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게임 시장은 고화질 게임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출시로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과 AI 기반 그래픽 기술이 한층 발전했기 때문이다. 언리얼 엔진 5를 통해 초현실적인 텍스처, 페이셜 애니메이션, 최첨단 물리 엔진이 실제와 같은 몰입감을 제공해 게이머는 더욱 현실과 같은 가상 세계 속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하드웨어 사양에 민감한 PC VR 게임은 지포스 50 시리즈의 수혜를 톡톡히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RTX 50 시리즈는 VR 게임에 필수적인 고대역폭과 대용량 VRAM을 제공하기 때문. 이를 통해 4K 이상의 고해상도 VR 게임 구현, 최소 90Hz의 안정적인 주사율 보장, 초저지연 게임 플레이 실현 등이 가능하다.
* video created by Sora
VR 게임, 현실과 같은 시야 확보로 가상 세계 구현
VR 게임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를 3차원 가상 세계에 몰입시키는 게임을 말한다. VR 전용 헤드셋을 머리에 뒤집어쓰기 때문에 360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고해상도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 세계에 실제로 존재한다고 느끼는 심리적, 물리적 상태를 만들어 준다. 게다가 전용 컨트롤러가 아닌 손의 움직임을 직접 추적하는 핸드 트래킹을 지원해 더욱 직관적인 조작과 즉각적인 피드백 등 물리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몰입 효과는 상당하다.
* 자체 내장 프로세서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스탠드얼론 VR기기 '메타퀘스트 3'
VR 게임은 크게 PC VR 게임과 스탠드얼론(독립형) VR 게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스탠드얼론 VR 게임이다. PC 도움 없이 VR 헤드셋 자체적으로 모든 작업을 처리한다. 메타퀘스트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스탠드얼론’이라 부른다. PC와 연결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간편하며, 무선 방식이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그래픽을 기기 자체적으로 처리하므로 그래픽 품질을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 몰입감이 제한적이라는 얘기다.
* PC와 연결하여 5k 해상도로 게임에 몰입할 수 있는 PC VR/스탠드얼론 하이브리드 기기 'VIVE Focus Vision'
반면 PC VR 게임은 고성능 PC에 VR 헤드셋을 연결하여 즐기는 방식이다. PC VR 헤드셋으로 잘 알려진 기기는 VIVE Pro 2(바이브 프로2)가 있다. 고해상도 그래픽과 복잡한 게임 메커닉을 지원하며, 다양한 게임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때문에 고성능 PC의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더 현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그래픽을 경험할 수 있다.
SteamVR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VR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PC를 기반으로 한 게임 특성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와 모드를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레이싱 휠, 비행 조종간 등 다양한 컨트롤러와 주변 장치를 이용해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도 PC VR 게임이 매력적인 이유이다. PC와 헤드셋 간의 연결 설정이 필요하며, 케이블 연결로 인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지만 그래픽 성능이 대폭 개선된 지포스 50 시리즈의 출시로 인해 PC VR 게임은 올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초고화질 가상 세계 구현에 유리한 PC VR 게임
RTX 50 시리즈로 PC VR 게임의 기술적 한계 재정의
초고화질 그래픽을 구현함으로써 스탠드얼론 VR 게임 대비 몰입도가 높은 PC VR 게임이 올해 주목을 받고 있다. PC 성능에 의존도가 높은 PC VR 게임 특성상 최근 출시된 엔비디아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기존 그래픽 성능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더욱 현실에 가까운 몰입감을 주기 때문이다.
RTX 50 시리즈는 4세대 RT 코어와 5세대 텐서 코어를 탑재해 VR 환경에서 실시간 패스 트레이싱 성능을 40% 향상시켰다. 32GB GDDR7 메모리의 1.8TB/s 대역폭은 8K VR 해상도 구현 시 기존 RTX 40 시리즈 대비 텍스처 로딩 속도를 78% 더 끌어올리며, 이는 PC VR 환경에서 안정적인 144Hz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AI 기반 DLSS 4의 멀티 프레임 생성(MFG) 기술은 VR 게임에서 프레임률을 8배 향상시킨다. ‘하프라이프: 알릭스’ VR 버전에서 지포스 RTX 5090은 120FPS 유지 시 GPU 사용률이 62%에 불과하며, 이는 기존 세대 대비 전력 소모를 35% 낮추는 효과가 있다.
* image created by DALL-E
지연 시간도 크게 단축한다. 엔비디아 Reflex 2 기술과 프레임 워프(Frame Warp) 알고리즘은 VR 컨트롤러 입력부터 화면 출력까지의 레이턴시를 7ms 미만으로 단축시킨다. ‘비트 세이버 2’ 게임의 경우 360° 모드에서 지연 시간이 줄어들어 조준 정확도가 22% 높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 움직임과 가상 환경의 실시간 싱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향상된 하드웨어 성능으로 인해 PC VR 게임에서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8K 144Hz 초고주사율을 보편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PC VR 게임을 플레이 하기 위해 RTX 50 시리즈가 반드시 필요할 것은 아니다. 하지만 더 나은 그래픽으로 현실과 같은 가상 속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고 싶다면 가급적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PC VR 게임을 즐기기 위해 권장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게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다음과 같은 PC가 필요하다.
