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전망 좋은 루프탑.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2025.07.01. 12:59:19
조회 수
65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1398.JPG

 

소신발언 하겠습니다. 요새 어항형 케이스가 참 재미가 없습니다. 싼 어항, 작은 어항, 큰 어항, 심지어는 전면과 측면 유리를 한 장의 곡면 유리로 연결한 비싼 어항까지 그 종류와 변형이 얼마나 많은데 재미가 없다고 하는 것이냐, 그런 쓰잘데기 없는 소리나 하니까 케이스 회사들이 간만 보고 성사가 안 되는 것이다라는 언어 폭력은 잠시 거두어 주시고요. 무슨 어항 케이스가 나와도 결국은 전면에 유리, 측면도 유리, 그 사이에 기둥 없음이라는 기본적인 구조에서 벗어나질 못하니 재미가 없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항형 케이스를 그렇게 만드는 게 당연하지, 거기서 뭘 더해야 하냐는 반문이 나올 수도 있겠는데요. 마이크로닉스는 정말로 그렇게 했습니다. 이제는 식상해진 기존 어항형 케이스의 문법을 벗어난 루프탑이 그것입니다. 

 

루프탑이란 건물의 옥상이나, 옥상에 설치해 둔 무언가를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그러니 케이스 이름에 루프탑을 붙였다면 케이스 상단에 뭔가 특별한 게 있을 거라고 짐작하기 마련인데요.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은 상단에 흔한 철판이 아닌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했습니다. 어항형 케이스답게 케이스 전면과 좌측에도 당연히 강화유리 패널이 들어가고, 거기에 상단 강화유리 패널을 추가하고 각 유리 패널 사이의 기둥을 없애면서 지금까지 나온 어항형 케이스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개방감을 선사합니다. 또 케이스 상단과 하단에 ARGB LED 바를 추가해 화려함을 더했고요.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에 쿨링팬을 장착해 쿨링을 보강할 수 있으며, 우측 공간에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제공해 편리한 장착과 깔끔한 관리까지 가능한 케이스입니다.  

 

DSC01376.JPG

 

제품명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케이스 종류 미들 타워, 3면(전면, 좌측, 상단) 파노라믹 디스플레이(어항형 케이스)
재질

상단: 강화유리 패널  

우측: 듀얼 에어홀 메탈 패널 

전면: 강화유리 패널

좌측: 강화유리 패널 

하단: 마그네틱 먼지 필터

패널 강화유리, 최대 0.8T 강판
전체 크기 451x258x491mm 
무게 9.7kg
드라이브 베이

3.5인치 최대 3개, 2.5인치 최대 5개

확장 슬롯 7개
메인보드 폼펙터 E-ATX/ATX(BTF)/M-ATX(BTF)/미니 ITX
파워 폼펙터 ATX
파워 장착 공간 길이 260mm
확장 카드 공간 길이 420mm
CPU 쿨러 높이 높이 180mm
기본 장착 쿨링팬

후면: 120mm ARGB PWM 팬 x1

(회전 속도 1200rpm, 최대 풍량 42.85CFM, 소음 25.8dB, 풍압 0.85mmH2O, 수명 5만 시간, 팬 속도와 온도 표시 인디케이터인 InFoSync 탑재)

최대 쿨링팬 구성

측면: 140mm x3

CPU 후면: 120mm x1

하단: 120mm x1

파워 커버: 120mm x3

후면: 140mm x1

수냉 라디에이터 측면: 360mm까지
하단: 360mm까지 
추가 기능

90도 회전 확장 카드 슬롯 

상단/하단 ARGB LED 바

스윙 스토리지 패널

모듈식 커버 디자인

LED On/Off 스위치

ARGB LED 허브, 88종 동조 

하단 좌측 포트/버튼/LED 구성

USB 3.2 Gen2 타입 C x1

USB 3.2 Gen1 타입 A x2

파워 버튼 x1

LED 조절 버튼 x1

3.5mm 오디오 x1

전원 LED 

하드디스크 LED

색상 블랙 
참고 링크 https://prod.danawa.com/info/?pcode=92045816
가격 149,000원(2025년 6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압도적인 개방감의 3면 강화유리, 화려함을 더해주는 LED 바

 

DSC01271.JPG

 

