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M5 라이젠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위한 현명한 선택,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 제이씨현

2025.08.14. 13:22:05
조회 수
314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AMD 라이젠 프로세서는 X3D 프로세서 그리고 라이젠5 7500F 프로세서가 주력이다.  고가의 비싼 라인업이라고 볼 수 있는 라이젠7 7800X3D, 9800X3D 는 경쟁 프로세서가 없는 만큼 당분간의 독주는 계속 될 분위기이다.  문제는 이 두가지 프로세서 외에 라이젠 프로세서 판매량이 그다지 높지 않은데 최근 들어 경쟁사의 프로세서가 가격인하를 한 정책 변화도 변수가 되고 있지만 AMD 입장에서 많이 판매가 되어야할 프로세서인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의 가성비 자체가 좋지 않은 탓도 있다.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는 8월 초 기준으로 보게 되면 멀티팩의 경우는 29만원 선, 리테일 박스 제품의 경우는 32만원 선에 판매가 되고 있다.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가 판매가 되기 위해선 가격적인 부분이 선행되어야 하다 보니 그 공을 고스란히 넘겨 받은 주변기기가 "메인보드" 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기가바이트의 B860M FORCE 메인보드는 이런 정확한 포인트를 타격하기 위한 메인보드로 라이젠5 등급의 프로세서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라이젠7 7800X3D 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전원부 및 메모리 슬롯 등 타이트하게 디자인한 제품이다.   이런 메인보드 디자인에서 기본 성능 만큼은 포기하지 않은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의 최근 성향을 살펴보도록 하자. 


■ GIGABYTE B850M FORCE 제이씨현



▲ 간략 스펙 : AMD(소켓AM5)/AMD B850/DDR5/VGA 연결: PCIe5.0 x16/M-ATX (24.4x24.4cm)/전원부: 8+2+2페이즈/페이즈당60A/Vcore출력합계: 480A/ [메모리] 9600MHz (PC5-76800)/2개/메모리 용량: 최대 128GB/XMP/EXPO/ [확장슬롯] PCIe버전: PCIe5.0, PCIe4.0/PCIex16: 1개/PCIex16(at x4): 1개/ [저장장치] M.2: 3개/SATA3: 4개/M.2 연결: PCIe4.0, NVMe/ [후면단자] HDMI/DP/USB3.x 10Gbps/USB3.x 5Gbps/USB 2.0/RJ-45/오디오잭/PS/2/USB A타입: 5개/USB C타입: 1개/ [랜/오디오] 유선랜 칩셋: Realtek/2.5Gbps/RJ-45: 1개/오디오 칩셋: Realtek/7.1채널(8ch)/ [내부I/O] USB/팬 헤더: USB3.0 헤더, USB2.0 헤더, USB3.0 Type C 헤더, RGB 12V 4핀 헤더, ARGB 5V 3핀 헤더, 펌프전용 헤더/시스템팬 4핀: 2개/I/O 헤더: TPM 헤더, 프론트오디오AAFP 헤더/전원부 방열판/M.2 히트싱크/일체형IO실드/UEFI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는 총 2개의 메모리 뱅크 만을 갖고 있는데 표준적으로 대부분의 유저들이 2개의 DDR5 메모리를 듀얼 채널로 구성하는데 이에 따라서 크게 문제가 없는 숫자다.  이 2개의 메모리 뱅크 만을 갖게 되면 최대 설치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은 128GB 정도로 제한이 되지만 짧아진 프로세서-메모리 간의 패턴으로 인해 오히려 높은 클럭의 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다.  스펙에 따르면 최대 DDR5-9600 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속도, 스펙은 DDR6 로 넘어가기 전에 최대 속도이다.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의 전원부 구성은 디지털 VRM DR.MOS펫 기반의  8+2+2 페이즈 구성을 갖는데 페이즈당60A 출력을 낸다.  프로세서만을 위한 Vcore 출력 합계는 8 X 60A = 480A 이다.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에는 부팅시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주변기기들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는 이지 디버그 LED 가 있으며 24핀 전원 커넥터 만을 꼽아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플래시백 버튼은 IO 쉴드가 아닌 메인보드에 온보드 스위치로 제공한다.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에는 총 4개의 SATA3 포트를 갖고 있는데 조립시 그래픽카드에 케이블이 걸리지 않도록 수평으로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이며, 추가적으로 USB 3.2 루트 헤더도 역시 수평으로 꼽는 형태이다.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에서는 리얼텍 ALC897 사운드 코덱와 2.5Gbps 유선 인터넷을 위한 RTL8125D 가 사용되었다.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의 그래픽카드 연결은 PCIe Gen5 16배속을 지원하며 그래픽카드를 단단하게 지지하기 기가바이트 울트라 듀러블 PCIE GEN5 아머 슬롯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이 편리한 탈부착을 위해 슬롯 후면이 엣지 손잡이는 오늘쪽 측면이 큰 가이드가 적용되었다.


