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포스 RTX 50 시리즈가 출시되었지만 아직은 시장에 공급량이 부족해, 새로운 그래픽 카드 구매를 노려왔던 게이머들의 기다림이 조금 더 길어진 상황이다. 물량 부족은 필연적으로 기자와 소비자 모두 각종 제품에 대한 목마름으로 이어지는데, 이번 기사에서는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 '그나마' 현실적인 하이엔드 모델인 지포스 RTX 5080 기반 제품인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를 살펴본다.
세대가 변하면서 갈수록 덩치가 커져가는 그래픽 카드지만,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는 최신 하이엔드 모델 중에서는 컴팩트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303mm x 125mm x 49.7mm 크기로 2.5 슬롯 두께가 특징이며, 이는 엔비디아가 제시한 SFF-Ready Enthusiast 지포스 카드의 규격(304mm x 151mm x 50mm)을 충족하는 것이다.
보조전원 커넥터로 12VHPWR(12V-2x6) 규격이 채택되었기에 케이블 구부림을 위한 여유 공간 3.5cm는 따로 감안해야 하지만, 고성능 스몰 폼 팩터 시스템 구축을 노리는 게이머들에게 안성맞춤인 모델이다.
쿨링팬은 블레이드 외부를 회전면을 따라 원형으로 이은 슈라우드 디자인, 냉각 성능 및 소음 개선 디자인이 결합된 윙스 3.0(WINGS 3.0) 디자인 블레이드가 결합된 쿨링팬으로 그래픽 카드를 냉각한다.
갤럭시에 따르면 기존 방식 대비 풍압은 15%, 소음은 5% 개선되었고, 3℃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 성능도 개선되었다.
오늘날 많은 케이스들이 측면 투명 패널, 혹은 전면과 상단까지 투명 패널을 택한 어항형 디자인인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는 반투명 트리플 쿨링팬과 상단 우측에서 우측 상단을 'ㄱ' 자로 잇는 패턴에 ARGB LED가 심어져, 취향에 맞춘 커스텀이 가능하다.
보조전원 커넥터 측면에는 ARGB LED 헤더를 제공, 메인보드나 별도의 ARGB LED 허브에 연결해 시스템 전체의 ARGB LED 설정을 일괄 조정할 수 있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부터 이어져온 엔비디아 지포스 RTX 그래픽 카드의 스크린 쿨링 디자인은 이번 RTX 50 시리즈에도 적용되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도 그 대상 중 하나다.
우측 92mm 쿨링팬 전체와 중앙 92mm 쿨링팬의 블레이드 일부를 통해 스크린 쿨링 디자인된 열버퍼에 담긴 열을 케이스 상단으로 올려 상단 배기 팬이나 통풍구, 혹은 케이스 후면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디자인되었다.
히트파이프는 그래픽 카드 써멀블록 전체를 가로지르는 다섯 개, 출력 포트쪽에 U 형으로 추가된 2개를 더해 총 일곱개가 사용되었고, GPU의 발열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베이퍼 챔버도 사용되었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의 냉각 성능은 어떤지 3DMark Steel nomad 스트레스 테스트를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GPU 온도는 최대 62℃ 수준을 유지했고, 온도와 전력 사용량에 따라 쿨링팬 작동을 제어하는 Silent Extreme Technology은 해당 테스트 기간 동안 GPU 온도 기준 온도가 상승할 경우 48℃에서 동작을 시작, 온도가 낮아질 경우 33℃에서 회전을 멈추는 것으로 확인했다.
스크린 쿨링 방식의 백플레이트는 그래픽 카드의 핵심인 PCB 보호, 시스템 장착시 자체 무게에 의한 변형 등을 개선해 주는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는 전원부 발열 해소 겸 PCB 변형 방지를 위한 PCB 아머도 갖췄다.
추가로, 본 제품에는 그래픽 카드 무게에 의한 처짐 방지를 위한 지지대가 제공되지만, 제품 구매자가 그래픽 카드에 나사 고정 방식의 지지대를 보우하고 있거나 별도 구매할 생각이라면, 이런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지지대용 나사 홀도 제공한다.
모니터와 프로젝터등의 디스플레이 장비 연결을 위한 출력 포트는 3개의 DP 2.1b와 1개의 HDMI 2.1b 포트를 갖춰 각 포트당 최대 4K 165Hz 동식 출력이 가능하고, 단일 포트의 경우 DP 포트는 8K 165Hz 또는 4K 480Hz, HDMI 포트는 8K 120Hz 및 4K 480Hz 출력이 지원된다.
보조전원 커넥터 젠더, ARGB LED 허브 연결 케이블, 조립형 그래픽 카드 지지대가 제공된다. 지지대의 베이스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피트, 케이스 장착시 고정을 위한 자석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픽 카드 지지를 위한 폴은 사용자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두 개의 폴이 제공되고, 그래픽 카드를 직접 받쳐줄 암도 두 개가 제공된다. 덕분에 듀얼 그래픽 카드 환경에도 대응할 수 있다.
전 세대와 비교해 아쉬운 감은 있지만, 지포스 RTX 5080은 현 세대 게이머에게 확실한 게임 성능을 제공하며, 이는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 역시 마찬가지다. 검은신화 오공같이 요구 사양이 높은 일부 타이틀이 있지만, 대부분의 테스트 게임을 4K 해상도에서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기존 DLSS 3 기술이 최대 1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최대 3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는 DLSS 4 기술을 지원하는데, DLSS 4 지원 타이틀 중 사이버펑크 2077과 스타워즈 아웃로 두 가지 타이틀을 4K에서 테스트했다.
신경망 모델(CNN)을 사용하던 DLSS 3는 DLSS 4 지원 업데이트를 통해 더 높은 품질을 지원하는 트랜스포머 모델(TRANS) 적용이 가능한데, 본 테스트에서는 DLSS 3에는 CNN 모델을, DLSS 4에는 트랜스포머 모델을 적용해 테스트한 결과만 정리했다.
보다시피 DLSS 4를 지원할 경우 DLSS 3를 사용할 때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공식 가격(MSRP) 기준, 플래그십 모델인 지포스 RTX 5090과 하이엔드 모델인 RTX 5080의 차이는 1000달러에 달한다. 이전 세대 모델들을 돌아보면, 앞으르도 플래그십과 하이엔드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것 같지는 않다.
특히, 요즘은 AI니 뭐니 하면서 단순히 게임용 컴포넌트에서 벗어나 '작업용'으로서의 영역을 넓혀가면서, 플래그십과 일반 게이머간의 거리는 더더욱 멀어지는 추세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하이엔드 모델인 '80' 모델이, 현실적인 게이밍용 플래그십 모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번 기사의 주인공인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 현재 사실상의 게이밍용 플래그십 모델이다. RTX 4090에 미치지 못하는 성능이라고 평가 절하되는 면도 있지만 RTX 4080 (Super) 대비 확실한 성능 향상과 더불어 대부분의 게임을 4K에서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가격도 999달러로 유지되어 가성비도 높아졌고, 새롭게 추가된 DLSS 4 지원 타이틀은 극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5세대 텐서 코어의 AI 성능 개선으로 AI 작업까지 고려한다면 개인 차원에서 현실적인 솔루션이다.
한가지, 아직 출시 초기 물량과 가격 이슈가 해결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 당장 구매가 급하지 않다면 조금 더 여유를 가져보자.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