케이블이 잔뜩 구겨져 있어서 보여줘봤자 지저분하다는 핀잔이나 들을 우측 패널과 바닥을 제외하고, 전면과 좌측 패널, 그리고 상단 패널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탑재했습니다. 기존의 어항형 케이스만 해도 그 개방감이 일반 케이스와 확연히 다른데, 여기에 케이스 상단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탑재하면서 압도적으로 트인 시야를 제공합니다. 케이스 위가 막혀있지 않으니 책상 위에 둬도 뻥 뚫려있다는 느낌을 주고요. 바닥에 둬도 케이스 안에 뭐가 있는지를 막히 없이 보여줄 수 있습니다. 케이스 윗면을 통해서도 내부를 훤히 들여다 볼 수 있으니 느낌이 다르다는 건 인정, 그렇다면 그걸 어떻게 고정할까 궁금해 하실 분이 계실 수도 있겠는데요. 3장의 유리 패널이 만나는 모서리에 마그네틱 트리플 락을 넣어 튼튼하게 잡아 줍니다. 측면 유리 패널이 분리되는 건 당연하고, 상단 강화유리 패널도 손나사로 고정해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조립하기가 정말 편리합니다. 

 

탁 트인 상단 강화유리 아래로 바로 메인보드가 등장하는 건 아니고, 그 사이에 ARGB LED 바가 탑재됐습니다. 메인보드부터 후면 쿨링팬까지 이어지는 구조로, 상단 패널이 뚫려 있어 다소 허전하다는 느낌을 줄 수도 ??는 윗부분을 빛으로 채워줍니다. 또 위쪽에만 신경 써서 튜닝을 해줬다면 아래쪽이 허전하다는 소리를 들을테니, 케이스 바닥에도 ARGB LED바를 넣었습니다. 하단 ARGB LED 바는 케이스 좌측에서 전면까지 이어지는 마이크로 홀 하단 커버를 둘러서 은은한 불빛을 보여줍니다. USB-C를 포함한 확장 포트와 조작 버튼은 강화유리 패널을 방해하지 않도록 좌측 패널 앞쪽에 자리잡았습니다. 3개의 면을 강화유리로 채운 대신, 우측과 하단, 그리고 바닥의 에어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케이스 안밖으로 드나들도록 고안했습니다.  

 

DSC01266.JPG

 

케이스 박스

 

DSC01267.JPG

 

케이스 상단까지 강화유리를 넣으면서 포장에 좀 더 신경을 썼습니다. 

 

DSC01268.JPG

 

DSC01269.JPG

 

강화유리 패널에 붙인 보호 비닐.

 

DSC01270.JPG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입니다. 

DSC01283.JPG

 

케이스 전면과 좌측 패널에 이어, 상단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했습니다. 

 

 

DSC01272.JPG

 

폭 258mm, 높이 491mm

 

DSC01273.JPG

 

길이 451mm의 미들 타워 케이스입니다. 

 

DSC01277.JPG

케이스 전면

 

DSC01278.JPG

 

아래쪽 파워 공간에는 마이크로 에어 홀이 뚫린 패널을 부착했습니다. 

 

DSC01280.JPG

 

상단 유리 패널까지 이어지는 시야

 

DSC01281.JPG

 

3장의 유리가 만나는 부분은 마그네틱 트리플 락이 있습니다. 

 

DSC01275.JPG

 

케이스 좌측의 강화유리 패널

 

DSC01276.JPG

 

아래에는 리셋 버튼(초기 설정에선 LED 조작), USB-C, USB 3.0 타입 A 2개, 3.5mm 오디오 콤보, 전원 버튼/LED가 있습니다.

 

DSC01282.JPG

 

오른쪽은 평범한 철제 패널이 있습니다. 

 

DSC01285.JPG

 

두 줄의 마이크로 에어홀을 뚫어 공기 흐름을 늘렸습니다. 

 

DSC01286.JPG

 

앞쪽 에어홀은 쿨링팬이나 수냉 쿨러 라디에이터를 위한 공간입니다.

 

DSC01287.JPG

 

뒤쪽은 파워와 CPU 쿨러 뒷면의 추가 쿨링팬을 위한 통풍구입니다.

 

DSC01288.JPG

 

뒷면입니다. 

 

DSC01289.JPG

 

상단에는 120mm 쿨링팬이 기본 탑재됩니다.

 

DSC01290.JPG

 

아래쪽은 7개의 확장 슬롯과 ATX 파워 공간이 있습니다. 확장 슬롯은 케이스 프레임에 직접 달려있는 게 아니라 별도의 커버를 붙인 방식인데요. 이걸 떼어내고 90도 돌려서 장착할 수도 있습니다.

 

DSC01291.JPG

 

케이스 상단의 강화유리 패널입니다. 

 

DSC01292.JPG

 

전면과 측면 강화유리와 막힘 없이 이어지는 시야를 제공합니다.

 

DSC01293.JPG

 

케이스 바닥입니다.

