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과 백! 자기 주장 강한 이엠텍의 그래픽 카드 3종 톺아보기
MIRACLE WHITE and BLACK STORM
이엠텍의 'MIRACLE' 시리즈는 화이트 콘셉트를 주력으로 내세운 제품군으로, 그래픽 카드의 모든 구성 요소에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여 깔끔하고 화사한 PC 환경을 연출합니다. 이 시리즈는 크게 MIRACLE WHITE와 MIRACLE X3 WHITE로 나뉘는데, 전자는 GPU 등급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냉각 팬을 사용하는 모델이 있으며, 후자는 냉각 설루션을 강화하여 성능을 더욱 향상한 제품입니다. 그 외에도 MIRACLE 모델과 정반대 되는 취향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깔끔한 블랙 컬러의 'BLACK STORM' 제품군도 존재하며,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이번 리뷰에선 'MIRACLE' 시리즈에 속하는 2가지 제품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제품과 '이엠텍 지포스 RTX 4080 SUPER MIRACLE WHITE D6X 16GB' 제품, 그리고 BLACK STORM 시리즈에 속하는 '이엠텍 RTX 4070 Ti SUPER BLACK STORM OC D6X 16GB' 제품의 외형을 간단히 살펴보고 그중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제품을 활용해 벤치마크와 게임 성능, 그리고 냉각 성능과 소음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SUS ROG STRIX Z790-E GAMING WIFI
Phanteks GLACIER ONE 360 T30 V2
OLOy DDR5-6200 CL32 BLADE RGB MIRROR 32GB (16GB x 2)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Seagate FIRECUDA 530 M.2 NVMe (4TB)
Seasonic PRIME TITANIUM TX-1600 Full Modular ATX 3.0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게임을 좀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레이트레이싱
광선이 물체 표면에 반사되는 경로를 추적하여 빛이 반사되는 각각의 점들을 계산해 픽셀로 구현하는 기술로 픽셀 하나하나 연산이 이뤄지는 특성덕분에 부하량이 굉장히 높습니다. 때문에 기술이 등장한지는 오래되었지만 쉽게 적용되지 못했는데 몇년전 NVIDIA 에서는 GTX 10 시리즈 이후 네이밍을 RTX 로 변경하면서까지 레이트레이싱에 대한 지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고, 추가로 탑재되는 RT 코어는 세대가 지날 수록 성능이 개선되어 레이트레이싱의 품질과 성능 발전에 눈에 띄는 편입니다
게임에서의 레이트레이싱은 주로 그림자, 빛반사에서 쉽게 나타나며, 그 외 안개나 밤과 낮 표현, 전체적인 화면에서의 광량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좌측은 레이트레이싱 미적용 화면, 우측은 레이트레이싱을 적용한 샘플입니다.
단번에 차이를 찾을 수 있는 곳은 물 웅덩이로 물 표면 반사가 이뤄지는 표현 자체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었고, 난간 아래 지지대의 그림자나 매트 뒷 쪽, 벽과 맞닿는 부분의 음영, 잡초와 가로등 하나하나의 그림자, 벽화의 명암, 안개 표현까지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부분에서 차이가 도드라집니다. 종합적으로 화면 분위기가 크게 달라졌고 좀 더 사실적인 그래픽으로 게이밍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화면을 좀 더 현실적으로 표현해주는 레이트레이싱은 픽셀 단위로 연산이 이뤄지기에 고해상도로 올라갈 수록 부하량 커져 UHD, 4K가 대중화 된 요즘 RTX 20, 30 시리즈로는 구동이 쉽지않았습니다.
RTX 4090의 경우 이전 시리즈들과 비교해서 기본 성능이 굉장히 증가해 레이트레이싱을 적용된 4K 게이밍도 60Hz 수준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편입니다. 하지만 GPU가 기술 발전하듯 디스플레이 업계도 꾸준히 발전해 현재 하이엔드 디스플레이 시장은 UHD 에서의 144Hz와 같은 고주사율 제품군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때 한번 더 개선된 DLSS 는 4K 해상도에서의 현실적인 고주사율 플레이도 충분할 정도의 퍼포먼스를 만들어 냈습니다.
고해상도 & 고주사율 & 레이트레이싱의 친구 DLSS
딥 러닝 슈퍼 샘플링의 약자인 DLSS는 2019년 발표된 기술입니다. 유저가 목표로 하는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로 렌더링을 진행 한 뒤 AI 연산을 담당하는 텐서코어를 사용한 Super Resolution(업스케일링)을 이용해 목표 해상도로 출력하는 기술로 출시 초기에는 화면 퀄리티에 대한 이슈가 있었지만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품질이 상당히 좋아진 DLSS 2로 업데이트 되었고 DLSS 2는 RTX 20 시리즈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DLSS 3는 RTX 40 시리즈부터 사용 가능한 기술로 사이버펑크 2077 기준, DLSS 2 적용 후 프레임 생성 옵션을 켜 줄 경우 적용이 이뤄집니다.
동작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DLSS 2를 통해 생성된 프레임을 기반으로 Optical Flow Accelerator 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보간 프레임을 하나 더 붙어주는 방식으로, 단순히 기존 프레임을 똑같이 복제해서 프레임 뻥튀기를 시키는것이 아닌,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 흐름이 적용되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DLSS 3를 적용할 경우 2개 프레임 단위를 기준으로 전체 표시 픽셀 중 7/8이 Tensor core 와 Optical Flow Accelerator를 통해 재구성되어 자체 생성된 프레임이기에 체감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그렇다면 화면 품질은 어떠할까요? DLSS은 처음 언급하였듯 초창기 화면 퀄리티에 대한 이슈가 있었지만 꾸준한 개선이 있었습니다. DLSS 2가 된 현재로써는 품질 저하를 체감하기가 쉽지 않은데 스크린샷을 통해 1:1 화대 비교하는 경우가 아니고서야 실제 플레이의 움직이는 화면을 보고 있자면 구분이 힘든 편입니다.
