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미니LED는 밝기가 달라. 더함 스마트 75 MiniLED 144Hz 로컬디밍 돌비 AI 구글3.0 게이밍프로

2024.02.01. 10:09:32
조회 수
5,027
10
댓글 수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0729.JPG

 

요새 TV가 많이 발전했습니다. 너무 많이 발전해서 그런가 더 이상 나아질 수 있는 부분이 남아 있기는 할까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화면 크기는 기술이 없어서 못 키운다기보다는 둘 장소가 없어서 못 늘리는 쪽에 가깝지요. TV를 설치할 공간과 돈만 있다면 100인치에 육박하는 모델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 역시 기술 보급보다는 4K 다음의 8K 해상도 소스 보급 문제가 큽니다. 8K 영상 소스가 있어야 하드웨어도 의미가 있으니까요. 대신 주사율을 높이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지요. 이제 게이밍 TV라고 주장하는 제품들은 콘솔 게임기의 4K 120Hz 정도는 당연히 지원하고, 그 이상인 144Hz까지 확장한 제품도 나오고 있습니다. 스마트 TV 기능의 경우 처음에는 고성능 프로세서와 구글 OS를 채택하면서 단순히 넷플릭스와 유튜브 재생이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 구글 어시스턴트 음성 명령과 스마트 홈 제어, 앱 설치까지 가능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전할 만큼 발전했으니 아무거나 사도 된다는 말을 하려는 건 아닙니다. 위에서 TV의 여러 스펙을 이야기하긴 했지반 정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직 말하지 않았거든요. 바로 디스플레이의 종류지요. 어떤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는지에 따라서 최대 밝기와 명암비, 제품의 수명과 가격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TV를 고를 때에는 가격이나 화면 크기, 제공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어떤 디스플레이를 썼는지도 철저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는데요. 더함은 2024년형 신제품으로 미니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게이밍 TV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최대 1600cd/m2에 달하는 밝기로 압도적인 화면 표현을, 그리고 960구역 로컬 디밍과 7000:1의 명암비를 실현해 확연하게 깊은 흑백 대비를 재현해 낸 제품이지요. 여기에 넓은 색영역으로 사실적인 표현을, 게이밍 TV답게 최고 144Hz의 주사율로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주며 구글의 스마트 TV 기능을 제공하니 사용까지 편리합니다. 

 

DSC00732.JPG

 

 

제품명 더함 스마트 75 MiniLED 144Hz 로컬디밍 돌비 AI 구글3.0 게이밍프로
패널 종류 VA(RGB 픽셀 배열, QLED DCI-P3 95%, 미니 LED 960구역 로컬 디밍, 안티글레어)
화면 크기 75인치(191cm), 16:9 비율 
가시 화면 영역 1660x9340cm
권장/최대 해상도 3840x2160, 4K UHD
픽셀 피치 0.317mm
최대 표시 색상 10억 7천만 컬러, 10비트
최대 밝기 최대 1600cd/m2
명암비

일반 명암비 7,000:1

동적 명암비 5,000,000:1

응답 속도 5ms
시야각 상하좌우 178도
수직 주파수 최고 144Hz
프로세서 리얼텍 RT2885N(Arm Cortex-A75 2코어, Cortex-A55 2코어, 이미지네이션 BXE GPU, DDR4 3GB 램, 32GB eMMC 스토리지 
화질

4K 업스케일링

광색역

MEMC

AV1, HLG, AIPQ

크로마 서브 샘플링 4:4:4

HDR 지원(돌비 비전 IQ, HDR 10, HLG)

플리커 프리

HDCP

TV 기능

구글 3.0 OS(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웹브라우저, 스마트 TV)

USB 미디어 플레이어(영상, 음악, 사진 재생)

4K 넷플릭스 인증, 4K 유튜브 지원

풀 HD TV 튜너 내장

HDMI ARC/CEC, 클리어 쾀

리모컨 내장 마이크

입/출력 단자

HDMI 2.1 x2(3840x2160 144Hz, 48Gbps)

