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X3D의 잠재 능력을 끌어낸다. MSI MPG X870E 카본 WiFi

2024.12.05. 15:37:37
조회 수
357
5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2251.JPG

 

인텔의 새 메인보드는 리뷰를 쓸 때 한 문단 정도는 대체로 날로 먹을 수 있는 편입니다. 심지어 그 내용도 간단명료하고 설득력이 높기까지 하지요. 대충 2년마다 한 번 꼴로 "새 CPU에서 소켓이 바뀌엇으니 새 메인보드를 사십시오."라는 내용을 채워 넣으면 되거든요. 그에 비해 AMD는 소켓을 거의 안 바꾸는 편이라 새 칩셋과 메인보드가 나와도 업그레이드를 유도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기존 칩셋과 보드에서 새 CPU를 다 지원하는데 뭐하러 새걸 사냐?"고 말하면 대답할 말이 없는 게 사실이니까요. 이번에 AMD에서 라이젠 7 9800X3D와 함께 보낸 MSI MPG X870E 카본 WiFi도 으레 그럴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냥 라이젠 9000 시리즈가 나오니까 800 시리즈 칩셋도 함께 나왔고, 새 칩셋이 나왔으니까 당연히 하이엔드 메인보드도 함께 딸려 왔겠거니 했지요. 그런데 이 메인보드, 성능 최적화부터 편의성까지 쓰면 쓸수록 눈길을 끄는 대목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X870E는 AMD AM5의 최상위 칩셋으로, PCIe 5.0 x16 그래픽 지원과 더불어 칩셋에서 20개의 PCIe 4.0 레인을 제공하고, USB 4.0 포트를 지원해 내/외부 확장성을 극대화했습니다. MSI MPG X870E 카본 WiFi은 여기에 18+2+1 페이즈 듀얼 레일 디지털 전원부와 DDR5 8400MHz의 고클럭 메모리 지원을 조합해 고성능 CPU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모든 전원부 부품과 M.2 슬롯 위에 대형 방열판을 덮어 온도를 낮게 유지합니다. 그래픽카드 슬롯과 M.2 슬롯은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신형 디자인을 도입하고, EZ 커넥터로 전면 핀헤더를 간단하게 연결합니다. 전면 USB-C 포트는 27W PD 충전을 지원하며 후면 포트에선 40Gbps의 USB4와 더불어 5Gbps와 2.5Gbps의 듀얼 랜, 320MHz 대역폭의 Wi-Fi 7까지 지원해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또 MSI의 신형 메인보드답게 직관적이면서도 풍부한 기능을 갖춘 클릭 바이오스 X를 제공합니다. 

 

DSC02243.JPG

 

제품명 MSI MPG X870E 카본 WiFi
CPU

AMD 라이젠 9000/8000/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

소켓 AM5
전원부 18+2+1 페이즈 듀얼 레일 110A SPS 디지털 전원부, 히트파이프와 방열판 탑재
칩셋 AMD X870E
메모리

DDR5 메모리 슬롯 4개, 최대 256GB, 8400+MHz 오버클럭(1DPC 1R 기준)

AMD EXPO/인텔 XMP 3.0, 듀얼 채널, 논 ECC/언버퍼드 메모리 지원

확장 슬롯

PCI_E1: CPU에 연결, PCIe 5.0 x16(스틸 아머와 SMT 공정으로 보강 처리, EZ PCIe 릴리스)

PCI_E2: CPU에 연결, PCIe 5.0 x4(슬롯 크기 x16, 스틸 아머와 SMT 공정으로 보강 처리)

PCI_E3: 칩셋에 연결, PCIe 4.0 x4(슬롯 크기 x16)

스토리지

SATA 6Gbps 포트 4개

M.2 슬롯 4개, 전부 양면 방열판과 써멀 패드 제공, EZ M.2 클립 II

M.2_1(PCIe 5.0 x4, CPU에 연결, M.2 2260/2280) 

M.2_2(PCIe 5.0 x4, 칩셋에 연결, M.2 2260/2280)

M.2_3(PCIe 4.0 x4, 칩셋에 연결, M.2 22110/2280)

M.2_4(PCIe 4.0 x4, 칩셋에 연결, M.2 2280/2260)

레이드 0/1/10 지원

내장 그래픽 출력

HDMI 2.1 x1(8K 60Hz)

USB-C x2(DP Alt 모드, DP 1.4에 HBMr3, 4K 60Hz) 

USB 포트

전면 USB 2.0 x4

전면 USB 5Gbps 타입 A x4 

전면 USB 20Gbps 타입 C x1(USB PD 27W 전원 공급)

