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2025년 최신 조합 게이밍 노트북.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2025.04.25. 13:18:53
조회 수
85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8316.JPG

 

 

매년 초에 열리는 CES에서 새로운 CPU와 새로운 GPU가 발표되고, 노트북 제조사는 앞다투어 최신 프로세서를 탑재한 노트북을 전시합니다. 그리고 그 때부터 사람들은 초조하게 기다리기 시작합니다. 한국에는 어떤 모델이 나올까? 언제 나올까? 이러면서 말이죠. 올해도 어김없이 CES 2025에서 인텔은 고성능 모바일 프로세서인 코어 울트라 200HX 시리즈를 발표했고, NVIDIA는 지포스 RTX 50 랩탑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MSI는 그 둘을 조합한 게이밍 노트북을 가장 먼저 공개했고요. https://gigglehd.com/gg/16948986 4월 들어서는 마침내 국내 시장에서도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게이밍 노트북의 명가 MSI는 2025년 최신 조합을 이룬 제품을 여럿 준비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볼 제품은 이겁니다. 코어 울트라 9 275HX에 지포스 RTX 5070 Ti, 그리고 QHD+ 240Hz 디스플레이가 달린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입니다.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는 모든 면에서 최고급의 부품으로 구성된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코어 울트라 9 275HX는 인텔의 최상위 모바일 프로세서로, 코어 구성과 NPU의 성능은 플래그쉽 모델인 285HX와 똑같으며 최고 클럭만 100MHz 납습니다. 지포스 RTX 5070 Ti 랩탑은 NVIDIA 최신 아키텍처인 블랙웰을 도입해 멀티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며, MSI는 이 둘을 합쳐서 최대 205W의 전원을 공급하는 오버부스트 울트라 기능으로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6인치 크기의 대형 디스플레이는 2560x1600의 넓은 해상도와 더불어 240Hz의 부드러운 주사율과 500니트의 높은 밝기 표현이 가능하고요. 튼튼하면서도 세련된 벡터 시리즈 특유의 메탈 바디 안에는 쿨러부스트 5 쿨러를 넣어 온도를 낮춰주고, 2개의 썬더볼트5 포트에서 140W의 PD 충전과 디스플레이 출력, 고속 데이터 전송까지 가능해 확장성도 뛰어납니다.  

DSC08329.JPG

 

 

제품명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CPU 인텔 코어 울트라 9 275HX(애로우레이크, 8P+16E 코어 24스레드, P코어 2.7~5.4GHz, E 코어 2.1~4.6GHz, 40MB 캐시, 기본 55W, NPU 제공) 
메모리 DDR5 16GB(8GB 2개 장착, 최대 96GB 인식 가능)   
그래픽 NVIDIA 지포스 RTX 5070 Ti 랩탑 GPU(블랙웰, 5888코어, 클럭 1447~2200MHz, 192비트 12GB GDDR7, 기본 140W, 최대 205W)
스토리지 1TB NVMe M.2 SSD(2슬롯, 1개 추가 가능) 
디스플레이 16인치(40.6cm), QHD+(2560x1600), 240Hz, IPS 타입 패널, 16:10 비율, 안티 글레어, DCI-P3 100% 색영역, 500니트 밝기 
웹캠 FHD 카메라, 1080p 30fps, HDR, IR 적외선 얼굴 인식, 윈도우 헬로 지원, 프라이버시 셔터
입력 장치 24존 RGB LED 게이밍 키보드, 코파일럿 키, 키 트래블 1.7mm, 반투명 WASD, 방향키 강조, 한글 각인, 숫자 패드 
네트워크 유선 기가비트 랜
인텔 802.11ax Wi-Fi 6E + 블루투스 5.3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DTS &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추가 기능 메탈 바디, 블루 컬러 포인트
네뷸라 블루 소프트 힌지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HDMI/USB-C 화면 동시 출력, 최대 3개의 외장 디스플레이 연결
쿨러 부스트 5(쿨링팬 2개, 히트파이프 6개)
MUX 스위치
메탈 상판 
MSI 센터, MSI AI 엔진 
I/O 포트 썬더볼트 5 x2(USB-C, PD 3.1 충전, DP Alt 모드 디스플레이 출력)
USB 3.2 Gen1 타입 A x2
SD 카드 리더 x1
HDMI 2.1 x1(8K@60Hz, 4K@120Hz)
RJ45 기가비트 랜 x1
3.5mm 오디오 콤보 잭 x1
켄싱턴 락
배터리 4셀, 90WHr
전원 330W AC 어댑터, PD 충전
크기 357x284x22.2~28.55mm
무게 2.7kg
운영체제 프리도스   
참고  등록 예정
가격 4월 출시 예정