HDMI 2.0 x2(3840x2160 60Hz, 18Gbps)

USB 3.0 x1

USB 2.0 x1

ATSC RF 안테나 x1

유선 랜 포트 x1

3.5mm 사운드 출력 x1

광 출력 x1

2.4GHz/5GHz 듀얼 밴드 무선 랜

블루투스 5.1

소비 전력

대기 0.45W

일반 92.7W

최대 390W

내장 스피커 15W x2
20W 우퍼
돌비 아트모스 
크기

스탠드 제외 1672x965x75mm, 무게 29.6kg

스탠드 포함 1672x1029x370mm, 무게 30kg

포장 박스 1840x1103x190, 무게 39.5kg 

베사 마운트 400x300mm, M6 나사
참고  https://brand.naver.com/theham/products/9753814549
가격 1,599,000원(2024년 1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배송비 30,000원)      

 

 

정갈한 메탈 프레임, 빵빵한 서브 우퍼

 

DSC00731.JPG

 

중소기업 TV가 대기업 TV보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그렇다고 생김새까지 싼티가 난다면 어떨까요? 가격이 정말 많이 싼 게 아닌 이상 안 팔릴거고, 40인치 급의 보급형 TV라면 그래도 용서가 되겠지만 75인치에 미니 LED를 넣은 고급형 TV라면 볼품없는 디자인은 용납이 안 되지요. TV가 됐건 모니터가 됐건 요새 디스플레이의 트렌드는 정면에선 화면 말고 다른 게 눈에 띄지 않아야 합니다. 더함의 2024년형 75인치 미니 LED TV도 그런 추세를 출실하게 따르고 있지요. 화면을 감싼 프레임을 금속 재질로 만들어 75인치의 넓은 화면을 든든하게 감싸주고, 5mm의 얇은 베젤로 존재감을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TV에서 가장 중요한 화면을 파손에서 보호한다는 실용적인 기능과 더불어 높은 완성도의 디자인까지 갖출 수 있었습니다. 모니터를 지탱하는 스탠드도 프레임과 똑같이 금속 소재를 쓰고 회색으로 맞췄으며, 중앙 하단에는 리모컨 수신부와 작동 LED가 있습니다. 

 

뒷면 중앙에는 400x300mm 규격의 베사 마운트 홀이 있어 다른 스탠드나 벽에 TV를 거치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봤을 때 기준으로 왼쪽에는 전원 케이블을, 오른쪽에는 나머지 다른 포트를 모두 넣었는데요. 3개의 HDMI 포트 중에 2개는 3840x2160 해상도를 144Hz까지 입력받을 수 있어 컴퓨터나 콘솔 게임기에 연결해 게이밍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제격이고요. 나머지 하나의 포트도 3840x2160 60Hz의 고해상도 입력을 지원합니다. TV에서 직접 컨텐츠를 재생할 때 사용하는 USB 포트는 USB 3.0 규격이 1개, USB 2.0 규격이 1개가 있어 고성능 드라이브나 입력 장치를 연결할 확장성을 제공하고, 블루투스 5.1로도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TV에 기본 내장된 15W 2개의 스테레오 스피커와 20W 출력의 서브 우퍼라면 어지간한 사람들은 사운드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지 않겠지만, 3.5mm 출력과 광 출력 포트를 사용해 홈시어터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TV니까 당연히 RF 안테나 단자가 있고요. 유선 랜과 더불어 2.4GHz/5GHz 무선 랜을 제공해 OTT나 인터넷의 컨텐츠를 바로 재생합니다. 

DSC00727.JPG

 

정면. 사진으로만 보면 이게 75인치인치 40인치인지 구분이 되지 않기에-

 

DSC00725.JPG

 

크기 비교용으로 14인치 노트북을 오른쪽 아래에, 30cm짜리 자를 왼쪽 위에 뒀습니다. 이제 75인치가 얼마나 큰지 감이 오시겠지요.

 

DSC00741.JPG

 

화면까지 켜면 구분이 더 잘 되시겠죠? 

