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
노트북의 본질은 휴대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대다수입니다. 시장에서의 평가도 이와 비슷했죠. 하지만 1인 가구가 늘어나고,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이 커지면서 이런 인식이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크고 무거워서 휴대하기 힘든 게이밍 노트북이 어쩌면 작은 PC로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질문으로 말이죠. 8평 남짓한 작은 원룸에 고사양 게이밍 PC와 모니터 그리고 게이밍 기어까지 비치하기에는 책상이 비좁을 테니까요. PC에 활용할 예산이 충분하더라도 이런 상황에서는 모든 것을 갖춘 게이밍 노트북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 만나볼 제품은 하드웨어적인 면에서 그야말로 풀옵션을 갖춘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이름은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 CPU로는 AMD 3D-V Chache를 앞세운 강력한 모바일 게이밍 프로세서인 AMD Ryzen 9 9955HX3D를, 외장 GPU는 모바일 끝판왕 NVIDIA 지포스 RTX 5090 Laptop을 탑재했습니다. 끝판왕답게 18인치 대화면 UHD+(3840 x 2400) 120Hz 미니 LED 디스플레이를 갖췄고, 스피커도 4개에 우퍼 2개까지 장착했죠.
[다나와 AMD Ryzen AI 프로세서 기획전 보러 가기]
예산은 충분하지만, PC를 거치할 공간이 부족한 소비자라면 이번 '다나와 AMD Ryzen AI 프로세서 기획전'을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다양한 AMD Ryzen 모바일 프로세서를 탑재한 게이밍 노트북을 한눈에 보고 비교할 수 있으니까요. 그 중에서도 풀옵션 노트북은 어떻게 생겼고, 어떤 성능을 보여줄 지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CPU 벤치마크 설정 ]
● 메모리 - '기본 (SPD)' 설정
● 팬 속도 - '자동' 설정
[ 게임 벤치마크 설정 ]
● 전력 제한 - MSI Center에서 '극한의 성능' 모드 설정
● 팬 속도 - '자동' 설정
● 메모리 - '기본 (SPD)' 설정
● 지포스 RTX 5090 Laptop - '외장 CPU' 설정 (MUX 스위치 지원), '드라이버 573.22' 사용
▲ X-Rite i1 Basic 3 PRO PLUS / 코니카미놀타社 CA-410 VP427 프로브
쿨엔조이에서는 OLED, Mini 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더욱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CA-VP427 / i1 Basic 3 PRO PLUS 2가지 장비를 도입하였습니다. CA-VP427 색도계는 0.0001cd/㎡ 매우 낮은 수준의 휘도 측정이 가능하며, 저휘도 반복성이 높아 LCD뿐만 아니라 TrueBlack을 구현하는 OLED 측정에도 운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여기에 분광 광도계인 i1 Basic 3 PRO PLUS를 추가하여 추가적인 데이터를 확보 리뷰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모든 테스트는 진행 전 실내 온도 25℃의 암실에서 최대 밝기 상태로 2시간 가량의 에이징 과정을 거친 후 진행됩니다.)
3840 x 2400 (WQUXGA) 해상도에서 사용 가능한 주사율의 목록입니다. 최대 120Hz의 주사율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의 좌측 이너 베젤을 기준으로 촬영되었습니다.
본 제품의 서브 픽셀 구성은 RGB 서브 픽셀 구조로 확인되었습니다.
컬러 스펙트럼은 빛의 파장에 따른 밝기 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X축은 파장(측정 단위), Y축은 밝기(색의 강도)를 의미 합니다. 컬러 스펙트럼이 높다는 것은 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빛의 삼원색인 R/G/B의 각 파장이 뚜렷하게 구분될 수록 미세한 색상 차이를 더욱 세밀하게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색역은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범위를 뜻하며, 공식 리뷰에서는 두 가지 측정 기준인 CIE 1931과 CIE 1976을 함께 제공합니다.
CIE 1931은 가장 오래된 색좌표계로, 이론적으로 정의된 모델이며,
CIE 1976은 인간의 시각 인지와 색 간의 거리감을 더 정확히 반영하도록 개선된 기준입니다.
두 모델 모두 아직 적용되는 곳이 있기에 데이터를 포함하나, CIE 1976이 실제 눈에 보이는 체감과 더 가깝다는 점을 참고 바랍니다.
