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NVIDIA)는 차세대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의 GPU를 탑재한 하이엔드 지포스 RTX 5090(GeForce RTX 5090)과 지포스 RTX 5080(GeForce RTX 5080), 퍼포먼스 지포스 RTX 5070 Ti(GeForce RTX 5070 Ti)를 출시한 이후 이제 메인스트림을 위한 지포스 RTX 5070(GeForce RTX 5070)을 출시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AI 기반 업스케일링과 DLSS 4 및 MFG(Multi Frame Generation)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면서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였으나 이전 지포스 RTX 40 시리즈와는 순수 성능, 소위 말하는 깡성능은 향상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비판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도 사실이다.
블랙웰 메인스트림 지포스 RTX 50 시리즈, ASUS TUF Gaming RTX 5070 12GB GDDR7 OC Edition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이러한 출시는 새로운 PC와 고성능을 요구하는 AAA 게임 타이틀이 등장하면서 업그레이드 수요도 이끌어내고 있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공급 문제와 환율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가격은 이와는 반대로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시한 메인스트림 시장을 위한 지포스 RTX 5070은 지포스 RTX 40 시리즈 단종으로 인해 비어있는 시장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지포스 RTX 5070 Ti와 함께 경쟁 제품의 등장에 맞춰 새롭게 그래픽카드 시장의 경쟁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지포스 RTX 5070 시리즈는 메인스트림 라인업을 위한 그래픽카드로 QHD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며 시장을 재편하는 만큼 ASUS TUF Gaming RTX 5070 12GB GDDR7 OC Edition(이하 ASUS TUF Gaming RTX 5090 OC)를 통해 엔비디아가 출시한 지포스 RTX 5070을 살펴보도록 하자.
메인스트림 시장 대응,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70
엔비디아(NVIDIA) 블랙웰(Blackwell)
엔비디아 RTX 블랙웰(RTX Blackwell) 아키텍처는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와 같은 TSMC 4N 프로세서로 제조되며 아키텍처 개선을 통해 성능 및 전력 효율을 향상한다. 5세대 텐서 코어(Tensor Cores), 4세대 RT 코어(RT Cores)를 기반으로 AI 기반 신경 셰이더, 디지털 휴먼 기술, 지오메트리 및 조명을 포함하여 AI 기반 렌더링 분야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NVIDIA 블랙웰(Blackwell)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전작의 DLSS 3를 이어 NVIDIA DLSS 4를 지원한다. DLSS 4는 최대 8배 프레임 속도 향상을 위한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Multi Frame Generation)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MFG, Multi FG)은 생성 AI에 의존하여 기존에 렌더링된 프레임보다 최대 3개 프레임 앞을 예측하며 그 자체로 초고해상도의 결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고스팅이나 그래픽 깨짐, 응답성 문제, 화면의 선명함 감소 등이 있어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DLSS 4와 함께 게임의 지연 시간을 줄이는 기술인 Frame Warp를 도입한 NVIDIA RNVIDIA Reflex 2 기술로 응답성을 유지한다. Reflex 2는 지연 시간을 최대 75%까지 줄일 수 있으며 75개 이상의 게임 타이틀이 DLSS 4를 사용할 수 있다. 다중 프레임 생성은 블랙웰(Blackwell)에서만 제공되는 기능이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 가격은 RTX 5090은 1999달러($1999, 288만 3천원 선), RTX 5080은 999달러($999, 144만원 선), RTX 5070 Ti는 749달러($749, 108만원 선)로 각각 인상 또는 인하가 이루어졌다. 새로 출시하는 메인스트림 RTX 5070은 549달러($549, 79만 1천원 선)로 RTX 4070의 599달러($599, 86만 3천원 선)에서 50달러($50, 7만 2천원 선) 낮게 설정됐다. RTX 4070 Ti Super는 799달러($799, 115만 2천원 선), RTX 4070 슈퍼는 599달러($599, 86만 3천원 선)에서 549달러로 낮아진 바 있다.