 

 

번들로 주는 가방과 마우스

 

DSC08325.JPG

 

두께 3cm가 채 되지 않는 노트북이지만 박스는 상당히 두껍습니다. 노트북 스펙이 잘못 쓰여져서 그런 건 아니고 번들로 주는 가방이 박스를 꽤 많이 차지해서 그렇습니다. MSI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에 번들로 제공하는 타이탄 게이밍 백팩은 그 누가 봐도 게이밍 노트북이 들어 있다는 티를 확실하게 내는 MSI 게이밍 엠블럼을 큼지막하게 넣었습니다. 16인치가 넘는 대형 게이밍 노트북도 가뿐하게 수납할 뿐만 아니라, 안 밖으로 여러 공간이 있어 액세서리를 함께 들고 다니기도 수월합니다. 가방 외에 게이밍 마우스도 함께 줍니다. 마우스 상단 쉘에 육각형 구멍을 숭숭 뚫어 무게를 100g 이하로 낮췄고요. 휠과 로고에 RGB LED를 넣고, 너무 요란한 효과를 싫어하는 사람을 위해 바닥에 RGB On/Off 버튼도 마련했습니다. 전원 어댑터는 파워 제조사로 명성이 높은 델타에서 만들었으며 최대 330W의 전력을 공급합니다. 이 노트북은 USB PD 어댑터를 통해 140W까지 전원 공급이 가능하지만, 고사양 작업이나 게임에서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하길 원한다면 AC 전원 어댑터 연결이 꼭 필요합니다. 

 

자세히 보기

DSC08206.JPG

 

DSC08207.JPG

 

노트북 외부 박스

 

DSC08229.JPG

 

게이밍 엠블럼이 인상적인 MSI 타이탄 게이밍 백팩

 

DSC08232.JPG

 

대형 노트북도 거뜬한 크기의 백팩입니다. 

 

DSC08230.JPG

 

전면 주머니의 지퍼.

 

DSC08231.JPG

 

내부 공간

 

DSC08234.JPG

 

내부 포켓

 

DSC08235.JPG

 

16인치 노트북 수납

 

DSC08227.JPG

 

백팩 뒷면

 

DSC08228.JPG

 

메쉬 재질의 소재와 어깨끈

 

DSC08208.JPG

 

노트북 박스

 

DSC08209.JPG

 

박스를 열면 부직포로 포장한 노트북과 액세서리 공간이 나옵니다.

 

DSC08210.JPG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빠른 가이드, 마우스.

 

DSC08211.JPG

 

마우스부터 봅시다.

 

DSC08212.JPG

 

마우스 쉘에 육각형 구멍을 뚫어 무게를 줄였습니다. 

 

DSC08213.JPG

 

측면에 뒤로 가기/앞으로 가기 버튼과 상단에 DPI 조절 버튼 2개가 있고요.

 

DSC08214.JPG

 

휠과 게이밍 엠블럼에 RGB LED가 탑재됩니다.

 

DSC08216.JPG

 

마우스 본체만의 무게는 96g입니다. 

 

DSC08217.JPG

 

바닥에는 RGB LED 버튼이 있습니다.

 

DSC08218.JPG

 

마우스 크기.

 

DSC08219.JPG

 

330W 용량의 전원 어댑터입니다. 

 

DSC08220.JPG

 

제조사는 델타, 20V 16.5A 출력을 제공합니다.

 

DSC08221.JPG

 

DSC08222.JPG

 

어댑터 크기.

 

DSC08223.JPG

 

대용량 어댑터답게 파워에서도 쓰는 케이블을 사용하고요.

 

DSC08224.JPG

 

노트북에 연결하는 커넥터는 상/하 구분 없이 자유로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DSC08225.JPG

 

전원 케이블과 어댑터의 무게는 995g입니다. 대용량 어댑터다운 무게지요.

 

DSC08233.JPG

 

노트북을 보호하는 부직포 포장.

