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백만원 이하, 반투명 디자인. 컨셉 확실하구만. MSI 사이보그 15 A12VE-i5

2023.07.14. 09:57:57
조회 수
1,405
3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5761.JPG

 

검은색 게이밍 노트북, LED 백라이트 키보드를 넣어서. 여기까지 쓰면 매우 뻔하고 식상한 게이밍 노트북을 주문하는 것처럼 보이는군요. 그래서 MSI는 독보적인 감성을 더해 다른 게이밍 노트북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게이밍 디자인을 갖춘 MSI 사이보그 15 A12VE-i5를 만들었습니다. 반투명 재질의 측면 커버와 파란색 LED, 그리고 트루 게이밍이라 써진 통풍구까지. 이 정도면 누가 봐도 제품명에 '사이보그'를 왜 넣었는지 감이 올 것이고, 위에서 '독보적이다'라고 한 것도 이해가 되실 겁니다.

 

그래서 예쁘니까 사세요. 이걸로 끝인가요? 당연히 아닙니다. 잘 생겼으면 인생 이지모드 시작이라지만 그건 사람 이야기고, 또 MSI가 디자인 하나만 믿고 제품을 팔 만큼 안일한 회사도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이 노트북의 진가는 디자인보다는 다른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금가 기준으로 백만 원에 맞춘 저렴한 가격이 그것이죠. 백만 원으로 게이밍 노트북이라 할 만한 스펙을 맞추기란 참 어려운 일이지만, MSI는 그걸 코어 i5-12450H와 지포스 RTX 4050의 조합에 144Hz 디스플레이로 풀어 냈습니다. 

 

DSC05746.JPG

 

제품명 MSI 사이보그 15 A12VE-i5 
CPU 인텔 코어 i5-12450H(인텔 12세대, P코어 4개/8스레드에 터보 부스트 4.4GHz, E코어 4개/4스레드에 터보 부스트 3.3GHz, 12MB 캐시, TBP 45W)
메모리 DDR5-4800 16GB(테스트 제품엔 16GB 장착, 판매용은 8GB, 2슬롯, 최대 64GB 장착)
그래픽 NVIDIA 지포스 RTX 4050 랩탑 GPU, GDDR6 6GB(다이나믹 부스트 40W)
스토리지 512GB NVMe M.2 SSD(1슬롯)
디스플레이 15.6인치(39.6cm), FHD(1920x1080) 144Hz, IPS 타입 패널, 밝기 250nits, 안티글레어
웹캠 720p 30fps
입력 장치 펜타그래프 키보드(블루 LED 백라이트, WASD 반투명 키캡, 한글 각인, 넘버 패드, 키 트래블 1.7mm, 대형 터치패드 제공)
네트워크 기가비트 랜
802.11ax WiFi 6. 2.4GHz/5GHz
블루투스 5.2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추가 기능 반투명 디자인 커버
알루미늄 바디 
트루 게이밍 통풍구 
쿨러 부스트(쿨링팬 1개, 히트파이프 3개)
MSI 센터
2화면 동시 출력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I/O 포트 USB 3.2 Gen1 타입 C x1(디스플레이 출력)
USB 3.2 Gen1 타입 A x2
RJ45 유선 랜 x1
3.5mm 오디오 콤보 x1
HDMI x1(4K 60Hz)  
배터리 3셀, 53.5WHr
전원 120W 어댑터
크기 359.36x250.34x21.95~22.9mm
무게 1.98kg
운영체제 프리도스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19473827
가격 990,000원(2023년 7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반투명 커버 아래에 뭐라고 써졌어요? 트루 게이밍 

 

DSC05776.JPG

 

다른 노트북에서는 보기 힘든 MSI 사이보그 15 A12VE-i5만의 디자인 특징은 두 가지. 반투명 소재의 커버와 트루 게이밍이라 써진 하단 통풍구입니다. 반투명 커버는 노트북의 측면과 바닥 일부에 사용했습니다. 노트북의 모든 부분에 이 재료를 쓰지 않은 이유는 간단합니다.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지요.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판에는 알루미늄 재질을 썼습니다. 그래도 한쪽 모서리와 웹캠 부위, 힌지와의 연결 부분에는 반투명 소재를 넣어 눈에 띄도록 했습니다. 바닥의 통풍구는 트루 게이밍 캘리그라피에 맞춘 문양을 넣었고, 키보드엔 파란색의 LED 백라이트를 넣었습니다. '사이보그'라고 하면 사람마다 떠올리는 이미지는 제각각이겠지만, 최소한 MSI가 어떤 사이보그를 떠올리며 이 제품을 만들었는지는 확실하게 느낌이 오네요. 

