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압도적인 화질과 눈부신 화면, 그리고 강력한 성능. MSI 스텔스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IN11

2025.05.14. 16:45:27
조회 수
5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8912.JPG

 

최신 고성능 노트북이 시장에 쏟아지고 있습니다. CPU는 코어 울트라 200 시리즈 중에서도 고성능을 맡은 200HX 시리즈가 나오고 있고요. GPU는 멀티 프레임 생성으로 무장한 지포스 RTX 50 시리즈가 이제 막 시장에 풀리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히 CPU와 GPU를 모두 최신으로 업그레이드한 기종이 나오기 마련인데요. 코어 울트라 200HX와 지포스 RTX 50 시리즈 모두 높은 성능을 특징으로 내세운 제품들이고, 그 중에서도 상위 모델부터 먼저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보니, 이 둘을 모두 탑재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의 가격은 대체로 높은 편입니다. 여기에 요새 하이엔드 그래픽의 가격은 예전에 비해 정말 많이 올랐죠. 

 

하지만 MSI가 리뷰를 위해 보낸 최신형 게이밍 노트북이 3,4백만 원도 아니고, 6백만 원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는 솔직히 말해서 '이게 맞나?'라는 생각을 피할 수가 없었습니다. 요새 불경기라더니만 나만 빼고 다들 돈이 많아서 MSI가 이런 노트북도 팔고 그러는건가 싶었는데요. 리뷰를 끝낸 지금도 여전히 쉽지 않은 가격이란 생각엔 변함이 없지만, 최소한 왜 이 가격에 나오는지는 납득이 되더라고요. CPU는 코어 울트라 9 275HX, 그래픽은 지포스 RTX 5080 랩탑. 둘 다 최고급 모델에 버금가는 하이엔드 부품이지요. 여기에 고성능 시스템을 위한 베이퍼 챔버 쿨러를 장착하고 대용량 메모리와 스토리지를 더했고요. 2개의 썬더볼트 4 포트를 비롯한 뛰어난 확장성과 2.4cm 안에 꽉꽉 눌러담은 얇은 두께를 자랑하거든요. 결정적으로 18인치 크기에 UHD+ 해상도와 120Hz 주사율, 그리고 1000니트의 압도적인 밝기를 지닌 미니 LED 디스플레이를 더했습니다. 

 

DSC08910.JPG

 

 

제품명  MSI 스텔스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IN11
CPU 인텔 코어 울트라 9 275HX(애로우레이크, 8P+16E 코어 24스레드, P코어 2.7~5.4GHz, E 코어 2.1~4.6GHz, 40MB 캐시, 기본 55W, NPU 제공) 
메모리 DDR5 64GB(32GB 2개 장착, 최대 96GB 인식 가능)   
그래픽 NVIDIA 지포스 RTX 5080 랩탑 GPU(블랙웰, 7680코어, 클럭 1500~2287MHz, 256비트 16GB GDDR7, 기본 150W, 최대 205W, 1334 AI TOPS)
스토리지 2TB NVMe M.2 SSD(1슬롯) 
디스플레이 18인치(45.72cm), UHD+(3840x2400), 120Hz, 미니 LED, IPS 타입 패널, 16:10 비율, 안티 글레어, DCI-P3 100% 색영역, 1000니트 밝기 
웹캠 FHD 카메라, 1080p 30fps, HDR, IR 적외선 얼굴 인식, 윈도우 헬로 지원, 프라이버시 셔터
입력 장치 스틸시리즈 Per-Key RGB LED 게이밍 키보드, 코파일럿 키, 반투명 WASD, 방향키 강조, 한글 각인, 숫자 패드 
네트워크 유선 기가비트 랜
인텔 킬러 Wi-Fi BE1750+블루투스 5.4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 4x 2W 우퍼(다인오디오, 스피커 메쉬, DTS &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추가 기능 미드나이트 블랙, 블루 펄, 컬러 RGB 로고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HDMI/USB-C 화면 동시 출력, 최대 3개의 외장 디스플레이 연결
베이퍼 챔버 쿨러, 인트라플로우 팬  
MUX 스위치
메탈 상판 
지문 센서 
MSI 센터, MSI AI 엔진 
I/O 포트 썬더볼트4 x2(USB-C, PD 3.1 충전, DP Alt 모드 디스플레이 출력)
USB 3.2 Gen2 타입 A x2
SD 카드 리더 x1
HDMI 2.1 x1(8K@60Hz, 4K@120Hz)
RJ45 기가비트 랜 x1
3.5mm 오디오 콤보 잭 x1
켄싱턴 락
배터리 4셀, 99.9WHr
전원 280W AC 어댑터, PD 충전
크기 399.99x289.67x19.9~23.99mm
무게 2.89kg
운영체제 윈도우 11 프로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79556942
가격 5,900,000원(2025년 5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구성품: 스텔스 시리즈 전통의 가방과 마우스