후면 USB 10Gbps 타입 A x9

후면 USB 10Gbps 타입 C x2

후면 USB 40Gbps 타입 C x2

오디오

리얼텍 ALC4080 코덱. 7.1채널 HD 오디오, S/PDIF 출력, 전면 32비트 384KHz 재생 지원

네트워크

리얼텍 8126 5Gbs 유선 랜

리얼텍 8125 2.5Gbs 유선 랜

내부 I/O 

24핀 전원 커넥터 x1

8핀 CPU 전원 커넥터 x2

8핀 확장 슬롯 전원 커넥터 x1

CPU 팬 x1

콤보(펌프) 팬 x1

시스템 팬 x5

EZ 컨트롤러 핀헤더 x1

전면 패널 x2

케이스 침입 감지 x1

전면 오디오 x1

온도 센서 커넥터 x1

ARGB LED V2 x3

RGB LED x1

USB 2.0 포트 x4

USB 5Gbps 타입 A x4

USB 20Gbps 타입 C x1  

무선랜, 블루투스

Wi-Fi 7. 2.4GHz, 5GHz, 6GHz(320MHz) 조합으로 최대 5.8Gbps 지원, 802.11 a/b/g/n/ac/ax/be

블루투스 5.4, MLO, 4KQAM 

LED

EZ 디버그 LED x4

EZ Digit 디버그 LED x1

백패널 HDMI x1
USB 40Gbps 타입 C x2
USB 10Gbps 타입 A x9
USB 10Gbps 타입 C x2
플래시 바이오스, 클리어 CMOS, 스마트 버튼
2.5Gb 랜 x1
5Gb 랜 x1
EZ WiFi 안테나 x2
3.5mm 스피커 x1
3.5mm 마이크 x1
S/PDIF 광 출력
권장 운영체제 윈도우 11 64비트  
폼펙터 ATX. 243.84x304.8cm 
박스 구성 EZ Wi-Fi 안테나
USB 드라이브
케이블 스티커
SATA 케이블 x2
EZ 프론트패널 케이블
1to3 EZ 케이블
1to2 RGB 확장 케이블
ARGB 확장 케이블 
EZ M.2 클립 2 리무버
EZ M.2 클립 2 
설명서 
빠른 설치 가이드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67852652
가격 659,000원(2024년 11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하이엔드 메인보드는 무거워야

DSC02262.JPG

 

 

좋은 파워일수록 무겁다고 하지요. 그 말, 이제는 메인보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IT-170 서버 등급을 받고 2온스 두께의 구리를 깔아둔 8층 기판 때문에 무거워졌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좋아지긴 했겠지만요. 무거워진 진짜 이유는 전원부부터 M.2 슬롯까지 하나도 빠짐 없이 방열판을 꽉 채워서 그렇습니다. 18+2+1 페이즈 듀얼 레일로 구성된 디지털 전원부는 110A SPS와 디지털 PWM로 구성됐고, 그 위에 MOSFET에 직접 닿는 다이렉트 터치 히트파이프와 7W/mK의 고효율 써멀 패드, 2덩어리의 대형 방열판이 장착됩니다. 2개로 나눠진 칩셋 위에도 대형 방열판이 장착됐으며, M.2 슬롯은 아래위에 모두 방열판을 장착해 M.2 SSD를 양면에서 갑싸줍니다. 또 다양한 케이블과 USB 드라이버, WiFi 안테나 등 구성품도 넉넉하게 챙겨줍니다. 

 

CPU 소켓은 AM5로 라이젠 9000/8000/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를 지원합니다. 풍부한 전원부 구성과 더불어 2개의 8핀 EPS 보조전원을 탑재해 하이엔드 프로세서가 제 성능을 100%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메모리 슬롯은 DDR5 8400까지 오버클럭을 지원하며 최대 256GB 시스템 메모리 구성에 AMD EXPO 오버클럭 프로파일을 쓸 수 있습니다. 확장 슬롯은 3개가 있습니다. CPU에 연결된 1번 슬롯은 PCIe 5.0 x16까지, CPU에 연결된 2번 슬롯은 PCIe 5.0 x4까지 지원하며 칩셋에 연결된 3번 슬롯은 PCIe 4.0 x4까지 지원합니다. 3개의 슬롯 모두 PCIe x16 사이즈까지 장착 가능하기에 호환성은 문제 없습니다. 여기에 SATA 6Gbps 포트 4개, PCIe 5.0 x4 M.2 슬롯 2개, PCIe 4.0 x4 슬롯 2개를 제공해 총 8개의 스토리지를 지원합니다.  

 

DSC02221.JPG

 

제품 박스 전면

 

DSC02222.JPG

 

제품 박스 뒷면

 

DSC02223.JPG

 

박스 내부 구성

 

DSC02228.JPG

 

빠른 설치 가이드, 스티커, 유럽 지역 설명서, 바이오스와 드라이버 설치용 USB 드라이브, EZ M.2 클립 II, EZ M.2 클립 II 리무버.

 

DSC02229.JPG

 

1to2 RGB LED 확장 케이블, 1to3 EZ 커넥터 케이블, SATA 케이블 2개, ARGB 확장 케이블, EZ 프론트패널 케이블.

 

DSC02230.JPG

 

EZ Wi-Fi 안테나

 

DSC02244.JPG

 

MSI MPG X870E 카본 WiFi 메인보드입니다. 

 

DSC02246.JPG

 

크기 243.84x304.8cm의 ATX 폼펙터.

 

DSC02238.JPG

 

묵직한 방열판으로 메인보드를 덮었습니다. 

 

DSC02249.JPG

 

위쪽엔 AM5 소켓과 히트파이프로 연결된 전원부 방열판, 4개의 DDR5 메모리 슬롯이 있고요.

 

DSC02250.JPG

 

아래쪽엔 3개의 PCIe x16 슬롯과 4개의 M.2 슬롯, 그리고 M.2와 칩셋을 덮은 대형 방열판이 있습니다.