NVIDIA.com이나 일부 소매점에서 직접 Founders Edition 모델로 구매할 수 있으며 ASUS, Colorful, Gainward, GALAX, GIGABYTE, INNO3D, MSI, Palit, PNY, ZOTAC 등과 같은 주요 카드 제조사를 통해 출시된다.
팩토리 OC 클럭, ASUS TUF Gaming RTX 5070 OC
ASUS TUF Gaming RTX 5070 OC 신형 쿨러
ASUS TUF Gaming RTX 5070 OC는 팩토리 OC를 적용한 그래픽카드다. 이전 세대 지포스 RTX 40 시리즈에 적용한 구형 터프 게이밍(TUF Gaming)의 디자인을 변경하고 쿨링 성능을 높인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했다. 전면 쿨러의 양쪽 모서리와 모서리 부분은 은색의 테두리가 새로 도입됐다.
밀리터리 등급 부품과 3개의 쿨링 팬은 Axial-Tech 팬으로 표준보다 최대 23% 더 많은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상변화(페이즈 변환, 형상 변환, Phase Shift) 써멀패드를 적용해 고체에서 반액화로 냉각 효과를 개선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온도를 유지해준다. 최적화된 쿨링 성능과 저소음 환경을 제공하며 0dB 지원으로 GPU 온도에 따라 팬이 작동해 웹 서핑이나 문서 작업 등 낮은 부하에서는 동작을 멈추어 무소음 환경, 그래픽 부하가 늘어남에 따라 속도를 제어해 향상된 성능과 소음 균형을 유지한다. 후면 기준 가장 왼쪽 쿨링팬 위치에 통풍구를 제공해 효율적인 쿨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휨을 방지한다.
에이수스 터프 게이밍(TUF Gaming) 시리즈용 쿨링 솔루션은 지포스 RTX 5080부터 RTX 5070까지 동일한 디자인을 유지한다. TGP W를 쿨링 가능하도록 GPU와 전원부 모스펫, 메모리 일체형 방열판은 구리 베이스 기반 대형 히트싱크로 6mm 히트파이프 6개, 5070 Ti의 TBP 300W에서 줄어든 250W인 만큼 RTX 5080/ 5070 Ti 등에서 히트싱크나 히트파이프,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 구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새로운 TUF Gaming의 쿨링 솔루션은 RTX 5070의 발열을 고려해 3.125슬롯의 두께를 제공한다. 3개의 팬이 위치한 전면 슈라우드와 백플레이트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해주는 구조다. 출력 포트 반대 부분의 측면에는 그래픽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GPU 홀더 체결 부분을 제공해 무거워진 GPU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12V-2x6 전원 커넥터(12+4핀, PCIe 8핀 3개)와 듀얼 바이오스(P/ Q Mode)
보조 전원 단자는 전통적인 PCIe 8핀 보조 전원 커넥터에서 12핀 규격인 ATX 12VHPWR(12+4핀), 그리고 이를 보완한 12V-2x6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ASUS TUF Gaming RTX 5070 OC는 600W 전원 공급이 가능한 12V-2x6 커넥터를 이용한다. TBP(Total Board Power)는 250W(650W 이상의 PSU 권장), 5080의 360W(750W 이상 PSU 권장), 5070 Ti의 300W(750W 이상 PSU 권장)보다 낮게 설정됐다. 저소음(Q-Mode)과 퍼포먼스(P-Mode) 모드 전환 듀얼 바이오스(Dual BIOS)도 제공하고 팩토리OC 동일 클럭을 유지하며 쿨링팬 동작 속도에 차이를 둔다.
ASUS TUF Gaming RTX 5070 OC, ASUS 커스텀 PCB 디자인
습기 및 이물질을 방지하는 PCB 보호 코팅된 ASUS 커스텀 PCB 디자인를 적용하며 밀리터리 등급 초크와 모스펫, 일반 캐패시터 대비 2.5배 수명과 52% 높은 온도 허용의 5K 블랙 솔리드 캐패시터를 적용한다. GPU 전원부(vRM)는 최대 8페이즈 구성 가능한 uP9512R 컨트롤러로 11페이즈(Phase) GPU와 전원부 모스펫 MPS52437/ MP87993 11개, 메모리는 uP95229Q 컨트롤러로 3 페이즈를 구성한다.
