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면을 위해서는 잠자리에 들기 최소 1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해 뇌에 자극을 주지 말라고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다수의 현대인은 퇴근 후 먹고 씻고 정리하고 집안일을 마친 후에 요새 유행하는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이 이 때 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쾌적한 컨텐츠 감상을 위해 에어컨도 미리 켜두고 잠자리 옆에 충전기도 하나 갖다두는데, 문제는 데이터입니다. 비싼 모바일 데이터는 출퇴근을 위해 남겨두고, 집에서는 당연히 WiFi를 켜야 하지만 무선 공유기가 집안 곳곳에 무선을 뿌려주기 적절한 출력을 지니고 적당한 위치에 놓여 있다는 보장이 없잖아요. 단자함 내부에 짱박아 두거나 넷플릭스 때문에 거실 TV 옆에 놓거나 침실이 아닌 컴퓨터방에 설치했다면, 그 사이사이에 놓인 벽과 문을 뚫고 무선 신호가 무사히 당도하길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특히나 무더운 여름에 에어컨 냉기 빠져나가지 말라고 방 문을 닫았다면 더더욱 그렇죠.
그래서 대궐처럼 넓은 집에 거주하는 부유층이 아니더라도(애시당초 여기에 속하는 분들은 고민 대신 돈으로 해결하겠죠), 벽과 문으로 가로막힌 사각지대 때문에 무선 인터넷 사용에 불편함을 겪었던 사람이라면 똑같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똘똘한 공유기 한대로 이걸 커버할 수 없나 이리저리 궁리해 봅니다. 꽃게 다리처럼 안테나가 많이 달린 게이밍 공유기라면 가능할까, 한국에선 불법의 영역에 발을 담그는 고출력 공유기라면 괜찮지 않을까, 한국 아파트는 철근도 빼먹으니 공유기 신호로 벽을 뚫을 수 있지 않을까 등등. 하지만 결국은 현실적인 장벽에 가로막히고,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효과가 확실하며 따지고 보면 그렇게 비싸지도 않은 방법을 고르게 됩니다. 다수의 무선 공유기를 연결해서 커버리지를 넓히는 메쉬 공유기 말입니다.
MSI는 영덕 대게의 다리처럼 펼쳐진 안테나와 압도적인 성능, 풍부한 기능을 갖춘 래딕스 시리즈로 게이밍 공유기 시장에 진출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전혀 다른 형태의 유무선 공유기인 Roamii 시리즈를 한국 시장에 선보입니다. 기존의 래딕스 시리즈가 누가 봐도 게이밍 디바이스다운 디자인을 갖춘 반면, MSI Roamii BE Lite 유무선공유기는 가전제품에 더 가까운 차분하고 단정한 하얀색 디자인에 포트 수도 2개로 많은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2.5Gbps의 유선 속도와 Wi-Fi 7 규격을 지원해 최고 4.3Gbps의 무선 속도를 제공해 압도적인 빠름을 자랑하며, 트렌드 마이크로의 클라우드 기반 위협 탐지 기술을 도입해 실시간으로 최신 보안 위협을 탐지 및 차단하고요. 다수의 무선 공유기를 활용해 커버리지를 넓히는 메시 기능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Wi-Fi 7 규격의 고속 무선랜을 100% 활용하고 싶다면 MSI BE6500 무선랜카드를 함께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벽에 걸어놔도 튀지 않는 MSI Roamii BE Lite
제품명 | MSI Roamii BE Lite 유무선공유기 |
WiFi 표준 | WiFi 7(802.11be) WiFi 6(802.11ax) WiFi 5(802.11ac) WiFi 4(802.11n) 802.11g 802.11b 802.11a |
무선 전송 속도 | 2.4GHz: 688Mbps 5GHz: 2882Mbps |
안테나 | 내장 안테나 4개 |
WiFi 기능 | MLO, 적응형 펀처링, MU-MIMO, OFDMA, 4K-QAM, 멀티 RU, 빔포밍, 게스트 WiFi/멀티플 SSID, WPS |
프로세서 | 쿼드코어 1.5GHz |
메모리 | 256MB 플래시 메모리 2GB DDR4 램 |
보안 | FortiSecu, 네트워크 보안, 자녀 보호, 게스트 네트워크 분리 |
VPN | VPN Client Open VPN VPN Client PPTP VPN Client L2TP/IPSec VPN Client WireGuard VPN Server Open VPN VPN Server PPTP VPN Server L2TP/IPSec VPN Server WireGuard |
관리 | MSI Roamii 앱, 웹 UI |
포트 | LAN: 10/100/1000 기가비트 RJ45 포트 2개 WAN: 10/100/1000/2500 기가비트 RJ45 포트 1개 |
구성품 | 전원 어댑터, 벽면 장착 키트, 이더넷 케이블, 빠른 설치 가이드 |
어댑터 | 12V 1.5A |
크기 | 118.5x108x238mm, 무게 585g |
참고 링크 | 1팩: https://prod.danawa.com/info/?pcode=91036796 2팩: https://prod.danawa.com/info/?pcode=91036982 |
