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라이젠 9000 시리즈와 더불어서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프로세서가 출시되면서 이제는 완전하게 DDR5 메모리 시대가 열였다. 인텔의 경우는 12~14세대에 걸쳐서 DDR5, DDR4 메모리 컨트롤러를 동시에 넣어서 메인보드 제조사들의 선택으로 인해 DDR5 용 메인보드인지 DDR4 메인보드 인지 설계를 하면 되었다. AMD 라이젠 프로세서의 경우는 상황이 달라서 라이젠 5000 시리즈까지는 DDR4 메모리만을 사용할 수 있으면 라이젠 7000 ~ 9000 시리즈 들은 모두 DDR5 메모리 만을 사용할 수 있다.
JEDEC 표준 메모리, 흔히 시금치라고 불리우는 메모리는 인텔의 경우는 DDR5-5600 이 라이젠 프로세서의 경우는 DDR5-5200 이 표준적인 스펙이긴 하다. 하지만 현재는 인텔의 경우는 표준 적으로 DDR5-6400 를 라이젠 프로세서도 동일한 DDR5-6400 를 표준으로 보고 있는데 최근 출시된 라이젠 7 9800X3D 프로세서의 경우는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클럭과 사용될 DDR5 메모리의 클럭 비율 (Ratio)를 잘 맞추어야 최적의 성능, 게임에서 프레임 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라이젠7 9800X3D 에 최적의 가성비 게이밍 메모리 속도인 DDR5-6000 에서의 성능을 알아보도록 하자.
■ ADATA DDR5-6000 CL30 LANCER 블랙 패키지 서린 (32GB(16Gx2))
▲ 상세 스펙 : 데스크탑용 / DDR5 / 6000MHz (PC5-48000) / 램타이밍: CL30-40-40 / 1.35V / 램개수: 2개 / XMP3.0 / EXPO / 온다이ECC / 히트싱크: 방열판 / 방열판 색상: 블랙 / 높이: 44mm / 모듈제조사: SK하이닉스 / PMIC 언락
▲ ADATA DDR5-6000 CL30 LANCER RGB 메모리는 16GB 2개가 하나로 패키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게이밍 메모리 패키지를 하고 있다. ADATA DDR5-6000 CL30 LANCER RGB 메모리는 방열판의 색상에 따라서 블랙과 화이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케이스 및 메인보드 색상에 맞추어서 구입하면 좋다.
▲ 메모리의 상단에는 RGB LED 가 들어 있을 거 같은 형태로 디자인 되어 있으나 아쉽게도 이 모델은 RGB LED 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모델이다. 메모리의 상단 부분에는 XPG ADATA의 라인업이 프린팅 되어 있다.
■ ADATA LANCER DDR5-6000 16GBx2 메모리 벤치마크 테스트 환경
● 프로세서 : AMD 라이젠 7 9800X3D
●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 제이씨현
● 메모리 : T-FORCE DDR5-6400 CL32 , ADATA LANCER DDR5-6000 16GBx2 - 서린
● 스토리지 : WD_BLACK 850X 2TB Gen4 x4
●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90 파운더스 에디션
●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1 프로
▲ 테스트로 같이 진행되었던 기가바이트 X870 EAGLE WIFI7 메인보드에 장착한 모습
우선 4가지 게임에서의 성능을 보게 되면 거진 오차 범위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한 성능 (프레임) 수치를 보여준다. 물론 테스트 환경에 따라서 오차 범위라고 볼 수도 있는 부분이 존재하긴 하지만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는 ADATA LANCER DDR5-6000 CL30 가 비슷하거나 우위에 있는 성능을 보인다는 것은 조금은 재미있는 부분들이다. FHD, QHD 해상도에서는 ADATA LANCER DDR5-6000 CL30 메모리가 조금 더 좋은 가성비를 가질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듯 하다.
하지만 이 부분은 게임에서 다 그렇치 만은 않았다. 아래의 게임을 보자.
사이버펑크 2077 게임에서는 독특하게도 FHD 해상도에선 극명하게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QHD 로 넘어가면서 현격히 떨어지는 프레임 수치를 보여주었다. ADATA LANCER DDR5-6000 CL30 메모리가 부릴 수 있는 성능 상의 마술은 게임 마다 특히 해상도 마다 조금씩의 편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테스트가 진행된 프로세서-렌더링 부분에서의 테스트 결과도 마저 보도록 하자. 결론적으로 프로세서 렌더링 부분에서도 ADATA LANCER DDR5-6000 CL30 가 DDR5-6400 보다 라이젠 프로세서에서는 결과적 그리고 상대적으로 좋은 성능을 냈다.
■ DDR5-6000, 1.35V, CL30, 라이젠용 게이밍 메모리 가성비가 좋다.
아마도 현재 가장 구입을 하기 좋은 DDR5 메모리는 아무래도 DDR5-6400 계열이다. 이 메모리는 아마도 가장 많이 생산이 되고 각기 브랜드 마다 다양하게 포지션이 되어 있는 만큼 가격 또한 매력적이긴 하다. 하지만 오늘 소개한 ADATA LANCER DDR5-6000 블랙 게이밍 모델은 RGB LED 가 빠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다른 XMP, EXPO 메모리에 비해 낮은 전력 V1.35 를 그리고 가장 중요한 CL 타이밍 값이 "30" 이다. 앞서 설명을 했던 DDR5-6400 이 통상적으로 CL32 인 것에 비하면 보다 낮은 지연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라이젠 프로세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클럭이 2000MHz 인데 1:2 비율 (Ratio) 로 잡히게 되면서 DDR5-6000 은 이 1:2 비율에 딱 맞게 된다. 그래서 현재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와 DDR5-6000 게이밍 메모리는 가장 최적의 타이밍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금 더 이 메모리가 라이젠 프로세서에 특화가 되어 있는 이유를 SPD 값에서 볼 수 있는데 EXPO 세팅값이 XMP 세팅값과 CL 타이밍 값이 다르다.
▲ CPUZ 를 통해 확인해본 ADATA LANCER DDR5-6000 16GBx2 - 서린 의 SPD 설정 값 -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XMP-6000 세팅 보다 라이젠용 EXPO-6000 설정에서 CL 값이 32에서 30으로 설정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400" 차이가 나는 메모리 클럭 수치를 CL32 에서 CL20 으로 줄임으로서 오히려 극복이 되어 동일한 게임에서 테스트 결과값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게 측정이 되었던 것이 그 이유다. 사랑도 마찬가지 이지만 게이밍 메모리도 역시 속도 보다는 적당한 타이밍이 오히려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현상은 라이젠 9000 계열의 프로세서들에서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나오기 때문에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에서도 이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면 여분의 게이밍 성능을 보다 느낄 수 있을 듯 하다. 만약 가성비 좋은 라이젠 게이밍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면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ADATA LANCER DDR5-6000 16GBx2 - 서린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격적인 만족도 부분에서 게이밍 부분에서는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최신 리뷰
- 결국은 CL 타이밍, 라이젠7 9800X3D에 가장 가성비 게이밍 메모리 ADATA LANCER DDR5-6000 CL30 16GBx2 - 서린
- 공냉쿨러를 설치하는 듯한 간편함,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블랙) AIO 수냉쿨러
- 인텔 & 지포스 RTX 4070의 하모니, 게이밍 - Ai 노트북 에이서 프레데터 Helios Neo 16
- 보다 높은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하여, ESSENCORE KLEVV DDR5-7200 CL34 CRAS V RGB - 서린
- 새로운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의 조력자, 에이수스 TUF GAMING Z890-PRO WIFI (에스티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