지포스 RTX 5070, NVIDIA GB205-300-A1 GPU
지포스 RTX 5070은 TSMC 4NP(4nm) 제조 공정, 311억 개 트랜지스터와 263mm^2 다이 사이즈로 5070 Ti(GB205-300-A1)의 378mm^2와 456억 개 트랜지스터와 차이를 보인다. 6144 쿠다 코어(48SM, CUDA Cores)로 RTX 5070 Ti의 8960 쿠다 코어에서 2816개(45%)의 차이로 중간에 새로운 제품이 추가될 수 있다. 5세대 텐서 코어(5th Gen. Tensor Cores)의 AI 연산 성능은 RTX 5070 Ti의 1406 AI TOPS보다 낮아진 988 AI TOPS를 제공하며 RTX 4070의 466 AI TOPS보다 향상됐다. 4세대 레이 트레이싱 코어(4th Gen. RT Cores)는 RTX 5070 Ti의 133 TFLOPS보다 낮아진 94 TFLOPS의 연산 성능을 제공한다. DLSS 4와 MFG(Multi Frame Generation), 지연 시간 개선하는 엔비디아 리플렉스 2(Reflex 2), 9세대 엔비디아 인코더(NVIDIA Encoder, NVENC) 1개, 엔비디아 디코더(NVIDIA Defocer, NVDEC) 6세대 1개로 RTX 5070 Ti의 각 9세대 2개와 6세대 1개와 차이를 보인다.
베이스 클럭은 2325MHz, 레퍼런스 부스트 클럭은 레퍼런스 2512MHz보다 98MHz 상승한 팩토리 OC 2610MHz, FP32는 5070 Ti의 43.9 TFLOPS보다 낮은 30.9 TFLOPS, TBP(Totla Board Power) 스펙은 250W로 650W 파워 권장, 5080의 300W와 4080의 320W보다 낮게 설정됐다. 48 RT 코어와 192 텐서 코어로 5070 Ti의 70 RT 코어와 280 텐서 코어 대비 줄었다. 192 텍스처 유닛(TMUs), 80 ROPs, 192bit(32bit x6) 메모리 버스와 12GB GDDR7, 메모리 클럭은 1750MHz(28Gbps GDDR7 Effective, 삼성전자(Samsung) K4VAF325ZC-SC28 메모리 칩 모듈(MHz, 28Gbps effective), 메모리 대역폭은 627GB/s다.
그래픽카드 길이는 329mm이고 세로는 140mm, 두께는 62.5mm로 트리플 팬 쿨러를 탑재했으며 3.125 슬롯 이상의 두께에 2슬롯 브라켓을 사용해 기존 PC 케이스 등과의 호환성을 확인후 설치해야 한다. 출력 포트는 디스플레이포트(DP 2.1b, DisplayPort 2.1b)는 3개, HDMI 2.1b는 2개로 구성되어 최대 5대의 출력이 가능하며 HDMI 포트를 2개 제공해 활용성면에서 유리하다.
ASUS TUF Gaming RGB 로고 LED
ASUS TUF Gaming 시리즈는 고품질의 견고한 내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업인 만큼 화려한 RGB LED보다는 보다 심플한 TUF Gaming 로고를 그래픽카드 끝단에 배치했다. ASUS Aura Sync를 지원해 RGB 색상 전환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제품에 제공하는 부속물에는 퀵 스타트 가이드, 전원 케이블 연결 설명서, 그래픽카드 지지대, TUF Gaming 품질 인증서, 감사 카드, 터프 케이블 타이, 터프 로고 배지, 금속 그래픽카드 지지대, 12V-6x2 to PCIe 8핀 2개 변환 젠더 등을 제공한다.