 

DSC02271.JPG

 

CPU 소켓과 메모리 슬롯 사이의 제품 로고. 

 

DSC02278.JPG

 

M.2 방열판을 떼어내면 이렇습니다. 모든 M.2 슬롯 위아래로 방열판과 써멀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DSC02364.JPG

 

DSC02360.JPG

 

 

DSC02361.JPG

 

DSC02362.JPG

 

DSC02363.JPG

 

히트파이프로 연결되고 ARGB LED가 탑재된 전원부 방열판

 

DSC02340.JPG

 

DSC02341.JPG

 

DSC02342.JPG

 

2개의 칩셋을 냉각하는 칩셋 방열판

 

DSC02356.JPG

DSC02354.JPG

 

DSC02355.JPG

 

1번 M.2 SSD 슬롯 위를 덮는 방열판. 카본 로고에는 ARGB LED가 탑재됩니다.

 

DSC02352.JPG

 

DSC02351.JPG

 

DSC02353.JPG

 

M.2 SSD 위를 덮는 방열판

 

DSC02365.JPG

 

DSC02366.JPG

 

DSC02367.JPG

 

M.2 SSD 슬롯 아래에 깔린 방열판.

 

DSC02350.JPG

 

 

DSC02348.JPG

 

DSC02349.JPG

 

오디오 회로 위의 방열판. 이건 장식용 커버에 더 가깝겠지요.

 

 

DSC02343.JPG

 

DSC02344.JPG

 

백패널 커버

 

 

조립이 쉬워졌어요(물리)

 

DSC02265.JPG

 

올 하반기 출시된 MSI의 고급형 메인보드는 한결같이 조립 편의성을 개선했습니다. 스틸 아머로 보강된 PCIe 5.0 x16 슬롯은 메모리 슬롯 옆에 eZ PCI-E 릴리즈 버튼을 달아, 이걸 누르면 슬롯이 잠기고 다시 누르면 잠금 장치가 풀려 그래픽카드를 빼낼 수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두꺼운 그래픽카드에 가려진 잠금 장치를 누를 필요가 없지요. M.2 슬롯의 방열판은 나사로 고정한 게 아니라 스프링 클립으로 고정하기에 손잡이를 옆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분리되고, 슬롯에 맞춰 끼우기만 하면 고정이 됩니다. 또 M.2 슬롯에 SSD를 고정할 때도 드라이버로 나사를 조이는 게 아니라 EZ M.2 클립 II를 밀기만 하면 끝납니다.

 

쿨러와 전면 핀헤더 연결도 쉬워졌습니다. CPU 쿨러와 수냉 쿨러, 시스템 팬 전용 단자를 제공해 자동으로 팬 속도를 조절해주고, EZ 커넥터 솔루션을 사용해서 MSI 수냉 쿨러나 쿨링팬을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뒷면 I/O 패널은 실드가 기본 장착되어 조립만 하면 되고, Wi-Fi 안테나는 돌려서 고정하는 게 아니라 끼우기만 하면 고정이 끝나는 EZ 안테나를 도입했습니다. 또 간단하게 시스템 정보를 파악하는 EZ 디버그 LED와 더욱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버그 LED를 제공하며, 클리어 바이오스와 리셋 외에도 원하는 기능을 할당하는 스마트 버튼이 추가되어 조작과 시스템 트러블슈팅이 편해졌습니다. 

 

DSC02370.JPG

 

DSC02371.JPG

 

M.2 방열판은 나사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칩셋 방열판 쪽에 우선 고정하고, 반대편 레버를 살짝 누르면서 꽂으면 끼워집니다.

 

m2.gif

 

M.2 SSD도 나사로 고정하는 게 아니라, 힘을 주면 들어가는 고정 핀이나 플라스틱 레버를 회전시켜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switch.gif

 

가장 위의 PCIe 5.0 x16 확장 슬롯은 메모리 슬롯 옆으로 나온 버튼을 눌러서 잠금/해제 상태를 전환합니다.

 

DSC02345.JPG

 

DSC02346.JPG

 

DSC02347.JPG

 

확장 슬롯 잠근 버튼의 구조입니다. 

 

DSC02241.JPG

 

백패널의 Wi-Fi 안테나는 꽂아서 돌리는 게 아니라 그냥 꽂기만 하면 고정이 됩니다.

 

 

확장성 확보에 진심이야

 

DSC02242.JPG

 

백패널을 가득 채운 다채로운 포트들을 보고 있으니, 저걸 다 쓸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궁금해졌습니다. 무작정 좋다고 말해주려는 게 아니라, 그 숫자로 보나 구성으로 보나 흠잡을 곳을 찾기가 어려운 최고급의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USB 타입 A 포트는 총 9개가 있습니다. 전부 10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들이고요. 좌상단에 위치한 포트는 플래시 바이오스 기능을 겸하고 있어, 바이오스가 저장된 USB 드라이브를 여기에 연결하고 플래시 바이오스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USB-C 포트는 10Gbps 전송이 가능한 포트가 2개, 그리고 40Gbps의 속도와 DP Alt 모드를 지원하는 USB 4 포트가 4개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 출력은 USB 4 포트에 DP 변환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HDMI 포트에서 4K 이상의 고해상도를 출력합니다. 