감마는 디스플레이의 밝기와 명암 대비의 수준이 어떠한 지를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로 컬러 프로필에 따라 각기 다른 표준 감마를 채용하고 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sRGB 프로필의 표준 감마는 2.2로 설정됩니다.
▲ 밝기 %에 따른 측정값
▲ 각 삼원색 휘도 측정값
● 테스트 설정 및 해석 방법
- 설정 : 테스트 시 적용된 밝기 %
- 백색 밝기 : 해당 %의 백색점의 밝기를 칸델라 수치로 표현
- 흑색 밝기 : 해당 %의 흑색점의 밝기를 칸델라 수치로 표현
- 대비 : 백색점 : 흑색점의 비율
- 백색점 : 흰색의 색온도를 켈빈 값으로 표현, 6500K 가 표준 값, 높을수록 파란화면, 낮을수록 붉은화면
- 1cd/㎡는 1㎡ 공간에 촛불 1개를 켠 것과 같은 밝기
- 별도 기관의 HDR 인증 제품의 경우 HDR 컬러 밝기가 추가됨, 기본은 SDR만 측정
● 기본 상태 측정 결과
- 화면 밝기 0% : 45.7cd/㎡
- 화면 밝기 100% : 519.9cd/㎡
- 대비 : ∞:1 (SDR, 밝기 100% 기준)
- 색온도 : 6429K (밝기 100% 기준)
● 기본 상태 측정 결과 - 컬러 최대 밝기 (최댓값)
- Red : 204.9cd/㎡
- Green : 595.5cd/㎡
- Blue : 63cd/㎡
- Value : 863.4cd/㎡
위 3가지 균일도 테스트는 화면의 각 구역별로 얼마나 균일한 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는 테스트 항목으로, 화면을 5x5 총 25개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 별로 백색/흑색/색온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산출합니다. 해당 테스트는 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패널 생산 라인 및 공장, 원장에서 사용된 부분 등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충분히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해당 데이터가 리뷰 제품을 대표하지 않는 다는 점을 참고 바랍니다.
디스플레이 색상 정확도 측정은 디스플레이의 색상 표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는 단계로 기준 패치와 측정된 패치값을 비교하여 dE00 기준에 맞춰 결괏값을 우측에 표기합니다. 값이 클수록 색차가 크며, 값이 낮을 수록 색차가 적습니다. 색차 값이 1 미만일 경우 사람의 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전문가용 모니터는 대개 평균 2 미만으로 팩토리 캘리브레이션이 진행되어 출고됩니다.
● sRGB 타깃의 기본 모드 기준 측정 결과 : 델타 평균 2.78
쿨엔조이에서는 모니터 및 TV 등의 시스템 전체 지연 시간과 자체 응답 속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NVIDIA LDAT v2 장비를 도입하였습니다. (모든 테스트는 진행 전 실내 온도 25℃의 암실에서 최대 밝기 상태로 2시간 가량의 에이징 과정을 거친 후 진행됩니다.)
▲ 응답속도를 "기본"모드로 설정한 뒤 측정한 결과
GTG(Gray To Gray) 응답속도 테스트는 픽셀이 하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모션 블러(잔상)의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테스트 방법입니다. 수치가 높아질수록 픽셀이 전환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가 느끼기에 화면을 움직일 때 번져 보이거나 콘텐츠가 깨지게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치가 낮을수록 화면 전환이 빠르게 일어나더라도 또렷한 상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일부 제조사는 패널에 부하(오버클럭의 개념 = OverDrive)를 주어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기술을 탑재하기도 합니다. 다만 이러한 OD기술은 화면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을 맺히기도 하기 때문에(역잔상), 사용할 경우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위 데이터의 Overshoot 수준을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 리뷰 제품의 경우 별도 응답 속도 모드를 지원하고 있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GTG 응답속도
기본 : 4.66ms
● Overshoot
기본 : 5.64%
* 제품의 작동 구조와 측정 방식의 한계로 인해 데이터는 9x9로 제작되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본 제품의 쿨링 솔루션은 블로워팬 총 2개 + 히트파이프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온도 / 소음 / 소비전력 측정 세부사항]
● 온도 측정
- MSI Center에서 제공하는 3가지 모드에 따른 CPU / GPU 온도 측정
- 사이버펑크 2077에서 노트북 기본 해상도 (3840 x 2400), 울트라 프리셋 설정 후 10분간 구동 시 CPU / GPU 온도 측정
- Cinema 4D 10분간 구동 시 CPU 온도 측정
● 소음 측정
부피 1.9 x 1.9 x 2 (m)의 이중 챔버 구조에 1 x 1 x 1 (m) 내부 구조의 규모로 설치된 무향실에서 CIRRUS RESEARCH CR-162B (Class2 타입)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CIRRUS에서 제공하는 Noisetools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온도 측정 시와 동일합니다.