 

DSC08703.JPG

 

이 비싼 물건에 딸랑 노트북만 넣어줄 정도로 MSI가 인심이 박한 회사는 아닙니다. 큰 박스를 열면 노트북 박스와 함께 진공 포장된 MSI 스텔스 에이전트 백팩이 나옵니다. 가방 전면 상단과 가방 끈 아래에 가죽 재질을 붙여 고급형 노트북에 어울리는 위용을 갖췄고요. 18인치 크기의 대형 노트북까지 들어가는 노트북 수납 전용 포켓과, 다양한 액세서리와 다른 물건들을 함께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마우스는 MSI 게이밍 마우스 프로입니다. DPI 조절 버튼과 뒤로/앞으로 버튼까지 갖춘 7버튼 구성이고요. 마우스 쉘에 육각형 구멍을 뚫어 무게를 줄이고, 바닥에는 RGB LED를 켜거나 끄는 버튼이 있습니다. 전원 어댑터는 델타의 280W 제품을 사용합니다. 썬더볼트 4 포트로 최대 140W의 USB PD 전원 공급이 가능하지만, 그건 CPU 작업까지만 커버할 수 있고요. 지포스 RTX 5080 랩탑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전용 어댑터 연결이 꼭 필요합니다. 

 

자세히 보기

DSC08681.JPG

 

노트북 외부 박스

 

 

DSC01028.JPG

 

박스가 두꺼운 이유는 백팩을 주기 때문입니다. 

 

DSC01032.JPG

 

MSI 스텔스 에이전트 백팩입니다.

 

DSC01039.JPG

18인치 노트북을 수납할 수 있는 큰 백팩입니다. 

 

DSC01033.JPG

 

MSI 게이밍 엠블럼.

 

DSC01034.JPG

 

MSI 로고가 있는 지퍼 손잡이.

 

DSC01035.JPG

 

통기성을 살린 뒷면.

 

DSC01036.JPG

 

여기에도 MSI 로고.

 

DSC01038.JPG

 

가방 안쪽에도 MSI 로고.

 

DSC01045.JPG

 

18인치 노트북이 넉넉하게 들어갑니다. 

 

DSC08682.JPG

 

노트북 내부 박스

 

DSC08683.JPG

 

박스 내부 구조

 

DSC08684.JPG

 

노트북 아래에는 어댑터와 마우스가 있습니다.

 

DSC08685.JPG

 

충전 어댑터, 마우스, 설명서

 

DSC08686.JPG

 

 

전용 전원 공급 어댑터

 

DSC08688.JPG

 

제조사는 델타, 용량은 280W이고요. 

 

 

DSC08689.JPG

 

대용량 어댑터답게 데스크탑 파워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DSC08690.JPG

 

 

케이블과 어댑터의 무게는 800g이 조금 넘습니다. 

