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테라급의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사용할 만큼 데이터의 활용폭이 상당히 커진 상태다.
스토리지 수요와 용량이 증가할수록, 대용량 데이터 소실의 잠재적인 위험 또한 함께 높아지고 이는 기업 운영의 취약점으로 작용한다.
다만,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커질 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한번에 유실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도 사실인지라, HDD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성능 보다 우선되는 것이 안정성과 내구성 같은 부분들이다.
특히나, 고용량의 스토리지를 주로 사용하면서도 장시간 스토리지를 구동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환경에서는 더욱이 스토리지의 안정적 동작을 요구하게 된다.
최근들어 계속해서 늘어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 공간 수요, 거기에 더불어 NAS로 점철되는 다양한 활용 영역에서의 스토리지 안정성까지 모두 갖춘 스토리지가 계속해서 필요하게 되고 있다.
대표적인 스토리지 제조 업체인 웨스턴디지털(Western Digital, 이하 WD)은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는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시리즈가 바로 WD 레드 시리즈다.
그리고 얼마전, 고용량의 최신 모델인 WD 레드 프로 26TB가 출시되었으며 이 제품은 멀티베이 레이드 기반 NAS에서 대응이 가능하고, 진동부터 외부 충격까지 보호할 수 있는 센서 적용, NAS에 대한 최적화 요소 등등, 대용량의 저장공간이 필요한 중대형 비즈니스 환경, 크리에이티브 전문가, 엔터프라이즈 NAS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선보여졌다.
케이벤치에서는 NAS 환경에서 계속 요구 되고 있는 스토리지 수요에 대한 해답으로 WD가 내놓은 이번 WD Red Pro 26TB NAS HDD 제품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 3.5인치 헬륨 드라이브, 26TB 고용량 스펙
이번 WD Red Pro 26TB NAS HDD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는 3.5인치 폼팩터로서 여타 다른 HDD와 크기적으로 차이가 없다.
디테일한 외형적인 모습까지도 딱히, 다른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 HDD와 거의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역시 SATA 3.0, 6Gb/s의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모습으로, 일반적인 데스크톱, NAS에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HDD다.
실제로 NAS에 활용하기 위해 태어난 HDD이긴 하지만 원한다면 일반적인 HDD처럼 데스크탑 PC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제품이다.
주요 스펙을 살펴보자면, 일단 네이밍에서도 알 수 있듯이, 26TB라는 초대용량을 구현했는데, 이는 헬륨 충전 기술을 통해 완성된 용량이다.
헬륨 충전 기술은 헬륨을 통해 내부 마찰을 줄이고 소음과 발열을 낮춰 더욱 정밀한 설계를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그로인해 더욱 높은 용량 구현이 가능하게 됐다.
한편으로, NAS HDD는 성능의 우선순위가 낮다고 이야기 되지만, 그럼에도 WD Red Pro 26TB NAS HDD 모델은 고급형 NAS 모델로서 CMR 방식을 사용하며 플래터 회전수를 5400RPM이 아닌 더 빠른 7200RPM을 도입했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캐시 메모리를 512MB까지 늘려서 최고용량 NAS HDD임에도 불구하고 성능까지 확보한 최고용량, 최고성능의 NAS HDD로 구현됐다.
■ RV 센서, OptiNAND 기술 적용
WD Red Pro 26TB NAS HDD는 성능을 더욱 높이는데에 새로운 기술 도입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번에 적용된 옵티낸드(OptiNAND)기술은 HDD에 플래시 메모리를 결합, 성능을 더욱 확보하는 기술이 적용됐다.
옵티낸드는 HDD 내부에 탑재된 임베디드 플래시를 활용해 데이터의 구조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 뒤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 과정을 최적화해 성능을 확보한다.
회전 진동 (RV) 센서는 NAS HDD들의 필수 센서라고도 할 수 있는데, NAS HDD는 보통 단일보다는 여러 NAS HDD가 협소하게 모이는 공간에 장착되게 된다.
그런부분에서 생기는 진동은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HDD의 다양한 부품에 영향이 가기 마련이다. 그러한 것을 최대한 줄이고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한 진동 센서가 RV 센서라고 볼 수 있다.