 

유선 네트워크 포트는 2개가 있습니다. 각각 5Gbps와 2.5Gbps 속도를 지원하지요. 제가 나름 빠르다는 인터넷을 쓰고 있는데도 고작 반기가라 5Gbps는 고사하고 2.5Gbps를 어디에 쓸까 싶었는데, 좀 더 생각해보니 이걸로 초고속 내부망을 구성하면 딱 맞아 떨어지겠구나 싶네요. 무선 인터넷도 Wi-Fi 7을 지원합니다. 숫자만 7로 올린 게 아니라 최대 320MHz의 대역폭과 5.8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진짜 Wi-Fi 7이죠. 다른 보드 중에는 저 스펙도 못 맞추면서 Wi-Fi 7이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더라고요. 내장 사운드는 리얼텍 ALC4080 코덱 칩을 탑재해 3.5mm 마이크 입력과 스피커 출력 기능이 있고요. 더 욕심을 내 7.1채널 HD 오디오와 S/PDIF 광 출력을 쓰거나, 전면 핀헤더를 연결하면 32비트 384KHz 재생까지 쓸 수 있습니다. 

 

DSC02281.JPG

 

방열판을 전부 제거한  MSI MPG X870E 카본 WiFi 메인보드

 

DSC02282.JPG

 

메인보드 윗부분

DSC02287.JPG

 

18+2+1 듀얼 레일 디지털 전원부와 AM5 소켓

DSC02286.JPG

 

AM5 소켓 위에 6+2 페이즈, 옆에 12+1페이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SC02290.JPG

 

CPU Vcore 전원부는 르네사스 R22209004 110A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 인덕터로 구성되며, 그 옆에 Vmisc 1 페이즈 전원부는 리얼텍 RT3672EE와 알파 오메가 AOZ5516QI 55A를 사용합니다. 

 

DSC02293.JPG

 

위쪽의 보조 전원부의 구성은 주 전원부랑 같고요. 

 

DSC02292.JPG

 

전원 컨트롤러는 르네사스 RAA229620입니다. CPU 보조 전원은 8핀 2개입니다.

 

DSC02297.JPG

 

램 슬롯 위에는 CPU 쿨링팬, 수냉 쿨러 펌프 전원, 시스템 팬 포트 2개, ARGB LED 핀헤더가 있습니다. 쿨링팬 헤더 옆에는 누보톤의 컨트롤러 칩이 하나씩 붙어 있고요.

 

DSC02299.JPG

 

메모리 슬롯입니다. DDR5-8400 이상 오버클럭을 지원하며 256GB 용량의 시스템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램 슬롯 아래에는 24핀 ATX 전원 포트, 디버그 LED, EZ 디버그 LED, EZ 커넥터가 있습니다. EZ 디버그 LED로 부팅 단계의 어디에서 문제가 생겼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에러 정보는 디버그 LED에서 확인합니다. EZ 커넥터를 지원하는 MSI 수냉 쿨러는 케이블 하나로 메인보드에 연결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DSC02283.JPG

 

메인보드 아래쪽을 볼 차례입니다. 3개의 PCIe x16 슬롯, 4개의 M.2 슬롯과 2개의 칩으로 구성된 X870E 칩셋이 있습니다.

 

DSC02236.JPG

 

SATA 4포트, 전면 USB C 핀헤더 1개, 전면 USB A 핀헤더 2개

 

DSC02300.JPG

 

2개의 칩으로 구성된 AMD X870E 칩셋

 

DSC02302.JPG

 

왼쪽이나 오른쪽 모두 똑같은 칩입니다. 

 

DSC02304.JPG

 

3개의 PCIe x16 길이 슬롯입니다.

 

PCI_E1: CPU에 연결, PCIe 5.0 x16(스틸 아머와 SMT 공정으로 보강 처리, EZ PCIe 릴리스)

PCI_E2: CPU에 연결, PCIe 5.0 x4(슬롯 크기 x16, 스틸 아머와 SMT 공정으로 보강 처리)

PCI_E3: 칩셋에 연결, PCIe 4.0 x4(슬롯 크기 x16)

 

DSC02305.JPG

 

4개의 M.2 SSD 슬롯입니다. 모두 레이드 0/1/10을 지원합니다.

M.2_1(PCIe 5.0 x4, CPU에 연결, M.2 2260/2280) 

M.2_2(PCIe 5.0 x4, 칩셋에 연결, M.2 2260/2280)

M.2_3(PCIe 4.0 x4, 칩셋에 연결, M.2 22110/2280)

M.2_4(PCIe 4.0 x4, 칩셋에 연결, M.2 2280/2260)

 

DSC02311.JPG

 

M.2 슬롯 사이에는 똑같은 칩이 다수 붙어 있는데요.

 

DSC02306.JPG

 

PCIe 5.0 확장 슬롯과 M.2 옆에만 있는 것으로 보아 PCIe 5.0 스위치로 보입니다.

 

DSC02307.JPG

 

전면 USB-C 핀헤더는 USB PD 27W 전원 공급이 가능합니다. 이를 커버하는 USB 스위치 칩과 ITE의 IT8856FN USB PD 3.0 컨트롤러 칩이 보입니다. 

 

DSC02308.JPG

 

메인보드 아래에는 전면 핀헤더, LED 스위치, 전원과 리셋 버튼, ARGB LED 핀헤더, USB 2.0 핀헤더가 있고요.