 

DSC08691.JPG

 

노트북 내/외부를 보호하는 포장

 

외관: 2.4cm 두께에 MSI 로고가 빛나는 18인치 노트북

 

DSC08906.JPG

 

MSI 스텔스 시리즈 노트북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언제나 노력해 왔습니다. 고성능과 얇은 두께가 바로 그것이죠. 성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이야기하겠지만 확실하게 잡았고, 얇은 두께는 19.9~23.99mm의 스펙이 보장해 줍니다. 무게는 다소 묵직한 2.89kg지만 여기에 들어간 고성능 부품의 목록을 감안하면 괜찮은 편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개의 썬더볼트 4 포트와 2개의 USB 타입 A 포트, 이더넷과 HDMI와 SD 카드 리더기까지 넣으려면 저 두께를 만들기도 쉽지 않았을 테고요. 전체적인 디자인은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 그 자체입니다. 노트북 상판의 MSI 로고는 RGB LED가 빛나고, 스틸시리즈 게이밍 키보드는 키마다 독립된 RGB LED가 움직이며, 팜레스트 양 옆에는 반짝이는 다인오디오 스피커 그릴이 있습니다. 바닥의 통풍구마저도 뭔가 '게이밍스러운' 사선 디자인을 넣었지요. 겉으로 명백하게 드러나는 보안 기능도 있습니다. 18인치 크기의 대형 화면 위에는 IR FHD 웹캠을 넣어 윈도우 헬로의 얼굴 인식 기능을 제공하며, 프라이버시 셔터를 쓰면 웹캠을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가려주기도 합니다. 얼굴 인식 대신 대형 터치패드 옆에 달린 지문 센서를 써서 빠르고 간단하게 로그인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8702.JPG

 

노트북 상판입니다.

 

DSC08704.JPG

 

딱 봐도 불이 켜질 것처럼 생긴 MSI 게이밍 엠블럼이 있고요.

 

DSC08875.JPG

 

스틸시리즈 앱에서 여기의 RGB LED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SC08878.JPG

 

깔끔한 디자인이지만 그 존재감은 확실하지요.

 

DSC08706.JPG

 

크기는 399.99x289.67mm

 

DSC08705.JPG

 

두께는 19.9~23.99mm

 

DSC08695.JPG

 

무게 2.89kg

 

DSC08697.JPG

 

 

오른쪽에는 썬더볼트4 x2(USB-C, PD 3.1 충전, DP Alt 모드 디스플레이 출력), SD 카드 리더

왼쪽에는 켕싱턴 락, USB 3.2 Gen2 타입 A x2, 3.5mm 오디오 콤보 잭 x1

 

DSC08700.JPG

 

뒷면에는 전원 포트, HDMI 2.1 x1(8K@60Hz, 4K@120Hz), RJ45 기가비트 랜 x1이 있습니다. 

DSC08714.JPG

 

 

힌지 최대 개방 각도. 180도까지는 아니지만 활용에는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넓게 열립니다.

 

DSC08709.JPG

 

노트북 내부입니다.

 

DSC08711.JPG

 

18인치 크기의 화면.

 

DSC08712.JPG

 

상단에는 풀HD 30fps의 웹캠이 있으며, 프라이버시 셔터로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가릴 수 있습니다. 또 FHD IR 카메라가 있어 윈도우 헬로 얼굴 인식 기능을 지원합니다.

 

DSC08717.JPG

 

이제 아래쪽을 봅시다. 

 

DSC08715.JPG

 

하단 중앙 MSI 로고

 

DSC08716.JPG

 

힌지

 

 

DSC08718.JPG

 

풀사이즈 키보드입니다. WASD 키에는 반투명 키캡을 달아 차별화했습니다.

 

DSC08720.JPG

 

화살표 키와 전원 버튼에도 포인트 키캡을 달았습니다. 

 

DSC08719.JPG

 

한/영 키와 한자키를 하나로 합치고, 한자 키가 있던 자리에 코파일럿 키를 추가했습니다.

 

keyboard.gif

 

키마다 독립된 RGB LED 제어가 가능합니다. 

 

DSC08721.JPG

 

대형 터치패드. 오른쪽 위에는 지문 센서가 있습니다. 

 

DSC08722.JPG

 

스텔스 18 HX AI A2XW 시리즈의 주요 특징

 

DSC08723.JPG

 

노트북 양 옆의 다인오디오 스피커 그릴.

 

DSC08724.JPG

 

바닥에는 인증 스티커와 시리얼 번호, 통풍구가 있습니다. 

