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과 AMD는 CPU 시장에서 서로 경쟁해가며 꾸준히 발전해 온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 단 한번도 인텔이 AMD를 이기지 못했을 것처럼 보이는 분야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내장 그래픽이지요. 제가 두 회사의 역대 제품들을 일일이 찾아서 비교해보는 귀찮은 작업을 일일이 할 만큼 성실하지 못해서 '이기지 못했다'가 아니라 '이기지 못했을 것처럼 보인다'라고 한 발 빼긴 했지만, 그걸 가지고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비난하실 분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AMD가 APU라는 개념을 들고 나온 후로는 언제나 인텔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 줬던 건 사실이니까요. 인텔이 내장 그래픽에서 완전히 손을 놓은 것도 아니고, 나름대로 성능이 업그레이드가 되고 있는 건 맞는데 AMD에 비교하면 그래픽에 쓰는 트랜지스터 수가 다르다보니 비교 자체가 안 되네요.
이렇게 인텔이 내장 그래픽 시장에서 한결같이 부진한 모습만 보여주고 있으니 AMD가 좀 살살 때려도 내장 그래픽 시장에서 차지하는 절대적인 우위엔 변함이 없을 것 같지만 그건 저 혼자만의 생각이었네요. 2024년 시작과 함께 AMD는 라이젠 8000G 시리즈를 출시해 내장 그래픽 시장에서 인텔을 최선을 다해 매우 아프게 때리고 있습니다. 그냥 때린 것도 아니고 최선을 다했다고 말하는 이유는 단순히 성능 오른 걸로 끝나는 게 아니라 바뀐 게 많아서입니다. 우선 4nm 공정으로 전체적인 효율을 높였고, 젠4 아키텍처로 CPU 기본 성능이 올랐으며, 내장 그래픽은 RDNA3를 도입해 성능 향상과 더불어 체감 프레임을 늘려주는 AFMF 기능을 지원합니다. 여기에 데스크탑 프로세서 최초로 AI 엔진까지 내장해 시대의 흐름에 발을 맞추고 있습니다.
제품명 | 라이젠 7 8700G | 라이젠 5 8600G |
CPU 아키텍처 | 젠4 | |
코어/스레드 | 8/16 | 6/12 |
L2 캐시 | 8MB | 6MB |
L3 캐시 | 16MB | |
CPU 클럭 | 4.2~5.1GHz | 4.3~5GHz |
GPU 아키텍처 | RDNA3 | |
내장 그래픽 | 라데온 780M | 라데온 760M |
그래픽 코어 | 12 | 8 |
그래픽 클럭 | 2900MHz | 2800MHz |
제조 공정 | TSMC 4nm | |
TDP | 65W | |
메모리 지원 | DDR5-5200 | |
소켓 | AM5 | |
PCIe 확장 슬롯 | 4.0 | |
AI 엔진 | 라이젠 AI, 최대 16TOPS | |
번들 쿨러 | 레이스 스파이어 | 레이스 스텔스 |
참고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34336664 | https://prod.danawa.com/info/?pcode=34336475 |
가격 | 467,700원(2024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321,130원(2024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라이젠 8000G, 무엇이 달라졌나?
라이젠 8000G 시리즈는 CPU와 GPU 아키텍처를 바꾸고 새로 NPU를 추가해 AI 성능을 높였습니다. CPU는 젠4 아키텍처로 업그레이드했습니다. 기본적인 구성은 라이젠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와 같지만 코어 다이와 IO 다이를 나눠 따로 패키징한 칩렛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다이에 모든 것을 전부 넣은 모놀리식 구조입니다. 더 간단하게 말하면 라이젠 모바일 버전을 데스크탑용으로 바꿨다고 할 수 있겠죠. 이전 세대인 라이젠 5000G 시리즈처럼 말이죠. 그래서 라이젠 7000 데스크탑 버전보다 성능이 약간 낮고 L3 캐시 용량도 32MB에서 16MB로 줄었습니다. 또 PCIe 인터페이스도 제한되어 외장 그래픽카드는 PCIe 4.0 x8까지만 지원합니다. 하지만 TDP는 65W로 전력 사용량은 낮습니다.
