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고급 공냉 다 죽일려고 작정했구나.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2024.11.28. 16:22:54
조회 수
441
8
댓글 수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3171.JPG

 

모든 수냉은 터진 수냉과 터질 수냉으로 나뉜다는 극단적인 수냉 쿨러 혐오론자들이 모습을 감춘지도 꽤 됐습니다. 분위기가 그렇게 바뀐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우선 수냉 쿨러의 대세가 비싸고, 관리하기 불편하고, 진짜 터질지도 모르는 위험을 안고 살아야 했던 커스텀 수냉에서 벗어나, 완벽하게 밀봉된 수냉 시스템을 장착하면 끝나는 일체형 수냉으로 넘어왔고요.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공간만 확보한다면 케이스 호환성이 하이엔드 공냉 쿨러보다 훨씬 덜 까다롭고요. 성능 역시 하이엔드 공냉 쿨러와 비교해도 우위를 차지하고요. 무엇보다 가격이 많이 저렴해져서 같은 돈으로 굳이 공냉 쿨러를 고를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배경 지식을 다 알고 있었어도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의 가격은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6만 4천원. 이제는 멸종한 것이나 다름 없는 1열 수냉도 아니고요. 소형 케이스에나 집어 넣을 2열 수냉도 아니고요. 버젓이 120mm 구경 팬 3개가 탑재된 3열 수냉 쿨러인데도 저 가격이 나옵니다. 어지간한 고급형 공냉 쿨러와 비슷한 가격이지요. 그 뿐만이 아닙니다. 쿨링팬이 라디에이터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나오고 라디에이터 팬 전원과 ARGB LED 케이블을 하나로 통일해 장착과 선 정리가 편리하고요. ARGB LED를 팬과 워터블럭에 넣었지만 심플 단순 간단 깔끔 그 자체의 디자인이라 호불호가 갈릴 것도 없습니다. 앞에서 터진 수냉과 터질 수냉이라며 극단적으로 수냉 쿨러를 불신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했지만,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이 제공하는 5년 간의 무상 보증 기간은 안정성에서도 충분히 자신이 있다고 말해주는 듯 합니다.  

 

DSC03173.JPG

 

제품명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소켓 호환

인텔: LGA 1851/1700/115x/1200

AMD: AM5/AM4

라디에이터 크기 394x120x27mm
라디에이터 재질 알루미늄
튜브 구조 직조 슬리빙
튜브 길이 400mm
워터블럭 크기 84.5x70x47.2mm
워터블럭 조명 ARGB LED
워터블럭 구조 구리 베이스
펌프 디자인 듀얼 챔버 320W TDP
펌프 전류 4.2W 12V 0.35A
펌프 속도 3000rpm
펌프 소음 15dBA
펌프 연결 커넥터 3핀 PWM
라디에이터 쿨링팬  하이드로 베어링 팬
라디에이터 쿨링팬 크기 120x120x25.4mm
라디에이터 쿨링팬 수 3개. 라디에이터에 사전 설치
라디에이터 쿨링팬 회전 속도 600-1800rpm
라디에이터 쿨링팬 풍량 최대 81.5CFM
라디에이터 쿨링팬 풍압 최대 2.3mmH2O
라디에이터 쿨링팬 소음 최대 36dBA
라디에이터 쿨링팬 전력 12V 1A 12W
라디에이터 쿨링팬 연결 커넥터 4핀 PWM
3핀 ARGB LED
색상

블랙, 화이트

참고 블랙: https://prod.danawa.com/info/?pcode=71010143
화이트: https://prod.danawa.com/info/?pcode=71010200
가격 블랙: 64,000원
화이트: 70,000원
(2024년 11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지저분한 케이블과 정신 사나운 LED는 없다

 

DSC03172.JPG

 

옷을 잘 입을 자신이 없다면 소화하기 어려운 힙템 같은거 쳐다보지 말고, 무난한 기본템만 잘 소화해도 중간 이상은 간다고들 하지요.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의 디자인이 딱 그렇습니다. ARGB LED? 당연히 들어갑니다. 하지만 프레임까지 번쩍거리는 요란한 LED가 아니라 반투명 날개에서만 LED가 빛나고요. 워터블럭은 눈에 거슬릴 정도로 지나친 장식 없이 단순하고 깔끔한 원형 커버 안에 ARGB LED를 넣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조합의 시스템이던 튀지 않고 잘 적응할 수 있지요. 여기에 3개의 120mm 팬은 케이블을 한 가닥으로 합쳐서 라디에이터 중앙에서 나오도록 고안했습니다. 그래서 팬마다 지저분하게 케이블이 늘어지지도 않고, 많은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확장 케이블이나 컨트롤러까지 동원할 필요도 없습니다. 메인보드에 ARGB LED 두 개, 팬 전원 하나, 펌프 전원 하나만 연결하면 되니까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한 깔끔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DSC03159.JPG

