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맥북과 견주어도 모자랄 것이 없는 노트북을 꼽으라면 단연코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노트북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는 태블릿 형태의 서피스프로를 시작으로 랩탑 스튜디오 시리즈, 랩탑 시리즈, 랩탑고 시리즈 등 노트북을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프 사이클에 맞추어서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앞서 설명을 했듯이 애플의 맥북과 비슷한 주문형으로 주문, 구입도 가능하지만 각기 시리즈 등을 일정 정도의 스펙으로 만들어진 완제품으로 판매가 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아무래도 전체적인 설계 및 디자인 등을 한 덕분에 마감 품질 그리고 하드웨어적인 조화가 잘 매칭 되어 있다. 특히나 모든 제품군들이 기본적으로 윈도우10 프로 혹은 윈도우11 프로를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체제 구입 등에 대한 부담감은 없으며 드라이버 등도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를 통해 모든 드라이버가 하나로 패키징 된 단일 파일을 제공하기 때문에 윈도우 재설치도 역시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서피스 제품군들은 프로세서는 인텔과 AMD 로 구분이 되며 시스템 메모리는 온보드 되어 있는 형태로 기본 8GB 에서 최대 32GB 까지 확장이 가능하며 SSD의 경우는 128GB 에서 최대 2TB 까지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의 경우는 DDR5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외부에서 모듈로 제공되는 형태가 아닌 노트북 보드에 온보드 되어 있는 형태로 주문시 선택하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메모리 확장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저장하는 SSD는 온보드 형태가 아닌 PCIe 레인으로 연결되는 M.2 2230 규격으로
■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 상세 스펙 : M.2 (2230) / PCIe4.0x4 (64GT/s) / QLC / DRAM 미탑재 / 컨트롤러: 기타 / [성능] 순차읽기: 5,000MB/s / 순차쓰기: 3,200MB/s / 읽기IOPS: 480K / 쓰기IOPS: 750K / [지원기능] TRIM / S.M.A.R.T / 전용 S/W / [환경특성] MTBF: 180만시간 / TBW: 450TB / 스팀덱, Ally 호환 / A/S기간: 5년 , 데이터 복구 3년 , 제한보증 / 방열판 미포함 / 두께: 2.23mm / 3g / [기타] 용량별 메모리타입 확인 필요 (2TB QLC, 1TB TLC)
▲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는 SSD가 물리적으로 고장을 일으켰을 때 내부의 데이터까지 한번 복구해주는 레스큐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일반적인 SSD가 3년 정도의 사후 지원 서비스 기간을 갖는 것에 비해 이 제품은 5년의 긴 사후 보증 기간을 갖는다.
▲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의 크기는 M.2 2230, 즉 30mm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얇은 규격의 노트북 및 UMPC 등 기타 다른 제품들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단면으로 만들어졌다. 상단에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컨트롤러 등이 조밀하게 위치하고 있었다.
■ 간단한 서피스 랩탑고2 의 분해 방법
▲ 1.2Kg 의 상당히 작은 크기와 무게를 갖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랩탑 Go2, Go3 는 동일한 외형을 갖고 있는데 노트북의 바닥면에 있는 고무 받침을 제거하고 총 7개의 나사를 풀게 되면 어렵지 않게 분해가 가능하다.
▲ 노트북에 적용되어 있는 2개의 고무받침은 동일한 외형과 길이를 갖고 있지만 별도의 홀을 통해 2개가 잘못 장착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고무 받침의 경우는 간단하게 양면 테이프로 붙어 있는데 나사를 돌리기 위해서 나사의 홀 부분 양면 테이프는 다시 재활용 해야 하기 때문에 칼로 동그랗게 도려낸 후 나사를 제거해 준다.
