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 : 케이스를 내 입맛에 맞게 바꿔보자!

쿨엔조이
2025.09.30. 16:31:24
조회 수
72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0206f477da2e6f9846c1b2cf1ddb9fccaa4b67b7.png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 : 케이스를 내 입맛에 맞게 바꿔보자!

  

FreeForm 2.0 플랫폼을 적용한 Masterframe

DIY PC 시장은 다양한 방향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RGB LED로 화려하게 튜닝한 시스템이 있는가 하면, BC(백 커넥트) 방식의 메인보드를 활용해 깔끔한 컨셉트 시스템도 점점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일체형 수랭 쿨러나 그래픽카드 등, 사용자 취향에 맞춘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며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제조사도 이러한 시장 흐름에 맞춰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쿨러마스터는 사용자 편의성과 취향을 고려해 제품 구조나 구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쿨러마스터는 자사 철학인 'Make it Yours'에서 영감을 받아, 'FreeForm 2.0'이라는 통합 디자인 플랫폼을 컴퓨택스 2025에서 공개했습니다. Custom(맞춤형), Open(개방형) 그리고 Personal(개인화)을 핵심 키워드로 내세운 이 플랫폼은 모듈형 디자인으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취향을 적극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 원칙을 기반으로,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했습니다.

   

쿨엔조이 리뷰를 통해서 FreeForm 2.0 플랫폼을 적용한 Masterframe과 Masterhub를 미리 살펴본 바 있는데요. 특히 Masterhub는 5가지 모듈 중 필요한 것만 선택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직업군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높은 개인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PC 케이스인 Masterframe 시리즈를 살펴보려 하는데요. 이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패널을 분리할 수 있어 내부 레이아웃이나, I/O 포트 위치 등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Masterframe 시리즈에는 어떤 모델이 있는지 간단히 확인한 후, 이전에 리뷰한 MasterFrame 600[링크]보다 한 단계 작은 모델인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를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c0a9b87ba959085a61af55c62d46b545ebdf12b.png

c9ab8fb19b1fa7e7a942b3d14e7c5e370362b8f2.png

   

   

   

   

   

cb188e5268f3069421dc69e2dca13ed01b72e243.jpgebcc3959d1b612c37752a5817e5dfc3572c5e2c3.jpg

   

Masterframe 시리즈는 다양한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선, 블랙과 실버 두 가지 컬러 옵션이 제공됩니다. 크기에 따라 400, 500, 600 모델로 나뉘며, 각 크기별로 변형 모델도 존재하는데요. 아래에서 각 모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4819c7a6fa777757a989eb3981aa4e782587b839.jpgf5de8c1096405bf1cfda982604698a9bdafb36dc.jpgf2e2c3cb5ce120487277cf818edc581cf4555f52.jpga8b0d3ba434a3ea62e5e1ac0adfeee7e917c924e.jpgc03f623b1edca758b06ba6566c04e7344848260d.jpg5efd8bbd954a46d0aa400ad5295df4acfd93e29c.jpgc7084bfa2b4dd7e326694b82e58ffa3f5f59665c.jpge794ee2019d74c4704cbb70f5657be3006ca873f.jpg

b49d2dafa4027e77f86b8d84099342ad90bf109f.jpg

   

Masterframe은 일반적인 케이스와 달리 블랙과 실버, 두 가지 컬러로 출시했습니다. 실버 컬러의 경우, 내부를 화이트로 구성하였습니다. 케이스의 모서리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했으며, 금속 특유의 질감이 살려 고급스럽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94f71bf501f17b156c5a159dd386dfcd89ae282a.jpg32663b644b60bb2be3d916dd4980645638530afc.jpgb74fd1c57ed6f294e3920c9c5485298c63ccc885.jpgc0fc1710cad31ce25ab010a18423de7a01d07255.jpg44ac4cd2a9d72578c64677d08e2cb0856d6f201a.jpg2c1b5d047c313c45e075b488433b99ef8f472e7e.jpg


Masterframe 500의 경우, ARGB와 NON ARGB 모델이 있습니다. 외관상 두 모델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NON ARGB 블랙 모델의 쿨링팬 블레이드는 블랙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NON ARGB 모델에는 PWM & ARGB 허브가 없습니다.