 

DSC08725.JPG

 

디자인에 신경을 쓴 통풍구 배치  

 

 

내부: 베이퍼 챔버 쿨러와 2개의 SO-DIMM 슬롯 

 

DSC08727.JPG

 

스펙표에서 코어 울트라 9 275HX와 지포스 RTX 5080 랩탑 그래픽이 들어갔다는 대목을 보고, 이걸 감당하려면 보통 쿨러가지고는 힘들 거란 생각부터 먼저 들었습니다. 다행이도 MSI는 이 노트북에 보통 쿨러를 넣지 않았습니다. CPU와 GPU 위의 넓게 덮은 쿨러는 다름아닌 베이퍼 챔버거든요. 베이퍼 챔버 양 옆에 2개의 쿨링팬을 달아 바닥에서 차가운 공기를 흡입, 노트북 양 옆과 뒤쪽의 4개 통풍구를 통해 열을 배출합니다. 쿨링팬 옆에는 내부의 공기 흐름을 더해주는 인트라플로우 팬 디자인을 도입했지요. 확장성의 경우 M.2 슬롯은 하나 뿐이지만, DDR5 SO-DIMM 슬롯이 2개가 있어 메모리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기판 아래엔 99.9Wh의 대용량 배터리를 넣고, 양 옆에 2개의 2W 스피커, 주변에 4개의 2W 우퍼를 탑재해 음질을 강화했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8726.JPG

 

노트북 하판 내부.

 

DSC08728.JPG

 

노트북 내부.

 

DSC08729.JPG

 

좌측 쿨링팬

 

DSC08730.JPG

 

우측 쿨링팬

 

DSC08731.JPG

 

베이퍼 챔버로 덮은 CPU와 GPU. 베이퍼챔버에 연결된 히트파이프가 양 옆에 있습니다.  

 

DSC08741.JPG

 

낮은 각도에서 보니 베이퍼챔버가 있네요.  

 

DSC08740.JPG

 

2개의 SO-DIMM 슬롯. 

 

DSC08732.JPG

 

후면 포트 기판

 

DSC08733.JPG

 

SD 슬롯, 무선 랜, 썬더볼트 4 포트 2개와 컨트롤러 2개

 

DSC08735.JPG

 

칩셋에 연결된 방열판과 메인보드 배터리

 

DSC08736.JPG

 

M.2 SSD 1개

 

DSC08737.JPG

 

양 옆에 달린 스피커

 

DSC08739.JPG

 

99.9Wh 용량의 배터리

 

 

CPU: 데스크탑에 필적하는 코어 울트라 9 275HX 

 

DSC08907.JPG

 

코어 울트라 9 275HX는 인텔의 최신 아키텍처인 애로우레이크를 쓴 프로세서입니다. 2개의 P 코어 클럭이 최고 5.4GHz에 도달해 강력한 싱글스레드 성능을 제공하며, 8개의 P 코어와 16개의 E 코어를 더해서 24개에 달하는 스레드는 멀티스레드에서도 어지간한 데스크탑 CPU 못지 않는 실력을 발휘합니다. 그래서 어디서든 높은 CPU 성능이 필요한 작업을 쾌적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인텔 모바일 프로세서 중에서 이보다 성능이 더 높은 모델은 코어 울트라 9 285HX 뿐인데, 최고 클럭이 100MHz 높을 뿐이지 중요한 코어/스레드 구성은 275HX와 같습니다. 그러니 현 세대 인텔 모바일 프로세서 중에서 최상급의 성능을 낸다고 해도 되겠습니다. 그리고 인텔의 최신 프로세서답게 NPU를 탑재해 AI 워크로드를 로컬에서 처리해 냅니다. 로컬 처리는 나만의 AI 모델을 훈련시키고 데이터를 모으거나, 개인 정보를 최대한 지키면서 AI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5-05 15-00-22-159.png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한 코어 울트라 9 275HX

 

Cap 2025-05-02 12-35-19-540.png

 

CPU-Z에서 확인한 코어 울트라 9 275HX

 

Cap 2025-05-02 12-35-21-073.png

 

CPU-Z에서 확인한 칩셋

 

Cap 2025-05-02 12-35-22-490.png

 

DDR5-5600 64GB 듀얼 채널 구성

 

Cap 2025-05-05 15-06-08-724.jpg

 