운영체제 : Windows 10 이상
CPU : Intel Core i7-9700K 또는 AMD Ryzen 7 3700X 이상
가급적 Intel i9-14900K나 AMD Ryzen 9 7900X 이상의 고성능 프로세서 권장
메모리 : 16GB RAM 이상 (32GB DDR5-5600 이상 권장)
그래픽카드 : NVIDIA GeForce RTX 2070 또는 AMD Radeon RX 5700 XT 이상
가급적 RTX 4070 Super 이상의 고성능 그래픽카드
비디오 출력 : DisplayPort 1.2 또는 HDMI 1.4 이상
저장장치 : 빠른 로딩을 위한 NVMe SSD
전원공급장치 :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750W 이상 권장
* 최신 RTX 50 시리즈가 탑재된 게이밍PC를 이용하면 극강의 몰입감으로 PC VR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링크1, 2)
요구사양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갖췄다면 이에 따른 PC 설정도 중요하다. VR 환경이 일반 게임보다 훨씬 높은 성능과 최적화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VR 게임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고해상도의 그래픽을 렌더링하고, 높은 프레임 속도를 유지해야 하며, 지연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면 낮은 해상도나 프레임 속도로 인해 그래픽이 부자연스럽게 보이거나 끊김 현상이 발생하여 게임의 몰입감을 떨어뜨린다. 지연 시간(latency)이 높거나 프레임 드롭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어지러움이나 멀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나 모션 센서의 반응이 느려져 게임 플레이에 부정적인 영향도 미친다.
성능을 끌어올리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업스케일링 기술인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을 활용하는 것이다. FSR은 게임 내에서 낮은 해상도로 렌더링된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여 프레임률을 높여주는 기술로, 그래픽 품질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VR 게임에 특화된 업스케일링 솔루션인 OpenVR FSR을 쓰면 된다. 게임 개발사의 직접 지원 없이도 SteamVR 게임에 적용 가능하며, DirectX 11을 사용하는 모든 SteamVR 게임에서 작동한다. AMD 라데온 RX460 이상 또는 NVIDIA GeForce GTX 10시리즈 이상의 GPU에서 사용할 수 있다.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프레임 레이트가 최대 56%까지 올라가므로 오래되거나 성능이 낮은 그래픽카드를 쓰고 있다면 적극 추천하는 방법이다.
요즘은 OpenVR FSR의 후속이라 할 수 있는 VRPerfKit를 쓰는 분위기이다. OpenVR FSR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면서 추가적인 성능 향상 도구들을 제공한다. OpenVR FSR은 게임의 openvr_api.dll을 수정하여 작동하지만, VRPerfKit은 dxgi.dll을 사용하여 더 쉽게 설치 가능하다. VRPerfKit은 SteamVR 없이도 Oculus 런타임에서 직접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FSR 기술을 이용해 FPS 성능을 향상시키는 팁 / 영상 출처 : 유튜버 @lesser-vr
GPU 설정을 최적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는 전원 관리 모드를 ‘최대 성능 선호’, 텍스처 필터링 품질을 ‘높은 성능’으로 설정하면 된다. AMD 라데온은 AMD 컨트롤 패널에서 이와 비슷하게 설정할 수 있다. FPS를 유지하면서 시각적 품질을 개선한다.
시스템 리소스를 게임에 우선 할당하는 Windows 게임 모드도 적극 활용해보자. Discord의 하드웨어 가속을 비활성화하면 VR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제어판에서 전원 옵션을 ‘고성능’으로 설정,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관리 등 사소한 부분까지 신경 쓰면 더욱 좋다.
CPU와 GPU의 냉각에도 신경 쓰면 좋다. VR 게임시 CPU와 GPU의 자원을 최대로 끌어 쓰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되며, 충분히 냉각되지 않으면 전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질 고려하면 유선 연결은 필수… DP 방식이 최적
VR 기기를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서도 몰입감에 큰 차이가 있다. 고해상도의 많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VR 헤드셋에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크게 유선과 무선 등 두 가지가 있으며, 유선은 다시 USB와 DP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무선 연결 방식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와이파이를 이용한다. 케이블이 없기 때문에 게임 중 몸 움직임이 매우 자유롭다. 하지만 와이파이6/6E 이상의 공유기가 필요하며, 무선이라는 특성상 와이파이 환경이 불안정하면 일시적으로 지연과 끊김이 발생한다. 지연시간 그리고 화질도 가장 떨어진다.