가격 | 1팩: 146,100원 2팩: 254,000원 (2025년 7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공유기의 생김새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검은색에 RGB LED가 반짝반짝 빛자고 최소 4개부터 시작하는 안테나를 쫙 펼친 게이밍 공유기가 있고요. 다른 하나는 하얀색에 길쭉하고 안테나조차 보이지 않아, 많이 작은 공기청정기나 가습기로 오해사기 딱 좋은 것이 있습니다. MSI는 래딕스 시리즈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디자인을 선보였고, MSI Roamii BE Lite에서는 후자에 속하는 디자인을 들고 왔습니다. 하얀색의 삼각 기둥이고요. 표면에 MSI 로고와 상태 표시용 LED가 있지만 그 존재감은 크지 않습니다. 심지어 크기가 118.5x108x238mm로 작기까지 합니다. 과장을 하나도 안 보태고 500ml 짜리 음료수 페트병 2개랑 아웅다웅할 정도로 작습니다. 구성품 중에 벽면 장착 키트가 있는 것도, 작은 크기와 585g의 가벼운 크기 덕분일 겁니다.
내장 안테나라서 밖으로 튀어나온 것도 것도 없고요. 아래위로 나 있는 통풍구가 고작입니다. 설정에 필요한 초기 비밀번호는 매우 친절하게도 바닥의 제품 정보와 함께 한번, 뒷면에 붙여둔 스티커에서 한번 더 강조했습니다. 뒷면 스티커에는 기본 SSID로 빠르게 접속하는데 쓰는 QR 코드도 함께 있지요. 뒷면에 달린 버튼은 메쉬 연결에 사용하며, 바닥의 작은 버튼은 리셋입니다. 포트는 총 3개가 있습니다. 10만 원이 넘는 공유기 치고 많다고 할만한 숫자는 아니지요. 하지만 이 공유기는 메쉬 구성에 맞춰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최소 2대의 공유기를 함께 운용한다면 WAN 포트는 제외하더라도 4개의 LAN 포트가 나오게 되니, 이렇게 보면 가정용으로 쓰기에 적은 숫자는 아닙니다. 또 WAN 포트는 2.5Gbps의 빠른 속도까지 지원합니다.
자세히 보기
박스 전면. 2개의 공유기가 포함된 2팩 제품입니다.
박스 뒷면
박스 내부
빠른 설치 가이드와 WiFi 접속/앱 다운로드 안내문
공유기가 2개니까 전원 어댑터도 2개입니다.
KR 플러그가 꽂혀 있으며 12V 1.5A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량은 어댑터의 최대 출력에 비해 많이 낮았는데요. 아이들 상태에서 5V, 네트워크 테스트에서 8W 정도였습니다.
벽면 거치대와 고정용 나사, 랜 케이블
공유기 뒷면에 거치대를 고정하면 벽에 걸어두고 쓸 수 있습니다.
공유기 전면. 여긴 아무것도 없고.
옆에는 상태 표시용 LED가 있으며
뒷면에는 1Gbps 랜 포트 2개, 2.5Gbps WAN 포트 1개, 전원 포트, 메쉬 설정 버튼, 기본 비밀번호/SSID/접속용 QR 코드가 있는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위쪽에는 통풍구.
아래에는 제품 정보와 리셋 버튼이 있습니다.
크기는 118.5x108x238mm
무게 585g
크기가 작아 어디에 두던 부담이 없습니다.
교과서적인 디자인의 MSI BE6500 무선랜카드
제품명 | MSI BE6500 무선랜카드 |
WiFi 규격 | WiFi 7(802.11be) WiFi 6(802.11ax) WiFi 5(802.11ac) WiFi 4(802.11n) 802.11g 802.11b 802.11a |
WiFi 속도 | 2.4GHz BE: 2x2(Tx/Rx) 최고 688Mbps 5GHz BE: 2x2(Tx/Rx) 최고 2882Mbps 6GHz BE: 2x2(Tx/Rx) 최고 2882Mbps |
무선 주파수 대역 | 2.4GHz/5GHz/6GHz |
암호화 | WPA-PSK, WPA2-PSK/엔터프라이즈, WPA3-퍼스널/엔터프라이즈 |
안테나 | 고이득 트라이밴드 안테나 2개 |
인터페이스 | USB 3.2 Gen1 타입 A |
권장 운영체제 | 윈도우 11 |
크기 | 111x33x20mm |
무게 | 48.2g |
구성품 | 거치대, 설명서 |
참고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85427645 |
가격 | 79,000원(2025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단순하면서도 실용적인 USB 무선 랜카드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지 고민된다면 MSI BE6500를 보고 잘 베끼면 됩니다. 본체와 거의 같은 크기의 접이식 안테나가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금색의 USB 3.0 포트와 빗살 무늬가 새겨진 검은색 몸체는 어떤 시스템에 연결해도 튀지 않습니다. 접었을 때 크기는 111x33x20mm, 무게는 48.2g에 불과해 휴대하기도 편리합니다. USB 타입 A 포트보다 다소 넓은 크기 때문에, USB 포트가 줄지어 있는 시스템에 이걸 장착하면 인접한 포트를 막아버리는 단점은 있습니다. 하지만 동봉된 케이블을 써서 연결하면 포트 간섭도 사라지고, 무선 신호를 가장 잘 받는 곳에 안테나를 둘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박스 뒷면
박스 내부
빠른 시작 가이드와 케이블, USB 무선랜 본체
1m 길이의 연장 케이블. 이걸 써서 무선 신호를 잘 받는 곳에 무선랜을 둘 수도 있고요.
간격이 좁은 USB 포트 사이에 부피가 큰 USB를 장착하는 용도로도 씁니다.
무선랜 전면
무선랜 뒷면
180도로 펼쳐집니다.
크기 111x33x20mm
펼치면 거의 200mm가 됩니다.
공식 무게는 48.2g인데 저울이 이상한가 봅니다.
USB 포트 부분
힌지 부분
무선랜을 잡지 못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데, 인터넷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받으라면 참 황당하겠죠? 이건 그럴 일이 없습니다. USB를 시스템에 장착하면 설치 프로그램이 저장된 드라이브가 인식됩니다.