지포스 RTX 5070 테스트 시스템
ASUS TUF Gaming RTX 5070 OC Edition/ TUF Gaming 850W
테스트에는 CPU AMD 라이젠 7 9800X3D(4.0GHz), 메인보드 ASRock X870E Nova WiFi(X870E), Asgard DDR5-6800 16GB x 2, 메모리 클럭은 DDR5-6000MHz(CL34-38-38-108, 2T, 1.40V), 그래픽카드는 ASUS TUF Gaming RTX 5070 OC(Ref Clock, Base 2325MHz, Boost FE 2512/ OC 2610MHz), 비교용으로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70 Ti OC/ TUF Gaming RTX 4080 OC와 ASUS ROG Strix 지포스 RTX 4090 OC, XFX Radeon RX 7900 XTX MERC 310 Black D6 24GB을 이용했다. ASUS TUF Gaming Gold 850W, 쿨러는 NZXT KRAKEN Z73 일체형 수냉 쿨러, Intel 칩셋 드라이버 v10.1.18838.8284, NVIDIA 지포스 게임 레디 572.16WHQL(RTX 4080 OC/ 4090 OC/ RTX 5080 OC)/ 572.50 Press(RTX 5070)/ 572.60WHQL(RTX 5070 Ti OC) 드라이버, MS 윈도우 11 Pro K 64bit를 이용했다.
ASUS TUF Gaming RTX 5070 OC Edition/ TUF Gaming 850W
지포스 RTX 5070, FHD/ QHD/ 4K UHD 해상도별 11종 게임 성능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3DMark를 이용해 지포스 RTX 5070 FE 클럭(GPU 부스트 클럭 2610MHz)를 기준으로 3DMark Fire Strike와 Time Spy, Steel Normad, 그리고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RT) 성능을 비교했다. 지포스 RTX 5070은 이전 세대 메인스트림 라인업인 RTX 4070은 앞섰으나 바로 위의 라인업인 지포스 RTX 5070 Ti와는 일정 수준의 성능 차이가 있다. 쿠다 코어와 GDDR7 메모리, ROPs 등 전반의 스펙 향상은 비슷한 가격대의 RTX 4070에는 확실한 향상이 이루어져 성능과 가격 균형을 고려하는 게이머에게 적합한 메인스트림 라인업이다. 다만 RTX 4070 시리즈 상위 라인업인 RTX 4070 Ti Super에는 95% 전후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RTX 5070 Ti와의 사이에서 고민 중인 게이머들에게는 다소 아쉬운 성능이다. ASUS TUF Gaming RTX 5070 OC는 팩토리OC(GPU 부스트 2610MHz) 설정으로 P모드와 Q모드 모두 FE 클럭을 앞섰다.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OC는 저소음 모드(Quite Mode, Q-Mode)와 성능 모드(Performance Mode, P-Mode)의 듀얼 바이오스(Dual BIOS)를 제공한다. P모드와 Q모드는 동작 클럭은 동일(팩토리OC GPU 부스트 클럭 2610MHz)하지만 쿨링팬의 동작 속도에 차이를 두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소폭의 게임 성능 및 쿨링 성능의 차이가 발생했다. 성능 모드인 P모드는 최대의 성능을 발휘한다.
게임 테스트는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와 사이버펑크 2077, 레지던트 이블 RE4, 몬스터헌터 월드 등 11종을 이용했다. 최신 게임일수록 멀티코어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게이밍 CPU로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는 AMD 라이젠 7 9980X3D와의 조합에서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윈도우 11 24H2 환경에서 FHD(1920x1080)과 QHD(2560x1440), 4K UHD(3840x2160) 해상도에서 지포스 RTX 5070은 비슷한 가격대의 지포스 RTX 4070에는 비교 우위의 성능을 제공했다. 여전히 지포스 RTX 5070 Ti와는 여전히 성능 격차를 나타낸 만큼 이들 사이에 새로운 제품의 등장 가능성은 열려 있다.