사진은 없지만, Masterframe 600은 일반과 MESH 모델로 나뉩니다. 일반 모델은 전면과 상단 패널에 쿨러마스터 로고 형태의 에어홀 디자인을 적용한 반면, MESH 모델은 통기성이 뛰어난 일반적인 메시 패널을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797b101b267273f9d5229916e0c474636eb03c0e.jpgde3493cfa4b7b24fc06ad2e91e56a20a7cdd3e5b.jpgd1146a7ddf2540a6c34fb4ec7c96ffb5323def6a.jpg009cfa060543e294ffb696b9225d4612e1d0ad20.jpg69fba7fb940613dceb4e4ed0dd58949038605279.jpgf311d79b6bbbaf58a35c0686fcd40500d36b0542.jpg856441485ebc2b3c2a3679586c45c3bbe57d1cdd.jpg666303cef03c0db591247b17f497cf16efb6415c.jpg   

Masterframe 400은 최대 M-ATX 메인보드를 지원하는 미니 타워 케이스입니다. Masterframe 500, 600과 같은 디자인 컨셉트를 유지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 때문에 내부 구조와 구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리뷰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Masterframe 500과 600은 E-ATX 메인보드까지 지원하는 미들 타워 케이스입니다. 두 모델의 가장 큰 차이는 앞뒤 길이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500 모델은 상단과 전면에 최대 360 mm 규격 라디에이터까지 장착할 수 있지만, 600 모델은 상단에 420 mm 규격 라디에이터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내외부 패널 구성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b606eb7b40aa452aa76fb80c65cd5e95a4d37ea.png

9df406e2b9448e0b82d38809640c3e429bb42812.jpg

5701c23ed0f00e8af118f3be8be912ca940dd437.jpgf8e4eabe5f01e4390362948aab3d5992e358f3d7.jpg

ddfb1cc020c70484a9836c7d90d7bc6070d75f5a.jpg8b75f2edc75d6a28661ed4537ddb00e9b3062fae.jpg5a510d9812333bfe147e8fdff42e58275d51ccf2.jpg94564861d7651889c1e3aa89701260e13c80f0ff.jpg5e0fbbeb0bc602c203b7898d29d519ab0a726b29.jpg

   

※ 기본 구성품

[ 설명서 / 각종 나사류 / 케이블 타이 / PWM 1 to 3 스플리터 케이블 / Multi-function 바 / PCI 서포트 / 그래픽카드 지지대 ]

   

   

   

   

   

ec94f603f38d2b3f793ce76b71e22ec103f814d8.png

ba8a5884b3c7468dad02e396fed78f007ddc4514.jpg    

크기가 544 x 261 x 471 mm(H x W x D)인 미들 타워 케이스입니다.

    

    

    

   

1078c0abb6f80cb73fdb887ac2d4b9d4befe8725.jpg

aef53d1d7d926202850825d7fff43da724baa0b4.jpg3609ef88aa8ba2bb74821338f81fdcdf81160203.jpgc88ac4134318e9ef108c04edfa5de5ec5113205b.jpg

cf1443439db13abd3256ba3a8d4134fed30ebba4.jpg45b3279bdc1cf32db086646cb14ce15cbc69973d.jpgbf8bff6f638e2344b488746c235e35c4b00a922d.jpg

   

※ I/O 포트

[ 전원 버튼 / 리셋 버튼 / HD Audio & MIC / USB 3.2 Gen1 Type-A x2 / USB 3.2 Gen2x2 Type-C x1 ]

    

    

    

    

1150d01bd502ec816f7a330d9d41d2ebb9bc3c7a.jpg

dddc753d03ae6fe760f51a3f3a87d775e8bd0d86.jpg721cdb6492add1b7f71b70a4d258430b3aef8cb8.jpg074be72010aa94087d0626ffd8515df1cac723ce.jpg076d78522092b0b76334007899fc8581fec3b1ed.jpg59038ae5a3789e7d4820a72a4db31fbb55d84535.jpg

54d79056b6cd04e2e3630861c689b8889b728a1a.jpg8e45acac867c3374f291b816d915d09b8f3dd3f0.jpg   

전면 메시 패널은 자석과 걸쇠로 고정합니다. 200 mm ARGB 쿨링팬 2개가 기본 장착되어 있습니다.