 

휴대성은 최고는 아닙니다.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우며 성능까지 높은 게이밍 노트북도 있거든요. 하지만 15.6인치의 화면 크기, 21.95mm의 두께, 1.98kg의 무게가 어우러진 바디는 휴대성이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이 정도면 휴대하기 어려운 수준은 아니고요. 그리고 이보다 휴대성이 더 좋은 게이밍 노트북이 많이 비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체로 준수한 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확장 포트는 USB 3.2 타입 C 1포트와 타입 A 2포트를 갖췄고, 유선 랜과 오디오, HDMI 포트가 하나씩 있습니다. 보급형 제품답게 USB-PD 충전은 지원하지 않지만 USB-C를 통한 디스플레이 연결이 가능해, 노트북 본체까지 더하면 총 3대의 디스플레이를 함께 쓸 수 있습니다. 또 외장 디스플레이 연결은 모두 최신 규격을 지원해 4K 60Hz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DSC05689.JPG

 

DSC05688.JPG

 

외부 박스 

 

 

DSC05691.JPG

 

내부 박스

 

DSC05692.JPG

 

박스 위에는 노트북이 있고

 

DSC05693.JPG

 

아래에는 전원 어댑터, 마우스, 타투 스티커 등이 있습니다. 

 

DSC05694.JPG

번들 마우스인 M88의 포장.

 

DSC05695.JPG

 

2개의 버튼과 휠로 구성된 기본적인 디자인의 마우스입니다. 

 

DSC05696.JPG

 

마우스 전면과 바닥.

 

DSC05700.JPG

 

옆에서.

 

DSC05701.JPG

 

DSC05702.JPG

 

마우스 크기.

 

DSC05703.JPG

 

마우스 무게.

 

DSC05704.JPG

 

설명서와 타투 스티커입니다. 몸에 부착하여 개성을 뽐낼 수 있습니다.  

 

DSC05705.JPG

 

전원 어댑터

 

DSC05707.JPG

 

제조사는 치코니이며 용량은 120W입니다. 입력 전력은 프리볼트입니다. 

 

DSC05708.JPG

 

3구 클로버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DSC05709.JPG

 

전원 어댑터와 케이블의 무게는 453g.

 

DSC05710.JPG

 

부직포로 포장된 노트북 본체.

 

DSC05764.JPG

 

MSI 사이보그 15 A12VE-i5입니다. 

 

DSC05723.JPG

 

상판입니다. 

 

DSC05724.JPG

 

화면 상단과 우측 모서리의 반투명 포인트.

 

DSC05727.JPG

 

측면과 힌지의 반투명 소재 커버.

 

DSC05729.JPG

 

상판은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 내구도를 갖췄고, 힌지와 하단 커버에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 개성적인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DSC05730.JPG

 

화면을 열고 안쪽을 봅시다.

 

DSC05731.JPG

 

15.6인치 크기의 화면.

 

DSC05735.JPG

 

720p 30fps의 웹캠.

 

DSC05736.JPG

 

화면 아래의 MSI 로고.

 

DSC05733.JPG

 

풀사이즈 키보드.

 

DSC05737.JPG

 

게임에서 가장 많이 쓰게 될 WASD 키에는 반투명 키캡을 달았습니다. 

 

DSC05739.JPG

 

방향키와 키패드가 달린 키보드.

 

DSC05734.JPG

 

넓은 터치패드. 

 

DSC05740.JPG

 

우측의 제품 정보. 

 

DSC05715.JPG

 

웹캠이 달린 돌출부는 화면을 여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뒷면에는 한 개의 통풍구가 있습니다. 

 

2c7db17be7996b60f6ec9084ee68dbc6.jpg

 

왼쪽에는 켄싱턴 락, 통풍구, USB 3.2 Gen1 타입 A, 3.5mm 오디오 포트

오른쪽에는 USB 3.2 Gen1 타입 A, USB 3.2 Gen1 타입 C(DP Alt 모드 제공), HDMI, 유선 랜, 전원 포트가 있습니다.