 

DSC00751.JPG

 

메텔 프레임으로 화면을 감싸 디자인과 내구도를 모두 잡았습니다. 

 

DSC00726.JPG

 

화면은 크지만 베젤은 얇습니다. 

 

DSC00748.JPG

 

화면 중앙 하단의 리모컨 신호 수신부와 전원 LED. 

 

DSC00750.JPG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의 스탠드.

 

DSC00716.JPG

 

옆에서. 패널만 얇고 기판이 있는 부분은 뒤로 튀어나온 게 아니라, 완만한 곡선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어 디자인 완성도가 높습니다.

 

DSC00722.JPG

 

제품 두께.

 

DSC00723.JPG

 

스탠드 크기.

 

DSC00721.JPG

 

400x300mm 규격의 베사 마운트 홀.

 

 

 

DSC00717.JPG

 

뒷면 우측의 전원 케이블.

 

DSC00720.JPG

 

뒷면 좌측의 포트입니다.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설명합니다. 

USB 2.0 x1

USB 3.0 x1

유선 랜 포트 x1

ATSC RF 안테나 x1

광 출력 x1

HDMI 2.1 x2(3840x2160 144Hz, 48Gbps)

HDMI 2.0 x2(3840x2160 60Hz, 18Gbps)

3.5mm 사운드 출력 x1

 

그리고 무선 규격으로 2.4GHz/5GHz 듀얼 밴드 무선 랜과 블루투스 5.1을 제공합니다. 

 

DSC00752.JPG

 

리모컨입니다. 한국 시장의 특성에 맞춰 넷플릭스와 유튜브 외에도 쿠팡 플레이와 웨이브의 바로가기 버튼이 있습니다.

 

 

 

미니 LED라서 1600cd/m2, 게이밍 TV라서 144Hz

 

DSC00738.JPG

 

이 TV에서 가장 중요한 스펙은 미니 LED 디스플레이입니다. 미니 LED는 이름 그대로 작은 LED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지요. OLED와 비교하면 더 큰 화면을 더 저렴하게 만들 수 있으며 화면이 더 밝고, 무엇보다 OLED의 고질병인 번인이 없습니다. 그래서 밝고 큰 화면을 저렴하게 구입하길 원하거나, 수명 걱정할 필요 없이 오랫동안 TV를 쓰길 원하는 이들에게 제격인 기술이지요. 더함 스마트 75 MiniLED 144Hz 로컬디밍 돌비 AI 구글3.0 게이밍프로에 탑재된 미니 LED는 최고 1600니트까지 밝기를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LCD TV는 물론 OLED에서도 도달하기 힘든 밝은 화면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 로컬 디밍 존을 960개로 나눴습니다. 화면을 나눠서 제어하는 로컬 디밍 존의 수가 늘어날수록 더욱짙고 풍부한 검은색을 표현할 수 있는데요. 기존 미니 LED의 504보다 2배 가까이 많은 로컬 디밍 존을 확보했다는 건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144Hz의 주사율로 화면을 표시합니다. MEMC로 가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UHD에서 해상도를 낮춘 DLG가 아니라, 3840x2160의 4K 해상도를 144Hz의 주사율로 표시하는 진짜 144Hz입니다. 사용 조건이 까다로운 것도 아닙니다. HDMI 2.1 출력이 가능한 게이밍 PC와 연결만 하면 됩니다. 콘솔 게임기에서도 고주사율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144Hz 출력이 가능한 게임기가 없지만 대신 그에 버금가는 4K 120Hz 출력이 가능합니다. 4K 144Hz는 최근 출시되는 게이밍 모니터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조건이나, 거기에 75인치라는 압도적인 크기까지 갖춘 제품은 드뭅니다. 더함 스마트 75 MiniLED 144Hz 로컬디밍 돌비 AI 구글3.0 게이밍프로같은 게이밍 TV에서나 가능한 것이죠. 여기에 QLED+ 퀀텀 닷 기술을 조합해 10억 컬러로 구성된 화사한 화면을 보여주며, 색 영역을 확장한 광색역 모드와 빛 반사를 줄인 안티글레어 코팅을 더했습니다. 