 

 

매끄러운 메탈 바디, 네뷸라 블루 힌지

 

DSC08324.JPG

 

MSI 벡터 시리즈는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다운 개성적인 디자인을 지녔습니다. 금속 재질 특유의 차가움과 든든함을 모두 갖춘 메탈 바디로 노트북을 감사고, 보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보여주는 네뷸라 블루 힌지가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노트북 바닥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삼각 패턴과 MSI 로고를 넣어 벡터 시리즈만의 개성을 더해줍니다.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의 화면 크기는 16인치이며 비율은 16:10입니다. 화면 상단에는 1080p 30fps의 웹캠이 달려 있는데 물리 셔터로 완벽하게 가릴 수 있고요. 그 옆에는 적외선 카메라가 있어 윈도우 헬로의 얼굴 인식이 가능합니다. 키패드까지 달린 키보드는 WASD와 전원 버튼에 반투명 키캡을, 방향키에 포인트 키캡을 넣어 눈에 잘 띄도록 고안했으며, 코파일럿 키를 넣어 빠르게 AI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 포트에서 가장 돋보이는 건 2개의 썬더볼트 5입니다. 최대 80Gbps의 양방향 전송과 최대 120Gbps의 대역폭 부스트를 제공하며 PD 140W 충전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출력도 가능하거든요. 그 외에도 SD 카드 리더, 유선 랜, HDMI 2.1, 3.5mm 오디오 포트와 2개의 USB 3.2 타입 A 포트까지 있으니 전체적인 확장성이 뛰어난 편입니다.  

 

자세히 보기

DSC08254.JPG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입니다. 

 

DSC08252.JPG

 

뒷면에는 MSI 게이밍 시리즈 엠블럼이 있습니다.

 

DSC08241.JPG

 

화면을 접었을 때.

 

DSC08250.JPG

 

화면을 펼쳤을 때. 

 

DSC08256.JPG

 

힌지를 최대한 펼치면 여기까지 열립니다.

 

DSC08247.JPG

 

크기 357x284mm

 

DSC08237.JPG

 

두께 22.2~28.55mm

 

DSC08249.JPG

 

무게 2.7kg.

 

DSC08236.JPG

 

우측엔 USB A 포트 2개와 3.5mm 콤보 잭, 좌측에는 USB-C 규격의 썬더볼트 5 포트 2개와 SD 카드 리더기가 있습니다. 

 

DSC08238.JPG

 

뒷면엔 유선 랜, HDMI, 켄싱턴 락, 전원 단자가 있습니다. 

 

DSC08261.JPG

 

노트북 내부.

 

DSC08257.JPG

 

16인치 크기의 화면 

DSC08258.JPG

 

상단에는 풀HD 웹캠과 얼굴 인식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가 있으며, 프라이버시 셔터로 캠을 완벽하게 가릴 수 있습니다. 

 

DSC08267.JPG

 

네뷸라 블루 색이 돋보이는 힌지.

 

DSC08265.JPG

 

화면 하단 중앙의 MSI 로고.

 

DSC08262.JPG

 

키패드까지 딸린 키보드

 

DSC08269.JPG

 

WASD에는 반투명 키캡이

 

DSC08270.JPG

 

화살표에는 포인트 키캡이 있습니다. 또 코파일럿 키가 있어 AI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DSC08309.JPG

 

키보드의 RGB LED 표시 효과

 

DSC08311.JPG

 

DSC08312.JPG

 

반투명 키캡과 포인트 키캡의 표시 효과

 

DSC08263.JPG

 

대형 터치패드

 

DSC08272.JPG

 

인텔 코어 울트라 9와 지포스 RTX 로고

 

DSC08271.JPG

 

벡터 16 HX AI A2XW 시리즈의 주요 특징

 

DSC08242.JPG

 

노트북 바닥 

 

DSC08243.JPG

 

삼각형 무늬

 

DSC08244.JPG

 

DSC08245.JPG

 

통풍구 디자인

 

 

2팬 6히트파이프의 쿨러 부스트 5

 

DSC08280.JPG

 

쿨러 부스트 5는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의 모범 답안과도 같은 구성을 지녔습니다. 노트북 뒷면 양쪽에 2개의 쿨링팬을 탑재해 바닥으로 빨아들인 외부 공기를 측면과 뒷면의 통풍구로 배출하고요. 이들 저소음 쿨링팬에는 CPU와 GPU 위를 지나가는 6개의 히트파이프를 연결해 칩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합니다. 내부 확장성 역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다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2개의 DDR5 SO-DIMM 메모리 슬롯에 직접 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으며, M.2 슬롯도 2개가 있어 자유로이 업그레이드할 수 있거든요. 노트북 하단에는 90WHr 용량의 4셀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배터리 양 옆에는 2개의 2W 스피커가 달려 있는데요. 이 스피커는 DTS와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음장 효과를 통해 더욱 풍성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8276.JPG

 

노트북 상단 뒷부분의 커버 분리

 

DSC08277.JPG

 

노트북 바닥 커버 분리 

 

DSC08279.JPG

 

노트북 내부.