 

DSC05717.JPG

 

힌지는 180도 열립니다. 

 

DSC05720.JPG

 

크기는 359.36x250.34x21.95~22.9mm

 

DSC05718.JPG

 

무게는 2kg가 살짝 안 되는 1.98kg입니다. 

 

DSC05745.JPG

 

반투명 재질의 바닥에는 MSI 트루 게이밍 로고를 결합한 통풍구를 넣었습니다.  

 

 

 

심플한 내부 구성. 이걸로도 될까요? 네. 

 

DSC05783.JPG

 

하이엔드 노트북을 열어보면 2개의 쿨링팬과 5개 이상의 히트파이프가 탑재된 경우가 흔합니다. 2개의 팬이 CPU와 GPU를 하나씩 맡고, 한 쪽의 부담이 적을 때는 히트파이프를 통해 열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쿨링합니다. 이 노트북은 그 정도까지는 아니고 1개의 쿨링팬과 3개의 히트파이프가 있습니다. 여기에 탑재된 코어 i5-12450H 프로세서는 고성능 P 코어가 4개로 많은 편은 아니고요. 지포스 RTX 4050 랩탑 GPU도 발열이 심한 GPU는 아니라 MSI는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한 듯 합니다. 실제로도 온도와 소음 테스트에서 평범한 게이밍 노트북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확장성도 보급형 제품답게 평범합니다. 1개의 M.2 슬롯에 512GB 용량의 NVMe M.2 SSD가 장착되었고, DDR5 메모리 슬롯은 2개가 있습니다. 

 

DSC05748.JPG

 

하단 커버 내부.

 

DSC05749.JPG

 

노트북 내부.

 

DSC05752.JPG

 

왼쪽부터 GPU, CPU, 쿨링팬입니다. 가운데의 CPU 아래에는 메모리가, 그 왼쪽에는 m.2 SSD가 있습니다. 

 

DSC05750.JPG

 

쿨링팬의 구경은 50mm.

 

DSC05756.JPG

 

GPU 위를 덮은 2개의 히트파이프와 그 주변의 전원부.

 

DSC05757.JPG

 

3개의 히트파이프가 쿨링팬 주변의 히트싱크에 연결됩니다.

 

DSC05753.JPG

 

2개의 DDR5 SO-DIMM 메모리 슬롯과 M.2 SSD 슬롯. 

 

DSC05759.JPG

 

배터리 오른쪽의 무선 랜 모듈과 스피커. 

 

DSC05760.JPG

 

배터리 왼쪽의 스피커. 

 


4050에 DLSS가 출동한다면 어떨까?

 

DSC05771.JPG

 

MSI 사이보그 15 A12VE-i5는 백만 원이라는 가격 제한과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조건 사이에서 줄을 타는 중책을 맡았습니다. 이 험한 길을 걷기 위한 MSI의 해결책은 코어 i5-12450H와 지포스 RTX 4050의 조합입니다. 코어 i5-12450H는 4P+4E 코어가 12스레드를 제공하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입니다. 최신 프로세서도, 그렇다고 하이엔드 프로세서도 아니죠. 하지만 이걸로 게임이 안 되냐고 물어보면 그건 아닙니다. 무거운 작업을 오랫동안 실행하는 용도로 쓰기엔 부족하지만 지포스 RTX 4050과 조합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기엔 충분하고요. 또 사무용이나 가벼운 작업을 실행하겠다면 그 성능은 남아 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포스 RTX 4050 랩탑은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막내입니다. 이 역시 고성능 그래픽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구성이지요. 다만 옵션을 조절하면 1920x1080 해상도에서 60프레임 정도를 사수하는 건 가능합니다. 이 노트북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144Hz인데 평균 60프레임이면 아쉽다고요? 그럴 때 DLSS를 쓰면 됩니다. 지포스 RTX 40 시리즈는 DLSS 3을 지원해 프레임 생성 기능까지 제공하는데요. 이걸 잘 활용한다면 이스포츠 게임 타이틀에서 144Hz 주사율에 맞추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본 탑재된 SSD는 마이크론 2400입니다. PCIe 4.0 x4 규격의 NVMe SSD답게 순차 읽기 성능은 4.5GB/s에 달합니다. 다만 QLC 방식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DRAM 캐시가 없기에, 호스트 메모리 버퍼를 다 소진하면 성능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입니다. 한 번에 대용량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다소 성능 하락을 겪겠으나, 일단 게임 설치나 데이터 기록을 마친 후 읽기 위주로 활용한다면 크게 불편함을 겪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Cap 2023-07-12 02-03-42-032.png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한 코어 i5-12450H 프로세서

 

Cap 2023-07-10 13-03-01-475.png

 

CPU-Z에서 확인한 코어 i5-12450H 프로세서와 메인보드 스펙.