 

캡처.PNG

 

3840x2160 144Hz, 그리고 HDR까지 지원합니다. 

 

캡처1.PNG

 

스마트 TV로 인식하며 권장 해상도로 3840x2160을 인식합니다. 출력 색 형식은 RGB니 크로마 샘플링도 문제 없고요.

 

캡처2.PNG

 

HDCP 컨텐츠 보호 기능을 지원합니다. 

 

캡처3.PNG

 

프리싱크와 지싱크 호환 기능을 지원합니다. 

 

 

144Hz 게임 테스트, 144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플리커 프리 테스트 영상.

 

DSC00769.JPG

 

PC 게임입니다. 해상도에 3840x2160(144)라고 뜨지요. 4K 144Hz 출력이 된다는 소리입니다. 그 아래에는 HDR 기능이 활성화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SC00770.JPG

 

HDMI 입력 신호에서도 3840x2160 144Hz HDR10의 화면 출력이 확인됩니다.

 

DSC00801.JPG

 

XBox 시리즈 X를 연결했습니다. 3840x2160 120Hz에 돌비 오디오 출력이 확인됩니다. 

 

DSC00802.JPG

 

게임기 설정에서도 해상도는 4K UHD, 주사율은 120Hz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DSC00803.JPG

 

4K 세부 정부입니다. 'TV가 120Hz에서 4K UHD를 지원합니다'라고 표시하네요.

 

DSC00805.JPG

 

4K 120Hz로 게임 플레이

 

DSC00810.JPG

 

다른 게임에서도 4K 120Hz로 게임 플레이, 거기에 HDR10과 돌비 오디오까지 자동으로 인식해 작동합니다. 

 

DSC00811.JPG

 

게임을 실행하면 바로 게임 모드로 자동 변경되어 최적의 화면과 소리를 들려줍니다.

 

DSC00759.JPG

 

3840x2160 해상도.

 

P3090818.JPG

 

픽셀 배열은 RGB LED.

 

DSC00758.JPG

 

가독성 테스트. 크로마 샘플링 4:4:4를 지원합니다. 

 

 

DSC00743.JPG

 

 

상하/좌우 시야각은 모두 178도.

 

DSC00756.JPG

 

명암 표현

 

DSC00757.JPG

 

색상 표현

 

DSC00760.JPG

 

사진 표시

 

DSC00761.JPG

 

 

영상 재생

 

연사.gif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간이 인풋랙 테스트. 두 숫자가 완벽하게 일치하진 않지만 게임 플레이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 보입니다.

 

 

전능하신 구글신의 스마트 TV 기능

 

DSC00739.JPG

 

독보적인 1600니트 밝기의 미니 LED와 게이밍 디스플레이란 이름 값을 하는 144Hz 주사율이 이 TV의 핵심 스펙이지만, 그런 스펙을 논하기 전에 딱 한 개의 단어만 써서 이 제품이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면 답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TV입니다. 앞에 하나를 더 붙이면 스마트 TV지요. 더 길게 쓰면 구글 스마트 TV입니다. 구글 TV 3.0 버전을 사용해 다양한 OTT를 실행하거나 설치하고, 앱 스토어에서 필요한 앱을 찾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 구글 기반의 스마트 홈 시스템에 연결해 다양한 IoT 장치를 제어하는 허브로 쓰는 것이 가능하고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바로 전송하는 크롬 캐스트, 리모컨에 음성 명령을 내려 실행하는 구글 어시스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TV는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프로필을 나눠서 관리하면 연령에 맞춰 컨텐츠를 추천하고 시청 시간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애들은 싫어하겠지만 부모님은 편안하겠군요.

