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시리즈 중에서 아무래도 명작 (?) 라인업을 꼽으라면 아직도 지포스 RTX 30 시리즈를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아무래도 그 이유는 DLSS 관련 그리고 프레임 제네레이션이 적용되지 않아 순수하게 쿠다 코어의 숫자를 늘려가면서 성능 차이를 갖게 되어 라인업을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지포스 RTX 3080, 3090 정도의 시리즈를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특별하게 현재 RTX 50 시리즈에 대한 업그레이드에 대한 욕심이 많이 않을 듯하며 최근 들어서는 지포스 RTX 5090 시리즈 보다는 지포스 RTX 4090 이 조금 더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감안해 보면 더더욱 그러하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 에즈윈
▲ 간략 스펙 : RTX 3080/PCIe4.0x16/정격파워750W 이상/전원 포트: 8핀 x2/가로(길이): 311mm/베이스클럭: 1440MHz/부스트클럭: 1710MHz/스트림 프로세서: 8704개/GDDR6X/출력단자: HDMI2.1, DP1.4/지원정보: 8K 지원, HDR 지원, HDCP 2.3/3팬/두께: 50mm/백플레이트/A/S 3년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는 3개의 팬을 갖고 있는 외형을 갖고 있는 그래픽카드이다. 그래픽카드의 외형은 모두 알루미늄 풀-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서리 부분은 다이아몬드 커팅 처리를 해서 깔끔한 외형을 보여준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의 두께는 약 2.5 슬롯을 갖고 있는데 최근 지포스 RTX 5070 모델 들의 일반적인 두께를 갖고 있다고 보면 될 듯 하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는 총 2개의 8핀 12V 커넥터를 통해 전력을 입력 받는데 전체적인 소비전력은 이어지는 소비전력 측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의 후면도 알루미늄 백-플레이트로 마감이 되어 있으며 팬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후면으로 투과되기 위한 타공으로 처리 되어 있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의 출력 단자는 3개의 디스플레이 단자와 하나의 HDMI 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들의 출력 단자 구성을 취하고 있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 에즈윈의 GPUZ 정보 확인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의 전력 소모량은?
출시가 된지 아무래도 시간이 지난 만큼 최근 출시된 B860 칩셋 메인보드에서 소비전력을 측정해봤다. 그리고 앞서 설명을 했듯이 지포스 RTX 30 시리즈는 최대 PCIe 4.0 16배속을 지원하므로 이에 대한 지원, 호환성 여부도 확인을 해봤다.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 에즈윈 의 아이들 상태 소비전력 - 약 30W 내외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 에즈윈, 아이들 상태에서 게임을 실행했을 때 소비전력 피크 파형
▲ 액슬 지포스 RTX 3080 D6X 10GB - 에즈윈 의 최대 소비전력 - 약 260W 내외의 전력을 소비한다.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80 의 소비전력 부분은 아이들 상태에서 약 30W 내외를 그리고 풀-로드로 게이밍 환경에서는 약 260W 정도로 측정이 되었다. 이 수치는 엔비디아에서 발표한 전력 소비량 수치에서 동일한 전력이 측정이 되었다. 엔비디아 파운더스 에디션과 조금 다른 점은 아무래도 3개의 팬이 그래픽카드의 전체적인 열기를 식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게이밍시, 풀로드 시 조용하고 강력하다.
■ 지포스 RTX 3080 를 굳이 사야되는 건가?
최근에 출시되는 메인보드들, 인텔의 경우는 800 시리즈 칩셋 AMD의 경우도 800 시리즈 칩셋은 그래픽카드 사용을 위한 PCIe 버전은 5.0 를 지원하며 하위 4.0 까지도 무난하게 지원한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의 경우는 최대 PCIe 4.0 버전을 지원하며 하위 3.0 까지 지원해 최신 메인보드에서도 사용하는데도 크게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와 파워의 연결은 12V 8핀 커넥터 2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800W 대 이상의 파워를 선택한다면 크게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듯 하다.
간단하게 최신 게임 중에서 상당히 높은 최적화도를 갖고 있는 스텔라 블레이드의 프레임 테스트를 통해 현재 지포스 RTX 3080 의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 스텔라 블레이드의 3가지 해상도에서의 평균 프레임 및 1% 로우 측정 값
우선 지포스 RTX 30 시리즈에서는 DLSS 옵션 중에서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통해 지포스 RTX 40 시리즈, 50 시리즈 등은 큰 폭의 프레임 향상이 있지만 아쉽게도 지포스 RTX 30 시리즈에서는 그렇치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T 옵션 및 업스케일링 옵션 등을 활성화 하지 않고 예전 표준 화질 설정이라고 볼 수 있는 TAA 정도를 활성화 시키게 되면 흔히 이야기 하는 그래픽카드의 깡 성능을 측정해 볼 수 있는데 측정된 결과는 위 표와 같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 중에서 비교적 하이엔드 등급을 갖고 있는 만큼 현재 게이밍 환경에서도 결코 떨어지지 않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지금의 그래픽카드 종류 중에서는 가장 비슷한 성능을 내는 제품이 지포스 RTX 5070 정도 라고 볼 수 있는데 각기 해상도 별로 5 ~10 프레임 정도 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었다. 구형 보다는 신형 그래픽카드가 좋은 부분은 아무래도 해당 게임에서 DLSS4. 프레임 제네레이션 등을 지원했을 때 그 성능 차이를 볼 수 있지만 FHD, QHD 해상도에선 그 혜택을 보기 힘들고 QHD, UHD (4K) 해상도에선 그 성능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구형 프로세서 및 구형 메인보드를 아직도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특히나 AM3, AM4 등 구형 라이젠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분들 그리고 아직도 현역 프로세서라고 볼 수 있는 10세대, 혹은 11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면 지포스 RTX 308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구입해도 호환성 부분에서도 게이밍 환경 부분에서 장점을 찾을 수 있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