RTX 5070 vs RTX 4070, 11종 게임 RTX 4070 대비 최대 29% 향상
지포스 RTX 5070은 FHD(1920x1080)과 QHD(2560x1440), 4K UHD(3840x2160) 해상도 전반에서 지포스 RTX 4070 대비 전체 평균 최소 18%에서 최대 29% 사이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FHD와 QHD에서는 검은 신화 오공(Black Myth Wukong), 사이버 펑크 2077(CyberPunk 2077), 배틀그라운드(PUBG)의 성능 향상이 두드러졌으며 4K UHD에서는 사이버펑크 2077에서 가장 높은 최대 73.3%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11종 게임 평균 향상을 보면 FHD 최대 18%, QHD 최대 23%, 4K UHD 최대 29% 향상이 이루어졌다. 일부 게임은 해상도에 따라 보다 극명한 성능 차이를 보였으나 성능 격차가 큰 게임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평균 약 20-30% 사이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RTX 5070은 고클럭의 GDDR7 메모리 적용으로 메모리 대역폭은 증가했지만 192bit 메모리 버스와 12GB 그래픽 메모리 용량은 고해상도로 갈수록, 더욱 많은 메모리 용량을 요구하는 게임이 등장하면 불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포스 RTX 5070 Ti 대비 RTX 5070의 전체 평균 성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FHD와 QHD, 4K UHD 해상도를 비교했다. FHD 약 14%, QHD 약 18%, 4K UHD는 20%의 성능 격차를 보인다. 성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해상도인 4K UHD에서 그 차이가 커졌으며 게임에 따라 최소 약 5%에서 최대 약 29%의 향상됐다. RTX 4070과는 성능 차이가 있으나 256bit 메모리 버스와 GDDR7 16GB를 탑재한 RTX 5070 Ti와는 고해상도에서 그 차이가 더 발생하고 앞으로 등장하는 고용량을 요구하는 게임 역시 불리하다. 기존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RTX 4070과 RTX 5070 사이, RTX 5070과 RTX 5070 Ti 사이는 경쟁 제품 등장에 따라 새로운 제품이 등장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다.
GeForce RTX 5070 = RTX 4090 성능?
엔비디아(NVIDIA) 젠슨 황 CEO는 지포스 RTX 50 시리즈를 발표하면서 RTX 5070은 549달러($549)에 RTX 4090 성능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말 그대로 라면 동급의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RTX 5070의 스펙과 RTX 4090 사이의 스펙을 고려한다면 순수한 스펙상의 성능(깡성능)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대신 엔비디아가 지포스 RTX 50 시리즈와 함께 소개한 새로운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 4(Deep Learning SuperSampling 4)와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MFG, Multi Frame Generation)이 더해진다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RTX 5070과 DLSS4 및 MFG라면 RTX 4090에 근접하는 성능도 기대해볼 수 있는데 이는 해당 기술로 게임 프레임이 최대 3배 이상 상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포스 RTX 5070 = RTX 4090급 성능을 위해 사이버펑크 2077(CyberPunk 2077)을 이용했으며 RTX 5070은 DLSS4와 MFG 지원으로 DLSS 2X, 3X, 4X까지 지원하며 RTX 4090은 MFG를 지원하지 않아 FG 2x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테스트는 DLSS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상황과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RT 울트라(RT Ultra) 적용 설정, 그리고 RTX 5070은 MFG로 x4까지, RTX 4090은 FG x2까지 적용해 성능을 비교했다.
RTX 5070은 MFG x3를 넘어서면서부터 RTX 4090 DLSS/ FG를 적용하지 않은 네이티브(Navite) 이상의 프레임을 확보 가능하며 MFG x4에서는 RTX 4090 FG x2의 성능에 근접한다. 최대 3개 프레임을 더하는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MFG)을 제공해 DLSS 4와 레이 트레이싱(RT) 울트라(Ultra)를 적용한 상황에서도 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높은 프레임을 확보 가능해 4K UHD(3840x2160)과 같은 고해상도에서도 높은 게이밍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하위 1%나 레이 턴시 등에서 차이를 보여 게임에 따라 프레임 차이가 좁혀지거나 동일하더라도 RTX 4090과 동급이라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DLSS 4와 다중 프레임 생성 기술(Multi Frame Generation)을 제공해 고해상도에서 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높은 프레임을 확보해 보다 원활한 게임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AI 기반의 DLSS 기술은 프레임 생성에 따른 고스팅이나 그래픽 깨짐, 응답성 문제, 화면의 선명함 감소 등으로 게임 및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움직임이 많거나 철조망 등이 있는 특정 상황에서 더 많은 문제를 발견할 수 있어 성능이 필요할 때 적절하게 조합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RTX 5070, GPU 렌더링 및 AI 작업 성능
지포스 RTX 5070의 게임 성능에 이어 GPU 렌더링 및 PC 시장에서도 화두인 GPU를 이용한 인공지능(AI) 가속 성능을 살펴봤다. AI 처리 성능은 Geekbench AI의 DirectML을 이용한 가속으로 기본적으로 GPU 렌더링 성능은 RTX 5070이 RTX 4070을 앞섰고 RTX 5070 Ti와는 격차가 있다. FP4 명령어 추가 등을 통해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AI에 보다 최적화되고 향상된 아키텍처가 되었다.