 

DSC08281.JPG

 

위쪽엔 2개의 쿨링팬과 6개의 히트파이프로 구성된 쿨러 부스트 5

 

DSC08282.JPG

 

DSC08283.JPG

 

좌우 50mm 구경의 쿨링팬 탑재

 

DSC08284.JPG

 

DSC08285.JPG

 

DSC08286.JPG

 

CPU와 GPU 위를 지나가는 히트파이프가 쿨링팬 옆의 히트싱크로 이어집니다. 팬에서 나온 바람이 히트싱크를 식혀주는 구조입니다.

 

DSC08299.JPG

 

메모리 커버를 열면 2개의 DDR5 SO-DIMM 슬롯이 나옵니다. 

 

DSC08298.JPG

 

2개의 M.2 SSD 슬롯입니다.

 

DSC08297.JPG

 

위쪽 슬롯은 비어있고, 아래쪽 슬롯에는 마이크론의 2500 1TB NVMe SSD가 탑재됐습니다.

 

DSC08287.JPG

 

우측 기판에는 전원부와 SD카드 슬롯이 있습니다.

 

DSC08288.JPG

 

리얼텍 컨트롤러 칩과 인텔 킬러 랜 모듈

 

DSC08290.JPG

 

칩셋과 배터리

 

DSC08291.JPG

 

후면 포트의 기판

 

DSC08293.JPG

 

2개의 2W 스피커

 

DSC08294.JPG

 

90Whr 용량의 배터리

 

DSC08300.JPG

 

 

네뷸라 블루 컬러의 힌지

 

 

 

24스레드 5.4GHz의 힘. 코어 울트라 9 275HX

 

DSC08317.JPG

 

코어 울트라 9 275HX는 인텔의 최신 아키텍처인 애로우레이크, 그 중에서도 고성능 라인업에 속하는 HX, 그리고 거기에서도 최상위 제품에 해당됩니다. 이보다 더 위로 285HX가 있지만 클럭이 100MHz 높다는 걸 제외하면 다른 스펙은 전부 같거든요. 그래서 8개의 P 코어와 16개의 E 코어, 여기에 36MB의 대용량 캐시를 제공하는 합리적인 선택지라 할 수 있습니다. 최신 아키텍처와 24스레드에 달하는 넉넉한 구성 덕분에 CPU 성능 역시 뛰어납니다. 인텔의 현 세대 데스크탑 플래그쉽 프로세서인 코어 울트라 285K와 비교하면 https://gigglehd.com/gg/16610237 싱글 스레드는 거의 같은 수준이고, 멀티 스레드 성능은 약간 낮은 모습을 보여주거든요. 이 정도의 성능이라면 고성능 데스크탑을 대체하기에 충분한 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또 인텔 코어 울트라 200 시리즈답게 NPU가 기본적으로 탑재됩니다. NPU와 내장 그래픽, 지포스 RTX 5070 Ti 랩탑 GPU를 모두 활용해 로컬에서 AI 작업을 처리할 수 있으니, 제품명에 붙은 AI라는 이름 값을 톡톡히 해 내는 노트북이기도 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4-23 20-25-07-518.png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한 코어 울트라 9 275HX

 

Cap 2025-04-14 14-18-44-701.png

 

CPU-Z에서 확인한 코어 울트라 9 275HX와 칩셋 구성

 

Cap 2025-04-14 14-18-48-488.png

 

CPU-Z에서 확인한 DDR5 16GB 메모리

 

Cap 2025-04-14 16-35-48-306.jpg

 

메모리와 캐시 대역폭

 

Cap 2025-04-23 22-31-26-660.png

 

CPU-Z 벤치마크

 

Cap 2025-04-23 22-36-25-739.png

 

시네벤치 2024

 

Cap 2025-04-23 22-36-34-323.png

 

시네벤치 R23

 