   

※ 전면 쿨링팬 / 라디에이터 확장성

쿨링팬 : 120 mm x3 / 140 mm x2 / 180 mm x2 / 200 mm x2

라디에이터 : 최대 360 / 280 mm

    

    

    

   

f76c2ade231d71b7f9a166e2dcf74efa38f4a613.jpg

91547e52cea94afb71f47d665b876774eb20d0f0.jpgd15fa3e81138fed93c003d95bab0274134dec244.jpg

bbcb2bac4776722f5b52c0a448f21d4158047b8e.jpg47c81137bd650f48887212bf54adfa1a2e726a02.jpg

eee3741a4b93f814ef1ec709bf41ce95db60c376.jpgaafaf17bfb56a62ea1deb18028dd2f722a23fcca.jpg

   

좌측 강화유리로 자석과 걸쇠로 고정하는데요. 웬만한 충격에도 열리지 않을 만큼 자력이 강한 자석을 사용했습니다. 또한, 패널 테두리를 따라 패드를 부착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을 차단했습니다. 

   

   

   

   

dba4a74b1429720ba4a6ab79b271172391396f00.jpg106d5ad336a151c6e509927224107be30f8075ef.jpg

6d86bcf40d834094ba4b5864c0958b37ac129f88.jpg   

※ 메인보드 호환성

일반 : E-ATX / ATX / M-ATX / Mini-ITX

백 커넥트 : ATX / M-ATX

   

   

   

   

a5a271a607dea72537be9b757c2821d355ae0a67.jpgc12acc73999c1094a97da6ebcfcc8a6963081db3.jpg

f2df0883ad3b5f0448695ab941be154421e882ca.jpg55e20f400b2158f8aaa25657d0a897c43b4fbece.jpg4a97e37acc2db5c0710ff29ccc40d44e266e3f42.jpgbb8c41f0efd6960456199701a13cc6b9af89c249.jpg7a70850b1542e55e6a5dc7c26d974e72a3382863.jpg

    

우측 패널도 강화유리로 구성했지만, 내부가 보이지 않게 마감하고 중앙에 쿨러마스터 로고와 같은 문양을 새겼습니다. 고정 방식과 패드를 부착한 모습은 좌측 강화유리와 같습니다. 

    

    

    

   

9e22904f3363e2b5229684c770139cd627a8cd8d.jpg

695a8d88e53cb78bc7f2429d834da01002ca26a3.jpg4b5d62e6e109a5f05333b4ae8d79bdd4c3a80bbe.jpg

ef04cd6635df0b7b0b47698c023d80775deb0de8.jpg

98d5e9b94884a2d5b05055c4d25ff4d503ab129f.jpg

076b05b4fc955cfdccccb814e05e1a0b5ab27fe3.jpg11b83dc635d3d211667e66162dd91198cf5dc1cb.jpgd5e584ab7180addd4bc0fed2e93163e98190eabe.jpg

   

일반적인 케이스와 다르게, 메인보드를 장착부와 파워서플라이 커버는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서포트-바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PWM (4 포트) 및 ARGB (5 포트) 허브와 케이블 정리를 도와줄 클립도 제공합니다. 해당 클립은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 PWM & ARGB 허브

PWM 4핀 4포트 / ARGB 5V 3핀 5 포트

    

※ 파워서플라이 확장성

ATX 규격, 권장 길이 : 235 mm

    

    

    

   

56de88820f4e86f366b036f13de90488f19bf710.jpg

e63fe800286019ebd7fb48fe70b610c8d26e6810.jpgeabb83530c284bcbb55c2256f2591e34d10c54a9.jpg

96dc692419b644f6d693d5912d197e74459638b5.jpgcc1ab4a03d3a81105e952333528c19ffd213c731.jpg

ba0c10da70c549e75468ca93f1de1477a2b5cb3c.jpg

   

상단 메시 패널도 자석과 걸쇠로 고정하며, 테두리에 패드를 부착하였습니다.

   

※ 상단 쿨링팬 / 라디에이터 확장성

쿨링팬 : 120 mm x3 / 140 mm x2 / 180 mm x2 / 200 mm x2

라디에이터 : 최대 360 / 280 mm

   

   

   

   

b7c09ba870932b28170b79fce611755eee91d4a8.jpga5eae0c1d1b44b76a9dd888edd5df8044cf331ca.jpg

6b6e1399756acf33f83e1380c32e88279d5042f5.jpg

    

    

    

   

db4dbc0c757d5429809f3838beba73b38803f1fe.jpg

b53dba33e1b127df872882a25019139290b8d167.jpg9dfbcc853228f4adc5a4418f80726a96ee3a1a33.jpg226978816498b364030f88102504fd25fa5dc45d.jpgfa42958ca0fe5d65fc9b2c6c295b2fd3cf650b87.jpgfe1be3425b17d2616b5ed0b7c50c2b3db5e8bd74.jpg