 

박스 전면

 

DSC03160.JPG

 

박스 뒷면

 

 

DSC03162.JPG

 

내부 박스

 

DSC03163.JPG

 

포장 구성

 

DSC03166.JPG

 

쿨링팬이 탑재된 라디에이터, 조립용 나사와 브라켓, 보증서와 사용 설명서.

 

DSC03167.JPG

 

설명서는 당연히 한글이고요. 

 

DSC03169.JPG

 

플랫폼에 맞춘 브라켓과 나사, ARGB LED의 SATA 전원 젠더 겸 컨트롤러, 써멀 그리스와 주걱, 선정리용 클립을 줍니다. 

 

DSC03170.JPG

 

브라켓 위엔 플랫폼과 방향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저것만 보고 필요한 곳에 맞춰 끼우면 됩니다.

 

DSC03179.JPG

 

워터블럭입니다. 새하얀 ARGB LED 커버가 있고요.

 

DSC03177.JPG

 

워터블럭의 크기는 84.5x70.47.2mm

 

DSC03178.JPG

 

그 어떤 공냉 쿨러보다도 작은 크기를 자랑합니다. 그만큼 조립하기가 쉽지요.

 

DSC03181.JPG

 

워터블럭의 호스 연결 부위는 거의 360도가 돌아갑니다. 그래서 조립과 배치가 모두 편합니다. 

 

DSC03186.JPG

 

베이스는 당연히 구리. 

 

DSC03176.JPG

 

워터블럭에 연결된 ARGB LED와 전원 케이블은 클립을 사용해 호스와 함께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면 케이블이 지저분하게 돌아다니지 않지요.

 

 

DSC03187.JPG

 

라디에이터입니다. 120mm 쿨링팬 3개를 기본 장착해서 출고합니다. 그러니까 팬을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습니다. 

 

 

DSC03188.JPG

 

라디에이터의 크기는 394x120x27mm입니다.

 

 

DSC03189.JPG

 

라디에이터 두께 27mm, 팬 두께 25.4mm를 더해야 합니다. 이건 평범한 수냉 쿨러 수준의 두께고요. 

 

 

DSC03191.JPG

 

쿨링팬 왼쪽에 커버가 붙어 있습니다.  저것 때문에 케이스 조립에 간섭이 생길 일은 없습니다. 

 

 

DSC03192.JPG

 

모범적인 구성의 라디에이터 핀 배치. 

 

 

DSC03197.JPG

 

쿨링팬 케이블은 저 한 가닥으로 통일되어 장착과 선정리가 편합니다. 

 

DSC03196.JPG

 

팬 전원 1개, ARGB LED 1개만 연결하면 됩니다. 여기서 나온 단자에 펌프의 ARGB LED를 연결하면 깔맞춤도 간단하게 끝납니다.

 

 

이제 쿨링팬 장착 노가다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DSC03175.JPG

 

아무리 광활한 케이스여도 ATX 폼펙터의 기본적인 구조는 그대로고요. 그 비좁은 공간 안에 하이엔드 듀얼 타워에 듀얼 팬이 달린 CPU 쿨러를 넣고 어거지로 쑤셔넣고 있으면 입에선 욕이 나오고, 방열판에 긁힌 손가락에서는 피도 나기 마련입니다. 거기에 비하면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같은 일체형 수냉 쿨러는 조립이 훨씬 쉬운 편이죠. 워터블럭이 차지하는 공간이 압도적으로 작다보니 메인보드에 장착이 편하고요. 인텔 플랫폼은 백플레이트 끼우고 워터블럭 장착, AMD 플랫폼은 기본 가이드 제거하고 워터블럭 장착하면 끝나니 과정도 복잡하지 않습니다. 예전 같았으면 라디에이터에 3개의 쿨링팬을 일일이 달기가 귀찮다고 했겠으나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은 3개의 쿨링팬이 라디에이터에 조립된 채로 출고되기에 라디에이터를 케이스에 조립하기만 하면 끝납니다. 여기에 앞에서 소개한대로 케이블도 한 가닥만 연결하면 되니 조립이 더욱 간편하지요. 