진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플래터와 헤드간의 간섭을 줄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 실제 활용 테스트
본격적인 활용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NAS HDD이지만, 먼저 일반 데스크탑 PC에서 HDD의 기본적인 테스트와 성능을 간단하게 진행해보았다.
CrystaldiskMark 및 info를 활용해서 기본적인 정보와 PC 환경에서의 전송 속도를 확인해보았다.
공식 스펙표에 따르면, 최대 전송속도가 287MB/s라고 표기되어 있었는데, 실제 테스트 결과도 거의 근접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읽기/쓰기가 아닌 무작위 읽기 쓰기 성능 역시 무난한 HDD 수준으로 확인되는 모습이다.
NAS에서의 활용을 살펴보기 위해 테라마스터 F6-242 MAX NAS를 준비해 간단하게 구동시켜 보았다.
참고로, WD Red Pro 26TB NAS HDD는 NAS 환경에 최적화 펌웨어인 NASware가 적용되어 있다.
NAS 환경은 앞서 이야기 했듯이 일반적으로 다수의 NAS HDD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부분에서 기존 구형 NAS HDD들은 멀티베이 환경을 지원하긴하지만 그 수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WD Red Pro 26TB NAS HDD는 무제한 수의 멀티 베이 및 레이드 환경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가능만 하다면 계속해서 스토리지가 필요할때마다 HDD를 추가해서 스토리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이 추가되는 HDD와 함께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확장성의 장점이 차별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테라마스터 OS인 TNAS에 포함된 벤치마크 테스트도 진행해보았다.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모습을 보였고, 성능 역시 충실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중견, 대형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NAS, 크리에이티브들이 사용할만한 NAS, 각종 상업용 및 엔터프라이즈 NAS 환경에서도 적극 사용하는데에 전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고용량 데이터인 영상 원본 데이터를 복사해보며 실 성능도 확인해보았는데, 일반 HDD의 두배에 달하는 성능으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옮겨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번 WD Red Pro 26TB NAS HDD는 제조사의 스펙에 따르면, 연간 최대 550TB의 워크로드를 감당할 수 있고, 평균무고장시간인 MTBF가 250만 시간이라고 밝히고 있다.
일반적인 스토리지의 MTBF가 일반적으로 100만 시간인 것을 생각해보면, NAS HDD답게, 그리고 고급형 라인업 답게 엄청난 워크로드와 안정적인 사용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 고용량, HDD중에서도 최고 수준의 NAS HDD
이번 WD Red Pro 26TB NAS HDD는 최고 수준의 용량인 26TB를 구현해 요즘 NAS 사용자들이 계속해서 필요로하는 용량 확보라는 목적을 해결하는데 가장 제대로된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품이라 생각된다.
웨스턴디지털이 NAS 전용 HDD라는 라인업을 처음으로 구축하면서 시작된 라인업의 최신 제품에 걸맞게 이러한 솔루션이 필요한 기업, 전문가들에게 어필 할 수 있는 스펙과 기술, 기능들이 접목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용량, 무제한적인 멀티베이 및 레이드 확장 지원, OptiNAND 기술, RV 센서를 기반으로한 안정적인 사용환경 구축, 550TB의 연간 최대 워크로드 지원 및 250만 기산의 MTBF 지원등으로 24시간 연중무휴 사용 가능한점 등등 꾸준한 사용을 위한 제품으로서 완성도가 상당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본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AI와 관련된 데이터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스토리지 용량 확보면에서도 더욱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이러한 WD Red Pro 26TB NAS HDD의 안정적이고 고용량, 그리고 고성능의 HDD의 수요가 계속해서 확대 될 것은 자명해보인다.
이번 WD Red Pro 26TB NAS HDD는 5년의 제한적 보증기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기본적인 제품의 안정성을 떠나 믿을 수 있는 웨스턴디지털의 보증까지 함께 하고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WD Red Pro 26TB NAS HDD 제품이 고가의 제품임에는 틀림 없지만, 용량 대비 가격, 그리고 적용 된 기술과 그 기술로 보호되는 데이터들의 가치를 생각한다면, 기업, 혹은 비즈니스 환경과 전문적인 작업 환경에서는 충분히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스토리지가 아닐까 싶다.
기사원문 : https://kbench.com/?q=node/270212 Copyrightⓒ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