Cap 2025-04-23 22-36-45-789.png

 

코로나 렌더링 

 

Cap 2025-04-23 22-35-40-609.png

 

y-cruncher 파이 연산(낮을수록 좋음)

 

Cap 2025-04-23 22-36-03-107.png

 

핸드브레이크 영상 인코딩

 

Cap 2025-04-23 22-36-56-571.png

 

 

X.264 1080p 영상 인코딩

 

Cap 2025-04-23 22-33-58-708.png

 

7Zip 벤치마크

 

Cap 2025-04-23 22-34-17-176.png

 

블렌더: CPU

 

Cap 2025-04-23 22-18-05-318.png

 

PC마크 10

 

Cap 2025-04-23 22-29-39-894.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Cap 2025-04-23 20-25-00-181.png

 

인텔 AI 부스트 NPU

 

Cap 2025-04-23 16-52-49-976.png

 

이렇게 AI 작업을 시키면 NPU의 점유율이 오르고요

 

Cap 2025-04-23 20-06-08-790.png

 

코파일럿 키를 눌러서 물어보면 대답도 잘 해줍니다. 

 

Cap 2025-04-23 22-23-39-917.png

 

긱벤치 AI: ONNX

 

65743bf26de9996f7fdd785955b33555.png

 

긱벤치 AI: OpenVINO

 

 

멀티 프레임 생성의 위력. 지포스 RTX 5070 Ti 랩탑

 

DSC08318.JPG

 

'랩탑'이 붙은 그래픽은 데스크탑 버전에 비해 다소 낮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다면 지포스 RTX 5070 Ti 랩탑은 데스크탑 그래픽카드와 비교해서 어느 정도나 될까요? 테스트 조건이 똑같진 않지만, 3D마크와 게임 성능의 경우 지포스 RTX 5060 Ti와 5070 사이에 지포스 RTX 5070 Ti 랩탑이 위치합니다. https://gigglehd.com/gg/16610237 이 정도면 레이 트레이싱까지 켠 묵직한 게임들도 플레이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겠죠. 여기에 DLSS 초해상 기술과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용하면 최신 게임에서도 프레임 걱정을 할 필요가 없고요. DLSS4에서 추가된 멀티 프레임 생성까지 동원한다면 이 노트북의 240Hz 디스플레이를 완벽하게 커버합니다. 아직까지는 멀티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는 게임의 수가 아주 많진 않지만, 새로 출시되는 게임은 대부분 DLSS를 지원하며 최신 버전의 DLSS로 업그레이드도 NVIDIA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멀티 프레임 생성의 보급은 사실상 시간 문제이며, 그렇다면 지포스 RTX 50 시리즈가 탑재된 제품이 더 나은 선택이라 여겨집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4-15 09-41-50-250.png

 

내장 그래픽, 지포스 RTX 5070 Ti 랩탑의 GPU-Z 정보

 

Cap 2025-04-23 20-26-11-702.jpg

 

4K 영상 재생시 점유율

 

Cap 2025-04-23 20-26-46-845.jpg

 

8K 영상 재생시 점유율

 

Cap 2025-04-23 22-19-32-069.png

 

3D마크

 

Cap 2025-04-23 22-18-48-118.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5-04-23 22-10-05-784.png

 

3D 게임: 1920x1200, 최고 옵션, 평균 fps

 

Cap 2025-04-23 22-10-20-326.png

 

3D 게임: 2560x1600, 최고 옵션, 평균 fps

 

Cap 2025-04-23 22-11-53-742.png

 

3D 게임: 1920x1200, 최고 옵션, DLSS 균형, 평균 fps

 

Cap 2025-04-23 22-12-34-741.png

 

3D 게임: 2560x1600, 최고 옵션, DLSS 균형, 평균 fps

 

Cap 2025-04-23 22-15-23-271.png

 

3D 게임: 1920x1200, 최고 옵션, DLSS 균형, 프레임 생성, 평균 fps

 

Cap 2025-04-23 22-15-43-021.png

 

3D 게임: 2560x1600, 최고 옵션, DLSS 균형, 프레임 생성, 평균 fps

 

Cap 2025-04-23 22-28-44-597.png

 

3D 게임: 1920x1200, 최고 옵션, DLSS 균형, 멀티 프레임 생성, 평균 fps

 

Cap 2025-04-23 22-28-13-763.png

 