 

DSC03204.JPG

 

AMD AM4/AM5는 기본 장착된 가이드를 제거하고 AMD용 나사 기둥을 조립합니다. 육각 나사 좌/우의 기둥 모양이 다르게 생겼는데요. 끼워서 고정이 안되고 헛돈다 싶으면 빼서 돌려 다시 끼우면 됩니다. 

 

DSC03203.JPG

 

AMD 브라켓을 워터블럭에 끼우고 돌려줍니다. 

 

 

DSC03205.JPG

 

손나사를 돌려서 고정합니다.

 

DSC03210.JPG

 

인텔은 백플레이트를 메인보드 뒷면에 끼우고요. 

 

DSC03207.JPG

 

인텔용 브라켓을 끼우고요. 

 

DSC03212.JPG

 

써멀 바르고 꽂아주고

 

DSC03213.JPG

 

손나사로 고정하면 끝입니다.

 

DSC03214.JPG

 

그리고 케이블 연결.

 

DSC03215.JPG

 

앱 코

 

DSC03220.JPG

 

팬 날개와 워터블럭 커버의 ARGB LED

 

ezgif.com-optimize.gif

 

메인보드 설정 프로그램이나 동봉된 컨트롤러를 조작해서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3열 수냉은 써야 CPU가 제 성능을 낸다니까요? 

 

DSC03199.JPG

 

성능 테스트엔 여전히 압도적인 발열을 자랑하는 인텔 코어 i9-13900K를 사용했습니다. MSI 메인보드에선 CPU 전력 제한을 번들 쿨러인 253W, 타워형 공냉 쿨러인 288W, 그리고 수냉 쿨러에 맞춘 4096W의 세 가지로 설정할 수 있는데요. 253W로 설정했을 때는 쿨러 밑에 깔린 게 플래그쉽 프로세서가 맞나 싶을 정도로 낮은 온도를 기록했고요. 4096W으로 설정하니 온도는 다소 높았지만 클럭 역시 가장 높게까지 올라갔습니다. 발열이 많은 인텔의 하이엔드 프로세서에서 높은 클럭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고 싶다면 역시 360mm 라디에이터의 수냉 쿨러 정도는 달아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소음의 경우 100%에서는 30cm 거리에서 측정한 값이 51.5dB까지 올라갔으나 스트레스 FPU 같은 극단적인 환경을 마주할 일은 거의 없고, 또 대부분의 시스템은 케이스 안에 넣고 쓴다는 점을 감안하면 체감하는 소음은 이보다 훨씬 낮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DSC03216.JPG

 

테스트 환경입니다.

코어 i9-13900K

MSI MAG Z790 토마호크 WIFI 

DDR5-6000 32GB 듀얼채널 

내장 그래픽

NVMe M.2 SSD

윈도우 11 24H2

실온 18도

 

수정됨_MSI_SnapShot.jpg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전력 제한을 253W, 288W, 4096W로 바꿔가며 테스트했습니다. 

 

Cap 2024-11-28 14-01-12-311.png

 

아이들 시 CPU 온도

 

Cap 2024-11-28 14-00-46-411.png

 

아이들 시 소음(dB)

 

Cap 2024-11-28 14-01-01-361.png

 

아이들 시 팬 속도(rpm)

 

Cap 2024-11-28 13-59-25-662.png

시네벤치 2024의 점수

 

Cap 2024-11-28 13-59-12-831.png

 

시네벤치 2024의 클럭 변화

 

Cap 2024-11-28 14-00-18-533.png

 

시네벤치 2024의 CPU 온도 

 

Cap 2024-11-28 13-59-47-461.png

 

시네벤치 2024의 소음 

 

Cap 2024-11-28 14-00-05-861.png

 

시네벤치 2024의 팬 rpm 

 

Cap 2024-11-28 13-58-59-501.png

 

아이다64의 FPU 테스트 클럭 

 

Cap 2024-11-28 06-09-25-523.png

 

아이다 64의 스트레스 FPU 테스트는 MSI 센터의 쿨링 위저드에서 팬 속도를 바꿔가며 테스트했습니다. 

