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시된 주력 메인보드 칩셋인 하이엔드 Z890, X870 그리고 메인스트림 B860, B850 은 많은 분들이 구입하는 주력 칩셋 (메인보드)다. 이 최상위 칩셋과 메인스트림 칩셋의 차이점은 PCIe 버전의 차이이다. 메인보드 제조사들 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하이엔드 칩셋은 PCIe 5.0 그리고 메인스트림 모델들은 PCIe 4.0 를 지원한다. 그래픽카드의 경우 PCIe 5.0 버전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속속 출시가 되었지만 그 해당 버전에 따른 성능 차이는 현재로썬 없다. 하지만 SSD의 경우는 조금 달라서 PCIe 3.0 VS PCIe 4.0 VS PCIe 5.0 수치상 성능 차이는 극명하다. 단 PCIe 4.0 과 PCIe 5.0 지원 SSD의 가격은 배이상 뛰기 때문에 구입이 선 듯 망서려진다. 그 가격 차이 만큼 체감할 수 있는 성능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다른 부분은 PCIe 3.0 SSD는 이제 서서히 단종 수순에 들어가고 있는데 PCIe 4.0 지원 SSD가 사실상 표준이 되면서 메인스트림 제품이 되어 다량으로 생산되면서 가격적인 부분이 상당히 매력적인 제품이 되었다. 오늘은 WD 에서 새롭게 출시한 게이밍 PCIe 4.0 x4 지원 SSD은 WD_BLACK SN7100 이다. 과연 이 제품이 어떤 성능을 보여주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Western Digital WD BLACK SN7100 M.2 NVMe (2TB)
▲ 상세 스펙 : 내장형SSD / M.2 (2280) / PCIe4.0x4 (64GT/s) / NVMe 1.4 / TLC(기타) / 3D낸드 / 컨트롤러: WD / PS5 호환 / [성능] 순차읽기: 7,250MB/s / 순차쓰기: 6,900MB/s / 읽기IOPS: 1,000K / 쓰기IOPS: 1,400K / [지원기능] TRIM / SLC캐싱 / S.M.A.R.T / HMB / [환경특성] TBW: 1,200TB / A/S기간: 5년 , 제한보증 / 방열판 미포함 / 두께: 1.14mm / 5.8g
▲ WD_BLACK Gen4 x43 SN7100 2TB SSD 는 간단하게 투명 PCB 로 안전하게 패키지가 되어 있는데 전체적인 SSD 패키지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 WD_BLACK Gen4 x43 SN7100 2TB 는 전형적인 단면 형태를 띄고 있는데 WD 에서는 4TB 이상 의 제품이라도 하나 혹은 두개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 처리해 단면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 단면 방식은 아무래도 발열 해소 측면에서도 당연히 유리한 구조다.
▲ WD_BLACK Gen4 x43 SN7100 2TB 의 낸드 플래시는 3D TLC 이며 별도의 DRAM 캐시 메모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형태다. 낸드 플래시 위에 샌디스크에서 만들어진 컨트롤러와 펌웨어 정도가 온보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WD_DASHBOARD
WD 에서는 자사의 SSD의 상태 등의 모니터링, 낸드 플래쉬의 수명 및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할 수 있는 별도의 앱을 제공한다. 특별하게 설치를 해서 계속 사용할 수도 있도 필요에 따라서 설치 후 펌웨어 업데이트 및 상태 등을 간단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한번 정도는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SSD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해보는 것이 좋으며 또한 많은 숫자의 게임을 설치하여 즐기는 하드코어 게이머들의 경우는 게임 모드를 활성화 하여 조금 더 쾌적한 로딩 시간을 갖을 수 있다.
▲ 앱 상단 우측의 GAME 모드 설정을 통해 해당 옵션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이 옵션을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할 경우 운영체제의 부팅을 필요로 한다.
■ 벤치마크 셋업 #1 -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 메인보드 : ASRock Z890 Taichi
● 프로세서 : 인텔 코어 울트라7 265K
● 메모리 : DDR5-8000 XMP 3.0 16GB x2
● 그래픽카드 : GeForce RTX 4070 Ti Super FE
▲ WD_Black SN7100 2TB의 인텔 기반 메인보드에서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 벤치마크 셋업 #2 - AMD 라이젠 시리즈
● 메인보드 : ASUS X870E-E GAMING WIFI
● 프로세서 : AMD 라이젠7 9800X3D
● 메모리 : DDR5-8000 XMP 3.0 16GB x2
● 그래픽카드 : GeForce RTX 4070 Ti Super FE
▲ WD_Black SN7100 2TB의 AMD 기반 메인보드에서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이 두가지 테스트는 모두 프로세서와 직결되는 PCIe 레인에 연결되지 않고 칩셋에서 지원하는 PCIe 레인에 연결되어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양 칩셋 모두 PCIe 4.0 x4 스펙을 지원했다.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더티 테스트를 보게 되면 아래와 같다.
▲ WD_Black SN7100 2TB 는 디램기반의 별도 캐쉬 메모리를 갖고 있지 않은 SSD 들이 갖고 있는 통상적인 더티테스트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전체 용량의 약 30% 정도 쓰기 부분을 넘어서게 되면 성능 하락이 되는 구간이 측정 되었다.
■ GAME-ON 모드시 로딩 속도는?
마지막으로 이 두가지 서로 다른 프로세서, 메인보드 플랫폼에서 게임 로딩 성능을 측정해봤다. 해당 성능 측정은 몇 게임 밖에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을 취했다. 테스트로 측정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게임 로딩 테스트, 단위 Sec, 낮은 수록 우수
우선 테스트 결과에서는 인텔 코어 울트라7 프로세서에 비해 AMD 라이젠 프로세서 계열이 앞선 (낮은) 로딩 속도를 보였다. 초 단위의 미묘한 차이이긴 하지만 WD_DASHBOARD 의 게임모드 옵션의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를 통해 각기 새로운 씬의 로딩 시 단축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옵션의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는 라이젠 프로세서 보다라는 인텔 프로세서가 조금 더 큰 차이를 냈는데 이 부분은 프로세서가 갖고 있는 잠재적인 게이밍 성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 PCIe 4.0 x4 SSD의 완성형, WD_BLACK SN7100 2TB
앞서 기사의 서두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이제 PCIe 3.0 기반의 SSD 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512GB 정도의 용량을 사무용으로 사용하는 정도다. 개인이 가정에서 혹은 게임용으로 사용한다면 굳이 가격차이가 별로 없는 PCIe 3.0 x4 규격의 SSD를 구입하는 것은 좋지 않다. PCIe 3.0 x4 기반의 SSD가 낼 수 있는 최대 연속 읽기 및 쓰기 속도는 3,500 ~ 3,600 MB/s 정도로 그 한계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하는 WD_BLACK SN7100 SSD의 경우는 별도의 디램 캐쉬가 없지만 연속 읽기 속도가 PCIe 3.0 x4 가 낼 수 있는 속도의 딱 2배 정도를 내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만족스러운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그 외에 중, 저가형 SSD가 가지지 못한 별도의 안정적인 앱인 WD_DASHBOARD 를 갖고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WD SSD의 수명, 사용시 온도 및 각종 상태 들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조금 이라도 게임시 로딩을 빨리 할 수 있는 GAME MODE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게임 실행시 조금 이라도 빠른 로딩 성능을 맛볼 수 있다. 위 테스트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극명한 차이점을 느끼기엔 그 차이 단위가 작기 때문에 체감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지만 수치상으로 빠른 로딩 속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의문이 없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