3D 게임: 2560x1600, 최고 옵션, DLSS 균형, 멀티 프레임 생성, 평균 fps

 

Cap 2025-04-23 22-34-27-624.png

 

블렌더: GPU

 

Cap 2025-04-23 22-34-41-691.png

 

Vray 5

 

Cap 2025-04-23 22-34-52-824.png

 

Vary 6

 

 

QHD+ @ 240Hz @ 500니트 디스플레이

 

DSC08322.JPG

 

성능 게이밍 노트북에서 이 정도면 됐지, 뭘 더 바라나 싶은 화면이 달려 있습니다. 우선 해상도가 2560x1600의 QHD+입니다. 풀 HD 급보다 더 뛰어난 화질을 보여주는 건 당연하고요. 16인치 크기의 화면에서도 세밀한 그래픽 묘사가 가능합니다. 16:9 비율의 화면보다 세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더 많은 정보를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지요. 그리고 게이밍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중요한 주사율이 240Hz입니다. 일반 모니터의 60Hz의 네 배에 달하는 숫자지요. 작년만 하더라도 240Hz 짜리 디스플레이를 달아봤자 그걸 어지간한 그래픽카드로 감당이나 할 수 있겠냐고 말했을텐데, 이제는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니 240Hz의 부드러운 화면 표현을 100%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밝기와 색 표현도 뛰어납니다. 최대 500니트의 밝기 덕분에 강한 햇빛 아래에서도 화면을 구분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DCI-P3 100%를 준수해 넓은 색 영역을 정확하게 커버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4-23 21-15-58-075.png

 

2560x1600 240Hz의 노트북 디스플레이, 4K 60Hz 이상의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한 HDMI와 USB-C DP alt 모드.

 

 

240Hz 게임 테스트, 240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테스트 영상.

 

DSC08340.JPG

 

2560x1660 해상도의 넓은 공간

 

DSC08335.JPG

 

상하 시야각

 

DSC08339.JPG

 

좌우 시야각

 

DSC08343.JPG

 

가독성 테스트

 

P3090931.JPG

 

RGB LED 픽셀 구성

 

DSC08344.JPG

 

명암 표현

 

DSC08345.JPG

 

색상 표현

 

DSC08341.JPG

 

사진 표시

 

DSC08342.JPG

 

영상 재생

 

Cap 2025-04-23 20-59-02-795.jp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색영역은 sRGB 100%, DCI-P3 96%로 표기 스펙에 근접합니다.

 

Cap 2025-04-23 20-59-10-020.png

 

감마는 2.5로 표준보다는 조금 높은 편.

 

Cap 2025-04-23 20-59-19-035.png

 

최대 밝기는 500c/dm2를 넘습니다. 대비도는 1000:1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Cap 2025-04-23 21-10-04-143.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4-23 21-10-08-131.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4-23 21-10-12-042.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4-23 21-10-17-144.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4-23 21-10-24-831.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E 1.64를 기록했습니다. 크게 튀는 색 없이 무난한 모습입니다.

 

 

강력한 썬더볼트 5에 USB PD 140W 까지

 

DSC08319.JPG

 

배터리 성능부터 봅시다. 최대 밝기로 6시간 동안 동영상 재생이 가능했으며 웹서핑은 4시간 44분이었습니다. 충전은 USB-PD와 AC 연결 모두 80%까지 1시간 30분, 95%까지 2시간 가까이가 걸렸는데요. 올데이 컴퓨팅을 표방하는 슬림형 노트북이 아니라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임을 감안하면 평이한 수준이라 보입니다. 기본 제공 어댑터의 용량이 330W고, PD 충전에서도 140W까지 지원하지만 이는 노트북에서 전력을 소모해 작업을 할 경우에 거기까지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요. 단순 충전만으로는 최대 용량까지 전부 끌어다 쓰진 않습니다. 시네벤치 2024 멀티 테스트에서는 200W가 넘었고, 3D 게임 플레이에서는 280W 가까이 사용하기에, 이 노트북에서 본격적인 작업이나 게임을 100%의 성능으로 하길 원한다면 전용 어댑터가 꼭 필요합니다.

