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핫앤쿨 프로모션] 베스트 셀러에는 이유가 있다! MSI 메인스트림 메인보드 3종 살펴보기
많은 유저들이 포진한 메인스트림 시장의 강자, MSI
통계는 인구 / 연령 / 고용 / 소득 / 수요 등과 같은 다양한 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것으로,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화하기 위해 정규분포 그래프를 사용합니다. 이에 따른 그래프의 모양은 가운데 영역이 볼록하게 솟아있는 종의 형상을 띄고 있으며, 그중 가장 솟은 곳을 평균 또는 중앙값이라 표현합니다. 이 지점 주변은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확률 또는 분포도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메인스트림 영역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인텔 LGA1700 소켓 기준 인기 순위 8선
PC 하드웨어의 라인업은 엔트리 / 메인스트림 / 하이엔드 / 플래그십의 4가지로 구분됩니다. 대다수의 환경에서는 하이엔드 급 이상부터 제공되는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새로운 PC를 빌드할 때는 주로 준수한 성능과 가성비를 갖춘 메인스트림 라인업의 제품들이 선호됩니다. 이러한 경향은 다나와의 메인보드 카테고리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인기순으로 정렬하면 인텔 플랫폼의 B760, AMD 플랫폼의 B650 메인보드와 같은 메인스트림 제품들이 상단에 대거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다양한 제조사 중 PC 하드웨어와 게이밍 기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MSI의 메인스트림 메인보드 3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개해 드릴 각 3개의 제품들은 메인스트림 시장에서 국민 메인보드로 불릴 만큼 반응이 좋은 제품으로, 하드웨어를 좋아하는 쿨엔조이 회원들이라면 벌써 눈치채셨을 제품인데요. 바로, 2세대로 업그레이드된 'MSI MAG B760M 박격포 II'와 지난 쿨엔조이 리뷰를[링크] 통해 다뤄본 'MSI MAG B760M 박격포 MAX WiFi' 그리고 'MSI MAG Z790 토마호크 MAX WiFi'입니다.
3개의 제품의 공통적인 모습으로는 LGA 1700 소켓12·13·14세대을 사용하는 인텔 프로세서 지원 / DDR5 메모리 소켓 / 스틸 아머가 적용된 PCIe 5.0 x16 그래픽카드 슬롯 / 경쟁 제품 대비 준수한 전원부 구성 및 대형 방열판 설계 / M.2 슬롯 방열판 구성 및 직관적인 UI가 적용된 BIOS가 함께 제공되며, 각 모델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MSI MAG B760M 박격포 II : Dr.MOS 방식의 12개의 Vcore 전원부, 총 900A의 넉넉한 전원부 용량, 3개의 M.2 NVMe 슬롯 구성, 최대 7,800 MHz+의 메모리 클록 지원, 20 Gbps 대역폭의 후면 USB-C 포트 제공
MSI MAG B760M 박격포 MAX WiFi : Dr.MOS 방식의 12개 Vcore 전원부, 총 900A의 넉넉한 전원부 용량, WiFi 6E 사양의 무선 랜 칩셋 탑재, 20 Gbps 대역폭의 후면 USB-C 포트 제공, 6개의 SATA3 포트 구성
MSI MAG Z790 토마호크 MAX WiFi : ATX 규격, Dr.MOS 방식의 16개의 전원부, 총 1,440A의 준수한 전원부 용량, 4개의 M.2 NVMe 슬롯 및 방열판 구성, 최대 7,800 MHz+ 의 메모리 클록 지원, WiFi 7 사양의 무선 랜 칩셋 탑재, 8개의 SATA3 포트 구성, 최대 20 Gbps 대역폭의 후면 USB-C 포트 구성
본격적인 리뷰에 앞서 국민 메인보드로 불린 박격포 모델이 2세대로 업그레이드 되었기에, 'MSI MAG B760M 박격포 II' 모델을 중심으로 2종의 제품은 간단한 포토 리뷰 형식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품은 유저 가이드 / SATA 케이블 1개 / USB 2.0 헤더 연장 케이블 / EZ M.2 Clip 3개 / 케이블 가이드 스티커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후면 I/O 포트 구성
- USB 2.0 x 4
- HDMI 2.1
- DisplayPort 1.4
- USB 3.2 Gen 2x2 Type-C x 1
- USB 3.2 Gen 2 x 3
- Realtek 2.5 GbE 유선랜
- 오디오 포트 (S/PDIF OUT / RS OUT / CS OUT / MIC IN / LINE OUT / LINE IN)
방열판 구성
- 전원부 방열판
- 칩셋 방열판
- M.2_1 방열판
- M.2_2 방열판
LGA 1700 소켓
(Intel 12/13/14세대 Core 시리즈 & Pentium / Celeron 시리즈 프로세서 지원)
전원부 구성
- 12+1+1 페이즈 / 900A
- Renesas RAA20075R0 75A Dr.MOS