 

DSC01294.JPG

 

자석 고정식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DSC01295.JPG

 

먼지 필터 아래에는 공기 유입을 늘려주는 에어홀이 뚫려 있습니다.

 

DSC01325.JPG

 

상단 강화유리 패널.

 

DSC01327.JPG

 

두께는 3mm. 케이스 위에 올려두는 것이니 두꺼운 유리를 쓰지 않았습니다. 

 

DSC01333.JPG

 

좌측 강화유리 패널

 

DSC01338.JPG

 

두께는 4mm. 케이스 강화유리 패널의 국룰같은 두께죠.

 

DSC01335.JPG

 

테두리에 철판을 붙여 강도를 높였습니다.  

 

DSC01334.JPG

 

마그네틱 고정 장치를 위한 철판. 

 

DSC01336.JPG

 

손나사로 고정합니다.  

 

DSC01328.JPG

 

우측 철제 패널. 

 

DSC01329.JPG

 

고정 핀. 

 

DSC01330.JPG

 

 

테두리를 접어 강도를 보강했습니다.

 

 

90도 돌아가는 슬롯, 편리한 스윙 스토리지 패널

 

DSC01408.JPG

 

어항형 케이스는 우측 패널에 역방향 회전 팬을 달아 흡기를 늘리는 구성이 일반적이나, 이 케이스는 상단에 강화유리 패널이 들어가면서 3열 수냉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공간을 확보해야 하니 우측 패널에 쿨링팬을 넣어 주지 않았습니다. 대신 다른 방법으로 쿨링을 보강했는데요. 메인보드 뒷면의 스토리지 장착 패널에 쿨링팬을 달아 전원부의 온도를 직접 낮춰주고, 바닥에도 쿨링팬을 추가해서 공기 순환을 도와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하단 커버 위에도 3개의 쿨링팬을 달아서 공기 흐름을 늘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추가 쿨링팬을 위해 88가지 모드를 제공하는 6포트 허브와 LED 변경 버튼을 제공합니다. 기본 장착된 쿨링팬은 뒷면의 120mm 팬 한 개 뿐이지만, 이게 보통 쿨링팬이 아닙니다. USB를 통해 연결하거나 제어 소프트웨어를 쓸 필요 없이, 팬 내부에서 직접 회전 속도와 온도를 측정해서 보여주는 InFoSync 인디케이터가 아래에 달려 있거든요. 

 

메인보드는 최대 E-ATX 폼펙터까지 장착 가능하며, 뒷면 선정리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한 덕분에 ATX와 M-ATX는 통칭 BTF 스타일의 후면 커넥터 연결 보드도 지원합니다. 확장 슬롯은 7개입니다. 그런데 이게 보통의 7개는 아니고요. 슬롯 모듈 자체를 90도로 회전해서 수직 방향으로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확장 카드의 길이는 420mm까지, 확장 카드의 폭과 CPU 쿨러 높이는 180mm까지 품을 수 있는 넉넉한 내부 공간을 자랑합니다.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에는 문이 하나 더 달려 있습니다. 3대의 2.5인치나 3.5인치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스윙 스토리지 패널이 그것이지요. 패널을 열어서 드라이브를 관리하고, 패널 자체를 떼어낼 수도 있어 조립과 관리가 편하고요. 0.8mm 두께의 강판을 사용해 튼튼하고 안정적이며, CPU 쿨러 장착 홀 뒷면에 2개의 2.5인치 드라이브나 1대의 3.5인치 드라이브를 추가해 넉넉한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DSC01296.JPG

 

케이스 내부를 봅시다.

 

DSC01306.JPG

 

상단 유리 패널을 분리하면 조립이 한결 편해집니다. 

 

DSC01298.JPG

 

E-ATX부터 미니 ITX까지, BTF 후면 커넥터 연결 방식의 ATX와 M-ATX 메인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1305.JPG

 

후면 커넥터 연결과 선정리에 필요한 구멍과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DSC01299.JPG

 

케이스 상단의 ARGB LED 바.

 

DSC01302.JPG

 

후면 쿨링팬에 부착된 보호 비닐

 

DSC01303.JPG

 

쿨링팬 아래에는 InFoSync 인디케이터가 있어 시스템 온도와 팬 속도를 표시합니다.

 

DSC01304.JPG

 

7개의 확장 슬롯. 

 

DSC01300.JPG

 

통풍구가 뚫린 하단 커버

 

DSC01301.JPG

 

전면 쪽엔 360mm 수냉 라디에이터를 넣기 위한 공간을 확보했고, 이 아래에 120mm 쿨링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DSC01307.JPG

 

메인보드 뒤쪽의 선정리 공간입니다. 스윙 스토리지 패널이 닫혀져 있고요.