캐시/메모리 벤치마크

 

Cap 2025-05-11 21-15-52-270.png

 

CPU-Z 벤치마크

 

Cap 2025-05-11 21-18-36-050.png

 

y-cruncher 5억 자리 파이 연산

 

Cap 2025-05-11 21-18-46-884.png

 

시네벤치 2024

 

Cap 2025-05-11 21-18-55-333.png

 

시네벤치 R23

 

Cap 2025-05-11 21-19-09-683.png

 

핸드브레이크 영상 인코딩(치메이 4K 데모 영상 사용)

 

Cap 2025-05-11 21-19-38-317.png

 

X.264 1080p 인코딩

 

Cap 2025-05-11 21-19-24-300.png

 

코로나 벤치마크

 

Cap 2025-05-11 21-18-19-501.png

 

7Zip 벤치마크

 

Cap 2025-05-11 21-17-35-734.png

 

Vray 6

 

Cap 2025-05-11 21-17-43-601.png

 

Vray 5

 

Cap 2025-05-11 21-18-07-717.png

 

블렌더 CPU

 

Cap 2025-05-11 21-17-57-600.png

 

블렌더 GPU

 

 

Cap 2025-05-11 21-12-02-306.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Cap 2025-05-11 21-05-20-677.png

 

PC마크 10 

 

Cap 2025-05-02 14-36-40-524.png

 

NPU에서 AI 연산을 처리합니다.

 

Cap 2025-05-06 13-09-50-119.png

 

코파일럿을 비롯한 AI 채팅 활용

 

Cap 2025-05-11 21-08-47-808.png

 

긱벤치 AI 테스트

 

Cap 2025-05-11 21-08-05-875.png

 

긱벤치 AI OpenVINO

 

 

GPU: 멀티 프레임 생성 지원, 지포스 RTX 5080 랩탑

 

DSC08707.JPG

 

NVIDIA는 노트북 버전 그래픽의 스펙을 데스크탑 버전보다 다소 낮춰서 출시하지만, 그래도 80은 80이란 이름 값을 합니다. 지포스 RTX 5080 랩탑은 7680개의 코어를 지녔으며 여기에 하위 모델과 차별화되는 256비트 버스의 GDDR7 16GB 메모리를 탑재해, 기본 성능이 뛰어날 뿐더라 레이 트레이싱이나 고해상도 같은 까다로운 조건에서 더욱 여유로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NVIDIA의 최신 아키텍처인 블랙웰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DLSS 4일 것입니다. 기존의 프레임 생성 기능을 뛰어넘는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을 도입해, 체감 프레임을 3배, 4배로 늘려줍니다. 이전까지 게이밍 노트북은 아무리 고해상도/고주사율 디스플레이를 써도, 모바일 그래픽의 부족한 성능 때문에 화면의 스펙을 완벽하게 발휘하기가 어려웠는데요.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을 지원하면서 이제야 UHD+ 해상도에 120Hz 주사율을 갖춘 최고급 게이밍 디스플레이를 제대로 쓸 수 있게 된 듯 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5-06 13-04-56-252.png

 

내장 그래픽의 GPU-Z 정보

 

Cap 2025-05-05 14-58-47-969.jpg

 

4K 영상 재생 시 GPU 점유율

 

Cap 2025-05-05 14-59-45-662.jpg

 

8K 영상 재생 시 GPU 점유율

 

Cap 2025-05-06 13-05-02-781.png

 

지포스 RTX 5080 랩탑의 GPU-Z 정보

 

Cap 2025-05-11 21-04-23-262.png

 

3D마크 테스트

 

Cap 2025-05-11 21-04-43-310.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테스트

 

Cap 2025-05-11 20-55-43-668.png

 

3D 게임: 1920x1200

 

Cap 2025-05-11 20-56-04-465.png

 

3D 게임: 2560x1600

 

Cap 2025-05-11 20-57-18-198.png

 

3D 게임: 3840x2400

 

Cap 2025-05-11 20-57-59-500.png

 

3D 게임: 1920x1200, DLSS 균형

 

Cap 2025-05-11 20-59-07-465.png

 

3D 게임: 2560x1600, DLSS 균형

 

