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RTX 50 겜트북 최저가에요.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

2025.10.10. 16:37:51
조회 수
188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4371.JPG

 

좋은 노트북의 리뷰는 많이 했지만, 사고 싶은 노트북을 리뷰하게 된 건 오래간만입니다. 5090 들어간 플래그쉽 노트북도 리뷰했던 사람이 이렇게 말할 정도라면, 이번 노트북은 얼마나 스펙이 대단할까 흥미롭게 여기며 스크롤을 내리실 분에게는 죄송한 말이지만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의 스펙은 대단할 게 전혀 없습니다. 코어 5 210H는 최신 아키텍처가 아니고 코어 구성도 4P+4E인 평이한 메인스트림 프로세서입니다. 지포스 RTX 5050 랩탑은 그보다도 더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 최약체지요. 물론 성능이 노트북의 전부는 아닙니다. 얇고 가벼워 이동성이 뛰어나다면 성능이야 타협이 되거든요. 하지만 그것도 아닙니다. 무게 2.1kg에 두께 23mm니까 무난하게 들고 다닐 수준이라고 말할 수는 있어도, 휴대성에 프리미엄이 붙을 정도까지는 또 아니지요. 

 

하지만 다시 한번 말하는데, 이 노트북은 정말 사고 싶은 노트북이 맞습니다. 가격이 엄청나게 싸거든요. 고성능 CPU와 그래픽을 갖춘 하이엔드 노트북이 뽑아내는 압도적인 퍼포먼스에 입이 벌어져도, 가격을 보고 나면 다시 닫히기 마련입니다. 2, 3백만 원은 예사고 5, 6백 만원도 예사로 넘기거든요. 그럼 이 노트북은요? 백만 원에 근접합니다. 최신은 아니지만 현역인 CPU에 멀티 프레임 생성이 가능한 최신 세대의 그래픽을 넣었고요. 화면도 144Hz 주사율을 갖춘 게이밍 디스플레이인데도 그렇습니다. 이런 구성에 백만 원이라면 노트북에 큰 돈 쓰기 싫은 사람이나, 쓰고 싶어도 그럴 돈이 없지만 그래도 게임에 필요한 외장 그래픽은 꼭 있어야 하는 사람에게 매우 매력적인 조건이죠. 거기에 사이보그라는 이름 값을 하는 반투명 디자인 덕분에, 더 고급스럽고 비싼 게이밍 노트북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DSC04004.JPG

 

제품명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 
CPU 인텔 코어 5 210H(랩터레이크, 4P+4E 코어 12스레드, P코어 2.2~4.8GHz, E코어 1.6~3.6GHz, 12MB 캐시, 기본 45W)  
메모리 DDR5 8GB(2슬롯, 최대 96GB 인식 가능. 테스트 모델은 16GB)   
그래픽 NVIDIA 지포스 RTX 5050 랩탑(블랙웰, 2560코어, 클럭 1500-2662MHz, 128비트 8GB GDDR7, TDP 35-100W, 440 AI TOPS)
스토리지 512GB NVMe M.2 SSD
디스플레이 15.6형(39.6cm), FHD(1920x1080), 144Hz, IPS 타입 패널, 16:9 비율, 안티 글레어, 250니트 밝기, 180도 개방 힌지
웹캠 HD 카메라, 720p 30fps, 프라이버시 셔터
입력 장치 4구역 RGB LED 게이밍 키보드, 코파일럿 키, 반투명 WASD, 한글 각인, 숫자 패드, 키트래블 1.7mm
네트워크 유선 기가비트 랜
인텔 Wi-Fi 6E AX211+블루투스 5.3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DTS &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추가 기능 사이보그 하트 로고, 반투명 섀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HDMI/USB-C 동시 출력, 최대 2개의 외장 디스플레이 연결
쿨러부스트 
MSI 센터, MSI AI 엔진 
I/O 포트 USB 타입 C x1(USB 3.2 Gne2, PD 충전, DP Alt 모드 디스플레이 출력)
USB 3.2 Gen2 타입 A x2
HDMI 2.1 x1(4K@60Hz)
RJ45 기가비트 랜 x1
3.5mm 오디오 콤보 잭 x1
켄싱턴 락
배터리 4셀, 55.2WHr
전원 120W AC 어댑터, PD 충전
크기 359.3x245.25x22.15-23.15mm
무게 2.1kg
운영체제 프리도스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94204634
가격 1,040,000원(2025년 10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사이보그라는 티를 내는 디자인