    

후면 패널도 메인 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 후면 쿨링팬 확장성

쿨링팬 : 120 mm x1

   

※ 확장 슬롯

8 슬롯 (수직 변환 X)

   

   

   

   

11c0fa7489f442b86e440557c3f97dc172572e9b.jpg

   

   

   

   

    

b1e1c2f257ede9e2a266d8ee59129ea500b48a64.jpg9d74602a5958f6dcd515994963bac304e7b75ddf.jpg

   

Masterframe 시리즈는 메인 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패널이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했습니다. 모든 패널과 브래킷 등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약 90개의 나사를 풀어주면 약 40개의 세분화된 부품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사용자 필요에 따라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으며, 구조와 호환성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아래에서는 Masterframe 500 모델을 기준으로 어떤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한지 살펴보겠습니다.

   

   

   

   

   

08dc0cf7d09f78cd1b51eb781853404c320f3a74.jpg0f632f79bf2a0a82c7916de15f0cc67c12770048.jpg5e7f0054c97b4ccc9d290312419b9ee1a741e0c3.jpg1f1591461629ab69e6a96891ae1ec4c98db3e973.jpg247adc5f8a58445775e6afc053ab637a64244809.jpg5d72dcae99683bc8ed53937361ea1e43b20b5f8a.jpg3f61e6138aa6c1eec72b96544ad2e4bb4c1c1ab6.jpg

   

전면에는 A와 B로 구분된 총 8개의 브래킷(각각 4개씩)을 활용하여 쿨링팬과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브래킷을 장착하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 120 mm부터 최대 200 mm까지 다양한 크기의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는 최대 360 / 280 mm 규격까지 지원합니다. 위 사진은 사용자 설명서(빌드 가이드)에 따라 구성한 예시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컴포넌트와 간섭을 고려해 위치나 방향을 조금씩 조정해도 무방합니다.

   

   

   

   

   

7463c76f97e0ec5cffd134c543255b5d300494dd.jpga04b720a6e3ef67bbb6dc2b79227874846203de4.jpg015d4c9d6356d2926958041cd7a10a3248bea322.jpgb29668484f62aa445ff9b2e7ee557f2bc436ff74.jpg404f69bafa8db3eb8d1e0eaf77eed28e1e91f968.jpg8a861e4bfa4aa2d490787c100cb0cc308088e7c0.jpg9de8c75e8340263ff28646302c817309f19eaef8.jpg7e69724b0cd1234cd7621f2c02349ab3cdab62b5.jpg   

I/O 포트는 기본적으로 전면 하단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내부의 손나사 2개를 풀면, I/O 포트가 포함된 패널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후 쿨링팬과 전면 메시 패널 고정용 자석의 위치를 조정한 뒤, I/O 포트를 위아래로 뒤집어 상단에 장착하면 됩니다. 이때 'MASTERFRAME' 문구 역시 뒤집히는 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7b0a290dd334916def924aa60f4a238d707603.jpg

79d703034fe68e2ed4acdbc008b360299fddc3b9.jpgbefb9c4368ea9e05c1e2910bba5ab76184c29867.jpg28fcc58ed32b1654bfbb7cdccb510c7545b7ebb7.jpge6c86313f3135ef9157b7a744012343a21472d72.jpgf5413008d8e6919eec4cb7686d6f1b20ecf90dad.jpg0f25a603317c9ab0f20875e65be2264772e9ad49.jpg   

상단에는 전면과 다르게 바(Bar)형태의 브래킷을 사용합니다. 이 브래킷을 옮겨 장착함으로써, 120 mm부터 최대 200 mm까지 다양한 크기의 쿨링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브래킷 위치에 따라 상단 패널의 걸쇠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걸쇠의 위치를 조정하여 간섭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b8246af35afe4605e1055b68be08fabd22f40745.jpge7ce1d2b95218f23ddcddfd33ac09174d5d74d7e.jpg

   

Masterframe 500은 일반적인 케이스처럼 파워서플라이를 하단에 장착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단에 장착할 수 있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8a697f91c3e63a70eed0b792288cc3c7b6ef666b.jpga89921d467db95c95bae532b812d9e8fe1d52f98.jpg53284b39c3025ff1c3cad833a6506be7ae5a60b2.jpg2bfde24b5e8ec1bcfb046354e318fdf595723de8.jpgaf77ac37d2b9fd35a944a5a952c8a60d6bf11faa.jpg