여기에 고성능 내장 그래픽을 추가했습니다. 아키텍처를 RDNA3로 업그레이드해 기본기를 다지고 이전 세대보다 더 많은 코어를 탑재해 전체적인 성능이 올랐습니다. 여기에 RDNA3 아키텍처에서 새로 추가된 프레임 생성 기능인 AFMF를 지원해, 게임의 체감 프레임이 더욱 부드러워졌습니다. 내장 그래픽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죠. 또 AI 처리 엔진인 XDNA NPU를 탑재했습니다. CPU에 AI 전용 유닛을 넣은 건 인텔 메테오레이크가 먼저지만 그건 아직 모바일 제품으로만 출시됐고요. 데스크탑 프로세서 중에서는 AMD가 처음입니다. 이 NPU는 단독 처리보다는 CPU, GPU, NPU를 다 함께 활용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AMD의 설명에 의하면 3가지 프로세싱 유닛을 조합해서 최고 39TFLOPS의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합니다.
라이젠 8000G 시리즈의 라데온 700M 시리즈 그래픽은 AFMF까지 켜서 높은 체감 프레임을 실현합니다.
또 가장 높은 성능을 지닌 내장 그래픽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래픽카드를 따로 넣지 않는 소형 시스템 구축에 제격입니다.
크기가 아닌 성능만 비교해도 경쟁사의 보급형 프로세서와 보급형 그래픽카드를 조합한 것과 비교하기에 충분합니다.
가격 대 성능비로 따지면 당연히 내장 그래픽 하나로 해결하는 라이젠 8000G 시리즈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라이젠 8000G 시리즈는 4가지 모델이 출시됩니다. 모델마다 코어/스레드 수와 내장 그래픽 구성, 캐시, 라이젠 AI 지원 여부가 달라집니다.
라이젠 7 8700G, 라이젠 5 8600G: 테스트 환경
테스트에는 AMD에서 제공한 라이젠 7 8700G와 라이젠 5 8600G 프로세서, B650 메인보드와 DDR5 메모리를 사용했습니다.
라이젠 5 8600G. CPU와 쿨러가 있군요.
라이젠 7 8700G. 이쪽도 CPU와 쿨러가 있는데요.
번들 쿨러 모델은 다릅니다. 라이젠 7 8700G는 레이스 스파이어, 라이젠 5 8600G에는 레이스 스텔스가 들어갑니다.
둘 다 알루미늄 방열판 위에 쿨링팬을 얹은 간단한 구조이며, 레이스 스파이어 쪽이 더 큰 방열판을 사용합니다.
라이젠 7 8700G와 라이젠 5 8600G입니다.
라이젠 5 8600G와 라데온 760M 내장 그래픽
라이젠 7 8700G와 라데온 780M 내장 그래픽
기존 AM5 소켓 CPU와 비교하면 히트 스프레더 옆, 기판 위에 부품이 아무것도 붙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써멀을 닦아내기 편합니다.
소켓은 AM5 그대로고요.
그래서 기존의 AM5 소켓 메인보드에서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만 한다면 말이죠.
AM5 플랫폼 메인보드는 AMD에서 제공한 GIGABYTE B65M AORUS ELITE AX ICE를 사용했습니다. 12+2+2 페이즈 전원부에 B650 칩셋을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메모리는 AMD에서 제공한 G.SKILL DDR5-6400 CL32 TRIDENT Z5 RGB를 사용했습니다. 클럭 DDR5-6400, 용량은 16GB 2개로 32GB 듀얼 채널을 구성했습니다.
그 외에 AM5 플랫폼에서 사용한 부품입니다.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기존 라이젠 7000 시리즈와 성능 비교를 위해 라이젠 7 7700도 테스트에 넣었습니다.
또 라이젠 5 7600은 라데온 내장 그래픽의 성능도 함께 테스트했습니다.
라이젠 8000G의 내장 그래픽 성능이 어느 정도 수준까지 올라왔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포스 GTX 1060 6GB를, 외장 그래픽카드를 장착했을 때 성능은 어떤지 확인하기 위해 지포스 RTX 4070 Ti 슈퍼를 라이젠 5 7600에 장착해 비교했습니다.