DLSS 3도 동일한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 생각됩니다. 적용/미적용 샘플을 프레임 단위로 비교했을 때 일부 어색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만 정도가 심하지 않았고 실제 플레이에서는 체감이 쉽지 않습니다. DLSS 3 자체와 테스트 게임에서의 DLSS 3 지원 모두 정식 출시 전 테스트가 이뤄졌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충분히 개선될만한 수준이라 생각되었습니다. 프레임 확보 면에서는 확실히 뛰어난 편으로 4K 기준 DLSS 3는 미적용된 프레임 대비 약 3.5배로 출시 전 NVIDIA의 자신감은 제대로 증명이 된 것 같습니다.
NVIDIA ICAT 를 이용한 DLSS 2(왼쪽), DLSS 3(오른쪽) 비교
실제 플레이에서는 체감을 하기 힘들었으나 정지된 화면을 프레임 단위로 살펴 볼 경우 일부 프레임 보간이 어색한 부분이 조금씩 보였습니다. 위 스샷과 같은 배경에서는 주로 안개+돌이 튀는 장면에서 보간 프레임이 어색한다던지, 혹은 경계선이 영상 흐름에 따라 이동될 경우 조금 어색해지는식인데.... 아래 움짤로 보시면 좀 더 쉽게 설명이 될 것 같습니다.
왼쪽이 DLSS 2, 오른쪽이 DLSS 3 적용 상태입니다. 타이어 경계부분이 살짝 오돌도톨해진다던가, 돌맹이가 살짝 흐릿해지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원본에서 상당히 확대된 점, 그리고 아직 출시 전 테스트 되었던 상황을 감안한다면 성능 향상에 비해 퀄리티도 만족스러운 느낌입니다. (GIF 생성으로 화면 퀄리티가 떨어진 것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엔비디아 응용 딥러닝 리서치 부사장인 브라이언 카탄자로의 기술 설명
F1 22에서 4K DLSS 3 비교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RTX와 DLSS 3 적용 비교
GPU 온도 측정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Halnziye HY-P15 서멀 그리스 사용
전원부 온도 측정: FLIR E30
IDLE 상태 (좌) / LOAD 상태 (우)
소음 측정 : 이중 체임버 구조의 무향실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2 타입)
그래픽 카드 단독 소비전력 측정 : 8 Pin (좌) / 12VHPWR & 12V-2x6 (우)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흑과 백! 자기 주장 강한 이엠텍의 그래픽 카드 3종 톺아보기
깔끔한 컬러와 날렵한 인상의 MIRACLE X3 WHITE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제품은 이전 리뷰로 다뤘던 적이 있는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WHITE D6X 12GB’ 제품의 냉각 설루션 강화 버전으로도 보입니다. 2개의 냉각팬에서 3개의 냉각팬으로, 그리고 냉가팬의 개수가 늘어난 만큼 늘어난 길이의 슈라우드에 따라 방열판 역시 면적이 넓어졌습니다.
슈라우드의 디자인은 이전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WHITE D6X 12GB’ 제품이 조금 투박한 느낌을 주었다면, 이번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제품에선 좀 더 날렵한 인상을 강조하였습니다. 거기에 측면의 RGB LED를 은은하게 발광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제품에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GPU + 메모리 통합 냉각 플레이트
그래픽 카드를 냉각해 줄 방열판을 살펴보면 GPU가 맞닿는 표면뿐만 아니라 전원부, VRAM이 맞닿는 부분까지 꼼꼼하게 신경 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각 파트별로 별도의 냉각 플레이트를 두지 않고 하나로 가공하여 GPU, VRAM, 전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일제히 방열판으로 보내어 3개의 90mm 냉각팬이 식혀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열전달을 위해 6mm 두께의 히트파이프도 투입되었습니다.
준수한 수준의 낮은 소음과 발열 제어
해당 제품의 냉각성능 및 소음 수준은 상당히 준수한 수준으로 확인됩니다. Cyberpunk 2077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IDLE 상태에선 41.3℃, LOAD 상황에선 65.7℃가 확인되었습니다. 소음을 확인해 보면 IDLE 상황에선 ‘제로 팬’ 기능이 활성화되어 소음을 발생히키지 않았으며, LOAD 상황에서는 31.3dB(A) 수준의 낮은 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BLACK / WHITE로 양분된 PC 시장을 모두 품은 이엠텍의 그래픽 카드들
이번 리뷰에서 다룬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SUPER MIRACLE X3 WHITE D6X 12GB' 제품 외에도 상위 GPU를 사용한 같은 MIRACLE 제품군의 '이엠텍 지포스 RTX 4080 SUPER MIRACLE WHITE D6X 16GB' 제품이 있습니다. 이 제품은 높은 성능과 깔끔한 화이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들에게 화사한 화이트 컬러의 PC를 연출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또한,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하면서 RGB LED와 같은 요소를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들을 위한 'BLACKSTORM' 제품군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렇듯 이엠텍은 다양한 사용자들의 취향과 요구에 맞춰 다양한 제품을 준비하여 사용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