지포스 RTX 5070, 온도와 소비전력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OC Edition, 온도와 소비전력
지포스 RTX 5070은 TBP 250W, RTX 5070 Ti는 300W, 지포스 RTX 5080는 TBP 360W로 RTX 5070은 200W의 RTX 4070보다 50W 가량 늘어났다.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에서 벤치마크를 진행하는 동안의 가장 높은 온도와 전력 소비를 확인했다. GPU 온도(GPU Temp.)는 63도 이내, GPU 핫스팟(GPU Hot Spot)은 지포스 RTX 50 시리즈에서 제외되어 측정하지 못한다.
TGP 스펙이 실제 환경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닌 만큼 실제 측정 전력량은 클럭과 세부 스펙 차이에 따라 RTX 5070은 성능 향상분 만큼 RTX 4070 대비 늘어난 전력 소모량을 제공한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RTX 40 시리즈 대비 늘어난 성능 대비 전력 소모량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아 전력 효율이 개선된 편이다. 트리플 팬 기반 비레퍼런스 쿨링 솔루션을 적용한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OC는 오픈 케이스 기준으로 63도에서 70도 이내로 안정되고 최적화된 온도를 제공한다.
새로운 메인스트림 게이밍 GPU!,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OC
4K UHD 해상도 입문용으로 알려진 지포스 RTX 5070 Ti를 이어 등장한 RTX 5070은 메인스트림 시장을 위한 라인업으로 QHD(2560x1440) 해상도에서 대부분의 게임을 60fps로 구현이 가능했고 일부 게임은 4K UHD(3840x2160)에서도 60fps에 근접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어디까지나 QHD 해상도에 적합하다.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시리즈의 메인스트림인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70 OC는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기본 특징을 이어받아 향상된 성능과 전력 효율을 제공하며 트리플 팬 쿨링 솔루션과 금속 재질의 백플레이트, 밀리터리 등급의 고품질 컴포넌트, 팩토리OC를 적용해 FE 클럭 대비 향상된 성능 및 쿨링을 제공한다.
새로운 메인스트림게이밍 GPU!, ASUS TUF Gaming GeForce RTX 5070 OC Edition
지포스 RTX 5070은 RTX 4070을 이어 성능 및 전력 효율을 향상하며 가격은 지포스 RTX 4070에 맞춰 출시했다. 하지만 국내는 환율 등의 영향으로 인하 효과가 크게 작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출시 초기 공급 부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충분한 물량 확보 전까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드라이버 이슈 등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대신 새로운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향상된 만큼 QHD 해상도를 고려하고 있는 메인스트림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그래픽카드다.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오버클럭(OC) 잠재력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OC를 통해 상위 라인업과의 부족한 성능을 보완할 수도 있다. 쿨링 성능이 좋은 쿨러를 대부분 탑재하고 있다지만 무리한 오버클럭은 GPU에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지포스 RTX 5070은 RTX 4070 대비 스펙이 향상되고 DLSS 4와 MFG의 지원으로 활용성 면에서는 더 유리해졌으나 전 세대 상위 라인업 대비 성능 향상이 크지 않아 불리하며 이에 따라 각 제품들 사이에 위치할 새로운 GPU의 등장은 이미 예정된 수순이다. 물론 비어있는 라인업은 경쟁자인 AMD에서 얼마나 경쟁 가능한 매력적인 제품을 출시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