Synology DS923+ 모델은 개인부터 스튜디오, 중소 기업 까지 아우를 수 있는 최신 모델이다.
CPU는 듀얼코어를 지원하는 AMD Ryzen R1600이 탑재되었고, 메모리는 4GB DDR4가 탑재되었고 추가적으로 최대 32GB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NAS의 연산성능이 일반 PC만큼 필요하지는 않다고 알려져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충분한 연산 성능의 CPU, 그리고 메모리가 확보되면 더욱 쾌적하게 내부 솔루션이 구동될 수 있다.
Synology DS923+ 모델 사양이라면 부족함을 느끼지 않을 사양으로 보인다.
Synology DS923+ 모델은 기본적으로 4개의 베이로 스토리지를 활용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확장 장치인 Synology DX517로 HDD 9개를 확장해 최대 120TB 이상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2개의 RJ-45는 기가비트를 지원하며, Link Aggregation 집계 기능으로 자동화된 네트워크 페일오버 및 로드 밸런싱을 지원한다.
내장 10Gbe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슬롯도 제공되는 만큼, 더 큰 네트워크 전송 대역폭으로 업그레이드도 노려볼 수 있다.
Synology DS923+ 모델은 M.2 NVMe SSD 스토리지 풀 빌드도 지원한다. 내장된 PCIe 슬롯을 이용해 시스템 캐시로 추가 설치해서 보다 빠른 스토리지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액세스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됐다.
이번 Synology DS923+ 모델을 살펴볼 때, 씨게이트의 NAS를 위한 대표적인 HDD인 아이언울프 Pro 12TB를 활용했으며, DSM 버전은 7.1 버전을 설치했다.
■ 비용, 관리, 프라이버시, 구글 포토 대체, Synology Photos
구글 포토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사진을 저장해왔던 사용자들에게 클라우드 포토 솔루션인 구글 포토의 유료화는 상당히 충격으로 다가왔고, 결국 대체제를 찾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아졌다.
그리고 결국 손꼽히는 것중에 하나가 NAS를 활용한 개인 클라우드 포토 솔루션이였고, 가장 많이 언급 되는 것이 Synology NAS를 이용해서 사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 Synology Photos다.
과연 Synology Photos이 구글 포토를 대체 가능할까? 비용과 관리 기능들, 보안과 프라이버시 등의 다양한 부분을 살펴봤다.
▲ 구글 포토 구독료
일단 비용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확연히 갈린다.
유료화된 구글 포토의 경우, 월/년 단위로 구독료를 지불해야 하며, 높은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할 수록 더 비싼 구독료를 지불하는 형식이다.
예를 들어 구글 클라우드 5TB 요금제를 3년동안 구독하면 100만원이 넘게 비용이 들 수 있다.
반면, Synology Photos를 위한 적당한 Synology NAS, 8TB HDD 2개로 16TB NAS 환경을 구축한다해도 80만원 수준에 머무른다.
따라서, 초기 구축비용은 Synology Photos가 더 비싸지만, 장기적인 면으로 Synology Photos가 더 저렴하다고 보여진다.
비용적인 측면에 유지 보수 명목도 포함할 수 있는데, Synology Photos를 이용하는 NAS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대신, 서버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만큼 관리를 별도로 해야한다는 점이 있다.
NAS 자체의 고장률은 낮은편이고 3~5년의 보증 서비스 등으로 걱정 없이 사용해 나갈 수 있다.
반대로 구글 포토와 같은 공공 클라우드 환경은 구글이 유지 보수를 해주긴 하나, 서버에 문제가 생기거나 중단될때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없어 매우 수동적이며, 향후 데이터에 따라 요금 인상 등으로 추가 요금을 요구받을 수도 있는 등의 유지보수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는 관리 기능 부분이다.
구글 포토의 장점으로 AI 식별 기능을 제공해 내가 별도로 분류하지 않아고, 인물이나 장소, 사물, 애완동물 등으로 앨범을 스스로 분류 해주는 기능이 상당히 편리하다.
Synology Photos도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물, 장소, 레이블 태그 앨범이 존재하고, 향후 더 추가된다고 알려졌다.
또 다른 관리 기능으로, 사진 검색 기능과 이를 살펴보는 브라우징 모드 환경이 있는데, 구글 포토는 타임라인 위주로만 볼 수 있어서 특정 사진 찾기가 상당히 어렵다.
Synology Photos는 사용자 관점에서 다양한 브라우징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타임라인은 물론, 폴더 별, 카메라 촬영정보별, 등등 다양한 검색 기능과 전문적인 요소를 더해 사진을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습이다.
프라이버시 부분도 핵심이다.
구글 포토의 경우에는 구글이 뛰어난 보안성을 구축해놓긴 했지만, 어쨋든 공유 클라우드 인만큼, 식별 연산을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처리해서 개인 사용자의 자료가 읽히고 엑세스 될수 밖에 없다.
때문에, 내 사진이 어쨋든 오픈되어야한다는 뜻이며, 알고리즘을 위해 사진을 검사하고 확인하게 될 수 밖에 없다.
반면, Synology NAS를 이용한 Synology Photos의 경우, 자체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이기 때문에, 100% 완전한 데이터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또, Synology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엑세스 하지 않는만큼 안심하고 사진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구글 포토 대비 Synology Photos가 유용한 부분이라면, 구글 포토는 최대 5명에게 공유할 수 있지만, Synology Photos는 공유 인원수 제한 없이 할당할 수 있어, 자유롭게 인원수로 권한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꼭 개인이 아니라 사진 스튜디오와 같은 공간에서의 다인 업무 등에서 Synology Photos를 이용해봄직도 하다.
또, 사진 업로드 속도에 있어서 구글 포토는 전적으로 외부 네트워크 속도에 달려있지만, Synology Photos는 업로드 효능부분에 있어서 제한이 없고, 수시로 백업할 수 있다.
따라서 수 만장의 사진을 처리하는 것도 크게 문제 되지 않고,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한다면, 더욱 빠른 데이터 전송 및 안정적인 브라우징 환경에서 관리를 이어나갈 수 있다.
■ 최고의 사진 관리부터 다양한 서비스 지원하는 Synology NAS
개인적인 Synology Photos 때문에 NAS 구축을 도전해보는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이번 기회에 Synology NAS를 구축한다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 보다 쾌적한 업무 환경, 서버를 구축해볼 수도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고 말하고 싶다.
예를들어 시놀로지 드라이브 서버를 이용한다면, 사무실이나 스튜디오 와 같은 공간에서 고용량 데이터를 쉽게 엑세스할 수 있으며, 하이퍼 백업 서비스 등을 이용해 안전하고 빠른 백업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영화, 음악 관리 같은 서비스외에도 서베일런스 감시 환경 지원 서비스, 시놀로지 오피스 등등 수백가지의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 용도이외의 무궁무진한 활용을 이어갈 수 있다.
구글 포토를 대체할 수 있는 Synology Photos를 위해 본격적으로 Synology NAS 환경을 구축해보는 것은 강추하며, 이왕 NAS를 구축했다면, 다양한 기능 적극 활용해보는 것도 추천한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