 

DSC01309.JPG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열면 이렇습니다. 메인보드 트레이와 파워 장착 공간, ARGB LED 허브가 보입니다. 

 

DSC01311.JPG

 

조립할 때는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분리해두는 게 편합니다.

 

DSC01312.JPG

 

CPU 쿨러 장착 홀 뒷면에는 스토리지 장착 패널이 있습니다.

 

DSC01320.JPG

 

손나사를 사용해 고정합니다.

 

DSC01355.JPG

 

여기에 3.5인치 드라이브 1개를 장착하거나

 

DSC01356.JPG

 

2.5인치 드라이브 2개를 장착하거나

 

DSC01413.JPG

 

120mm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1414.JPG

 

여기에 쿨링팬을 장착하면 메인보드 전원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줍니다. 

 

DSC01317.JPG

 

스토리지 패널을 떼어내면 BTF 메인보드에 맞춰서 넉넉하게 구멍을 뚫어둔 메인보드 트레이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DSC01316.JPG

 

6포트 ARGB LED 허브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SATA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서 전원을 공급하고, 케이스의 리셋 버튼을 눌러서 LED 모드를 변경합니다. 

 

DSC01313.JPG

 

하단 파워 장착 공간.

 

 

DSC01315.JPG

 

USB C, USB A, 전면 핀헤더, 3.5mm 오디오 케이블

 

DSC01318.JPG

 

기본 탑재된 쿨링팬과 ARGB LED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

 

DSC01308.JPG

 

측면 팬 장착을 위한 공간. 여기에는 120mm 팬 3개를 달거나 360mm 수냉 라디에이터를 장착합니다.

 

DSC01314.JPG

 

하단 모듈 안에 쿨링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DSC01416.JPG

 

원래는 커버를 들어내고 팬을 넣어야 하는데, 잘 비틀어서 넣으니까 팬이 그냥 들어가네요.

 

DSC01321.JPG

 

스윙 스토리지 패널입니다.

 

DSC01357.JPG

 

2.5인치 드라이브 3개나

 

DSC01358.JPG

 

3.5인치 하드디스크 3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1310.JPG

 

모든 스토리지 패널은 SSD나 HDD라는 표식이 있어, 어떤 위치에 고정하면 되는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DSC01322.JPG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비롯해 높은 강도가 필요한 패널은 0.8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고요. 

 

DSC01324.JPG

 

일부 패널은 0.7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습니다.

 

DSC01340.JPG

 

조립 설명서. 한글입니다. 

 

DSC01341.JPG

 

케이블 타이, 벨크로 타이, 볼헤드 마운트, 조립용 나사를 제공합니다. 

 

DSC01354.JPG

 

상단 강화유리 패널을 분리하면 조립이 한결 편해집니다. 

 

DSC01383.JPG

 

3장의 유리를 잡아주는 마그네틱 트리플 락

 

 

 

DSC01368.JPG

 

조립이 끝난 위즈맥스 루프탑 케이스

 

DSC01369.JPG

 

180mm 높이의 CPU 쿨러 장착 가능 

 

DSC01371.JPG

 

BTF 메인보드를 위한 커넥터 홀

 

DSC01372.JPG

 

 

410mm 길이의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1370.JPG

 

하단 커버의 구멍을 활용한 선정리

 

DSC01360.JPG

 

케이스 우측입니다.

 

DSC01359.JPG

 

메인보드 트레이와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활용해 최대 5대의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1363.JPG

 

3.5인치 드라이브를 넣을 수 있는 넉넉한 공간.

 

DSC01361.JPG

 

ATX 파워 장착 공간은 250mm가 넘어, 모듈러 케이블이 아닌 일반 파워도 케이블을 넣을 공간이 충분히 나옵니다.

 

DSC01365.JPG

 

볼헤드 마운트를 케이스에 꽂아주면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DSC01367.JPG

 

스윙 스토리지 패널까지 닫은 케이스.

 

DSC01374.JPG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의 전원을 켰습니다. 

 

 

DSC01379.JPG

 

 

케이스 상단에도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해 개방감이 좋습니다. 

 

DSC01381.JPG

 

후면 쿨링팬 아래에 회전 속도와 내부 온도가 표시됩니다. 

 

DSC01412.JPG

 

케이스 위의 ARGB LED.

 

DSC01396.JPG

 

케이스 아래의 ARGB LED.

 

DSC01380.JPG

 

 

 

일반적인 그래픽카드 수평 장착 외에도 확장 슬롯을 90도 돌려 수직 방향으로도 장착 가능합니다. 