NVIDIA 지포스 RTX 4070 Ti SUPER https://gigglehd.com/gg/15503759
비교용으로 사용한 코어 i5-14400과 UHD 그래픽 730
MSI MAG B760M 박격포 맥스 WIFI https://gigglehd.com/gg/15435324
MSI MPG 코어리퀴드 K360 https://gigglehd.com/gg/9865449
MSI MPG A1000G PCIE5 80PLUS GOLD https://gigglehd.com/gg/13458212
이전 세대와 성능 비교를 위해 넣은 라이젠 7 5700G
라이젠 5 5600G입니다.
AM4 플랫폼의 부품 구성입니다.
MSI MEG B550 유니파이 https://gigglehd.com/gg/9497905
BYKSKI B-FRD 360 RBW https://gigglehd.com/gg/5761047
DDR4-4166MHz 16GB 듀얼채널
AMD 내장 그래픽의 프레임 버퍼는 4GB로 설정했습니다. 다만 인텔은 바이오스 레벨에서 그렇게 높은 용량을 지원하지 않네요. 이것만 좀 넉넉했어도 인텔 그래픽의 성능이 좀 나아졌을텐데요.
그리고 게임 내에서 AMD FSR을 지원하는 경우 이것도 켜서 테스트했습니다. AMD가 어떤 플랫폼에서건 차별 없이 쓰라고 공개한 기능인데 잘 활용해 줘야죠. 여기에 라이젠 5 8600G와 라이젠 7 8700G는 AFMF도 켜서 테스트했습니다.
AFMF를 켜면 외장같은 내장 그래픽
라이젠 8000G 시리즈에 탑재된 내장 그래픽과 다른 내장 그래픽을 비교하는 건 무의미합니다. 라이젠 2000G, 그 이전에 나온 A 시리즈 APU부터 AMD는 최강의 내장 그래픽이라는 자리를 차지하고 내려온 적이 없었으니까요. 여기서 인텔 이야기를 해봤자 눈만 피곤하니 넘어가고, 이전 세대인 라이젠 5000G 시리즈와 비교해도 세대가 확 바뀌었다는 체감을 할 수 있습니다. 라이젠 5000G 시리즈가 나왔을 때 최고라고 극찬했는데 https://gigglehd.com/gg/10660356 이제 그 최고가 바뀌었네요.
그럼 라이젠 8000G의 내장 그래픽이 외장 그래픽카드 수준의 성능을 낸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확실한 건 여기에서 비교용으로 쓴 지포스 GTX 1060 급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 차이가 아주 크진 않기에 순수하게 성능만 따지면 지포스 GTX 1050 Ti나 1050 수준은 된다고 말할 수도 있겠네요. 내장 그래픽이 여기까지 올라왔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발전이지요. 그리고 순 성능 외에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최신 아키텍처를 사용했기에 레이 트레이싱 같은 새로운 기능에선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더 나은 성능을 내 주고요. AFMF 프레임 생성 기능을 지원해 체감 프레임을 뻥튀기할 수 있습니다. 제목에서 '내장 그래픽 맛집의 새 메뉴를 곱배기로'라 말한 것도 이 기능이 있어서입니다. AFMF로 체감하는 프레임은 지포스 GTX 1060을 넘어섰거든요.
그리고 전력 사용량과 폼펙터가 있습니다. CPU 안에 탑재된 내장 그래픽이기에 전력 사용량은 그 어떤 그래픽카드보다도 낮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전력 사용량의 많고 적음만 따지자면 인텔이 가장 저전력이지만, 그쪽은 하는 일이 없어서 먹지도 않는 겁니다. 이렇게 써놓고 보니 인텔이 은근히 양심적이군요. 또 그래픽카드를 따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니 시스템 구성이 단순해집니다. 확장 카드를 장착할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소형 시스템을 만들기에 유리하다는 소리 되겠습니다.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그래픽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피직스
3D마크 타임 스파이
3D마크 타임 스파이: 그래픽
3D마크 타임 스파이: CPU
3D마크 스피드웨이
3D마크 포트 로얄
3D마크 솔라 베이
컴패니 오브 히어로즈 3
사이버펑크 2077
호라이즌 제로 던
P의 거짓
팰월드
배틀그라운드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사이버펑크 2077의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3D마크 타임 스파이의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젠4 아키텍처로 업그레이드된 CPU
경이로운 내장 그래픽을 제외하면 순수한 CPU 성능이 납는데요. 라이젠 8000G 시리즈는 여기에서 라이젠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보다 다소 낮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라이젠 8000G 시리즈가 라이젠 7000 데스크탑 프로세서와 똑같은 젠 4 아키텍처를 쓴 건 맞습니다. 허나 태생이 모바일 프로세서의 다이에서 나온 것이기도 하고, L3 캐시 용량이 16MB로 줄어든 점도 있으니 있으니 전체적인 성능은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 이번에 테스트한 제품은 아니지만 라이젠 5 8500G와 라이젠 3 8300G는 코어 면적을 최적화한 젠4c 코어를 섞어 썼기에, 이들 모델은 효율은 높겠지만 최대 성능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라이젠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고요. 이전 세대인 라이젠 5000G 시리즈와 비교하면 아키텍처 세대가 바뀌었다는 게 뭘 의미하는지를 확실하게 보여줍니다. 또 CPU-Z AVX512 같은 테스트에서는 라이젠 8000G가 라이젠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보다 더 높은 성능을 내기도 하고요. 라이젠 5 8600G와 라이젠 7 8700G 같은 상위 모델은 NPU를 탑재해, 앞으로 사용처가 늘어날 AI 가속 성능만 따지면 오히려 업그레이드됐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전력 사용량은 라이젠 5000G 시리즈보다 늘긴 했지만 큰 차이는 아니며, 여전히 저전력 시스템에 쓸만합니다.