6be5bb29ee8c9535fd7d2422a1059dc92852c1af.jpg21afd91ac8460c4f6a5c17eb733ef08044dcdacf.jpg

   

점선으로 표시된 빨간 원의 나사를 모두 풀면, 내부 패널과 후면 패널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5503778b00b1e92de6a97259de5d1daea3b588b3.jpgb7500897e91872592c08a17220787056b010ee2e.jpg569fe4b0cfeb55afe873a596fc1c73dcfe243b1f.jpgcaaaf54826c03e40930bf0c36d46a34764670f56.jpg3505379dded9bbe07fda2f2a5fa07ce3098da6ae.jpg

   

내부 및 후면 패널이 분리된 상태에서 4개의 바(Bar)형 브래킷의 위치를 옮겨주어야 하는데요. 자세한 위치는 사용자 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de22be3ef2719d26af3a1dd1ce4f61795966453.jpgc74d15de250dd20cbfb03c73225cbd0954d57f80.jpge81142e120d4ead547985ff723c71c4e24ec5460.jpg32dfaac2de477a3aee47fb72d522da28951b431b.jpg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하는 'PCI 서포트'를 확장 슬롯 하단에 장착한 후, 걸쇠 부분이 케이스 프레임에 제대로 걸렸는지 확인하고 나사를 이용해 패널을 고정해줍니다.

   

   

   

   

3c3e749624b504c46d0f1fb397f4a1c59b6a6800.jpg86872569334ff3e4e5c06be19d27aca1122f5ffb.jpg7ab7280824c26354ee5d409389945562dc186387.jpg67dc1be60cc8b45670ecbb71b44c99a78631fea5.jpg

   

파워서플라이 채임버 측면 커버를 분리한 뒤, 이를 뒤집어 상단에 장착하면 구조 변경이 완료됩니다.

   

   

   

   

   

38bdd3f455e0e6adf6bb9b0851a5a214136065af.jpg5057f6c5624ff6bfa92108fa4557a37c7ff5a425.jpg8ace1c80b74d2d76001928fdb4b565c7393fac03.jpg

1e9718babefd0de76678ac6d63e0364c9b6c3281.jpg3c7e7d93ff551562145919f97e63ce71add6c26c.jpg

   

점선으로 표시된 빨간 원의 나사를 모두 풀면, 받침대와 하단 패널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a7b762816148e5a10dfa020e20561100ae9dcf01.jpg1938fa322cb4df4f7da5a07239347e1327db4cf8.jpg57ba9a62197d0a0936d52974e55057a4a35d6ac7.jpg

   

이후 상단 패널을 분리한 뒤, 받침대와 하단 패널을 새롭게 고정해줍니다. 또한 좌우측 패널 고정용 자석의 위치를 옮겨주면 케이스 방향을 위아래로 뒤집을 수 있습니다.

   

   

   

   

   


2445f42172775f16e494a9ba6130ef79db426a9a.png

2389ae72389c1c1ed1f84c33b5b3e124232cad19.jpg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으로 실제 시스템을 빌드한 모습입니다. ATX 규격의 메인보드와 상단에 36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장착했습니다. 

   

   

   

  

a1c8a066bbcef1ced021821bd0eb1936f309f1eb.jpg9b101579cac1171d64744b5129f01bfdd382fbac.jpg

9b2209cdd0b47da5f064ee5bbaf5c69ed8d99509.jpg914dcdd7f8ba9d367ffc2d4718d8fa141bee7c0a.jpg54ec599f335133c423515227e2275b15db31366e.jpg

7f43833510f1f03af4e1205812bc493c6d496a6c.jpg

2ea9ba417b2a3bcc54037380c20554c9f3f64527.jpg902373583e1d6a9569f83612526e0384ae90e6cc.jpg

4059850b16d2585d26316ebadd1d2919a2fef4b1.jpg

f5ac129b0875d2b9747adf52a017aa56a26f816b.jpg65add45358e0d49f70d690b15e29b6f27513e97c.jpg

b456c848367765cc99d59c31047d717b5e5bbb96.jpg89ff2406ab78bbea85a16a5a374f322a8d6ab1d7.jpg

af7c8be40ea9676121385dc4898c3c44b57f9b53.jpg48a33641d6e722ff5c313aee6c3499559c6db937.jpg665c46d3df1c221abdb60e64951bb4671965197e.jpg5020cdc8d2de8d896d11b1814d9e3ff3bf2ec968.jpg52466322120063496b921ff296ac23ebf6b39f73.jpg1705859b2deba248867501a629e9b92a6f2f1104.jpg2559bbbe40efb7668aac6cb8703a8e14603c06b0.jpg

