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 기본에 충실한 성능은 물론, 12V-2x6 커넥터 탑재로 다재다능함까지!

2025.07.04. 18:43:13
조회 수
72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edb90cdbcda832c3f914005c0a7a7bcf5dde4a8e.png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차세대 그래픽 카드에 사용되는 12+4 Pin의 도입 초기에,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은 해당 커넥터와 1:1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탑재한 풀 모듈러 방식의 제품들을 먼저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12+4 Pin을 사용하는 메인스트림 급 그래픽 카드가 발매되자, 이에 맞추어 다이렉트 케이블 방식을 지니고 있는 파워서플라이에도 해당커넥터를 탑재한 제품을 선보였는데요. 특히 가성비를 더욱 내세우기 위하여, 브론즈 급에서도 12V-2x6 커넥터 케이블을 탑재한 다이렉트 방식 파워서플라이를 선보이는 제조사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 살펴볼 제품은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입니다. 80PLUS 브론즈 인증과 정격 750W의 출력 용량을 지니고 있는 본 제품은, 이전 쿨엔조이 리뷰에서 만나본 정격 550W / 650W와는 다르게 전 세대의 ATX 규격을 그대로 사용하여 가성비를 부각하면서도, 최신 그래픽 카드와의 1:1 연결이 가능하도록 12V-2x6 커넥터 케이블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제공되는 케이블은 섀시 본체에 다이렉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ATX 20+4 Pin 1개와 함께 EPS 4+4 Pin 커넥터가 Y형 케이블에 브리지 방식으로 총 2개 구성되어 있으며, PCI-E 6+2 Pin 커넥터도 Y형 케이블에 브리지 방식으로 2개씩 총 4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SATA 커넥터는 총 6개, IDE 커넥터는 총 3개를 제공하여 다양한 주변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신 그래픽 카드와 함께 가성비를 고려한 PC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는 유저분들이라면 본 제품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Antec이라는 브랜드의 신뢰성은 물론, 안전을 위한 8중 보호회로와 5년의 무상 보증기간까지 제공되는 만큼, 든든한 가성비 파워서플라이를 찾는 분들도 주의 깊게 살펴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함께 제품의 패키지 및 외형과 내부, 그리고 테스트를 통한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2a5fb961e63799cd004ebd416fb414dc60b0452.png2590d70d6dbaef7037c916edc0df70e4f4e94ee7.jpg*측정 환경 및 방식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3504850db1b64646d58c0b5179da1a9c7e1b10b.pngc00818890af43d8fd6fba274e44359604e7bd030.jpg345e3819ba5178a50089ccc4ba8336fa7045dfaa.jpg46594b6845a337b68cf72490b4ff4de8d97ce117.jpge7a06772862f0bbb5f27daa2e309c4268a07203e.jpg4872cede76e7c9b8a1fa755a3f477387f370d082.jpgb0481f2ee932bd368a0f232290204c854d3ad441.jpg60b604d0a22c9cff9a1b8b35994868bce4274924.jpgc774ac02fa8ace65a9ff9ff1ef766c17cb81c3fc.jpgae6eeed255b2f96be4662fe3853ad646808596e0.jpgf34977d044d681a6281777bf73a37f8490570104.jpgc6c2b6c8648162a7b1c9c09524243662d0e51976.jpga0d1f6d44ce452ffe0905f81df1a7c0b7555b0e4.jpg2b0af4961d89dbf2673ef051a7ef82c58fe609a4.jpgaf7f86e7f912f0d11be738158b61be8ef6804c37.jpg451b263eab6557fb7d1298594e7c74e4597d44d6.jpg7657a2e0353195f21eb311988427385b1e485d0b.jpgbf1307a851c69c4938b3d6edc4b47e6ac3186cab.jpg8962182aad198869c89c881e70f5506be9d254e6.jpg77806534a0c92797f06489ac2ebfe5c930585f4e.jpg63935b8ab7f0b9efe62decac384c2db7eea8bd4e.jpg93e0b1f4dc8b6e7b1277d318b639bd9d552c1db0.jpg6429bdeefce90ddaf51fee63d76b1e673ce7d43a.jpgb5f69a7849318d29df3ed3f4343d6eeb25dd328f.jpg3628657d379211c91374369afabe0f989c496878.jpg61db958dbf655adf7ffe48c9025407347fdc236e.jpg784a57b4fc47da35ad1fb1552c5d597346dfa672.jpg6f661372beb289beb37ed928f397d3f47d2e29ef.jpg83a422beb7a6ab06d335ac2da14c5eba8a9e48ba.jpg0f15c456c164dbf31710403bacb32e932f4fe60c.jpgb73149f97aaddc2ad8433789677f762093943217.jpg8cc7f2a5979213c9cf3cc7bfe40529d243bfb86a.jpge2d29420d16fbb7567e14c0dafe6a6d9a7124121.jpg9134eeae7f432450fbba843017ecaee06c0384f9.jpgbb348c18701b0b3cb602e74f1571126055690d1f.jpg98ddd013d0e80188a1cf6a6c7ed6a23071297487.jpg54e4405093664e44cfae9d7b137740925eea8251.jpg   