● 소비전력 측정
시스템 전체의 IDLE / 평균 소비전력 (LOAD) / 최대 소비전력 (PEAK) 은 Power Meter 와트맨 HPM-100A 를 이용하여 측정
사이버펑크 2077 실행 후 10분간 LOAD 상황에서 노트북의 상판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입니다.
'친환경 저소음' : 49.9℃
'균형 잡힌' : 49.8℃
'극한의 성능' : 55.3℃
Cinema 4D 실행 후 10분간 LOAD 상황에서 노트북의 상판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입니다.
'친환경 저소음' : 42.5℃
'균형 잡힌' : 46.7℃
'극한의 성능' : 49.4℃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
18인치 규격에 모든 걸 담은 꿈의 게이밍 노트북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은 18인치 크기의 120Hz UHD+(3840 x 2400)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msi의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게이밍 노트북의 경우 대화면으로 분류되는 16인치 모델의 경우에도 눈과의 거리 때문에 추가로 게이밍 모니터를 연결하는 사례가 빈번한데, 해당 제품의 경우에는 책상에 두고 쓰기에도 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인 18인치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확장 포트의 경우에는 2개의 USB4 포트(Type-C 2개)와 USB 포트 6개, 랜 포트 1개, 3.5mm 헤드폰 단자 및 SD 카드 슬롯이 구성되어 충분한 확장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내부에 탑재된 하드웨어의 경우, AMD Ryzen 9 9955HX3D와 NVIDIA 지포스 RTX 5090 Laptop (TGP 175W)가 탑재되어 현존 게이밍 노트북 중에서 최고의 사양을 담고 있습니다. 메모리의 경우 SO-DIMM DDR5 슬롯 총 2개에 32GB RAM 2개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조립 지식이 있는 유저라면 손쉽게 노트북 하판을 탈거하여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장장치로는 PCIe 5.0 x4 NVMe SSD 2TB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메인보드에는 총 2개의 NVMe 슬롯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추가적인 용량이 필요한 경우 M.2 2280 규격 SSD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분해가 어려운 소비자라면 SD 카드를 추가하거나, 빠른 속도를 원하는 경우에는 USB4 확장형 저장장치를 활용하여 손 쉽게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Intel Ultra 9 275HX의 성능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은 AMD 모바일 프로세서 시리즈의 최상위 모델인 Ryzen 9 9955HX3D를 탑재하였습니다. 그리고 외장형 GPU는 NVIDIA 지포스 RTX 5090 Laptop을 조합하였죠. 최고의 프로세서와 GPU를 조합한 결과 쿨링 및 전력 설정에 따른 성능 차이가 발생합니다. PUBG: 배틀그라운드와 사이버펑크 2077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친환경 저소음 모드와 균형 잡힌 모드 사이의 차이보다 균형 잡힌 모드와 극한의 성능 모드 사이 성능 차이가 더 크게 확인됩니다.
RTX 5090의 DLSS 4 기능을 통해 쾌적한 게임 퍼포먼스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은 NVIDIA 지포스 RTX 5090 Laptop 24GB (TGP 175W)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는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4와 DLSS4 기술의 핵심인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이버펑크 2077 울트라 프리셋에서의 성능을 측정해 본 결과, DLSS 4의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용하면 최대 평균 약 223 프레임, 1% Low 약 165.9 프레임까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준수한 게임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야말로 꿈의 게이밍 노트북 그 자체
MSI 레이더 A18 HX A9WJG-R9 UHD+ Mini LED WIN11 (SSD 2TB)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