 

DSC04008.JPG

 

보급형 제품의 디자인은 수수한 편입니다. 외관을 치장할 돈이 어딨나요? 그걸 아껴서 더 저렴한 제품을 만들어야죠. 하지만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는 백만 원 짜리의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게이밍 노트북이란 존재감을 확실하게 과시하고 있습니다. 모서리와 키보드 윗 부분에 반투명 섀시를 사용해 내부 부품이 그대로 드러나며, 노트북의 화면 위는 손잡이처럼 튀어나오도록 고안했습니다. 상판 힌지와 키보드 위에는 사이보그 시리즈의 로고를 넣고, 팜레스트 위에는 사이보그의 외골격을 표현한 곡선이 그려져 있지요. 1.7mm 키 트래블과 숫자 패드를 갖춘 풀사이즈 키보드는 4개의 구역으로 나눠 RGB LED를 제어하며, WASD 키에는 특별히 반투명 키캡을 썼습니다. 이런 디자인적인 특징 덕분에 게이밍 감성이 중요한 게이머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이상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두께는 22.15-23.15mm, 무게는 2.1kg입니다. 15인치 크기의 게이밍 노트북임을 감안하면 평범한 수준의 두께와 무게로, 들고 다니기에 큰 부담이 되는 스펙은 아닙니다. 어지간한 노트북이라면 꼭 갖춰야 할 편의 기능도 차별 없이 넣었습니다. 화면 상단의 720p 30fps 웹캠에는 물리적인 프라이버시 셔터가 달려 있어 개인 정보 유출을 확실하게 막아 주고요. 화면의 힌지는 180도로 열려 어떤 자세와 각도로던 쓸 수 있습니다. 입/출력 포트도 빠지는 부분이 없습니다. USB-C 포트가 PD 전원 공급과 DP Alt 모드의 화면 출력을 모두 지원하고요. 4K의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한 HDMI 포트와 유선 네트워크 연결 단자, 그리고 2개의 USB 타입 A 포트를 갖춰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3964.JPG

 

외부 박스

 

DSC03965.JPG

 

내부 박스

 

DSC03966.JPG

 

박스 개봉

 

DSC03969.JPG

 

설명서와 전원 어댑터

 

DSC03970.JPG

 

전원 어댑터와 케이블

 

DSC03971.JPG

 

치코니의 120W 용량 어댑터

 

DSC03974.JPG

 

클로버 타입의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DSC03975.JPG

 

전원 어댑터와 케이블의 무게는 450g.

 

DSC03976.JPG

 

노트북 내부 포장

 

DSC03978.JPG

 

크기 359.3x245.25x22.15-23.15mm

 

DSC03987.JPG


무게 2.1kg

 

DSC04007.JPG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

 

DSC03979.JPG

 

노트북 상판에는 MSI 게이밍 엠블럼이 보이고요.

 

DSC04008 - 복사본.JPG

 

사이보그 로고.

 

DSC04011.JPG

 

반투명 손잡이.

 

DSC04012.JPG

 

반투명 재질의 모서리

 

DSC04015.JPG

 

측면 포트 부분도 반투명 커버를 사용했습니다.

 

DSC03993.JPG

 

 

가장 눈에 잘 듸는 키보드 주변도 반투명 소재를 쓰는 걸 잊지 않았습니다.

 

DSC03981.JPG

 

왼쪽은 켄싱턴 락, 배기구, 유선 랜 포트, USB A 포트가 있고요.

 

DSC03982.JPG

 

오른쪽은 3.5mm 콤보 오디오, USB-C(PD 충전, DP 출력), USB-A 포트, HDMI 포트, 전원 커넥터가 있습니다.

 

 

DSC03988.JPG

 

노트북 내부를 봅시다.