 

운영체제를 봤으니 다음은 하드웨어 차례입니다. 넷플릭스와 유튜브 외에도 웨이브와 쿠팡플레이처럼 한국 시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OTT의 바로가기 버튼을 리모컨에 넣어 OTT를 빠르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능을 실행하는 SoC의 경우 리얼텍의 RT2885N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합니다. 빅 코어를 Cortex-A75로 업그레이드해 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신 영상 규격인 AV1 코덱을 지원해 고화질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요. 저화질 영상의 경우 4K 해상도에 맞춰서 보정해주는 업스케일링이 작동해 화질을 높여줍니다. USB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영상,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도 물론 있습니다. FAT32가 아닌 NTFS 규격 드라이브도 지원하며 자막 표시부터 4K HDR까지 까다로운 영상도 원활하게 재생합니다.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찾아서 보는 스마트 TV에 초점을 맞추긴 했지만, 풀 HD 튜너를 내장해 지상파 방송도 시청합니다. 

 

DSC00826.JPG

 

TV 메인 화면.

DSC00827.JPG

 

스크롤을 내리면 다양한 앱과 컨텐츠를 추천해 줍니다. 

 

DSC00829.JPG

 

넷플릭스 실행.

DSC00840.JPG

 

넷플릭스에서 4K 해상도로 컨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DSC00841.JPG

 

제가 고려거란전쟁을 안 봐서 모르겠는데, 이분은 이번에 왕으로 나오시나요 아니면 장군으로 나오시나요?

 

DSC00846.JPG

 

유튜브.

DSC00849.JPG

 

3840x2160 해상도 지원

 

DSC00850.JPG

 

컨텐츠 검색

 

DSC00851.JPG

 

HLG HDR 규격의 영상도 자동으로 인식해서 HDR 모드가 켜집니다.

 

DSC00857.JPG

 

3840x2160 60p HDR 영상 재생

 

hdr1.gif

 

HDR 이야기가 나온 김에 PC에서 HDR 모드를 켰을 때와 껐을 때의 화면을 비교해 보시죠.
hdr2.gif

 

HDR 모드가 켜지면 HDR 규격에 맞춰 제작된 영상을 최적의 조건에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앱1.gif

 

넷플릭스와 유튜브 외에도 다양한 앱을 제공합니다. 

 

앱2.gif

 

컨텐츠 추천과 더불어 원하는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앱3.gif

 

플레이 스토어에서 스마트 TV용 앱을 찾아 설치합니다.

 

검색.gif;

 

음성 검색 기능을 지원합니다. 구글 어시스턴트 버튼을 누르고 리모컨에 대고 말하면 됩니다.

채널.gif

 

내장 튜너를 사용하면 풀HD 해상도의 지상파 디지털/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DSC00815.JPG

 

USB 플레이어 기능입니다. 사진, 음악, 영상 재생 기능을 제공합니다.

 

DSC00816.JPG

 

사진 표시

 

DSC00818.JPG

 

음악 재생

 

DSC00823.JPG

 

동영상 재생

 

DSC00861.JPG

 

HDMI 포트 선택

 

계정.gif

 

계정 관리. 키즈 프로필을 만들어 시청 시간과 추천 컨텐츠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DSC00794.JPG

 

설정 초기화

 

색영역.gif

 

넓은 색영역 모드

 

모드.gif

 

HDMI PC/AV 모드

 

색온도.gif

 

색온도 설정

 

ld레벨.gif

 

LD 레벨 설정

 

동적대비.gif

 

동적 대비도 설정

 

영상 소리.gif

 

오디오 설정

 

네트워크 접근성.gif

 

네트워크/인터넷 설정

 

스펙.gif

 

리얼텍 RT2885N 프로세서 탑재. Arm Cortex-A75 2코어, Cortex-A55 2코어, 이미지네이션 BXE GPU, DDR4 3GB 램, 32GB eMMC 스토리지, AV1 코덱 지원.