   

   

   

   

 

fc8b3fc1cb2c84068d10c104aa1b758f73911fa1.png

7303ce5928919a929505388126557610d38ea3f1.png 

  

  

  

    
51311f0c356f1dd38ae860a73a4ad33a98221cad.png

출력 효율 측정
ITECH Electronics 社의 DC 로드기 제품 중 IT8514C+ / IT8512A+ / IT8511+ / IT8211의 총 4가지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가 낼 수 있는 정격 출력의 10%부터 100%까지 10개 단위로 나눠 테스트합니다. 출력 효율은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한 전체 출력(W)을 HPM-100A(Wattman)으로 측정된 파워서플라이의 소비 전력(W)으로 나눠 백분위(%)로 표기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기합니다.
 
 
전압 측정
DC 로드기에서도 별도의 전압 측정 기능을 사용하여 전압을 기록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시 별도의 외부 전압 측정기를 사용한 후, 교차검증을 거쳐 결과값의 신뢰도를 보증합니다.
 
 
리플 & 노이즈 측정
Tektronix 社의 TPS2012B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의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합니다.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보드에 각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 RPM 측정
Sampo 社의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 쿨링팬의 RPM을 측정합니다.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에 별도의 개조 없이 RPM 측정이 가능합니다.  
  
  
소음 측정
부피 1.9 x 1.9 x 2 (m)의 이중 챔버 구조에 1 x 1 x 1 (m) 내부 구조의 규모로 설치된 무향실에서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제품과 직선상 약 50cm의 거리를 두고 측정하였습니다. 또한 CIRRUS에서 제공하는 Noisetools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d56b47890b1df512efded6b2c8a67cd95516957.jpg

▲ 파워서플라이 부하 테스트 : ITECH ELECTRONICS DC 로드기 시리즈


  

 

 

d73a908c5b0cccbbf9f65632d0ec7fecc6b49a12.jpg ▲ 파워서플라이 소비 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 1초 단위로 측정 

 

   

  

  

e3bd9ae76d5538b5f4905e460e68b0d3e4dfba56.jpg  ▲ 리플 & 노이즈 측정 : Tektronix TPS2012B Two-Channel Oscilloscope

   

   

   

38771075cbf33cde7a5ebdd4af21640942416126.jpg▲ 쿨링팬 RPM 측정 : Sampo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

   

   

   

5cb44c04ec11ef0adf86fd66aeeddf6d09eef86a.jpg  ▲ 소음 측정: 무향실 - 이중 챔버 구조 

   

   

   

f91e1e4c1f163fd02d37d1b59bfd04be2ceea7d6.jpg▲ 소음 측정: 측정 소음기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9c6417bc61b074d7cff0efd5b0258781baa8bb83.pngd424254f9523cfb581a615e8d5eab742cec38082.jpg     