 

 

DSC03989.JPG

 

15.6인치 크기의 화면

 

DSC03990.JPG

 

화면 상단의 웹캠은 프라이버시 셔터가 있습니다. 이걸로 가리면 완벽하게 카메라를 막을 수 있지요.

 

DSC03984.JPG

 

180도로 열리는 힌지

 

DSC03992.JPG

 

반투명 재질의 모서리와 사이보그틱한 무늬를 넣은 팜레스트

 

DSC03995.JPG

 

풀사이즈 키와 반투명 키캡을 쓴 WASD 

 

DSC03997.JPG

 

터치패드

 

DSC03998.JPG

 

인텔 코어 5와 지포스 RTX의 로고

 

DSC03999.JPG

 

방향키와 코파일럿 키, 키패드

 

DSC04016.JPG

 

노트북 바닥의 통풍구 

 

 

 

단순하지만 충분한 구성의 쿨러

 

DSC04019.JPG

 

코어 5 210H와 지포스 RTX 5050 랩탑이 전기를 쪽쪽 빨아 먹으며 열을 내는 부품들은 아니기에,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의 쿨러 구성은 간단한 편입니다. 3개의 히트파이프가 CPU와 GPU 위에 2개씩 지나가도록 배치했고요. 1개의 쿨링팬 옆에 장착된 히트파이프까지 연결해, 바닥에서 빨아들인 외부 공기로 방열판을 식혀 측면과 뒷면으로 내보냅니다. DDR5 SO-DIMM 슬롯은 2개, M.2 슬롯은 1개 있습니다. 추가 부품을 장착할 공간은 없지만, 기본 장착된 모듈을 제거하고 업그레이드하는 건 가능합니다. 팜레스트 아래에는 55.2WHr 용량의 배터리와, 그 옆에 2개의 2W 스테레오 스피커를 배치했습니다. DTS와 Hi-Res 오디오를 지원하기에 음질도 나쁘지 않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4018.JPG

 

하판 안쪽입니다.

 

DSC04022.JPG

 

노트북 내부입니다.

 

DSC04025.JPG

 

1개의 쿨링팬과 그 주변의 히트파이프, 방열판

 

DSC04023.JPG

 

쿨링팬의 크기

 

DSC04026.JPG

 

메모리 슬롯과 CPU, GPU

 

DSC04024.JPG

 

CPU와 GPU 위를 지나가는 히트파이프

 

DSC04029.JPG

 

메모리 슬롯과 SSD 슬롯을 덮은 커버

 

DSC04027.JPG

 

2개의 DDR5 SO-DIMM 슬롯

 

DSC04028.JPG

 

M.2 SSD 슬롯 1개

 

DSC04030.JPG

 

우측 포트의 작은 기판

 

DSC04033.JPG

 

좌측 포트가 달린 메인보드

 

DSC04039.JPG

 

무선랜 모듈

 

DSC04036.JPG

 

2W 스테레오 스피커

 

DSC04037.JPG

 

팜레스트 아래의 배터리

 

DSC04038.JPG

 

배터리 용량은 55.2Wh

 

 

메인스트림에서 4P+4E면 됐죠

    

DSC04378.JPG

 

인텔 코어 5 210H는 랩터레이크 아키텍처를 사용한 모바일 프로세서로, P 코어가 최고 4.8GHz로 작동합니다. 그래서 똑같은 아키텍처를 쓴 인텔의 14세대 코어 i5 프로세서와 비슷한 싱글스레드 성능을 냅니다. 특출나게 뛰어난 성능이라고 할 수준은 아니지만 일상적인 활용에서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또 아닙니다. 프로세서 전체로는 4개의 P 코어와 4개의 E 코어를 조합해 12스레드를 제공합니다. 코어 수가 아주 많다고는 할 수 없고, 그 중 절반도 성능보다는 효율에 치중한 E 코어이기 때문에 멀티스레드 성능에는 다소 제약이 있습니다. 무거운 렌더링이나 영상 편집을 하겠다면 시간이 다소 걸리는 걸 감안해야 할 겁니다. 다만 메인스트림 급 프로세서에서 멀티스레딩 성능을 타협하는 건 다른 제품도 마찬가지고요. 이 노트북의 본분인 게임 플레이와 가벼운 작업을 하는 용도로는 괜찮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보여집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10-01 22-45-56-583.png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한 코어 5 210H 프로세서

 

Cap 2025-09-28 00-30-27-422.png

 

CPU-Z에서 확인한 코어 5 210H 프로세서. 랩터레이크 아키텍처에 4P+4E 코어 구성으로 12스레드를 제공합니다. 