 

DSC02309.JPG

 

그 옆에는 시스템 쿨링팬 단자와 확장 카드용 8핀 추가 전원 커넥터가 있습니다.

 

DSC02310.JPG

 

마지막으로 가장 왼쪽에는 전면 오디오 핀헤더와 RGB LED, ARGB LED 핀헤더가 있습니다.

DSC02312.JPG

 

7.1채널 HD 오디오를 지원하는 리얼텍 ALC4080 코덱 칩과 배터리.

 

DSC02237.JPG

 

이제 백패널 쪽을 봅시다.

 

HDMI x1
USB 40Gbps 타입 C x2
USB 10Gbps 타입 A x9
USB 10Gbps 타입 C x2
플래시 바이오스, 클리어 CMOS, 스마트 버튼
2.5Gb 랜 x1
5Gb 랜 x1
EZ WiFi 안테나 x2
3.5mm 스피커 x1
3.5mm 마이크 x1
S/PDIF 광 출력

 

DSC02313.JPG

 

리얼텍 8126 5Gbs 유선 랜

리얼텍 8125 2.5Gbs 유선 랜

 

DSC02314.JPG

 

윈본드의 시리얼 플래시 메모리와 리치텍의 추가 2페이즈 전원 컨트롤러.

 

DSC02315.JPG

 

무선 랜과 USB 도터보드의 연결 헤더.

 

DSC02317.JPG

 

리얼텍 RTD2151은 HDMI 8K 60Hz 신호 출력을 위한 칩이며 Asmedia ASM4242는 USB4 40Gbps 컨트롤러입니다.

DSC02358.JPG

DSC02357.JPG

 

DSC02359.JPG

 

USB-A와 백패널 버튼이 달린 작은 기판 사이에는 방열판을 부착했습니다.

 

DSC02330.JPG

 

도터보드입니다.

 

DSC02331.JPG

 

리얼텍 RTS5462E 컨트롤러와 RTS5420 허브 구성입니다. 

DSC02332.JPG

 

보드 뒷면

DSC02333.JPG

 

바이오스 업데이트, 시모스 클리어, 원하는 기능을 할당하는 스마트 버튼이 있습니다.

 

DSC02334.JPG

 

Wi-Fi 7 카드입니다. 퀄컴 QCNC865를 사용합니다.

 

DSC02335.JPG

 

뒷면

 

DSC02336.JPG

 

DSC02337.JPG

 

WiFi 7 카드 내부

 

DSC02320.JPG

 

메인보드 뒷면입니다.

 

DSC02321.JPG

 

메모리 슬롯은 SMT 방식의 부품을 사용했기에 뒷면에 접점이 튀어나오지 않았습니다. 

DSC02323.JPG

 

전원부와 보조전원 포트 뒷면

 

DSC02325.JPG

 

전면 USB-C 포트 뒷면에는 ITE ITE8857FN PD 100W 컨트롤러가 있습니다.

 

DSC02326.JPG

 

각종 로고

 

DSC02328.JPG

 

누보톤의 NCT6687D-R 슈퍼 I/O 컨트롤러 칩도 보드 뒷면에 붙어 있고.

 

DSC02329.JPG

 

슬롯 사이에는 PI3EQX16 PCIe 스위치 칩이 있습니다.

 

 

완전히 갈아 엎은 클릭 바이오스 X

 

DSC02248.JPG

 

MSI는 2024년 하반기에 새로 출시된 메인보드부터 바이오스 디자인을 클릭 바이오스 X로 리뉴얼했습니다. MSI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원래부터 다른 어떤 회사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을 정도로 다양했었고요. 이번에는 디자인 완성도를 높이고 보다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입해서 사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EZ 모드에서는 가장 많이 찾게 될 주요 기능들만 쏙쏙 골라서 쓰기 쉽도록 배치했으며, 현재 시스템 설정이나 작동 상황을 간단하게 모니터링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스를 찾게 될 가장 큰 이유는 게임 최적화, AI 부스트, EXPO 메모리 설정 등은 가장 위에 큰 아이콘으로 배치했지요.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바이오스의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여기에서 제공하는 고급 옵션을 모두 활용할 일은 없겠으나, 특정 기능을 일부러 끄거나 보다 세밀한 오버클럭 설정이 필요할 때 여기를 찾으면 되겠습니다. 

 

메인보드의 통합 설정 프로그램인 MSI 센터 역시 건재합니다. MSI 센터는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전부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하는 기능만 골라서 설치하기에 시스템을 보다 가볍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모니터링 메뉴에선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보여주며, 유저 시나리오에선 각 상황에 맞는 프리셋을 제공합니다. 새로 추가된 AI 엔진은 AI를 활용해서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해 주고, AI 랜 메니저를 활성화하면 시스템 사용 상황에 맞춰서 네트워크 설정을 맞춰 줍니다. 얼마 전에 독립된 모듈로 떨어져 나온 쿨링 위저드에선 쿨링팬의 회전 속도와 작동 커브값을 설정하며 이를 프로파일로 지정해 관리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3926.jpg

 

바이오스에 진입하면 가장 먼저 PBO 설정을 묻습니다. 어지간하면 오토로 설정해도 알아서 켜 주지만, 항상 켜져 있길 원한다면 인에이블로 설정하는 게 좋겠죠.