USB 3.0(USB 3.2 Gen1)에 연결하는 유선 연결 방식은 무선보다 안정적이지만 대역폭의 한계로 인해 해상도와 주사율에 있어 최고의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기술적으로 가장 우위에 있는 것은 그래픽카드의 DP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론상 대역폭, 실효 대역폭 모두 뛰어나며 무엇보다 지연시간이 매우 짧다. 때문에 FPS 및 리듬 게임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한다.
다음은 HTC의 최신 VR 헤드셋인 'VIVE Focus Vision'의 연결 방식에 따른 차이를 정리한 표이다. 'VIVE Focus Vision'은 스탠드얼론(독립형)과 PC VR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제품이다. 무선 및 유선 연결 방식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이 매력적인 기기이다. 참고로 VIVE Focus Vision의 유선 연결은 VIVE 유선 스트리밍 패키지를 이용하면 된다. DP(DisplayPort) Alt 모드를 활용하여 GPU에서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한다. 5K 해상도(눈당 2448×2448픽셀)와 90~120Hz 재생률을 지원한다. 반면 무선은 Wi-Fi 6E로 연결하며, 6GHz 대역에서 160MHz 채널 폭을 활용한다. 이론상 최대 3.6Gbps 속도를 제공하지만, 실제 테스트 환경에서는 1.2Gbps 정도로 처리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동적 비트레이트 조정 기능으로, 네트워크 혼잡 시 해상도를 1836×1836픽셀까지 하강시켜 몰입감 저해 요소인 프레임 드롭을 방지한다.
따라서 몰입감을 우선한 고화질 PC VR 게임을 플레이하려면 DP로 연결하는 방식이 최선이다. 다음은 사용 사례별 유선과 무선의 연결 적합성을 비교한 표이다.
VIVE Focus Vision : PC VR 게임을 위한 최적의 선택
그럼 어떤 PC VR 게임을 위해 어떤 VR 기기를 고르는 것이 좋을까? 현재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VR 헤드셋들을 살펴보자.
Meta Quest 3는 스탠드얼론(독립형) 기기이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해상도는 눈당 2064 x 2208 픽셀이며, 120Hz 주사율을 지원한. 배터리 수명은 2-3시간이고, 무게는 515g으로 비교적 가벼운 편이다. Apple Vision Pro는 애플의 최신 혼합현실 헤드셋으로, 23백만 픽셀의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90Hz, 96Hz, 100Hz의 주사율을 지원하며, 아이트래킹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PS5 전용 VR 헤드셋인 PlayStation VR2는 눈당 2000 x 2040 픽셀의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90-120Hz 주사율과 110도의 시야각을 지원하며, 진동 피드백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 (왼쪽부터) Meta Quest 3, Apple Vision Pro, PlayStation VR2
HTC VIVE Focus Vision은 와이파이를 통한 무선 연결은 물론이고, DP를 통한 PC VR도 지원하는 HTC의 최신 하이브리드 독립형 혼합현실 헤드셋이다. 퀄컴의 고성능 칩셋인 스냅드래곤(Snapdragon) XR2 칩셋과 12GB LPDDR5 RAM을 탑재하여 고성능과 원활한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총 5k, 각 눈당 2448x2448 픽셀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듀얼 LCD 패널을 써 화질이 선명하며, 시야각은 120도로 넓다. 독립형 모드에서는 주사율이 90Hz이지만 PC와 DP(디스플레이포트) 모드로 연결하면 최대 120Hz 주사율로 동작해 화면 전환이 매우 부드럽다. 사용자의 동공 간 거리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적의 시각적 선명도를 제공하며, 내장된 아이 트래킹 기능으로 정밀한 인터랙션 또한 가능하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통해 장시간 사용 시에도 중단 없이 XR 경험을 지속할 수 있으며, 새로운 냉각 시스템으로 쾌적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장점이다.
* 왼쪽부터 HTC VIVE Pro 2, VIVE Focus Vision
주요 VR 헤드셋 비교표
"Half-Life: Alyx"는 최고의 몰입감으로 꾸준한 인기
"비트세이버"는 대표적인 리듬 게임… 입문용 게임으로 최적
최근 몇 년간 가상현실(VR) 게임 시장은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며 플레이어들에게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혁신적인 기술과 독창적인 게임 디자인으로 무장한 VR 게임들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새로운 차원의 체험을 제공한다. 아래는 202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VR 게임을 소개한다.