 

Cap 2023-07-10 13-03-04-798.png

 

메모리 스펙

 

Cap 2023-07-12 02-08-55-951.png

 

메모리와 캐시 대역폭.

 

 

Cap 2023-07-10 14-46-38-914.png

 

GPU-Z에서 확인한 내장 그래픽, 지포스 RTX 4050 랩탑 GPU의 스펙. 

 

Cap 2023-07-12 02-04-39-596.jpg

 

4K VP9 영상 재생 시 점유율

 

Cap 2023-07-12 02-05-13-512.jpg

 

8K AV1 영상 재생 시 점유율

 

Cap 2023-07-14 03-12-36-719.png

 

CPU-Z 17.01

 

Cap 2023-07-14 03-12-26-499.png

 

CPU-Z 19.01

 

Cap 2023-07-14 03-12-51-940.png

 

CPU-Z AVX2

 

Cap 2023-07-14 03-13-01-040.png

 

시네벤치 R23

 

Cap 2023-07-14 03-13-25-722.png

 

X.264 1080p

 

Cap 2023-07-14 03-13-34-089.png

 

코로나 10

 

Cap 2023-07-14 03-11-00-070.png

 

블렌더 CPU 렌더링

 

Cap 2023-07-14 03-11-18-849.png

 

블렌더 GPU 렌더링

 

Cap 2023-07-14 03-10-48-670.png

 

vRay 

 

Cap 2023-07-14 03-11-41-709.png

 

7Zip 압축 성능

 

Cap 2023-07-14 02-59-21-699.png

 

PC마크 10 종합 테스트

 

Cap 2023-07-14 03-01-28-029.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Cap 2023-07-14 02-59-58-279.png

 

3D마크 스피드웨이, 포트 로얄, 타임 스파이

 

Cap 2023-07-14 03-00-29-589.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3-07-14 02-58-47-632.png

 

3D 게임 성능

 

Cap 2023-07-14 02-56-27-799.png

 

DLSS를 지원하는 3D 게임의 성능 


Cap 2023-07-14 02-55-36-779.png

 

DLSS 3의 프레임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 3D 게임의 성능

 

Cap 2023-07-10 10-50-03-223.png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순차 읽기 속도가 4.3GB/s 이상이 나옵니다. 

 

Cap 2023-07-10 12-13-52-630.png


디램리스 SSD라서 캐시 영역을 소진하면 성능 하락이 보입니다. 

 

 

게이밍을 붙였으면 주사율은 144Hz는 되야

 

DSC05772.JPG

 

위에서 본대로 요새 기술이 많이 발달했습니다. CPU는 1, 2세대 전의 제품도 여전히 현역에서 쓸 수 있고, GPU는 DLSS 같은 초해상 기술 덕분에 그리 어렵지 않게 프레임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에선 이런 방법들이 통하지 않기에 아주 정직한 스펙 싸움을 벌여야 합니다. 모든 스펙이 다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높은 주사율만큼은 꼭 확보해야 하지요. 그런데 이 노트북은 가격을 백만 원에 맞춰야 하기에 모든 스펙을 다 가져갈 순 없습니다. 이쯤에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지요.

 

MSI 사이보그 15 A12VE-i5는 144Hz의 주사율로 화면을 표시합니다. 일반 디스플레이보다 두 배 이상으로 부드럽게 화면을 표시하니 게이밍 모니터, 게이밍 디스플레이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지요. 대신 색 영역을 타협했습니다. 측정 결과 어도비 RGB 51%가 나왔습니다. 비싼 게이밍 디스플레이보다는 많이 낮은 숫자지요. 하지만 50%를 채우지 못하는 진짜 저가형 디스플레이보다는 나은 색을 보여주고요. 게이밍 디스플레이에서 색상 표현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빠르고 부드러운 화면 표시가 꼭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납득할 만한 숫자입니다. 이 외에 감마나 색 균일도, 밝기 등은 평범한 수준의 값을 보여 주었습니다.  