 

수정됨_20241031124531.jpg

 

EZ 모드의 메인 화면입니다. 가장 위에는 EZ 모드와 어드밴스드 모드의 선택, 그 오른쪽 아이콘은 바이오스 업데이트, 즐겨찾기, 시스템 정보 표시 등의 기능들이 있고, 표시 언어와 검색, 스크린샷, 저장과 종료 기능도 있습니다. 

 

아래에는 게임 부스트, NPU 부스트, 메모리 프로파일 설정, 현재 시스템 정보가, 그 아래에는 빠른 설정과 기능 토글 메뉴가, 오른쪽에는 탑재된 CPU/메모리/스토리지/쿨링팬 프로파일이 있습니다. 가장 아래에선 부팅 순서를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4543.jpg

 

한국어도 지원하지만 100% 다 번역이 된 건 아닙니다.

 

수정됨_20241031124057.jpg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는 M 플래시 기능. 바이오스가 저장된 USB 드라이브를 뒷면에 끼우고 이 기능을 실행하면 됩니다. 현재 설치된 바이오스와 파일에 저장된 바이오스의 모델 넘버와 버전 정보, 출시 날짜를 보여주기에 헷갈릴 일은 없습니다.

 

수정됨_20241031124548.jpg

 

온도를 확인하고 쿨링팬의 속도를 설정하는 하드웨어 모니터

 

수정됨_20241031124621.jpg

 

프로필 관리 

 

수정됨_20241031124633.jpg

 

전면 리셋 버튼과 후면 스마트 버튼의 기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수정됨_20241031124659.jpg

 

변경 로그 확인

 

수정됨_20241031124705.jpg

 

즐겨찾기에 자주 쓰는 기능을 할당

 

수정됨_20241031124755.jpg

 

EZ 컨피그에서는 CPU의 작동 클럭을 부스트하는 PBO, 메모리 클럭을 간단하게 설정하는 메모리 트라이 잇, 그래픽카드 탐지, 드라이버 기본 설치, 기본 홈페이지 등을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5021.jpg

 

탑재된 CPU의 정보

 

수정됨_20241031125010.jpg

 

탑재된 메모리의 정보

 

수정됨_20241031125032.jpg

 

보다 자세한 설정을 제공하는 어드밴스드 메뉴입니다. 가장 위에서는 시스템 상태를 표시하고.

 

수정됨_20241031125052.jpg

 

어드밴스드 메뉴에서는 시스템의 여러 기능을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5057.jpg

 

리사이즈 바 같은 건 이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니 건드릴 필요는 없겠고, 확장 슬롯과 M.2 슬롯의 PCIe 버전을 설정 가능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5123.jpg

 

내장 그래픽, 내장 랜, SATA 포트, 내장 사운드 등의 설정

 

수정됨_20241031125305.jpg

 

NVMe 테스트

 

수정됨_20241031125329.jpg

 

AMD 메인보드라면 빠지지 않는 AMD 오버클럭 메뉴

 

수정됨_20241031125431.jpg

 

코어와 SMT를 켜거나 끄고 PBO를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41031125659.jpg

 

메모리 설정 기능

 

수정됨_20241031125841.jpg

 

커브 옵티마이저 설정

 

수정됨_20241031130114.jpg

 

MSI에서 제공하는 오버클럭 메뉴

 

수정됨_20241031130213.jpg

 

AVX와 TDP 설정

 

수정됨_20241031130223.jpg

 

PBO 설정

 

수정됨_20241031130310.jpg

 

커브 쉐이퍼 

 

수정됨_20241031130350.jpg

 

메모리 설정

 

수정됨_20241031130429.jpg

 

CPU 로드라인 보정과 전원 설정

 

수정됨_20241031130454.jpg

 

CPU 정보

 

수정됨_20241031130459.jpg

 

CPU 지원 명령어

 

수정됨_20241031130524.jpg

 

보안 메뉴

 

수정됨_20241031130557.jpg

 

부팅 설정

 

수정됨_20241031130601.jpg

 

저장과 종료

 

Cap 2024-11-05 11-31-21-651.png

 

MSI 제품의 통합 설정 프로그램인 MSI 센터

 

Cap 2024-11-05 11-31-52-212.png

 

필요한 모듈만 골라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Cap 2024-11-05 11-32-00-443.jpg

 

AI 성능 최적화

 

Cap 2024-11-05 11-32-17-734.png

 

원하는 성능 프로필을 직접 지정하는 유저 시나리오

 

Cap 2024-11-05 11-32-20-264.png

 

세부 성능 설정

 

Cap 2024-11-05 11-32-26-811.png

 

트루 컬러 화면 보정

 

Cap 2024-11-05 11-32-30-780.png

 

화면 표시 커스텀

 

Cap 2024-11-05 11-32-34-264.png

 

네트워크 사용 우선 순위와 대역폭을 자동 설정하는 AI 랜 메니저

 

Cap 2024-11-05 11-32-48-025.png

 

미스틱 라이트 ARGB LED 설정

 

Cap 2024-11-05 11-32-54-403.png

 

고속 충전 기능인 슈퍼 차저+

 

Cap 2024-11-05 11-33-08-478.png

 

시스템 진단

 