 

DSC01384.JPG

 

우선 확장 슬롯을 고정한 뒷면 나사를 분리합니다.

 

DSC01385.JPG

 

그래픽카드를 확장 슬롯 커버에 장착합니다. 

 

DSC01386.JPG

 

그 후에 확장 슬롯 커버를 케이스 뒷면에 끼워주고 나사로 고정합니다.

 

 

DSC01392.JPG

 

수직 방향으로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시스템

 

DSC01401.JPG

 

DSC01403.JPG

 

DSC01406.JPG

 

DSC01409.JPG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DSC01377.JPG

 

케이스 상단에 강화유리를 탑재해 3개의 면에서 탁 트인 시야를 선사하는 어항형 디자인 케이스입니다. 루프탑이라는 이름 값을 하는 압도적인 개방감이 가장 큰 특징이지만, 그것 외에도 위아래로 존재감을 더해주는 ARGB LED 바를 장착하고, 후면 쿨링팬에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주는 InFoSync 인디케이터를 추가했습니다. 폭 180mm에 달하는 넉넉한 내부 공간과 더불어 90도 회전하는 확장 슬롯 구조로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이 가능하고요. 스윙 스토리지 패널로 편리한 스토리지 장착과 관리, 그리고 넉넉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평범한 어항형 케이스 그 이상의 개방감과 함께 넉넉한 공간과 편의성을 갖춘 케이스입니다.

 

리플 다신 분 중 1분께 리뷰 작성에 사용한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케이스를 드립니다. 신청하실 분은 이 글에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이벤트 신청]을 넣어 리플을 달아 주세요. 접수는 7월 5일까지, 발표는 7월 6일입니다. 선정되신 분은 발표 후 3일 안에 이름/주소/전화번호의 배송 정보를 보내주시고, 수령 후 5일 안에 인증샷을 꼭 올려 주셔야 합니다. 리뷰 작성을 위해 한 번 조립한 제품이기에 약간의 사용감이 있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NVIDIA 주가, 사상 최고치 경신
LG디스플레이, 4세대 기술 적용한 궁극의 게이밍 OLED 패널 양산
윈도우 11 24H2, 블루스크린 대신 블랙스크린으로 대체
해상도와 주사율, 둘 다 주세요. 듀얼 모드로. MSI MAG 322URDF E16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하이엔드 PC빌드 적극 지원하는 우드 패널 어항형 빅타워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ULTRA 케이벤치
MSI MAG 322URDF800 E16 : 듀얼 모드로 상황에 따른 최적화된 환경 완성! 쿨엔조이
4K 편집부터 AI 성능까지 인상적인 ASUS NUC 15 PRO+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출력·복사·스캔 다 되는데? 가성비 훌륭한 무한 잉크 복합기 등장! '브라더 DCPT536DW' 동영상 있음 도레
메인스트림 시장 재편!,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D7 8GB 디앤디컴 블루프레임
데스크테리어의 진화,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PC 케이스 케이벤치
모바일 최고 스펙 게이밍 노트북,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보드나라
슬림한 사이즈에 5070Ti를 태워? 2025년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의 등장! ACER 헬리오스 네오16 슬림 성능테스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곡선을 감싸는 앰비언트 라이트.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기글하드웨어
전망 좋은 루프탑.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기글하드웨어
이제는 저렴해진 코어5 14600KF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TUF Gaming B760M-PLUS II - 코잇 브레인박스
27년된 삼성 매직스테이션에 라데온 9060XT를 태워? 게임쌉 가능한 올드PC의 변신 공개! 테크놀로지아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올해의 어항형 트렌드!? 파노라마 커브드 글래스 적용한 듀얼 챔버 케이스, 다크플래시 DY570 ARGB BTF 케이벤치
Lian Li CL Wireless Inside – Next Level Gaming PC | 9950X3D | RTX 5080 | TForce Xtreem ARGB 동영상 있음 PC SNAP
시장가격 파괴 프린터 등장? 레이저 흑백 정품 토너가 1만4천원대? brother 초저가 유지비 프린터 HLB2180DW 토너세이브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코어 울트라7 265K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ROG STRIX B860M-G GAMING WIFI - 코잇 브레인박스
GIGABYTE B760M AORUS ELITE GEN5 피씨디렉트: 어로스 엘리트, PCIE 5.0으로 업그레이드 쿨엔조이
화이트 감성과 최상급 성능의 조화 'MSI MPG X870E 엣지 TI WIFI' 미디어픽
블랙 &화이트의 완벽한 밸런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BLACK OC D7 8GB' (1) 미디어픽
최신 인텔 플랫폼을 위한 실속형 메인보드 'ASUS PRIME H810M-A 코잇'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