 

Cap 2023-07-12 02-16-55-619.png

 

노트북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는 1920x1080 144Hz로 작동하며, HDMI 포트와 USB-C 포트를 써서 4K 60Hz 출력이 가능합니다.

 

 

144Hz 주사율의 디스플레이. 게임 테스트, UFO 테스트, 프레임 테슽, 티어링 테스트, VRR 테스트 영상.

 

DSC05794.JPG

 

1920x1080 해상도.

 

DSC05789.JPG

 

명암 표현

 

DSC05790.JPG

 

색상 표현

 

DSC05791.JPG

 

가독성 테스트

 

P3090784.JPG

 

RGB LED 픽셀 

 

DSC05792.JPG

 

사진 표시

 

DSC05793.JPG

 

영상 재생

 

DSC05797.JPG

 

좌우 178도 시야각

 

DSC05798.JPG

 

상하 178도 시야각

 

Cap 2023-07-12 02-39-35-635.png

 

색영역은 sRGB 기준 68%로 측정됐습니다. 

 

Cap 2023-07-12 02-39-48-691.png

 

감마는 표준에 근접한 2.3

 

 

Cap 2023-07-12 02-40-04-989.png

 

최대 밝기는 260니트를 기록했습니다. 

 

Cap 2023-07-12 02-40-19-514.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26-616.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33-464.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38-261.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43-474.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48-450.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0-57-282.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1-03-234.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7-12 02-41-09-196.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E 2를 살짝 넘습니다. 

 

 

배터리 / 전력 / 소음 / 발열 / 프로그램

 

DSC05778.JPG

 

한 개의 쿨링팬과 세 개의 히트파이프로 CPU와 GPU를 모두 쿨링해야 됩니다. 그게 되냐고요? 됩니다. 에어컨을 켜서 실온을 26도로 맞춰두고 테스트했는데, 인텔 H 시리즈 프로세서가 탑재된 노트북이 다들 그렇듯 시네벤치 같은 풀로드 상황에서는 온도가 90도까지 올라갑니다. 이 때 소음은 50dB 초반이고요. 하지만 테스트가 끝나고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바로 조용한 상태로 돌아오기에, 실사용에서는 큰 지장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게이밍 노트북의 주요 전장이 될 GPU 위주의 테스트에서는 소음과 발열은 더욱 낮았는데요. 이는 지포스 RTX 4050의 발열이 많은 편이 아니라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의 쿨링팬에 열이 몰리기에 히트싱크 바로 위나 통풍구 쪽의 온도는 다소 높지만, 손이 닿는 부분의 온도는 평범한 편이었습니다.  

 

게이밍 노트북에서 배터리는 비상용 내지는 보조일 뿐입니다. 책상 위에 자리를 잡고 항상 어댑터를 연결해 둬야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게이밍 노트북에서 배터리 용량은 크면 좋고, 낮아도 그다지 아쉬운 스펙은 아닙니다. 여기에 탑재된 3셀 배터리는 3시간 30분 동안 영상 재생과 웹서핑을 할 수 있었습니다. 주사율을 평범한 수준인 60Hz로 낮춘다면 거기에서 한 시간이 더 늘어나고요. 배터리 용량은 크지 않았으나 충전 시간 역시 짧아 1시간만에 완전 충전이 가능했습니다. 전력 사용량 역시 높은 편은 아닙니다.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시네벤치에서도 106W를 기록했으니 저전력 시스템이라 할 만합니다.

 

바이오스에선 기본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트북을 쓰면서 바이오스에 들어갈 일은 거의 없고요. 노트북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들은 MSI 센터나 나히믹 사운드 같은 번들 프로그램에서 제공합니다. 여기에선 AI 최적화 기능을 켜거나 수동으로 성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시스템 진단과 분석 기능을 통해 보다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DSC05768.JPG

 

블루 LED 백라이트가 달린 키보드.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테스트

 

Cap 2023-07-14 03-05-00-209.png

 

배터리 사용/충전 시간. 

 

Cap 2023-07-14 03-06-11-359.png

 

전력 사용량. 

 

Cap 2023-07-14 03-05-26-330.png

 

스피커 볼륨

 

Cap 2023-07-14 03-10-04-819.png

 

CPU/GPU 온도

 

JQDZ8443.JPG

DFQO3781.JPG

 

노트북 표면 온도.