총 3개의 M.2 2280 SSD 장착이 가능 (Gen5, Gen4) 






▲ M.2 connector (M2A_CPU), 라이젠 9000/7000 프로세서  PCIe 5.0 x4/x2 지원


이 메인보드에는 총 3개의 M.2 2280 슬롯을 갖고 있는데 2개는 프로세서의 PCIe 레인에 마지막 하나는 B850 칩셋의 PCIe 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 마이크론 T710 Gen5 x4 2TB 모델 하나로 3개의 슬롯에 각기 연결을 해서 연속 읽기 및 쓰기 속도를 측정해봤다.



▲ M.2 connector (M2A_CPU) Gen5 x4,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 및 마이크론 크루셜 T710 2TB 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 M.2 connector (M2B_CPU), 라이젠 9000/7000 프로세서 PCIe 4.0 x4/x2 SSDs / M.2 connector (M2C_SB) B850 칩셋에서  PCIe 4.0 x2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첫번째 M.2 2280 슬롯은 알루미늄 소재의 방열판을 기본 제공 되며 SSD의 장착은 방열판에 있는 나사를 통해 마운트가 된다.  그 외에 2개 M.2 2280 슬롯은 플라스틱 소재의 고정핀으로 마운트가 된다.  각기 동일한 마이크론 크루셜 T710 을 장착했을 때 연속 읽기 및 쓰기 속도는 아래와 같다. 


 

▲ M.2 connector (M2B_CPU) Gen4 x4,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 및 마이크론 크루셜 T710 2TB 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 M.2 connector (M2C_SB) Gen4 x2,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 및 마이크론 크루셜 T710 2TB 의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



▲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IO 쉴드 구성은 총 6개의 USB 포트와 2개의 화면 출력 포트 그리고 PS2 콤보 포트를 제공한다.  USB 포트의 구성은 하나의 USB 타입C 포트 그리고 2개의 USB 2.2 포트 등을 제공한다.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바이오스 보기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어느 정도 옵션 수정을 통해 튜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필자의 경우는 대부분 기본값을 두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편인데 그 이유는 아무래도 대부분의 메인보드 제조사들이 장착되는 프로세서에 맞게 최적의 세팅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여러가지 옵션을 통해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소비전력, 수동적인 PBO 의 설정은 넉넉한 쿨링 시스템을 사용해야하고 높아진 클럭, 소비전력 등으로 인한 팬의 소음도 동반 상승하는데 이를 또 제어하기 위한 확인되는 온도를 통한 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등 여러가지 부수적인 설정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를 통한 게이머들, 혹은 사용자들의 성능 체감은 사실상 미비하다.  오히려 심리적인 안정감이랄까?  이 부분에서는 만족 할 것인데 필자의 생각으론 최근 프로세서의 오버클럭킹이 의미가 없을 정도로 인텔, AMD 모두 스펙을 꾹꾹 짜서 넣기 때문에 게임내 프레임 수치를 늘리는 것이 본인 만족이라면 그 만큼 불안정해 질 수 있는 조건이 생기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대비를 하고 바이오스 옵션 등을 튜닝 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스탑 드라이버 설치, 기가바이트 GCC 사용하기