Cap 2025-05-11 20-59-40-882.png

 

3D 게임: 3840x2400, DLSS 균형

 

Cap 2025-05-11 21-01-03-931.png

 

3D 게임: 1920x1200, DLSS 균형, 프레임 생성

 

Cap 2025-05-11 21-01-27-965.png

 

3D 게임: 2560x1600, DLSS 균형, 프레임 생성

 

Cap 2025-05-11 21-02-32-164.png

 

3D 게임: 3840x2400, DLSS 균형, 프레임 생성

 

Cap 2025-05-11 21-13-17-505.png

 

멀티 프레임 생성: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5-11 21-13-30-688.png

 

멀티 프레임 생성: 호그와트 레거시(RT)

 

Cap 2025-05-11 21-13-50-472.png

 

멀티 프레임 생성: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5-11 21-14-05-322.png

 

 

멀티 프레임 생성: 사이버펑크 2077(RT)

 

Cap 2025-05-11 21-14-53-641.png

 

멀티 프레임 생성: 마블 라이벌즈

 

 

화면: 큰 크기, 넓은 해상도, 부드러운 주사율, 높은 밝기

 

DSC08909.JPG

 

이 노트북에서 CPU와 GPU만큼이나 강력한 스펙을 자랑하는 부분이 있으니, 바로 화면입니다. 어느 한 부분이 뛰어나면 그 대신 다른 부분은 타협을 할 법도 한데, MSI 스텔스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IN11의 디스플레이엔 그런 게 없습니다. 굳이 꼽자면 좋은 만큼 비싸다는 게 단점이겠군요. 화면 크기가 18인치로 노트북 중에서는 가장 크다고 해도 무방하고요. 해상도는 16:10 비율에 3840x2400입니다. 이것도 현재 나온 노트북 중에서 가장 넓은 해상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게임과 영상에서는 뛰어난 화질을, 작업에서는 넓은 공간을 제공해 작업 효율을 높여줍니다. 주사율은 일반 모니터의 두 배에 달하는 120Hz입니다. 그만큼 부드러운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지요. 여기까지만 해도 충분히 고급 디스플레이라 할 수 있으나, 정말 중요한 스펙이 남아 있습니다. 최고 1000nits의 밝기를 자랑하는 미니 LED 백라이트입니다. 주변의 다른 250cd/m2 짜리 모니터를 어두침침하게 만들어버리는 압도적인 밝기와 더불어, 1008 구역의 로컬 디밍으로 2,000,000:1의 명암비로 어둡고 밝은 부분의 차이를 확실하게 보여줍니다. 또 DCI-P3 100%의 색 영역을 준수해 정확한 색을 보여준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5-05 15-41-31-370.png

 

3840x2400 120Hz의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며, USB-C(DP Alt 모드)와 HDMI 포트로 4K 60Hz 이상의 고해상도 출력을 지원합니다.

 

 

120Hz 게임 테스트, 120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테스트 영상.

 

DSC08918.JPG

 

3840x2400의 넓은 해상도

 

P3090939.JPG

 

RGB LED 픽셀 구성

 

DSC08921.JPG

 

가독성 테스트

 

DSC08914.JPG

 

좌우 시야각

 

DSC08917.JPG

 

상하 시야각

 

DSC08919.JPG

 

명암 표현

 

DSC08920.JPG

 

색상 표현

 

DSC08922.JPG

 

사진 표시

 

DSC08923.JPG

 

영상 재생

 

Cap 2025-05-07 03-54-52-932.jpg

 

sRGB 100%, DCI-P3 100%의 색영역 

 

Cap 2025-05-07 03-49-16-277.png

 

감마는 표준에 가까운 2.1

 

Cap 2025-05-07 03-49-23-345.pn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최대 밝기는 678.6입니다. 대비도 역시 미니LED 디스플레이답게 높습니다.

 

 

Cap 2025-05-07 03-57-48-748.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5-07 03-57-52-758.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5-07 03-57-58-266.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5-07 03-58-04-974.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5-07 03-49-42-102.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2.06으로 준수한 편.