97c421c2c8dfb62e8caacea0376dc30385c039bd.jpg

bc96c73872e1d44e0cb971734b31f0bea7f46e14.jpg77cfa30efa34d475d40f9148c061fae044c94bd6.jpg3256ffd855f01ab3ba2e38afbef124570cfa2b0b.jpg   

   

   

   

   

193bda846bcaee84c33391ec265ed05c7a8ee929.png194ae6542be0ba71313172baaf3d84823604685f.jpg0f0b9c5e0535b698bba7004d7616d367418737eb.jpgca7ade8b35368626ca21b04c99ae5bc523b7663e.jpg5b62faa1dc3a04b3716715a93d4d8d76963231e8.jpg

786350c77d0fa030862fdf4ac06bf5a3286e381a.jpga9a8751b18133172f00dad1ff542514acbeb5e58.jpg10e4e9ad843d56c2c42827d46c49ea25b1f90ae8.jpg

638907d92103bef6b8f6933c0a5582467d9759f3.jpg

be97053192e7d3e1e5ca5ebb7b1a747173826956.jpg4f7fbf14ad8a533ae98b892c09ac2fd917c17d53.jpg

b9312113643f1220a65fd670cbf83673dffa3803.jpgd904b13982a801acaf8551b9069793d99546c633.jpg

   
   

   

   

   

  
24cfd322b181ee4a32d0673ffb1d01f28e3d008a.png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 : 케이스를 내 입맛에 맞게 바꿔보자!

   

96f54be405c4c6cd6eb420b9f1a5989a2e6a8ade.jpg

a2ae0ae99f98514349adc04e5846f03e57d5f321.jpg

    

FreeForm 2.0 플랫폼을 적용한 Masterframe 케이스

쿨러마스터는 모듈화를 통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는 FreeForm 2.0 플랫폼을 발표했는데요.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구조나 구성을 변경 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플랫폼을 적용한 Masterframe 시리즈 케이스는 메인 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패널을 분리할 수 있어, 케이스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I/O 포트는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있지만, 사용자 환경에 따라 상단부로 어렵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덕분에 케이스를 책상 위나 아래 어디에 두더라도 I/O 포트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 레이아웃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체임버를 상단으로 옮겨 '상단 파워 구조'로 변경할 수 있고, 케이스 상단과 하단 패널을 서로 교체해 케이스 방향 자체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본체를 책상 왼쪽에 배치해도 내부를 볼 수 있지만, 내부 구조가 위아래로 뒤집혀 있다는 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상단과 전면의 쿨링팬 / 라디에이터 구성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데요. 바(Bar)형 및 장착 브래킷의 고정 방식에 따라 120 mm부터 140 mm, 180 mm, 200 mm까지 다양한 크기의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19d73efb3b8197335ba7d41733e9cf954e8d50da.jpg

d8abbff9e8d9382e45f2e78ce8303883b9e99b4c.jpg

   

색상, 크기, 구성에 따른 다양한 선택지

Masterframe 시리즈는 일반적인 케이스와 달리, 블랙과 실버 두 가지 컬러 옵션을 제공합니다. 케이스 모서리는 알루미늄 소재의 메인 프레임으로, 금속 고유의 질감을 잘 살려 고급스럽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 시리즈는 크기에 따라 총 세 가지 모델로 출시되었습니다. Masterframe 400은 M-ATX 메인보드까지 지원하는 미니 타워 케이스이고, 이번 리뷰로 살펴본 Masterframe 500은 평균적인 미들 타워급 케이스입니다. Masterframe 600은 앞뒤 길이를 조금 확장해 상단에 최대 42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세 모델은 디자인 컨셉트가 같지만, 크기는 물론 세부적인 구성에 차이가 있느니 구매 전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각 크기마다 변형 모델도 존재하는데요. Masterframe 500은 ARGB와 NON ARGB 모델로 나뉩니다. 기본적인 외형은 같지만, 쿨링팬 구성에서 차이가 있고, ARGB 모델에만 PWM & ARGB 허브를 기본 제공합니다. Masterframe 600은 전면 패널 구성에 따라 일반과 MESH 모델로 구분됩니다. 일반 모델은 전면과 상단에 쿨러마스터 로고 형태의 에어홀을 적용한 패널을 사용했으며, MESH 모델은 통기성이 뛰어난 메시 패널을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6fd216b2845615d5ac92c9267756affebee3c247.jpg61a67757c0c02ccc8a2452d75c9c81541bdfa9a9.jpg   

우수한 호환성, 하지만 살~짝 아쉬운...