WiFi 7 기능은 윈도우 11 24H2 이상을 권장합니다.

설치를 마친 WiFi 7 어댑터
MSI Roamii 앱 설정
저는 새로운 하드웨어를 설정한다면 당연히 컴퓨터부터 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보수 꼰대지만, 별 생각 없이 공유기 옆의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시켰다가 모바일 환경에서 그대로 주욱 설정을 마무리하게 됐습니다. 그리고선 깨달았습니다. 이 공유기는 굳이 웹UI로 들어가서 설정을 뒤적거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말이죠.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점만 다를 뿐이지, PC 환경에서 접속하는 웹 UI와 기능적으로는 완벽하게 같습니다. 초기 설정은 어려울 게 없고 다음 단계만 눌러대면 사실상 끝나며, 추가 보안 설정과 VPN 기능을 제공해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도록 도와줍니다. 또 손님 전용으로 네트워크를 따로 설정하는 것 외에도 자녀 모드와 IoT 모드를 별도로 제공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핵심 기능인 메쉬 WiFi는 노드를 추가하고 공유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알아서 불러오기에 설정과 사용 모두 편리합니다.
자세히 보기
구글 플레이에서 MSI Roamii 앱을 받습니다. 설치 가이드의 QR 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구글 플레이를 열어줍니다.
초기 설치 과정입니다. 전원을 켜고 케이블을 연결하고 공유기 옆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주면 알아서 연결합니다.
공유기의 LED가 파란색으로 깜박이면 접속할 준비가 끝난 것입니다.