 

 

스토리지 / 배터리 / 전력 / 온도 / 소음 / 소프트웨어

 

DSC08908.JPG

 

빵빵한 CPU와 GPU에 어울리는 고성능 스토리지를 갖췄습니다. 순차 읽기 6722MB/s, 쓰기 5041MB/s의 성능을 뽐낼 뿐만 아니라, 더티 테스트에서 캐시 영역을 소진해도 잠깐 700MB/s 대에 내려갈 뿐, 바로 2000MB/s 수준으로 회복하기에 항상 높은 성능을 누릴 수 있습니다. 또 2개의 썬더볼트 4 포트에서는 최고 2000MB/s의 순차 성능을 내는 스토리지를 지원합니다. 

 

고성능 부품과 1000니트의 눈부신 고해상도 고주사율 디스플레이 때문에, 배터리 유지력은 아주 높은 편은 아닙니다. 다만 화면 밝기를 타협한다면 4시간 가량 평범한 작업 정도는 가능하고요. USB PD 충전을 지원하기에 충전이 편리합니다. 전력 사용량은 CPU만 최대한 사용할 경우 200W가 되지 않으나, 3D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290W까지도 올라갑니다. 노트북이라는 폼펙터에서는 높은 편이지만, 여기에 탑재된 부품과 그 성능을 감안하면 특별히 많이 쓴다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 온도와 소음은 모두 무난한 편입니다. 베이퍼 챔버 쿨러 덕분에 최고 온도는 90도가 되지 않으며, 그러면서도 최고 소음은 50dB 수준입니다. 

 

기본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가장 중요한 건 MSI 센터입니다. 여기에선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성능을 설정하며, 사용에 편리함을 더해주는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거든요. 모듈형 구조의 프로그램이라 필요한 모듈만 골라 설치하면 되니, 시스템을 가볍게 유지하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그 외에 네트워크나 사운드 설정의 경우 브랜드를 내건 킬러와 나히믹 프로그램을 따로 제공하고요. 스틸시리즈 키보드를 내세우는 제품답게, 키보드와 상판의 RGB LED는 스틸시리즈 앱에서 설정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5-05 16-50-18-653.png

 

기본 장착된 SSD의 성능

 

Cap 2025-05-05 17-22-04-316.png

 

기본 장착된 SSD의 더티 테스트

 

Cap 2025-05-05 16-57-15-428.png

 

썬더볼트 4 포트에 연결한 USB 3.2 20Gbps SSD의 성능

 

Cap 2025-05-11 21-11-36-839.png

 

배터리/충전 시간

 

DSC08742.JPG

 

썬더볼트 4 포트를 통해 최대 140W의 USB PD 전원 공급이 가능합니다. 

 

Cap 2025-05-11 21-12-27-139.png

 

전력 사용량

 

Cap 2025-05-11 21-15-38-037.png

 

온도

 

BZUJ1249.JPG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표면 온도

 

Cap 2025-05-11 21-16-53-652.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dB)

 

Cap 2025-05-11 21-16-18-337.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스피커 출력(dB)

 

bios.gif

 

바이오스 설정

 

device1.gif

 

지문 인식 센서, IR 카메라, 웹캠, 스틸시리즈 게이밍 키보드 

 

device2.gif

 

시스템, 바이오스, TPM 2.0, USB4, 카드 리더기

 

device3.gif

 

Wi-Fi 7 무선 랜, 2.5Gbps 유선 랜, 블루투스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테스트

 

center1.gif

 

MSI 센터의 하드웨어 모니터링, 모듈 설치, AI 엔진 최적화, 일반 설정, 유저 시나리오 성능 설정

 

center2.gif

 

미스틱 라이트, 하드웨어 진단, AI 노이즈 캔슬, 트루 컬러 표시 설정, MSI 지원, 시스템 진단

 

cnter3.gif

 

서비스, 시스템 복구, 제품 등록, 업데이트, 시스템 정보

 

audio.gif

 

오디오 설정 앱

 

Cap 2025-05-06 13-15-13-196.png

 

나히믹 오디오 설정

 

nahimic.gif

 

나히믹 오디오 음장 효과

 

killer.gif

 

 

킬러 네트워크 설정

 

steelseries.gif

 

스틸시리즈 게이밍 기어 엔진에서 RGB LED를 설정 가능합니다.