 

 

더함 스마트 75 MiniLED 144Hz 로컬디밍 돌비 AI 구글3.0 게이밍프로

 

DSC00728.JPG

 

미니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2024년형 스마트 TV입니다. 1600cd/m2의 밝은 화면을 보여주는 미니 LED, 960구역으로 나뉜 로컬 디밍 존으로 더 짙은 검은 화면 표현,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한 QLED, 기본 7000:1의 명암비와 광색역 모드 지원 같은 기능을 제공해, 평범한 TV에선 불가능했던 밝고 화사한 화면을 보여줍니다. 한편으로는 144Hz의 주사율로 75인치의 대형 화면을 부드럽게 보여주는 게이밍 디스플레이기도 합니다. 게이밍 PC와 연결하면 144Hz 출력이 가능하며 콘솔 게임기에서도 4K 리얼 120Hz로 게임을 즐길 수 있기에, 큰 화면, 고해상도, 고주사율로 게임 플레이 체험이 업그레이드되는 디스플레이입니다. 

 

구글 TV 3.0 운영체제를 탑재해 다양한 OTT 서비스를 지원하고 여러 앱을 설치하며, 구글 어시스턴트의 크롬캐스트 등의 기능을 통해 스마트 TV에서 스마트 홈 허브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TV니까 당연히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는 튜너를 내장했고, USB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 역시 제공합니다. 스마트 TV에 있어야 하는 모든 기능을 갖췄으며 미니 LED와 QLED의 밝고 화사한 화면, 144Hz의 부드러운 화면까지 보여주는 만능형 게이밍 스마트 TV라고 평가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Doom 실행, 그러나 매우 느림
독일 ICE 고속 열차의 대시보드는 윈도우 3.1 시스템으로 운영
뉴럴링크, 인간에게 임상 시험 성공
주간뉴스 1/28 - 출시: 4070 Ti 슈퍼/7600 XT/990 EVO, 인텔 주가 급락/하이퍼스레딩 빠짐, 애플/EU 정책 ...
하이엔드의 자격, 256비트 16GB. NVIDIA 지포스 RTX 4070 Ti SUPER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강남에 ‘UX 스튜디오 서울’ 연 현대자동차와 기아! 내 손으로 만드는 미래 모빌리티?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이런 게 신세계구나... 태어나 처음으로 끝판왕 TV 써봤습니다 [ LG OLED evo G5 ]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맘 껏 먹자!! 24시간 프리미엄 소고기 무한리필 동영상 있음 맛상무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 강화유리 한 장 더~ RGB LED 바도 추가요! 쿨엔조이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 기본에 충실한 성능은 물론, 12V-2x6 커넥터 탑재로 다재다능함까지! 쿨엔조이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 안정적인 전압과 준수한 효율까지 담긴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필립스 27E2N1500 : 사무 및 일반 사용자는 물론 캐주얼한 게임까지 커버하는 표준형 모니터 쿨엔조이
데스크테리어를 완성시킬 PC 케이스! darkFlash DW500 우드 MESH RGB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원목 케이스 원조 맛집!! 후면 커넥터 메인보드 전용 디자인! Fractal Design North XL RC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1DD + 1BA 하이브리드에 USBC, 완벽한 입문용 풀패키지 | MonsterEar House Of Girls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천연 원목이라니! 가구 아니고 PC랍니다~ [프리미엄 리포터V] (8) 동영상 있음 다나와
[리뷰] 절교하거나 절친되거나, 우정을 시험하는 등산 게임 ‘피크’ 게임동아
솔직히 기대 없던 낫싱 헤드폰(1), 여러모로 깜짝 놀랐습니다 (2) 동영상 있음 고나고
[시승기] 안정적인 승차감과 넓은 실내, 전비 효율 두루 갖춘 '아이오닉 9' IT동아
[AI되니] 구글은 왜 AI로 영화를 만들었을까? l AI MATTERS 동영상 있음 AI matters
애플, 검색 강자 퍼플렉시티 인수설/ 25년 6월 넷째 주 [주간 AI 뉴스] 동영상 있음 AI matters
1년간 담금질된 천검 강림,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1) 보드나라
홍대병 말기라는 낫싱 헤드폰 나만 예쁜가?? Nothing Headphone(1) 동영상 있음 THE EDIT
농약분무기 치트키라 불리는 치파랠리 2025년형을 가지고 와봤습니다 【Ep.480】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하이엔드 PC빌드 적극 지원하는 우드 패널 어항형 빅타워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ULTRA 케이벤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