- Renesas RAA229132 PWM 컨트롤러
메모리 슬롯 구성
- DDR5 DIMM x 4, 최대 256GB 지원
- 듀얼 채널 지원
- 최대 7,800 MHz+ (O.C)
- X.M.P 지원
확장 슬롯 구성
- 1번 슬롯 : PCIe 5.0 x16 (x16)
- 2번 슬롯 : PCIe 3.0 x4 (x4)
M.2 슬롯 구성
- M.2_1 : PCIe 4.0 x4, 2242/2260/2280 규격
- M.2_2 : PCIe 4.0 x4, 2260/2280 규격
- M.2_3 : PCIe 4.0 x4 & SATA Mode 2280 규격
Realtek RTL8125BG 2.5GbE 유선랜 칩셋
Realtek ALC897 사운드 칩셋
Nuvoton NCT6687D-M Super I/O 모니터링 칩셋
Intel B760 칩셋
Core i5-14400F LOAD 상태
부스트 클록
[ P-Core ] 4,090 MHz
[ E-Core ] 3,492 MHz
전원부 온도
최대 45℃ (HWINFO) / 최대 49.4℃ (열화상 카메라)
해당 제품은 BIOS에서 기본적으로 전력 제한이 '4096W(MAX)'로 해제되어 있으며, 테스트가 진행되는 20분 동안 P-Core 4,090 MHz, E-Core 3,492 MHz의 부스트 클록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또한, 테스트가 진행된 지 약 9분부터 온도가 수렴하기 시작하여 테스트 종료 시점, HWINFO 기준 45℃, 열화상 카메라 기준 49.4℃의 준수한 온도를 보였습니다.
더불어 더욱 고성능 프로세서인 Core i7-14700F로 교체한 뒤, 동일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스트 클록
[ P-Core ] 5,287 MHz ~ 4,988 MHz / 평균 5,177 MHz
[ E-Core ] 4,190 MHz ~ 4,090 MHz / 평균 4,174 MHz
Core i7-14700F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테스트가 진행되는 20분 동안 P-Core 평균 5,177 MHz, E-Core 평균 4,174 MHz의 부스트 클록을 유지하였습니다. 이는 Core i5-14400F 프로세서 대비 증가한 코어 수, 높아진 클록으로 전력 소모량이 늘어나면서 스로틀링이 소폭 발생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한 체급 높은 프로세서를 극한의 환경에서 사용하였음에도 스로틀링으로 인한 클록 저하율이 낮은 점을 오히려 눈여겨볼 수 있습니다.
※ Cinema 4D는 3D 렌더링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이며, 작동 시 CPU의 모든 자원을 사용하여 상시 100%의 사용률을 보입니다. 이러한 고부하 환경은 일반적인 환경보다 극한으로 사용하기에 ① 메인보드가 CPU에게 균일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 ② 전원부 발열로 인한 스로틀링이 발생하지 않는지, ③ 전원부 온도가 얼마나 높은지 테스트하여 전반적인 전원부 성능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UEFI BIOS 진입 초기 화면으로 Ez Mode 상태이며, 해당 화면에서는 장착된 프로세서 / 메인보드 / 메모리 / 스토리지 / 쿨링 솔루션 등의 정보가 간략하게 표시됩니다.
F7 키를 입력하여 Advanced Mode로 진입한 모습이며, 6개의 메뉴가 표시됩니다.
SETTINGS 메뉴에서는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기능 (iGPU / 사운드 칩셋 / PCIe 레인 등) 및 부팅 관련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메뉴인 OC 메뉴에 진입한 모습이며, OC는 OverClock의 약자인 만큼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 / 클록 등이 표시되고 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OC 메뉴의 Advanced CPU Configuration 탭에 진입하여 CPU의 전력 관리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Long & Short Duration / CPU Current Limit의 값을 설정하여 프로세서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한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세서에 인가되는 전력은 프로세서의 수율에 따라 달라져 최적화된 전압을 찾는 것은 어려운 편이지만, 해당 탭 하단에 위치한 'CPU Lite Load'(CLL) 기능을 통해 간편하게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CLL 기능을 통해 MSI가 사전 설정해 둔 24단계의 전력 관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Mode의 숫자가 낮아질수록 (1에 가까워질수록) 전력을 적게 사용하며, 커질수록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가집니다.