 

온도는 시네벤치에서 77도, 3D마크에서 74도를 기록했습니다.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치고는 높은 편이 아닌데, 이는 쿨러 부스트 5 쿨러가 열심히 제 몫을 한 결과라 보여집니다. 노트북 표면 온도도 크게 높은 부분은 없고, 통풍구 쪽만 30도 초중반을 보여 주었습니다. 소음은 시네벤치 멀티 테스트에서 57dB까지 올라가지만, CPU에 집중된 작업이 10분 가량 지속된 결과임을 감안해야 합니다. 3D마크나에서는 50dB, 시네벤치 싱글 테스트에서는 45dB로 소음이 줄어들어 사용에는 지장이 없었습니다. 

 

기본 탑재된 NVMe M.2 SSD는 순차 읽기 7GB/s에 육박하는 높은 성능을 내며, 더티 테스트에서도 최고 5GB/s를 넘는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75% 정도부터 눈에 띄는 성능 하락이 보이긴 하지만 바로 4GB/s 이상으로 올라옵니다. 그래서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에 쓰기에 충분한 높은 성능의 SSD가 탑재된다고 여겨집니다. 또 양방향 80Gbps의 속도를 내는 2개의 썬더볼트 5 포트에도 고성능 외장 SSD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썬더볼트 5의 제 성능을 발휘하려면 PCIe 5.0 x4 정도는 써야 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4-23 22-30-15-260.png

 

배터리/충전 시간

 

DSC08302.JPG

 

USB-PD 충전으로 최대 140W의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140W는 최대값이며, 항상 140W를 유지하진 않고 시스템과 배터리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합니다.

 

Cap 2025-04-23 22-30-46-360.png

 

노트북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Cap 2025-04-23 22-31-52-860.png

 

온도

 

BNEC7678.JPG

 

노트북 표면 온도

 

Cap 2025-04-23 22-33-08-209.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db)

 

Cap 2025-04-23 22-32-34-293.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스피커 출력(db)

 

Cap 2025-04-23 20-37-29-670.png

 

기본 장착된 1TB NVMe SSD의 성능, 순차 읽기 7GB/s, 순차 쓰기 5.5GB/s에 달합니다.

 

Cap 2025-04-15 07-55-53-677.png

 

기본 장착된 1TB NVMe SSD의 더티 테스트. 캐시 영역 소진 시 성능 하락은 있지만, 낮은 성능을 계속 유지하는 게 아니라 바로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Cap 2025-04-23 20-44-18-154.png

 

썬더볼트 포트에 연결한 USB 20Gbps 외장 SSD. 이걸로 썬더볼트 5 포트의 성능을 다 뽑아 쓰진 못하고요.

 

Cap 2025-04-23 19-55-14-378.png

 

썬더볼트 쉐어같은 기능을 사용하면 2대의 시스템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Cap 2025-04-23 20-29-02-995.png

 

 

Wi-Fi 7의 6GHz 대역 무선 지원

 

Cap 2025-04-23 20-29-28-010.png

 

썬더볼트 5가 있으니 USB4도 당연히 지원합니다.

 

Cap 2025-04-23 20-29-32-039.png

 

윈도우 11의 필수인 TPM 2.0

 

Cap 2025-04-23 20-29-46-366.png

 

윈도우 헬로 얼굴 인식과

 

Cap 2025-04-23 20-30-10-458.png

 

IR 카메라

 

Cap 2025-04-23 20-30-16-041.png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MSI 센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

 

DSC08328.JPG

 

노트북 바이오스에서도 나름의 설정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노트북이나 하드웨어에 깊은 지식을 갖고 있는 게 아닌 이상 굳이 거기까지 들어갈 필요는 없고요. 절대 다수의 성능과 기능 설정은 MSI 센터에서 할 수 있습니다. MSI 센터는 꼭 필요한 기능만 골라 설치하는 모듈식 구조를 도입해, 불필요한 기능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니 시스템을 가볍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MUX 스위치와 AI 성능 최적화를 비롯해 노트북 활용에 꼭 필요한 기능 설정을 MSI 센터에서 제공하니, 한 번쯤은 꼭 실행해 보길 권장합니다. 더 세밀한 설정이 필요하다면 다른 앱으로도 눈을 돌려볼 법 합니다. 나히믹 앱과 MSI 오디오 설정에서 노이즈 캔슬과 음장 효과를 지정하고, 킬러 앱에서 더욱 세밀한 네트워크 모니터링과 설정 항목들을 제공합니다.  

