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PRIME H610M-CS 2.5G 코잇
H610 유일의 2.5 기가비트 지원 메인보드
일반적인 용도로 PC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상황에서는 가장 보편화된 100 메가비트(Mb)부터 고속의 1 기가비트(Gb)까지의 속도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대용량의 파일을 자주 주고받거나 NAS와 같은 스토리지 서버 구축 및 이용, SOHO 사무실 또는 PC 방 환경 등의 경우 최대 1 기가비트의 네트워크 속도로는 시간 효율성 측면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을 수 있습니다.
100 메가비트는 초당 약 12 메가바이트(MB), 1 기가비트는 초당 약 120 메가바이트의 이론상 최대 전송 속도를 갖기 때문에, 사진과 동영상 같은 미디어 파일을 비롯한 대용량의 자료들을 백업 및 공유할 경우 이러한 속도의 상한선이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개인과 사무실 환경뿐만 아니라 PC방의 경우에도 주로 노 하드 (No SSD / HDD)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내부망 연결 간의 속도 향상 측면에서 더욱 빠른 네트워크 속도 및 칩셋의 성능은 귀중한 시간을 절약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1 기가비트를 넘어선 2.5 기가비트 이상의 초고속 유선망이 지원되는 환경에서 이를 완전히 사용하려면, 별도의 랜 카드를 장착하거나 메인보드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칩셋이 탑재되어야 하는데요. 이번 리뷰에서 살펴볼 'ASUS PRIME H610M-CS 2.5G 코잇'은 기존 모델에서 네트워크 칩셋이 업그레이드되어 국내에 출시된 H610 메인보드 중 유일하게 2.5G를 지원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2.5G 이상의 네트워크가 구축된 환경에서는 외부망과의 보다 빠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동일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내부망 환경에서도 1G 환경 대비 훨씬 더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NAS와 같은 스토리지 서버 구축 시 이를 활용한다면 더욱 크게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NAS의 경우 고성능의 하드웨어보다는 빠른 속도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칩셋의 성능이 더욱 중요한 만큼 본 제품을 활용한 시스템 구성 시 가성비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제품의 외형과 구성, 전원부 성능 및 본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인 2.5G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성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품 : 유저 가이드 / 드라이버 CD / SATA 케이블 2개 / I/O 백패널 / M.2 앵커 제공.
LGA 1700 소켓
(Intel 12/13/14세대 Core 시리즈 & Pentium / Celeron 시리즈 프로세서 지원)
전원부 : 5 페이즈 구성
후면 I/O 포트 구성 : PS/2 마우스 & 키보드 / D-SUB, HDMI 2.1 / USB 3.1 x 2, USB 2.0 x 4 / Realtek 2.5 GbE 유선랜 / 오디오 포트 구성.
■ 메모리 슬롯 : DDR5 DIMM x 2, 최대 96GB / 듀얼 채널 / 최대 5,600 MHz & X.M.P 지원.
■ 확장 슬롯 : PCIe 4.0 x16 (x16) 1개, PCIe 3.0 x1 (x1) 1개 구성.
■ M.2 슬롯 : PCIe 3.0 x4 및 2242/2260/2280 규격 지원 x 1
■ SATA 포트 : SATA3 6 Gbps x 4
■ 유선랜 : Realtek RTL8125BG 2.5 GbE
■ 사운드 : Realtek ALC897
■ 모니터링 : Nuvoton NCT6798D
■ PCH : Intel H610
가벼운 사용 용도의 엔트리 등급 메인보드인 만큼, 실제 사용 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게이밍 환경에서 전원부 성능을 테스트하였습니다. Cyberpunk 2077, FHD 해상도, 중간 옵션을 적용하여 전원부 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부스트 클록 : 평균 4,489 MHz로 일정하게 유지
■ 전원부 온도 : 최대 65 ℃
노 하드 (No SSD / HDD) 시스템 구성
위의 이미지는 노 하드 시스템이 구축된 환경에서의 동작하는 모습을 간단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서버에는 운영체제, 게임 등의 파일이 설치 및 저장되어 있으며, 이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PC에는 SSD/HDD와 같은 저장 장치가 없습니다.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운영체제와 파일 등에 연결되며, 많은 PC가 스위치 허브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만큼 빠른 데이터 전송을 도울 수 있는 네트워크 칩셋을 필요로 합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은 주로 PC방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2.5G와 1G 네트워크 간 성능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각각의 노 하드 시스템을 구성하여 다음의 테스트를 간단하게 진행해 보았습니다.
■ 클라이언트 시스템 구성
- CPU : 인텔 Core i5-13400
- RAM : 삼성 DDR5-4800 8GB x 2
- VGA : NVIDIA 지포스 GTX 1660 Ti 6GB
- SSD / HDD : N/A
■ 테스트 항목
- 게임 실행 속도
- 다운로드 속도
- PXE 부팅 속도
게임 실행 속도 테스트는 서버에 설치된 게임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PC에서 실행하였을 때, 실행 시점부터 게임에 진입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 발로란트 : 54초 → 45초 (약 16.7% 단축)
■ 배틀그라운드 : 58초 → 54초 (약 6.9% 단축)
■ 로스트아크 : 164초 → 140초 (약 15.6% 단축)
다운로드 속도 테스트는 서버에 설치된 게임을 실행할 때에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를 측정하였습니다. 즉,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이며, 클라이언트에서는 서버에서 다운로드를 하는 속도라 할 수 있습니다.
■ 2.5G 네트워크 환경 : 1,149.6 Mb/s (143.7MB/s)
■ 1G 네트워크 환경 : 753.6 Mb/s (94MB/s)
1G 네트워크 환경 대비 약 34.6% 더 빠른 속도를 보였습니다.
※ 단, 해당 결과는 서버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PC의 접속량 및 네트워크 사용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PXE 부팅 (네트워크 부팅) 속도 테스트는 서버에 설치된 OS를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 PC에서 부팅이 완료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 2.5G 네트워크 환경 : 32초
■ 1G 네트워크 환경 : 42초
1G 네트워크 환경 대비 약 10초 (약 33.8% 단축) 더 빠른 부팅 속도를 보였습니다.
※ 단, 해당 결과는 서버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PC의 접속량 및 네트워크 사용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