※ CLL 기능의 값을 Auto로 설정하면 전력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된 값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프로세서의 수율에 따라 1~23의 모드로 설정하여 인가되는 전력 대비 성능의 균형, 스윗스팟을 찾아 보다 낮은 전력에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단, 수율에 적절하지 않은 낮은 모드 값을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의 안정성이 하락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M-FLASH 메뉴를 통해 BIOS의 버전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OC PROFILE 메뉴에서는 BIOS에서 설정한 값들을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도록 하며, 메인보드의 메모리나 USB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HARDWARE MONITRO 메뉴에서는 하드웨어들의 온도와 쿨링 솔루션 제품들의 RPM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온도별 RPM의 커브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Beta Runner 메뉴에서는 BIOS에 정식 적용되지 않은 Beta 기능들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은 유저 가이드 / WiFi 안테나 / SATA 케이블 2개 / USB 2.0 헤더 연장 케이블 / USB / EZ M.2 Clip 2개 / 케이블 가이드 스티커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후면 I/O 포트 구성
- HDMI 2.1
- DisplayPort 1.4
- Clear CMOS 버튼
- FLASH BIOS 버튼
- USB 3.2 Gen 1 Type-A x 4
- USB 3.2 Gen 2 Type-A x 4
- USB 3.2 Gen 2 Type-C x 1
- USB 3.2 Gen 2x2 Type-C x 1
Renesas ISL99390 Dr.MOS / 16 페이즈
Qualcomm QCNCM865 WiFi 7 무선 랜 칩셋
구성품은 유저 가이드 / WiFi 안테나 / SATA 케이블 1개 / EZ M.2 Clip 2개 / 케이블 가이드 스티커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후면 I/O 포트 구성
- USB 2.0 x 4
- HDMI 2.1
- DiplayPort 1.4
- USB 3.2 Gen 2x2 Type-C x 1
- USB 3.2 Gen 2 Type-A x 3
- Realtek 2.5 GbE 유선랜
- 오디오 포트 (S/PDIF / RS OUT / CS OUT / MIC IN / LINE OUT / LINE IN)
Renesas RAA220075R0 DR.MOS / 12 페이즈 Vcore
Intel AX211NGW WiFi 6E 무선 랜 칩셋
MSI MAG B760M 박격포 II : 국민 메인보드로 불림에는 이유가 있다!
콤팩트한 크기 & 알찬 구성
'MSI MAG B760M 박격포 II'는 M-ATX 레이아웃에 인텔의 B760 칩셋이 탑재된 메인보드로, 일반적인 ATX 사이즈의 메인보드 대비 콤팩트한 외형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M-ATX 규격으로 인해 정사각형의 외형을 지녀 ATX의 직사각형 대비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데, 대형 메탈 방열판이 컴포넌트 장착부를 제외한 제품 전역에 적용되어 더욱 견고하고 알찬 느낌을 줍니다.
포지션 대비 우수한 전원부 구성 및 성능
1 페이즈당 75A, 12개의 Vcore로 구성되어 총 900A의 넉넉한 전원부 용량을 갖추었으며, 전원부에 장착된 대형 메탈 방열판을 통해 Core i5-14400F 프로세서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더욱 고성능 프로세서인 Core i7-14700F 프로세서로 동일한 테스트를 진행하였음에도 스로틀링으로 인한 클록 저하율이 극히 적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전원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Cinema 4D를 활용하여 20분간 부스트 클록 및 전원부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부스트 클록 (Core i5-14400F)
[ P-Core ] 4,090 MHz
[ E-Core ] 3,492 MHz
전원부 온도 (Core i5-14400F)
최대 45℃ (HWINFO) / 최대 49.4℃ (열화상 카메라)
해당 제품은 BIOS에서 기본적으로 전력 제한이 '4096W(MAX)'로 해제되어 있으며, 테스트가 진행되는 20분 동안 P-Core 4,090 MHz, E-Core 3,492 MHz의 부스트 클록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또한, Core i7-14700F 프로세서를 활용한 테스트에서는 P-Core 평균 5,177 MHz, E-Core 평균 4,174 MHz를 보였습니다.
PCIe 5.0 x16 슬롯 & 3개의 PCIe 4.0 M.2 슬롯 구성
그래픽카드가 장착되는 1번 PCIe 슬롯에는 PCIe 5.0 x16 슬롯이 적용되어 차후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모습을 가지며, 기존의 'MSI MAG B760M 박격포'(1세대)에서 2개까지 제공되었던 M.2 슬롯이 3개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고속의 M.2 NVMe 방식의 SSD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반가운 소식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넉넉한 후면 I/O 포트 구성
후면의 I/O 패널에는 최대 20 Gbps의 대역폭을 지닌 USB 포트를 포함한 8개의 USB 포트와 2.5 GbE 포트 등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속의 외장 스토리지부터 레거시 장비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1 기가비트 이더넷 대비 낮은 지연과 빠른 속도가 특징인 2.5 기가비트 이더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세대로 업그레이드된 국민 메인보드!
MSI MAG B760M 박격포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