 

truecolor.gif

 

트루 컬러 앱의 화면 색상 설정 

 

 

MSI 스텔스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IN11

 

DSC08905.JPG

 

최신 세대의 고성능 CPU와 GPU, 그리고 압도적인 해상도와 밝기를 지닌 미니 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게임이던 작업이던 데스크탑 부럽지 않는 성능을 발휘하며, 베이퍼 챔버 쿨러가 낮은 온도와 높은 성능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UHD+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높은 게임 화질과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120Hz의 부드러운 주사율과 1000니트 밝기가 더해져 차별화된 화면을 보여줍니다. MSI 스텔스 시리즈가 늘 그래왔듯 높은 성능을 얇은 두께 안에 압축해 휴대성을 확보했고요. 99.9Whr의 대용량 배터리와 USB PD 충전 지원으로 고성능 시스템을 외부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썬더볼트 4와 Wi-Fi 7, HDMI와 유선 랜을 비롯해 풍부한 확장 포트를 제공합니다. 가격은 비싸지만 그만큼 높은 성능과 우월한 화면으로 가치를 증명하는 제품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인텔, 조용히 딥링크 기술을 중단
레노버 리전 9i 게이밍 노트북, 듀얼모드 3D 디스플레이
미국 학생들이 틱톡에 올릴 영상을 만들기 위해 크롬북에 불을 지름
스타필드 하남에 초대형 용용이가 떴습니다. MSI 노트북도 함께요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압도적인 화질과 눈부신 화면, 그리고 강력한 성능. MSI 스텔스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IN11 기글하드웨어
당신한테 맥북 프로가 필요없는 이유 (M4 맥북 에어 사용기) 동영상 있음 THE EDIT
RTX 50 게이밍 노트북을 체험할 수 있는 MSI 팝업스토어 오픈 노트포럼
[리뷰] 게임∙창작 모두 손쉬운 만능 노트북, 에이수스 ROG 제피러스 G16(GU605CW) (2) IT동아
대한민국에서 가장 싼 노트북, 직접 써봤습니다! (8) 동영상 있음 도레
와! 이게 노트북이라고? RTX5080을 품은 게이밍노트북 레노버 리전 Pro7i 테스트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날렵하고 가벼운 최고급형 슬림 노트북, 삼성전자 갤럭시북2 프로 SE NT950XFT-A51A 한사랑씨앤씨 (1) 노트포럼
당신의 Life를 바꿔 줄 실용성 끝판왕 노트북 '에이서 아스파이어 라이트 16 AL16-52P' (5) 미디어픽
현존 최상위 비지니스 랩탑은 얼마나 좋을까? HP EliteBook X G1a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압도적인 성능 적수가 없다, ASUS ROG STRIX SCAR 18 G835LX-SA041W (3) 노트포럼
2025년 최신 조합 게이밍 노트북.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2) 기글하드웨어
전문가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성능 노트북, MSI 벤처 A16 AI+ A3HMG-R7 2K OLED (1) 노트포럼
AI부터 게임까지 다재다능 노트북, MSI 스텔스 14 AI Studio A1VFG-U7 퓨어 화이트 (1) 보드나라
갖출건 다 갖췄네? 레노버 ThinkPad E16 등장! (1)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M4 맥북 에어, 불편한 질문 6가지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리뷰] 게이밍 노트북∙태블릿이 하나로, 에이수스 ROG 플로우 Z13(GZ302) (2) IT동아
최신 게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게이밍 노트북, MSI 소드 17 HX B13VGKG-i9 QHD WIN11 (1) 케이벤치
이건 진심 혁신이다! 왜 여태 아무도 안한거래?? | ASUS ROG Strix SCAR 16 전격해부 (2)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인강용으로 이만한 선택이 있을까요? 가성비 넘치는 MSI 모던시리즈 모던 15 B7M-R5 포스 W11[노리다]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인텔 애로우레이크 기반 고성능에 휴대성까지 챙긴 AI 노트북 ‘MSI 모던 15 H AI C2HMG-U7’ (1) 뉴스탭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