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사태와 AI 붐의 영향,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 상황 등의 영향으로 그 이전과 비교해 그래픽 카드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였고, 그 때문에 최신 제품군의 엔트리급 모델마저 20만원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물론 세대가 바뀌고, 가격이 오른 만큼 가격이 성능도 높아졌지만 이제는 반도체의 순수 성능 향상이 한계에 부딪힌 것인지, 순수 성능 향상폭이 게이머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 아쉬움을 남이고 있다.
그래서 이제 절대적인 순수한 성능보다 AI 기술을 결합해 성능과 품질을 끌어 올리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DLSS 4다. 기존에는 1프레임만 생성하였지만 이제는 최대 3프레임까지 생성하면서 성능을 개선하는 것.
그렇다면 DLSS 4 사용이 가능한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막내인 지포스 RTX 5050은 어느 정도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까?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와 함께 알아본다.
Full HD 엔트리급의 쾌적한 환경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는 TGP 130W의 엔트리급 모델로, 제로 RPM 팬 기술을 통해 쿨링팬의 수명과 소음, 냉각 성능의 균형을 잡은 것이 특징이다. 사진에서 보듯 한쪽 쿨링팬 전체 영역에 달하는 스크린 쿨링 설계를 통해 PC 내부의 공기흐름을 유도해 시스템 냉각 성능 개선을 꾀했다.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는 엔트리급 모델이지만 백플레이트를 사용해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크린 쿨링면에 인접한 그래픽 카드 중간 위치에 8핀 보조전원 커넥터가 배치되었다.
측면의 '고스트' 브랜드를 'ㄴ' 형태로 둘러싼 라인에는 RGB LED를 심어놨다. 게인워드는 그래픽 카드의 LED 조절과 오버클럭, 팬 커브 등 다양한 면을 커스텀할 수 있는 Expert Tool을 제공한다.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의 LED는 GPU 온도에 따라 특정 색상으로 변하거나, 단색, 레인보우, 점멸 등 사용자 취약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과 동작 패턴을 지정해줄 수 있다.
쿨링 솔루션을 분리하면 구리 재질의 GPU 베이스, VRAM가 모스펫의 발열을 흡수하는 일체형 써멀 블록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내부의 발열을 전체 방열핀에 빠르게 고루 전달하도록 히트파이프 배치도 볼 수 있다.
GPU 전원부는 정격 50A 전류 공급이 가능한 Vishay Silicnix社의 SiC653A DrMOS 기반 3페이즈 구성, VRAM쪽에는 듀얼 N 채널 강화 모드 모스펫인 SM7342EK 기반 2 페이즈 전원부 구성을 볼 수 잇다.
3DMark Steel Nomad Stress Test 기준, GPU 온도는 대략 70℃ 초반대를 유지하고, 프레임 유지율도 99.3%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제로 RPM 팬 기술의 경우 해당 테스트에서 GPU 온도 상승시 64.5℃에서 동작을 시작하고, 이후 GPU 온도 하락 시 40℃에 도달하면 팬의 회전을 멈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LSS 4와 함께 최신 고사양 게임도 OK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의 게임 성능은 어떤지 점검했다. 일반적인 프리셋과 업스케일링, DLSS 4를 적용했을 때의 결과를 비교한 것으로, 스텔라 블레이드/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세누아 사가 헬블레이드 II/ 사이버펑크 2077의 결과다.
업스켈일링과 DLSS 4를 적용하면 사이버펑크 2077의 경우 거의 다섯 배, 둠 더 다크 에이지스는 3.6배의 성능을, 스텔라 블레이드와 세누아 사가 헬 블레이드 II는 약 2.8배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지포스 RTX 3050의 레퍼런스 출력 포트 구성은 2개의 DP 포트와 1개의 HDMI 포트인 것과 비교해, 지포스 RTX 5050은 3개의 DP 포트와 1개의 HDMI 포트를 제공한다.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의 출력 포트 역시 레퍼런스 출력 포트 구성에 부합하는 3개의 DP 포트와 1개의 HDMI 포트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조정없이도 4개의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다.
대세는 인공지능, DLSS 4와 함께 가는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
지포스 RTX 5050은 출시되기까지의 기간에 당연히 기대되는 정도에 비해 성능 향상폭이 아쉽고, 공식 출시된 후 한 달을 넘어 두 달을 향해 가는 시점이기에 아직 가격이 기대보다 높은 상황인 것도 평가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기존 동급 모델인 지포스 RTX 3050과 같은 MSRP에 훨씬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 4를 통해 반도체 자체 성능의 한계를 돌파한 경험이 가능한 것이 바로 지포스 RTX 5050이다.
GAINWARD 지포스 RTX 5050 고스트는 여기에 유통사인 디앤디컴의 다이나믹 케어 서비스를 적용받을 수 있다. 무상 3년 서비스를 기본으로 구입 1년간 왕복 택배비 무료, 상담 이력 관리, 서비스 후 재불량 시 보증 기간 연장, 서비스 대행사에 대한 불만시 중재 지원으로 구성된 서비스다.
매 세대 엔트리급 모델이 나오던 시기도 있지만 이제는 출시 간격이 그보다 길어졌고, 진정한 의미의 엔트리급인 xx30 모델은 지포스 10 시리즈(GTX 1000) 이후 신제품이 나오지 않고 있다. 그만큼 엔트리급 모델을 사야하는 게이머는 강제로 장기 사용해야 하니 제품 자체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유통사의 사후 지원도 잘 따져보자.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