Cap 2024-11-05 11-33-11-184.png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팬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쿨링 위저드

 

Cap 2024-11-05 11-33-25-103.png

 

통합 업데이트 관리

 

Cap 2024-11-05 11-33-30-473.png

 

시스템 정보 

 

 

X3D 모드부터 레이턴시 킬러까지 성능 최적화

 

DSC02258.JPG

 

MSI MPG X870E 카본 WiFi 메인보드의 성능은 이미 AMD 라이젠 7 9800X3D 테스트에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https://gigglehd.com/gg/16668422 하지만 이 정도 되는 메인보드를 사는 사람들이 겨우 PBO나 켜는 선에서 만족할 리가 없겠죠. MSI MPG X870E 카본 WiFi은 라이젠 9000X와 9000X3D 시리즈의 성능을 끝까지 쥐어 짜내기 위해 여러 성능 최적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X3D 캐시가 탑재된 CCD만 활성화하고 SMT를 끄는 X3D 모드(앞으로 나올 라이젠 9 9950X3D/9900X3D를 겨냥한 기능지요, SK 하이닉스 메모리 칩을 사용한 모듈에서 DDR5-6000 CL30-38-38-96으로 자동 오버클럭을 적용하는 OPP, 거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메모리의 잠재력을 한층 더 이끌어내는 MSI 고효율 모드, CPU 성능은 다소 낮추더라도 메모리 레이턴시를 최대한 줄이는 레이턴시 킬러 등이 그것입니다. 이런 기능을 상황에 맞춰 사용하면 더 높은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DSC02658.JPG

 

테스트 조건입니다.

AMD 라이젠 7 9800X3D https://gigglehd.com/gg/16668422

MSI MEG 코어리퀴드 S360 https://gigglehd.com/gg/11407122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https://gigglehd.com/gg/13318499           

DDR5-6000 32GB 듀얼채널
MSI 지포스 RTX 4080 슈퍼 게이밍 X 슬림 
운영체제: PCIe M.2 SSD, 게임 저장: SATA 6Gbps SSD
윈도우 11 24H2

 

Cap 2024-11-30 00-58-52-275.png

 

CPU-Z에서 확인한 MSI MPG X870E 카본 WiFi 메인보드. 

 

ezgif.com-animated-gif-maker.gif

 

전원부 방열판과 M.2 슬롯의 ARGB LED.

 

Cap 2024-11-05 06-44-22-045.png

 

20분 동안 스트레스 FPU 테스트를 했는데 전압은 전혀 변화가 없고요.

 

UNCX2628.JPG

 

전원부 표면 온도는 40도 초반입니다.

 

Cap 2024-11-05 12-19-32-640.png

 

Wi-Fi 7 지원

 

Cap 2024-11-05 12-20-17-013.png

 

USB 4 포트 지원

 

Cap 2024-11-05 12-20-39-849.png

 

TPM 2.0 지원

 

Cap 2024-11-05 12-49-33-534.png

 

PCIe 5.0 x4 SSD까지 지원하는데 지금 당장 그 속도를 쓸 수 있는 SSD가 없군요.

 

Cap 2024-11-05 12-55-58-373.png

 

뒷면 USB-C 포트도 40Gbps의 외장 케이스를 사용한다면 이것의 두배에 해당되는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수정됨_MSI_Overclocking_[2024-12-01-09-25-47].jpg

 

최신 버전에서는 레이턴시를 낮춰주는 레이턴시 킬러 기능이 탑재됐습니다.

Cap 2024-12-01 09-19-16-358.jpg

 

이 기능을 켜니 정말 레이턴시가 줄어드는군요. 다만 CPU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레이턴시에 민감한 경우에만 쓰길 권장합니다.

수정됨_MSI_Overclocking_[2024-12-01-09-14-28].jpg

 

라이젠 5 9600X와 라이젠 7 9700X를 위한 TDP 105W 모드, X3D 프로세서에서 3D V 캐시가 없는 다이와 SMT를 끄는 X3D 게이밍 모드 최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수정됨_MSI_Overclocking_[2024-11-29-05-30-38].jpg

 

또 하이닉스 DRAM 다이가 탑재된 메모리를 DDR5-6000 CL30-38-38-96으로 오버클럭해주는 OPP.

 

수정됨_MSI_Overclocking_[2024-12-01-09-14-50].jpg

 

추가 메모리 최적화를 더해주는 MSI 고효율 모드가 있습니다.

 

Cap 2024-11-02 13-02-49-226.png

 

아래는 라이젠 7 9800X3D에 X3D 게이밍 모드, OPP, 고효율 모드를 모두 켰을 때의 성능 변화입니다. 이걸 모두 켜면 메모리 설정에 DDR5-6000 CL30-38-38-96이 되며 라이젠 7 9800X3D는 SMT가 꺼집니다.