 

Cap 2025-09-28 00-30-28-890.png

 

칩셋 구성 

 

 

Cap 2025-09-28 00-30-30-681.png

 

 

DDR5-5600 메모리

 

Cap 2025-10-01 22-53-33-266.jpg

 

캐시/메모리 대역폭/레이턴시 벤치마크

 

Cap 2025-10-01 22-48-09-156.jpg

 

4K 영상 재생시 점유율

 

Cap 2025-10-01 22-49-38-015.jpg

 

8K 영상 재생시 점유율

 

Cap 2025-10-09 20-31-23-105.png

 

CPU-Z 벤치마크

 

Cap 2025-10-09 21-45-21-800.png

 

시네벤치 2024

 

Cap 2025-10-09 21-45-31-650.png

 

시네벤치 R23

 

Cap 2025-10-09 21-44-27-200.png

 

7Zip 

 

Cap 2025-10-09 21-45-46-533.png

 

y-cruncher 5억 자리 연산(낮을수록 좋음)

 

Cap 2025-10-09 21-46-02-999.png

 

핸드브레이크 인코딩

 

Cap 2025-10-09 21-46-25-149.png

 

X.264 1080p 인코딩

 

Cap 2025-10-09 21-46-14-150.png

 

코로나

 

Cap 2025-10-09 21-43-40-218.png

 

Vray 5

 

Cap 2025-10-09 21-43-48-034.png

 

Vray 6

 

Cap 2025-10-09 21-44-00-867.png

 

블렌더: CPU

 

Cap 2025-10-09 21-44-11-852.png

 

블렌더: GPU

 

Cap 2025-10-09 20-29-45-125.png

 

긱벤치 AI: 다이렉트 ML

 

Cap 2025-10-09 20-29-56-825.png

 

긱벤치 AI: 오픈VINO

 

Cap 2025-10-09 20-28-00-355.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프레임 생성 그는 신이야

 

DSC04379.JPG

 

지포스 RTX 5050 랩탑의 순수 성능은 특별할 게 없습니다. 무거운 그래픽을 자랑하는 게임은 풀 옵션 기준으로 평균 30fps을 내기가 버겁지만, 스텔라 블레이드처럼 최적화를 잘 하고 그래픽 균형을 잘 잡은 게임은 평균 60fps도 어렵지 않게 뽑아 주고요. 배틀그라운드나 오버워치 2를 비롯한 이스포츠 게임은 이 노트북의 144Hz 주사율을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DLSS 초해상 기술과 프레임 생성으로 체감 프레임을 더 높일 수 있고요. 지포스 RTX 50 시리즈부터 지원하는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용하면 더욱 높은 프레임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옵션 타협 없이도 사이버펑크 2077을 180fps까지, 디아블로 4는 200fps를 넘게 뽑아주니 프레임이 아쉬울 게 없습니다. 물론 게임에서 멀티 프레임 생성을 지원해야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게임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요. 저렴한 그래픽카드에서도 그래픽 옵션은 유지하면서도 체감 프레임을 대폭 늘려줘 가성비를 높여주는 기능임에는 분명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09-29 16-00-54-234.png

 

인텔 내장 그래픽의 GPU-Z 정보

 

Cap 2025-09-29 16-01-02-096.png

 

지포스 RTX 5050 랩탑의 GPU-Z 정보

 

Cap 2025-10-09 21-43-21-432.png

 

3D마크

 

 

Cap 2025-10-09 20-28-30-795.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5-10-09 20-25-27-116.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5-10-09 20-22-59-796.png

 

1920x1080, 최고 옵션에서 3D 게임의 평균 fps

 

Cap 2025-10-09 20-23-26-286.png

 