본 제품은 80 PLUS BRONZE 115V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해당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115V AC 환경 기준으로 20% 부하 구간에서 82% 이상의 효율을, 50%에서 85% 이상을, 100% 부하에서 82% 이상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220V AC 환경에서 출력 효율을 테스트한 결과, 아이들(IDLE) 상태와 비슷한 부하 환경인 10% 부하 구간에서는 83.77%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80PLUS의 평가 구간을 살펴보면 20% 부하에서는 87.86%의 출력 효율을, 50%에서는 89.71%, 100%에서는 85.53%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든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50%로 측정되었으며, 실제 사용 시의 출력 효율은 AC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e27779972acef2828912dbaf69138d7ace93bf4.png493bb37ba656c6eb4e00883fce373bd02b92ab58.jpg08f4cf6bc8a4ee1e23d1abbb2c70a42bd8c372c3.jpg9a7901ec7ce454b70be4ad74bc52677d411b742d.jpg   

PC용 파워서플라이에 가해지는 부하는 시스템에 구성된 부품의 조합과 각 부품이 소비하는 전력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한 부품 구성이어도 CPU 및 GPU의 오버클럭 여부 등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조건에서도 +12V / +5V / +3.3V의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0%부터 100% 부하 구간까지의 전압 출력 특성을 살펴보면, +12V는 부하에 상관없이 매우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고 있으며, +5V와 +3.3V는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cf51223941a6a99466d25c8490a512969a62c4ec.png15588fb8c8f46f3ddbec2fd0ed1f7fa792a294d1.jpg

 

최근에 출시되는 고성능 CPU와 GPU는 이전보다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합니다. 여기에 일부 제품은 별도의 옵션 설정을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설정들을 적용한 후에 PC를 사용하게 되면 +12V의 전력 소비량이 그렇지 않은 조건 대비 좀 더 늘어나게 됩니다. +12V가 다른 전압 대비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환경은 본 테스트에서 살펴볼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 해당합니다. 

 

본 제품에는 DC to DC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12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과 +5V, +3.3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의 두 가지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서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5V, +3.3V 모두 큰 차이 없이 안정적으로 각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99411a56d4b52504360b588905333df0c64093e.png10cf087678ce7ff5c7b8acf170d8fb22519359a2.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시스템 외부에서 공급되는 AC(교류) 전원을 시스템 내부의 각 부품에 필요한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때 파워서플라이에 입력된 교류 전원은 온전하게 직류로 변환되지 못하고 출력되는 전원에 사람의 맥박과 같은 흔적을 남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리플(Ripple)'이라고 합니다. 

    

또한, 리플 외에도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는 '노이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에서 빠질 수 없지만 수치가 낮다면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의 리플 & 노이즈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 +5V / +3.3V의 20% 부하 구간과 100% 부하 구간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각 전압에 허용되는 수치가 적용되었습니다.

     

    

   

   

   

  db002a0d030a1cab57d767085a0a47b0258ca12a.png5d7900323de4b4352e964815e4d47faba422db50.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AC(교류) 전원을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품에 탑재된 쿨링팬은 이러한 발열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전원 공급을 돕습니다. 쿨링팬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의 내부에는 슬리브(Sleeve) 베어링이 적용된 120mm 크기의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보급형 쿨링팬에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베어링과 샤프트 사이에 윤활유가 주입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 제품에는 별도의 제로 팬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부하에서 925 RPM, 약 28.2dB(A)의 소음도로 작동을 시작한 쿨링팬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가장 마지막인 100% 부하 구간에서는 2230 RPM, 약 48.6dB(A)의 소음도가 측정되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은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f78dfce3cff4b8e819d67db4e5cc4bc8759a5ad.png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d9d4f4fe7de5164247f37d2cfb9018621bc58db1.jpg

     

최신 그래픽 카드도 거뜬한 Antec의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은 80PLUS BRONZE 등급과 정격 750W의 출력 용량을 지닌 다이렉트 케이블 방식의 파워서플라이입니다. 이전 쿨엔조이 리뷰에서 만나본 CSK DC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블랙 색상의 섀시와 섀시 일체형 팬그릴구조를 사용하였는데요. 측면과 후면에 제품명과 사양을 기입한 스티커를 부착하여 유저가 제품의 사양을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하였습니다. 