 

Cap 2023-07-14 03-10-23-342.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

 

bios.gif

 

바이오스 메뉴

 

center.gif

 

MSI 센터에서 제공하는 설정 기능

 

nahimic.gif

 

나히믹 오디오 프로그램

 


MSI 사이보그 15 A12VE-i5

 

DSC05787.JPG

 

백만 원의 빠듯한 예산에 맞춰 게임 되는 노트북을 찾는다면 정답이 여기에 있습니다. 총 8코어로 구성된 코어 i5-12450H 프로세서와 지포스 RTX 4050 조합으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스펙을 갖췄습니다.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DLSS 3와 프레임 생성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144Hz의 주사율에 맞춰 부드러운 화면으로 게임 플레이를 즐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 다른 노트북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디자인도 MSI 사이보그 15 A12VE-i5만의 특징입니다. 평범한 게이밍 노트북 디자인에 식상함을 느끼고 있거나, 차별화된 디자인을 지닌 제품을 써보고 싶다면 그것만으로도 이 노트북을 써 볼 이유는 충분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일론 머스크, 챗GPT에 대항하는 xAI를 발표
IEEE 802.11bb 글로벌 광통신 표준 출시
팔릿, PCIe x8 슬롯의 지포스 RTX 4060을 출시
AI가 만든 이미지로 5번만 훈련시키면 결과물이 이상해짐
소니, 새 APS-C 카메라 a6700 발표
주간뉴스 7/10 - 5600X3D 성능, 7500F, 새 보조전원, 4060 Ti 반응, 코어 X 단종, 26일 삼성 언팩, 미제 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와! 이게 노트북이라고? RTX5080을 품은 게이밍노트북 레노버 리전 Pro7i 테스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날렵하고 가벼운 최고급형 슬림 노트북, 삼성전자 갤럭시북2 프로 SE NT950XFT-A51A 한사랑씨앤씨 (1) 노트포럼
당신의 Life를 바꿔 줄 실용성 끝판왕 노트북 '에이서 아스파이어 라이트 16 AL16-52P' (5) 미디어픽
현존 최상위 비지니스 랩탑은 얼마나 좋을까? HP EliteBook X G1a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압도적인 성능 적수가 없다, ASUS ROG STRIX SCAR 18 G835LX-SA041W (3) 노트포럼
2025년 최신 조합 게이밍 노트북.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2) 기글하드웨어
전문가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성능 노트북, MSI 벤처 A16 AI+ A3HMG-R7 2K OLED (1) 노트포럼
AI부터 게임까지 다재다능 노트북, MSI 스텔스 14 AI Studio A1VFG-U7 퓨어 화이트 (1) 보드나라
갖출건 다 갖췄네? 레노버 ThinkPad E16 등장! (1)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M4 맥북 에어, 불편한 질문 6가지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리뷰] 게이밍 노트북∙태블릿이 하나로, 에이수스 ROG 플로우 Z13(GZ302) (2) IT동아
최신 게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게이밍 노트북, MSI 소드 17 HX B13VGKG-i9 QHD WIN11 (1) 케이벤치
이건 진심 혁신이다! 왜 여태 아무도 안한거래?? | ASUS ROG Strix SCAR 16 전격해부 (2)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인강용으로 이만한 선택이 있을까요? 가성비 넘치는 MSI 모던시리즈 모던 15 B7M-R5 포스 W11[노리다]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인텔 애로우레이크 기반 고성능에 휴대성까지 챙긴 AI 노트북 ‘MSI 모던 15 H AI C2HMG-U7’ (1) 뉴스탭
몬스터헌터 : 와일즈 4K+ 풀옵션 되는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 MSI 레이더 18 HX AI A2XWIG-U9 (8) 다나와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지원! 맥북에서 가능한 기능 총정리 (6) 동영상 있음 다나와
대학생 여러분! 가성비 끝판왕 노트북 보고 가세요~ ASUS 비보북 16 X1607CA-MB081W[노리다]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2025년 LG와 삼성 노트북 완벽 비교! 구매 전 꼭 봐야할 영상 (3) 동영상 있음 노써치
갤럭시 북5 Pro 역대급이네,,, 루나레이크 사야 하는 진짜 이유 (1) 동영상 있음 THE EDIT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