 

Cap 2024-11-28 13-57-19-950.png

 

아이다64의 FPU 테스트. 4096W에서 CPU 온도

 

Cap 2024-11-28 13-57-45-933.png

 

아이다64의 FPU 테스트. 288W에서 CPU 온도

 

Cap 2024-11-28 13-57-59-433.png

 

아이다64의 FPU 테스트. 253W에서 CPU 온도

 

Cap 2024-11-28 13-58-21-881.png

 

라디에이터 팬 속도(rpm)

 

 

Cap 2024-11-28 13-58-36-601.png

 

 

라디에이터 팬 소음(dB)

 

Cap 2024-11-28 10-16-27-885.png

 

4096W에서의 온도 변화. 전력 설정을 최대한으로 풀었음에도 온도 변화가 크지 않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앱코 P360 포세이돈 ARGB

 

DSC03174.JPG

 

괜찮은 성능, 깔끔한 디자인, 우수한 조립 편의성, 그리고 저렴한 가격을 갖춘 360mm 라디에이터의 일체형 수냉 쿨러입니다. 검은색과 하얀색의 두 가지 버전과 간결한 디자인의 워터블럭으로 어떤 시스템에던 잘 어울리고요. 라디에이터 팬이 기본 장착되고 케이블을 하나로 통일했기에 조립이 간편하고 선정리 또한 쉽습니다. 360mm 일체형 수냉 쿨러 최저가이자 비싼 공냉 쿨러와 비교해도 될 6만 4천원의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지만 성능과 소음 모두 준수한 결과를 보여 줍니다. 수냉 쿨러를 쓰면 알레르기라도 돋는 체질이 아닌 이상, 현 시점에서 이것 대신 비싼 공냉 쿨러를 굳이 장착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레드미 K80 시리즈, 워치 5, 버즈 6 프로 발표
워싱턴 DC, 22년만에 방공 카메라를 업그레이드
고클럭 램을 쓰는 서버는 메모리 쿨러가 필요하다는 주장
이 케이스, 내공이 대단하다. 마이크로닉스 HAVN HS 420
사무실에 모니터 한대 놔드려야겠어요. MSI MP275W E2 IPS 120 아이에르고 화이트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기계식키보드 스위치 대중성 1티어 브랜드 : HMX 스위치 소리 비교 #keyboard #HMX #typing #asmrsounds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리뷰] "솔직히 테일즈 리마스터 중 원탑"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 f' (1) 게임동아
메인스트림의 새로운 다크호스, MAXSUN Arc B580 iCraft/ Milestone (1) 보드나라
진정한 성능을 경험하고 싶다면?,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70 2X V2 D6X 12GB (1) 보드나라
주방가전, 혹시 누가 이렇게 정리해줬음 하지 않았나요?(10분이면 충분합니다!) (2) 동영상 있음 노써치
노트북을 이렇게까지 만들 수 있네요...2025년 LG 그램 프로&그램 AI 리뷰 동영상 있음 THE EDIT
하얀 겨울 에디션~ ADATA DDR5-6400 CL32 LANCER RGB 화이트 메모리 패키지 서린 64GB(32Gx2)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슈퍼카로 시내 운전하면 얼마나 피곤한지 직접 해봤습니다 || 맥라렌 아투라, 750S 스파이더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와이파이7 공유기를 9만원대에… ‘ipTIME BE3600QCA’ 뉴스탭
갤럭시북, 이렇게 착해져도 되는 겁니까?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NT940XHA-K51A[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에드워드 리를 조금 넣은 신라면 투움바 동영상 있음 맛상무
39만원대 이가격맞아? 2억화소 AMOLED IP68방수 NFC지원 국내정발 자급제 샤오미 레드미14프로 5G 성능테스트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이번에도 푸마는 신선하네요" 퓨처 8 얼티메이트 MG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50W출력과 패시브 우퍼를 갖춘 게이밍 사운드 바가 79,000원? 제닉스 TITAN SB9 (3)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GDDR6과 함께해도 여전히 우수,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70 2X D6 12GB 케이벤치
QHD, 165Hz, 화이트를 이제 10만 원 선에서 비트엠 Newsync P27QHD 쿨엔조이
강력한 지우샥 듀얼 타워 공랭 쿨러, JIUSHARK JF800 Diamond 시리즈 (1) 쿨엔조이
저소음 마우스에서 선보이는 스크롤의 자유, 지클릭커 휠마스터 M OP03 무선 마우스 (2) 쿨엔조이
8K 폴링레이트를 지닌 초경량 & 마그네슘 합금 마우스 등장! 프리플로우 archon MAGNOX SL PRO MINI 유무선 (1) 쿨엔조이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AI 프로세서, 인텔코어 울트라5 245K (1) 노트포럼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