 

여기에 섀시 길이는 14cm로 설계되어 다양한 케이스와의 호환성을 지니고 있으며, 8중 보호회로 및 5년 무상 보상의 기본에 충실한 지원까지 제공되는 만큼, 최신 그래픽카드와 함께 가성비 PC를 꾸리고하자 하는 유저분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4c55a3dca5eb8bc94bb2ca696c04eca860aa20d7.jpg   

차세대 그래픽 카드와 1:1 연결을 지원하는 12V-2x6 커넥터 케이블 탑재  

본 제품에는 차세대 그래픽 카드에 탑재된 12+4 Pin 보조 전원 커넥터와 1:1 연결이 가능한 12V-2x6 커넥터 케이블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그래픽 카드에 최대 300W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방식의 PCI-E 6+2 Pin 커넥터도 같은 시리즈의 정격 550W / 650W 제품과 달리 총 4개가 제공되는 만큼, 다양한 제조사의 그래픽 카드와 연결이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1bb6a43eb6951bab72d8bcfcaecc5cd1aa2d5595.jpg     

최대 88.46%, 전체 평균 86.84%의 준수한 출력 효율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는 80PLUS BRONZE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인 220V AC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전체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50%로 측정되었며, 이 중 40%에서 약 89.22%의 최대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는데요. 전체적으로 브론즈 평가 구간보다 높은 우수한 효율을 지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1dbb1ccd879bb89eae5a67391a8877efe7d696ae.jpg

  

브론즈급에서 보여주는 우수한 +12V 전압 유지력

본 제품의 부하에 따른 +12V 전압 강하를 살펴 보면, 부하에 관계 없이 매우 안정적인 전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5V / +3.3V 전압의 경우에도 큰 변화 없이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요.이를 통해 다양한 부하환경에서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42cccf2f80284e8c507c9840a28934257f196baf.jpg

  

Antec의 든든한 설계는 물론, 12V-2x6 커넥터 케이블 탑재로 최신 그래픽카드도 거뜬하다!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 강화유리 한 장 더~ RGB LED 바도 추가요! 쿨엔조이
Antec CSK 750W DC 80PLUS브론즈 PCIE5.1 : 기본에 충실한 성능은 물론, 12V-2x6 커넥터 탑재로 다재다능함까지! 쿨엔조이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 안정적인 전압과 준수한 효율까지 담긴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필립스 27E2N1500 : 사무 및 일반 사용자는 물론 캐주얼한 게임까지 커버하는 표준형 모니터 쿨엔조이
데스크테리어를 완성시킬 PC 케이스! darkFlash DW500 우드 MESH RGB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원목 케이스 원조 맛집!! 후면 커넥터 메인보드 전용 디자인! Fractal Design North XL RC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천연 원목이라니! 가구 아니고 PC랍니다~ [프리미엄 리포터V]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1년간 담금질된 천검 강림,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1) 보드나라
하이엔드 PC빌드 적극 지원하는 우드 패널 어항형 빅타워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ULTRA 케이벤치
MSI MAG 322URDF800 E16 : 듀얼 모드로 상황에 따른 최적화된 환경 완성! 쿨엔조이
4K 편집부터 AI 성능까지 인상적인 ASUS NUC 15 PRO+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출력·복사·스캔 다 되는데? 가성비 훌륭한 무한 잉크 복합기 등장! '브라더 DCPT536DW' 동영상 있음 도레
메인스트림 시장 재편!,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D7 8GB 디앤디컴 블루프레임
데스크테리어의 진화,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PC 케이스 케이벤치
모바일 최고 스펙 게이밍 노트북,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보드나라
슬림한 사이즈에 5070Ti를 태워? 2025년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의 등장! ACER 헬리오스 네오16 슬림 성능테스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곡선을 감싸는 앰비언트 라이트. 앱코 UD50C 루시드 앰비언트 풀커브드 ARGB BTF 기글하드웨어
전망 좋은 루프탑.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1) 기글하드웨어
이제는 저렴해진 코어5 14600KF 프로세서를 위한 에이수스 TUF Gaming B760M-PLUS II - 코잇 브레인박스
27년된 삼성 매직스테이션에 라데온 9060XT를 태워? 게임쌉 가능한 올드PC의 변신 공개! 테크놀로지아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사거나 말거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