앞서 설명한 것처럼, Masterframe 500 MESH ARGB는 상단과 전면 모두에 120 mm부터 최대 200 mm까지 다양한 크기의 쿨링팬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전면에 200 mm ARGB 쿨링팬 2개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또한, 상단과 전면에 최대 36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지원하며, 그래픽카드는 최대 길이 390 mm까지 장착할 수 있어 고성능 시스템 구성에도 부족함 없는 호환성을 갖추었습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BC(백 커넥트) 타입 메인보드도 지원해, 깔끔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도 있는데요. 저장장치는 최대 1개까지만 장착할 수 있어, 3.5" HDD나 2.5" SSD를 2개 이상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다소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고성능 시스템에 어울리는 확장성과 쿨링 구성은 만족스럽지만, 다수의 저장장치를 활용할 계획이 있다면 이 부분은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4e9ba925ebbbba0de51abae47d4b320b630aafb3.png

   

FreeForm 2.0 플랫폼을 적용한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JIUSHARK JF550 Elite ARGB : 120R 디자인의 듀얼 타워 버전 쿨엔조이
GIGABYTE M27Q2 QD ICE : 화이트 컬러와 퀀텀 닷 조합으로 외관부터 성능까지 화려하게! 쿨엔조이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7 PS7-CSZ1000V5 80PLUS골드 ATX3.1 : 다양한 사용 환경에 맞춘 스카이디지탈 파워서플라이 4종 출시! 쿨엔조이
darkFlash 퍼펙트모스트 700W 80PLUS브론즈 ATX3.1 : 실버 등급의 효율이 담긴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등장! (1)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850W 80PLUS브론즈 ATX3.1 : 골드 급의 섀시와 쿨링팬을 동일하게 적용한 쌍둥이(Gemini)! (1) 쿨엔조이
Antec GSK 850W V2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 더욱 우수한 가격접근성을 고려한 골드 급 파워서플라이! (1) 쿨엔조이
MSI MAG A850GLS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 가성비와 정숙함을 모두 잡은 MSI의 저소음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MSI MPG A1250GS II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 넉넉한 출력 용량과 두 개의 12v-2x6 커넥터로 보여주는 높은 확장성 쿨엔조이
몬스타기어 LINKUP AVA5 PCIE 5.0 x16 라이저 케이블 시리즈 : 몬스타기어의 국내 공식 유통으로 만나는 PCIE 5.0 라이저 케이블! 쿨엔조이
최신 메인스트림 CPU를 위한 가성비 공랭 쿨러, MAXTILL MAX400 케이벤치
오래써도 걱정 없는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800W 80PLUS 실버 ATX3.1 케이벤치
쿨러마스터 Masterframe 500 MESH RGB : 케이스를 내 입맛에 맞게 바꿔보자! 쿨엔조이
조용하지만 성능은 강력한 대화면 올인원PC, 레노버 아이디어센터 AIO 27AKP10 노트포럼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USB 와이파이6 무선 랜카드, EFM ipTIME AX2000T-UA (1) 브레인박스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Ti EX WHITE OC D7 8GB [써보니] 현실적 무게감을 챙긴 포지션 위클리포스트
디자인과 쿨링 성능, 다 잡았다. 앱코 U20MP 큐빅 미니+ 디스플레이 케이벤치
합리적인 가격, 기대 이상의 완성도.. darkFlash 아쿠아루믹 DL-360 ARGB (블랙) 케이벤치
[리뷰] FuryCube IP98 멤브레인 키보드 사용 후기19,900원으로 방수 노브휠 저소음 다 되는 키보드 찾았습니다 | 사무실용 끝판왕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기능성과 멋을 모두 만족시키는 화이트 케이스의 정점 '리안리 O11D MINI V2' 미디어픽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새 기준...Google TV OS 탑재한 'MSI Modern MD272UPSW'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