몇 년 전부터 인텔, 엔비디아, AMD 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딩 및 설치를 해야 했던 윈도우 설치 부분에서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해 메인보드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드라이버 다운로딩 및 설치 방식으로 달라지고 있는데 최근 출시된 모든 메인보드 제조사들이 동일한 루틴으로 자사의 앱을 다운로딩 설치 후, 자동적으로 최신 드라이버 및 바이오스를 검색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윈도우 초기 설치 후 각기 필수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기 때문에 믿고 기가바이트 컨트롤 센터 (GIGABYTE CONTROL CENTER) 앱을 꼭 활용하길 권한다.  



▲ 메인보드 바이오스 옵션 중에서 GCC 설치 부분은 기본값으로 활성화가 되어 있다.  한번 드라이버 설치 후에는 비활성화가 된다. 




▲ GCC 설치 옵션 중에서 첫번째 있는 노턴 안티바이러스 설치 부분과 마지막 총 3개의 옵션 정도를 비활성화 해서 설치를 해주게 되면 크린하게 하드웨어 드라이버 및 기가바이트 앱 등을 설치할 수 있다. 




▲ 기가바이트의 그래픽카드외 기가바이트 RGB 퓨전을 지원하는 게이밍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위 이미지 처럼 RGB LED 를 하나로 통일되게 그리고 다양한 RGB 효과 등을 커스터마이즈를 할 수 있다.  



▲ GCC 안에 포함되어 있는 RGB LED API (모듈)이 설치되게 되는데 완료한 후에는 "윈도우 제어판 > 개인 설정 > 동적 조명" 를 통해 RGB LED 를 커스터 마이즈할 수 있다.   




▲ 기가바이트 GCC 앱 에서 퍼포먼스 탭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서 및 게이임 메모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을 했듯이 기가바이트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GPU의 최대 부스트 클럭 및 그래픽카드 메모리 클럭을 간단하게 모니터링 및 오버클럭킹을 할 수 있도로 돕는다. 


■ 가성비를 맞추지만 기본성능을 포기하지 않는다.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 


기사를 통해 소개한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는 메인스트림으로 판매하고 있는 마이크로 ATX 규격의 메인보드에서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메모리 뱅크의 숫자를 줄였다.  전체적인 용량을 사용하는데 물론 제한이 생기긴 하지만 테스트로 사용된 DDR5-8000 24GB x2, 전체 48 GB 모듈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래서 16GB x2 메모리를 설치하는데 메모리 용량이 조금 부족한 듯하다 하면 이 DDR5 24GB x2 용량을 사용하길 권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론 메모리는 가장 가성비가 높은 XMP, EXPO 지원 DDR5-6000 CL30 모델을 사용하길 권한다.  이 메모리 속도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것과 같이 라이젠 프로세서의 메모리 컨트롤러와 함께 가장 최적의 게이밍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 라이젠5 9600X 프로세서와 지스킬 DDR5-8000 24GB x2 전체 48GB 메모리를 사용했을 때 윈도우11 의 작업 관리자 모습
 


AM5 소켓은 언제까지 가는 건가? 


자, 이 지금에서 사용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건 바로 이 AM5 소켓이 언제까지 지속되느냐 하는 부분이다.  지금 AM5 소켓은 7000, 8000, 9000 시리즈 이렇게 총 3개 세대 라이젠 프로세서가 이를 지원하고 있다.  AMD의 공식적인 오피셜은 2024년에 컴퓨텍스를 통해 기자들의 Q&A 에서 언급이 되었는데 AM5 소켓은 2027년+ 까지 라고 밝혔다.  2027년 이라는 시간은 현재 라이젠 프로세서의 출시 주기 등을 고려해보게 된다면 내년 정도 예상되는 차세대 프로세서 까지 지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 구입하게 되는 AM5 지원 메인보드들은 3년 정도의 워런티 기간 등을 고려하게 된다면 한번 정도 차세대 프로세서를 안정적으로 교체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듯 하다. 