CPU-Z 17.01 싱글
CPU-Z 17.01 멀티
CPU-Z 19.01 싱글
CPU-Z 19.01 멀티
CPU-Z AVX2 싱글
CPU-Z AVX2 멀티
CPU-Z AVX512 싱글
CPU-Z AVX512 멀티
시네벤치 2024: 싱글
시네벤치 2024: 멀티
시네벤치 R23: 싱글
시네벤치 R23: 멀티
y-cruncher Pi 연산: 싱글
y-cruncher Pi 연산: 멀티
블렌더: 클래스룸
블렌더: 정크샵
블렌더: 몬스터
코로나 렌더링
X.264 1080p 영상 인코딩
7Zip 전체 성능
7Zip 압축 풀기
7Zip 압축
3D마크 CPU 프로파일
시네벤치 2024 전력 사용량
외장 그래픽: 지포스 RTX 4070 Ti 슈퍼
라이젠 8000G 시리즈는 그래픽카드 연결 시 PCIe 4.0 x8로 대역폭이 제한됩니다. 그리고 CPU 기본기만 따지면 라이젠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가 더 높다는 점도 있어서, 지포스 RTX 4070 Ti 슈퍼 같은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로 테스트했을 경우에는 라이젠 5 8600G보다 라이젠 5 7600이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다고 외장 그래픽카드를 장착해서 쓰지 말거나, 돈값을 못한다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어디까지나 내장 그래픽 활용이 우선인 CPU임을 감안하고 선택해야 되겠습니다.
3D마크 스피드웨이, 포트 로얄, 솔라 베이
3D마크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3D마크 타임 스파이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사이버펑크 2077, 호라이즌 제로 던,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AMD 라이젠 8000G 시리즈
젠4 아키텍처로 CPU를 업그레이드하고, RDNA3 아키텍처로 GPU 성능 향상과 더불어 레이 트레이싱이나 AFMF 프레임 생성같은 최신 기술까지 지원해 최고의 내장 그래픽을 제공하는 프로세서입니다. 특히 AFMF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체감하는 프레임이 큰 폭으로 오르기에 전기만 많이 쓰는 구세대 외장 그래픽카드를 굳이 장착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여기에 NPU를 데스크탑 프로세서 최초로 탑재해 앞으로 사용이 늘어날 AI 분야에서 높은 성능이 기대되며, TDP 65W의 저전력 프로세서라 효율 역시 높습니다. 아직은 출시 초기라 가격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그건 차차 안정화되면서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라 기대합니다. 최고의 효율과 성능을 모두 갖춘 내장 그래픽이 탑재된 소형 시스템을 만들겠다면 이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온도를 100도까지 올려 파괴되는 보안 기능을 갖춘 USB 드라이브 |
ASUS Wi-Fi 7 PCIe 무선 랜카드. AMD 보드에선 못 씀 |
뷰소닉 XG272-2K-OLED, 응답 속도 0.02ms 모니터 |
인싸픽 팰월드, 서버를 직접 돌리려면 얼마나 필요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