접속에 성공하면 기본 비밀번호를 사용해서 로그인합니다.


최신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초기 설정을 마치면 업데이트할 펌웨어가 있는지를 검색합니다.
대쉬보드에서는 현재 시스템 상태, 접속된 장치, 속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Fi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끄거나 보안 기능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이 공유기의 핵심 기능인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해 봅니다. 가까이 배치하고 전원을 켜고 메쉬 WPS 버튼을 꾸욱 눌러주면 알아서 잡아주고, 공유기를 자동으로 추가합니다.
자녀 보호, 게스트, IoT를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합니다. 속도나 사용 시간, 보안 등을 따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마법사와 WiFi 설정. 설치 초기에 이미 다 설정을 마쳤을테니 굳이 볼 필요는 없습니다.

QoS의 대역폭과 클라이언트, 우선순위 설정 기능

인터넷 관리 기능

IPTV와 VLAN 설정

VPN 설정


펌웨어 업데이트, 초기화, LED 설정, 시스템 재시작, 시스템 정보

MSI 포럼
굳이 PC에서 하겠다면? 웹 UI 설정
모바일 앱에서 설정을 다 마쳤고, 모든 기능을 쓸 수 있기에 웹 UI는 순전히 스크린샷만 찍을려고 들어가 봤습니다. http://msirouter.login 으로 접속해야 하고, 메뉴 구성이나 순서가 모바일 앱과 다소 다르긴 하지만 계정명과 비밀번호를 치고 들어가서 나오는 기능들은 모바일 앱과 같습니다. 더 넓은 화면을 활용해서 더 편하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는 점은 있겠네요. 어쨌건 기능에서 차별점은 없으니 사용 환경에 맞춰서 편한 방법을 골라서 설정을 마치면 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가 아니라 http로 연결하기에 크롬에서는 보안 경고를 표시하지만, 공유기 설정에 보안 인증서를 사서 설치할 필요가 없지요. 가볍게 무시하고 http://msirouter.login로 이동하면 됩니다.

웹 버전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입니다.

한국어를 지원합니다. 첫 화면에서는 현재 연결된 장치와 시스템 정보 등을 표시하며, 인터넷 마법사를 실행해 초기 설정이 가능합니다.

WiFi 무선 설정 기능

게스트, IoT, 자녀 전용 네트워크의 설정

인터넷 설정

VLAN/IPTV 설정

보안 기능인 FortiSecu는 Roamii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방화벽 설정