1. 하프라이프: 알릭스 (Half-Life: Alyx)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46560/HalfLife_Alyx/
밸브 코퍼레이션의 하프라이프: 알릭스는 2020년 출시 이후 VR 게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 작품이다. 하프라이프 시리즈의 연장선상에서 콤바인 세력과의 전투를 VR 환경에서 구현하며, 물리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이 혁신적인 평가를 받았다. 플레이어는 알릭스 밴스 역할로 외계 생명체와의 전투뿐만 아니라 환경을 활용한 퍼즐 해결까지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RTX 2080 / AMD Radeon RX 5700 XT
CPU: Intel Core i7-9700K / AMD Ryzen 7 3700X
RAM: 16GB
저장공간: 80GB SSD
2. 비트 세이버 (Beat Saber)
https://store.steampowered.com/app/620980/Beat_Saber/
리듬 게임 장르의 혁명으로 평가받는 비트 세이버는 박자에 맞춰 광선검으로 노트를 절단하는 심플한 게임 방식을 갖고 있다. 사용자 정의 맵과 모드 지원으로 지속적인 콘텐츠 확장이 가능하며, 운동 효과와 접근성으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가 높다. 2018년 출시 이후 4,800개 이상의 긍정적 평가(4.8/5)를 유지 중이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GTX 1060 / AMD Radeon RX 580
CPU: Intel i5-4590 / AMD Ryzen 5 1500X
RAM: 8GB
저장공간: 200MB
3. 엘더 스크롤 V: 스카이림 VR (The Elder Scrolls V: Skyrim VR)
https://store.steampowered.com/app/611670/The_Elder_Scrolls_V_Skyrim_VR/
베데스다의 오픈월드 RPG를 VR로 재탄생시킨 이 작품은 300시간 이상의 플레이 타임을 자랑한다. 드래곤본의 운명을 좌우하는 메인 퀘스트와 방대한 사이드 스토리는 VR 환경에서 더욱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GTX 1070 / AMD Radeon Vega 56
CPU: Intel Core i7-4790 / AMD Ryzen 5 1600
RAM: 16GB
저장공간: 15GB
4. 더 워킹 데드: 세인츠 & 신너스 (The Walking Dead: Saints & Sinners)
https://store.steampowered.com/app/916840/The_Walking_Dead_Saints__Sinners/
좀비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VR로 구현한 서바이벌 호러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무기 제작 시스템을 활용해 창의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도덕적 선택이 스토리 분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2020년 TGA 최우수 VR 게임상을 수상하며 긴장감 있는 게임플레이로 호평을 받았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RTX 2060 / AMD Radeon RX 5700
CPU: Intel i5-6600K / AMD Ryzen 5 2600
RAM: 12GB
저장공간: 40GB
5. 파블로프 VR (Pavlov VR)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55160/Pavlov/
밀리터리 FPS 장르의 대표작으로, 5대5 팀 전투와 좀비 모드 등 다양한 게임플레이 옵션을 제공한다. 무기 재장전 시스템이 현실적으로 구현되어 전술적 플레이가 요구되며, Steam Workshop을 통한 사용자 제작 맵 지원으로 지속적인 콘텐츠 확장이 가능하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GTX 1660 Super / AMD Radeon RX 5600 XT
CPU: Intel i5-8400 / AMD Ryzen 5 3600
RAM: 12GB
저장공간: 20GB
6. 허브리스 (Hubris)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265800/Hubris/
외계 행성 탐사를 배경으로 한 SF 어드벤처 게임으로, 언리얼 엔진 5 기반의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다. 수중 탐험 및 제트팩 이동 시스템이 VR 환경에 최적화되었으며, 벨기에 게임 어워드 2023년 최우수 XR 작품상을 수상했다.
권장 사양
GPU: NVIDIA GeForce RTX 2080 Super / AMD Radeon RX 6800
CPU: Intel i7-10700K / AMD Ryzen 7 5800X
RAM: 16GB
저장공간: 45GB
PC VR 게임은 전통적인 PC 게이밍의 경계를 넓히며, 게임 업계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존의 모니터 기반 게임과 달리, PC VR은 플레이어에게 몰입감 있는 환경을 제공해 실제 게임 세계에 있는 듯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고성능 그래픽 카드와 프로세서의 등장으로 VR 게임은 더욱 정교한 그래픽과 현실적인 물리 엔진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최신 VR 게임은 광원 처리와 텍스처 디테일에서 큰 진보를 이루어, 플레이어가 마치 게임 속 세계를 실제로 체험하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현재 VR 생태계는 기술적 성숙과 더불어 다양한 콘텐츠의 등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게임을 넘어 VR은 가상 회의, 원격 교육, 가상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VR 기술의 일상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메타버스의 확산 역시 VR 생태계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가상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콘텐츠를 소비하며,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PC VR의 미래는 밝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고가의 장비 비용, 긴 설치 과정, VR 멀미 등은 사용자 접근성을 낮추는 요소로 지적된다. 이에 따라 업계는 보다 경량화된 장비 개발과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VR 게임의 대중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다양한 콘텐츠의 등장은 VR 생태계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VR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테크니컬라이터 이장만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