▲ 마이크로소프트 랩탑고2 의 오른쪽 모서리 부분에 플라스틱 소재의 헤자를 넣어서 벌려준 후 그 틈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쉽게 상판 (키보드)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 서피스 랩탑고3 의 분리할 때 주의할 점은 바로 노트북의 나사를 제거 후 하판 부분을 뜯어내는 방식이 아닌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본체 기판와 키보드 부분의 상판은 필름 소재로 만들어진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심하게 키보드를 위로 들어내면 된다.
▲ 서피스 랩탑고3 의 SSD 발열을 돕기 위한 커버를 들어내게 되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SSD를 볼 수 있으며 SK하이닉스의 256GB Gen3 제품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동일한 M.2 2230 규격을 가진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가 정확하게 들어간다.
■ 기본 하이닉스 256GB 모델과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의 성능
오늘 기사의 주인공인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의 성능과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SK 하이닉스의 SSD를 성능을 비교해 보기 위해 몇가지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해봤다. 운영체제의 설치는 클린하게 드라이버 및 윈도우11 프로 의 최신 업데이트가 적용되어 있는 형태에서 진행되었다.
▲ 서피스 랩탑고2 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SSD의 성능
▲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의 성능
우선 간단한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크리스털디스크마크로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을 비교해봤다. 기본적으로 탑재가 된 SK하이닉스의 제품은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이 약 1,900MB/s, 676MB/s 로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20N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이 약 3,400MB/s, 3,000MB/s 정도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수치상으로 봤을 때 연속 읽기 성능은 약 80% 정도 연속 쓰기 성능은 400% 정도 성능 차이를 보였다. 수치상으로 이렇게 큰 차이를 낸 이유는 동일한 Gen3 x4 로 연결이 되지만 NVMe Express 버전 차이가 1.3과 1.4로 이로 인한 전송 프로토콜의 차이로 보인다.
자, 그렇다면 실제 사용한다면 체감속도 차이를 느낄 수 있을까?
▲ 기본 SK 하이닉스 256GB의 크로스마크 스코어
▲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크로스마크 스코어
앞서 봤던 연속 읽기, 쓰기 성능이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으며 실제 어플리케이션 환경 사용환경에서 성능차이를 보여주었다. 오피스 관련된 테스트 환경에서 특히나 컨텐츠 크리에이션 환경에서는 10% 정도의 늘어난 성능을 수치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노트북에 256GB는 너무 작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20N 으로 업그레이드를 하자.
데스크탑 그리고 노트북의 SSD용량은 이제 최소한 1TB 정도의 용량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아무래도 윈도우11 의 클린 설치 후 용량이 30 ~40G 정도의 용량을 차지하는데다가 오피스 계열 그리고 몇몇 소프트웨어 등을 설치하게 되면 거진 100GB 정도를 육박하게 된다. 그래서 노트북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생산을 위해 특히나 동영상 등을 백업하기 위해 사용한다면 256GB 용량은 정말이지 엄청 작은 용량이다. 그다마 다행인 부분은 서피스 계열들이 별도의 외부 GPU 를 탑재한 모델 보다는 프로세서 내부의 GPU 를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게임을 설치하는 것을 제외한다고 해도 256GB 는 너무 나도 작은 용량이다.
그래서 가능하면 기존의 SSD를 제거하고 SSD 정도는 확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한번 구입해서 2~3년 정도 사용해야 하는 긴 노트북 사용시간 등을 고려한다면 고용량의 SSD를 구입하여 교체하는 것은 상당히 가성비 높은 투자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노트북의 분해 및 교체 작업 더불어서 운영체제 설치 등도 간편하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어렵지 않게 도전해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랩탑고2 및 60만원 선에서 리퍼 모델을 구입할 수 있으며 신형인 랩탑고3 새 제품의 경우는 100 ~ 120만원대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실제 오늘 기사를 통해 테스트가 된 제품은 서피스 랩탑고2 에서 진행이 되었는데 동일한 제품을 구입하게 된다면 위 테스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성능 및 체감 속도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는 2TB의 용량을 가진 제품으로 동일한 라인업으로 1TB 용량을 가진 제품도 구입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