오늘은 간단하게 기가바이트에서 출시한 B850M FORCE 메인보드를 통해 현재 AMD 라이젠 프로세서와의 궁합 그리고 미래에는 어느 정도까지 이 메인보드를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을 알아봤다.   최근 인텔의 공격적으로 가격 인하를 하고 있는 가운데 AMD 라이젠 프로세서가 가격 인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라는 메인보드 제조사들이 가성비를 올리기 위한 어떤 전략으로 메인보드를 디지안, 설계, 출시를 했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기가바이트 B850M FORCE 메인보드는 메모리의 뱅크의 숫자를 줄이긴 했지만 사용자들이 시스템 메모리 보다는 M.2 2280 SSD 스토리지 추가를 통해 선호 한다 점을 고려해 3개의 M.2 2280 슬롯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력 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이 150 ~ 200W 대 라는 점을 감안한 타이트한 전원부 구성 등을 가진 제품이었다.   현재 AMD 라이젠 프로세서를 통해 게이밍 시스템 혹은 업무용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분들이라면 이 메인보드를 한번 구매 리스트에 올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하다.


최신 리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12년만에 새롭게 제대로 열린 현대전장, 배틀필드 6 (1) 보드나라
[리뷰] BMW 330e에서 테슬라 모델Y 주니퍼 대신 모델3 하이랜드로 바꾼 이유보조금, 무이자(제로 프로모션), 실사용 후기까지 전부 담았습니다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Segotep NR12 ARGB PWM : 인피니티 미러와 ARGB로 꾸미기 (1) 쿨엔조이
아 결국 샀네. 으!! 플레이스테이션5 Pro 언박싱. #ps5pro #unboxing (1) 동영상 있음 DmonkTV
오징어게임 보다 강한 최고의 맥주안주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가벼운 아이폰 에어를 위한 벨킨 SheerForce Clear Series 맥세이프 인증 케이스 (1) 브레인박스
PD 100W까지 필요한건 다 갖춘 USB 허브,ipTIME UC306HDMI-1G (1) 보드나라
버그와 함께 끝나버린 5시간의 모험, 리틀 나이트메어 3 게임메카
롤도 되면서 PPT작업 할 사무용 컴퓨터 어디 없나? 동영상 있음 다나와
영상편집&디자인 그리고 게임도 전문가여야 하니까 동영상 있음 다나와
게이밍PC 조립 귀찮으시죠? 동영상 있음 다나와
깔끔하게 잘 만든 미니PC BOSGAME M4 Neo 미니PC 하지만 이건 아쉽네! (1)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깃털 처럼 가벼운 무선 게이밍 마우스, CORSAIR SABRE v2 PRO ULTRALIGHT WIRELESS 브레인박스
MSI MAG 코어프로저 AA13 ARGB : MSI 보급형 공랭 쿨러! (1) 쿨엔조이
마이크론 Crucial T710 히트싱크 M.2 NVMe 아스크텍 (2TB): 프로 레벨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속 NVMe SSD (6) 쿨엔조이
브론즈라 쓰고 실버라 읽는다! ‘darkFlash 퍼펙트모스트 700W 80PLUS브론즈 ATX3.1 블랙’ 뉴스탭
플스의 가치는 독점 게임을 통해서만 드러난다... 2025년 네 번째 머스트 해브 게임 《고스트 오브 요테이》 리뷰 (스포일러 없음) (1)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얼마면 팔래? 최첨단 프라이드 전시! 위풍당당 기죽지 않는 기아산업 최신 프라이드 신사용 플리마켓 상사용 초대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소소하면서 멋진 ARGB 튜닝, 마이크로닉스 EZDIY-FAB SHIELD ATX 24핀 90도, 180도 어댑터 (2) 브레인박스
생일선물로 키보드는 어떰? 선물하기 좋은 5만원 이하 짱구 키보드, 레트로 기계식 키보드, 예쁜데 키감까지 좋은 키보드까지 싹 모아봄 (2)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