 

스레드 수가 줄어들었으니 CPU 멀티스레드 성능은 떨어지지만, 게임 성능은 조건에 따라서 다소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말 게임 성능이 중요한 상황이라면 X3D 게이밍 모드를 비롯한 최적화 기능을 켜볼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Cap 2024-12-04 14-03-01-424.png

 

CPU-Z 17.01 멀티

 

Cap 2024-12-04 14-03-12-111.png

 

시네벤치 2024 멀티

 

Cap 2024-12-04 14-03-23-443.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PU

 

Cap 2024-12-04 14-03-37-361.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피직스

 

Cap 2024-12-04 14-03-53-827.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4-12-04 14-04-13-660.png

 

컴패니 오브 히어로즈 3

 

Cap 2024-12-04 14-04-27-242.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4-12-04 14-04-35-143.png

 

F1 22

 

Cap 2024-12-04 14-04-43-843.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4-12-04 14-04-51-809.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Cap 2024-12-04 14-05-09-192.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MSI MPG X870E 카본 WiFi

 

DSC02254.JPG

 

고성능 AM5 CPU를 위한 하이엔드 메인보드입니다. 110A SPS를 사용한 18+2+1페이즈 듀얼 레일 디지털 전원부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극한의 오버클럭이 가능하며, DDR5-8400 이상의 오버클럭과 256GB의 대용량 시스템 메모리 구성이 가능합니다. 전원부와 모든 M.2 슬롯에는 7W/mK 써멀 패드를 부착한 방열판이 탑재되어 온도를 낮춰주며, 전원부에는 히트파이프를 추가하고 M.2 슬롯은 위아래를 방열판으로 감싸 열 전달 효율을 높였습니다. 3개의 확장 슬롯은 모두 x16 길이의 카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차세대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위해 PCIe 5.0 x16 규격의 슬롯도 하나 넣었습니다. 그래픽카드 슬롯과 M.2 SSD와 방열판, WiFi 안테나는 모두 특별한 도구 없이도 부품을 장착하거나 빼기 쉬운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5Gbps와 2.5Gbps 유선 랜, 고속 전송이 가능한 Wi-Fi 7 무선랜, 40Gbps 속도의 USB 4 포트까지 제공해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기존 규격의 제품을 위해서 9개의 USB A 포트와 HDMI 포트를 넣고 백패널 버튼과 EZ 디버그 LED 등으로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메인보드의 기능을 설정하는 바이오스는 클릭 바이오스 X로 디자인과 기능을 쇄신했고, X3D 모드, OPP, 고효율 모드, 레이턴시 킬러를 비롯한 성능 최적화로 CPU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냅니다. 하이엔드 메인보드답게 가격이 저렴하진 않으나 하이엔드 CPU를 최대한 활용하길 원한다면 MSI MPG X870E 카본 WiFi같은 메인보드가 꼭 필요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비트코인, 10만 달러 돌파
오리코의 맥 미니 2024용 외장 SSD, 미니메이트
커넥터 부분을 구부린 상태로 고정이 되는 랜선
이젠 가성비의 7500F에서 정상화의 9600X로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화려함과 오버클럭, 둘 다 잡는다. 팀그룹 T-Force DDR5-6400 CL32 XTREEM ARGB (1) 케이벤치
GV70 Electrified 보고 왔습니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비교불가 화질! 삼성 퀀텀닷 OLED 패널 게이밍 모니터 끝판왕!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4K) [리뷰] 풀배열 F108 독거미 AURA 기계식키보드 한국출시 실사용 리뷰 | 타건영상 있음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이거 완전 미친 로청 아냐;;;; 로봇 팔을 달아 버린 로보락의 신제품 (2) 동영상 있음 UnderKG
도파민 폭발 후 밀려오는 허무감, 문명 7 체험기 게임메카
ASUS B860M AYW 게이밍 메인보드 언박싱! 245K 게임 테스트 까지 (1) 동영상 있음 잘컴TV
탑티어 게이밍 헤드셋 중 하나, 커세어 버츄오소 MAX 와이어리스 #무선헤드셋 동영상 있음 DmonkTV
극강의 퍼포먼스와 화질을 모두 갖춘 플래그십 OLED 모니터 LG전자 울트라기어 32GS95UV (1) 쿨엔조이
색감이 좋은 강력한 게이밍 모니터 LG전자 울트라기어 32GS85Q!!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심플하고 컴팩트한 어항 케이스가 왔습니다. darkFlash DB330X RGB 강화유리 (2) 쿨엔조이
스타일 고급지고 성능도 좋고! ADATA DDR5-6400 CL32 LANCER BLADE RGB 화이트 32GB 패키지 서린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4K) [리뷰] 국내 최초 라이카 스마트폰 샤오미14T 출시, 미리 사용해본 리뷰와 경험후기 (1)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작고 가벼운 컬러플 마우스, 한성컴퓨터 M5 Nano OfficeMaster 3모드 초경량 사무용마우스 노트포럼
오늘 나온 롯데리아 X 나폴리 맛피아 버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안정성과 편의성 한층높인 국민 메인보드, MSI MAG B860M 박격포 WIFI 노트포럼
길쭉해져요 진짜 팔겠다는 레노버의 미친 상소문.. 아니 롤러블 노트북 (1) 동영상 있음 UnderKG
샤오미 14T, 이정도면 라이카 똑딱이 수준은 되는거 아닌가요? (Xiaomi 14T) (5) 동영상 있음 고나고
이걸 이제..? 라이카 카메라 넣은 샤오미 14T 첫인상 (한국 출시가 반가운 이유?)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M-ATX 화이트 스트릭스 기다리신분? ASUS ROG STRIX B860-G GAMING WIFI 코잇 (1) 쿨엔조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