 

자세히 보기

bios.gif

 

바이오스 설정

 

Cap 2025-04-23 20-04-32-206.png

 

나히믹 음장 설정

 

nahimic.gif

 

가상 서라운드와 노이즈 제거, 사운드 트래커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Cap 2025-04-23 20-04-46-073.jpg

 

MSI 앱 플레이어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center1.gif

 

MSI 센터는 필요한 모듈만 골라 설치할 수 있습니다. AI 성능 최적화, 시스템 모니터링, MUX 스위치 전환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에 노트북 활용에 없어선 안 될 프로그램입니다. 

 

center2.gif

 

시스템 진단, 복구, RGB LED 설정, 지원, 성능 분석 등의 도구

 

center3.gif

 

AI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 정보, 이미지 검색, 업데이트, 등록 서비스

 

killer.gif

 

킬러 랜의 WiFi/블루투스 모니터링과 설정

 

 

sound.gif

 

MSI 오디오 앱의 설정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DSC08253.JPG

 

2025년에 새로 출시된 최신 CPU와 GPU가 탑재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인텔의 하이엔드 프로세서인 코어 울트라 9 275HX는 데스크탑 프로세서에 버금가는 성능을 발휘하며, 지포스 RTX 5070 Ti 랩탑 그래픽은 멀티 프레임 생성으로 체감 프레임을 크게 늘려줍니다. 여기에 16인치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고주사율, 높은 밝기로 게이밍 노트북에 필요한 모든 스펙을 제공하고요. 빠른 데이터 전송과 전력 공급, 화면 출력까지 가능한 썬더볼트 5 포트 2개에 HDMI와 유선 랜 같은 기존 포트들도 넉넉하게 갖춰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또 금속 재질의 바디로 견고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해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미니포럼의 라이젠 9955HX 탑재 메인보드
도시바, NAS용 24TB 하드디스크 출시
주간뉴스 4/20 - 5060 Ti, 인텔 LGA 1954, 알테라 매각, AMD N2 도입, NVIDIA 입장 발표, 시놀로지 하드 강...
나무와 유리, 넓은 공간.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PRO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시승기] '풀하드웨어' 최첨단 장비 가득, 5세대 부분변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오토헤럴드
모두의 예상을 깨버린 갤럭시S25U/아이폰16프맥/샤오미15U 카메라 블라인드 테스트! (여러분도 맞혀보세요ㅋㅋ)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가격은 5만원인데... 재미는 8만원이네?? 2025년 두 번째 머스트 해브 게임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리뷰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2025년 최신 조합 게이밍 노트북.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기글하드웨어
합리적인 PC 케이스 선택의 첫걸음, 아이구주 VENTI 시리즈. (1) 쿨엔조이
SPM JOYAKDOL75 파우더 핑크 : 상남자가 쓰는 키보드는 이런 컬러군요. (6) 쿨엔조이
[리뷰] “아는 맛이 무섭다”, 던드리드 개발사 신작 ‘세피리아’ 게임동아
[써보니]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우드리안 프로 케이스 위클리포스트
[써보니] 와이파이7 대응 아이피타임 BE6500UA 무선랜카드 위클리포스트
고급스럽게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하는 법! 아야네오 포켓 미크로 클래식!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인스타 360 X5 초보자도 쓸 수 있는 간편한 입문용 360 액션캠 insta360 X5 탄생 (1)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시승기] 기아 EV4, 순수전기 세단의 교과서 '실제 주행에서 놀라운 전비 결과' 오토헤럴드
전문가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성능 노트북, MSI 벤처 A16 AI+ A3HMG-R7 2K OLED 노트포럼
한 눈에 들어오는 고주사율 홈 게이밍 모니터, 제이씨현 UDEA EDGE ED2420GT 유케어 IPS 홈게임 180 케이벤치
N년차 고인물이 알려주는 유튜브 뮤직 꿀팁 3가지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청소기 고르기 고민 끝! 쿠쿠 무선청소기 5종, 용도별로 골라봄! (1) 동영상 있음 노써치
AI부터 게임까지 다재다능 노트북, MSI 스텔스 14 AI Studio A1VFG-U7 퓨어 화이트 (1) 보드나라
시원한 통풍구가 인상적인 Wi-Fi 6 유무선 공유기, ipTIME AX3000Q (1) 보드나라
중국폰 170만원에 사면 정상인가요?;; 샤오미 15 울트라 리뷰 (광고X) (2) 동영상 있음 THE EDIT
컴이지 킹덤 박스 미니 : 1만 원대 사무용 PC 케이스 출시! (6) 쿨엔조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