QoS와 랜 설정

IPv6 설정

VPN 기능 설정

VPN 클라이언트 설정

시스템 관리와 펌웨어 업그레이드, LED 디스플레이 등의 설정

네트워크 모니터링
음영지역 없는 WiFi 7을 써보세요
MSI Roamii BE Lite는 2.5Gbps의 유선 네트워크 입력을 받아 1Gbps의 속도로 유선 출력이 가능합니다. 무선의 경우 2.4GHz에서 688Mbps, 5GHz 대역에서 2882Mbps의 속도까지 낼 수 있는데요. 2.4GHz와 5GHz 주파수 대역을 나눠서 따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MLO 기능을 통해 2개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연결, 최대 3.6Gbps의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또 1대의 Roamii 공유기로 279제곱m의 영역에서 120개 이상의 기기 연결이 가능하고요. 2대 이상의 Roamii 공유기를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하면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Wifi 음영 지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를 이동 중에도 끈김 없이 WiFi를 쓸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수한 스펙을 지닌 공유기지만 처음에는 생각만큼 속도가 나오지 않았는데요. 여기에 연결한 노트북의 내장 무선랜이 802.11ac에 불과해서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더라고요. 노트북의 내장 무선 랜을 끄고 MSI BE6500 무선랜카드를 사용해서 접속하니 바로 속도가 치솟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2대를 사용해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 WiFi를 빠른 속도로 쓸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넓어진다는 점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원래는 2대의 공유기를 층마다 설치해서 WiFi를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층을 오갈 때마다 잘 잡히지도 않는 WiFi를 붙들고 헤메다가 데이터로 전환했다가 WiFi로 전환하는 등, 불편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하면 2대의 공유기가 하나의 SSID를 공유하기에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이 쓰기도 편하지요. 그리고 다른 층이나 공간이 아니라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도 메쉬 네트워크는 매우 유용합니다. 1대의 Roamii 공유기로도 84평을 커버할 수 있지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벽이나 기둥, 문 등에 WiFi 신호가 막혀 음영 지역이 생기거든요. 그래서 사용 환경과 방식에 따라서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연결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2대의 노트북을 사용해 내부망을 구축해서 간단하게 속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파란색은 창문, 빨간색은 철문, 검은색은 벽돌 벽입니다.
1번은 공유기가 위치한 방, 2번은 2개의 벽돌 벽과 문을 지나서 나오는 방, 3번은 집 외부입니다.
MSI Roamii BE Lite 옆에 MSI 소드 GF76 HX B14WFK-i7 QHD 노트북을 두고, 다른 노트북을 들고 다니면서 테스트했습니다. MSI 소드 GF76 HX B14WFK-i7 QHD 노트북이 Wi-Fi 6e까지만 지원하기에 MSI Roamii BE Lite 공유기와 MSI BE6500 무선랜카드의 성능을 100% 발휘하진 못했지만, 현재 사용 중인 인터넷이 500Mbps의 반기가 랜이라서 외부 연결보다는 변별력이 더 낫다 싶어서 이렇게 트스트했습니다.
힘의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Wi-Fi 6e나 Wi-Fi 7을 지원하는 MSI 노트북을 테스트할 때는 아무 생각 없이 무선 랜으로 다운로드를 받았었는데요. 정작 제가 쓰는 노트북은 그거에 비하면 속도가 많이 느렸군요.

공유기 바로 옆에서 무선랜을 쓰는 경우가 얼마나 되겠냐, 옆방으로 가면 느려진다고 말씀하실 분도 계시겠죠. 그 말이 맞습니다. 다들 속도가 절반씩 떨어졌지만 그래도 MSI Roamii BE Lite 공유기와 MSI BE6500 무선랜카드의 조합은 여전히 강력합니다.

건물 밖으로 나가니 기존에 사용 중인 조합에선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했는데, MSI 조합에서는 여전히 쓸만한 속도가 나와주네요.
MSI Roamii BE Lite
넓은 영역을 커버하는 메쉬 네트워크와 빠른 빠른 무선 속도를 갖춘 Wi-Fi 7을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입니다. 작은 크기와 튀지 않는 디자인으로 어떤 곳에든 무난하게 두고 쓸 수 있으며, 2.5Gbps의 WAN 입력을 지원해 빠른 외부망 연결이 가능합니다. MLO로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연결해 더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간단한 메쉬 네트워크 설정으로 무선 커버리지를 넓힐 수 있습니다. 전용 앱을 통해서 웹 UI와 차별 없는 상세한 설정을 제공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게스트와 IoT, 자녀 전용 네트워크로 분리해서 사용이 가능하며, fortiSecu 보안 솔루션이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보호해 줍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Grok 4, 특정 주제의 경우 일론 머스크가 한 대답을 하는걸로 |
인텔: 이제는 10대 반도체 기업에 들지 못한다 |
트위터 설립자, 인터넷 없이 쓸 수 있는 메시지 앱인 비트챗을 공개 |
비트코인 11만6000 달러선 사상 첫 돌파 |
강력한 게이밍 시즈모드. MSI 크로스헤어 18 HX AI A2XWGKG-U9 QH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