1920x1080, 최고 옵션, DLSS 균형 설정에서 3D 게임의 평균 fps

 

Cap 2025-10-09 20-23-56-846.png

 

1920x1080, 최고 옵션, DLSS 균형 설정, 프레임 생성 2배에서 3D 게임의 평균 fps

 

Cap 2025-10-09 20-24-37-476.png

 

1920x1080, 최고 옵션, DLSS 균형 설정, 프레임 생성 3배에서 3D 게임의 평균 fps

 

Cap 2025-10-09 20-24-47-776.png

 

1920x1080, 최고 옵션, DLSS 균형 설정, 프레임 생성 4배에서 3D 게임의 평균 fps

 

 

144Hz 게이밍 디스플레이

 

DSC04385.JPG

 

게이밍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중요한 스펙은 주사율입니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부드러운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거든요.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도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본분을 잊지 않고 144Hz의 주사율을 갖춰, 평범한 모니터의 두 배가 넘는 부드러운 주사율로 화면을 보여줍니다. 해상도는 1920x1080입니다. 일상 작업부터 게임까지 모든 분야에서 쓰기 충분하고요. 15.6인치 크기의 화면에 표시하기에도 부담되지 않는 스펙이지요. 저렴한 가격에서 높은 주사율을 확보하는 것을 우선하다보니 색 영역이 제한된다는 단점은 있지만, 감마나 밝기는 평범한 모니터 수준은 되고요. IPS 타입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10-02 00-03-45-306.png

 

1920x1080 144Hz의 내장 디스플레이, HDMI 포트와 USB-C의 DP Alt 모드를 통해 4K 60Hz 이상 출력이 가능합니다.

 

 

144Hz 게임 테스트, 144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테스트 영상

 

DSC04364.JPG

 

1920x1080 해상도

 

P3090986.JPG

 

RGB LED 픽셀 구성

 

DSC04368.JPG

 

명암 표현

 

DSC04369.JPG

 

색상 표현

 

DSC04367.JPG

 

가독성 테스트

 

 

DSC04343.JPG

 

좌우 시야각

 

DSC04346.JPG

 

상하 시야각

 

DSC04365.JPG

 

사진 표시

 

DSC04366.JPG

 

영상 재생

 

 

Cap 2025-09-29 00-40-09-560.png

 

색 영역은 sRGB 기준 68%

 

Cap 2025-09-29 00-40-20-034.png

 

감마는 표준과 비슷한 2.3

 

Cap 2025-09-29 00-40-28-320.png

 

최대 밝기는 250, 대비도는 1000:1 되겠습니다.

 

Cap 2025-09-29 00-40-42-148.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0-49-238.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0-57-524.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03-948.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10-721.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15-984.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22-716.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29-132.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9-29 00-41-36-607.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2.18

 

 

온도 / 소음 / 배터리 / 전력 사용량 

 

DSC04376.JPG

 

쿨링팬 2개에 히트파이프 5개씩 넣은 하이엔드 노트북만 뜯어보다, 1팬 3히트파이프의 단촐한 구성을 보고 나니 이걸로 온도를 잡을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었던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코어 5 210H와 지포스 RTX 5050 랩탑 조합은 전력 사용량이 적고 온도 역시 낮기에 그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구체적으로는 히트파이프를 하나 더 빼도 됐을 거란 생각이 들 정도로 충분합니다. 시네벤치 실행 시 CPU 온도는 76도, 3D마크 실행 시 GPU 온도는 68도였기에 온도는 문제될 것이 없고요. 팬 하나로 온도를 낮추느라 무리하게 굴리는 것도 아닙니다. 소음이 가장 높았을 때 47dB에 불과했거든요. 그래서 팬리스 모델만큼은 아니어도 소음 걱정은 조금 덜어내도 되리라 생각합니다. 

 

전력 사용량 역시 매우 낮습니다. 가장 전력을 많이 썼을 때가 3D마크의 94W였고요. CPU에 집중된 시네벤치에선 80W였거든요. 전용 AC 어댑터가 가장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임엔 변함이 없지만, 100W를 온전하게 공급하는 PD 어댑터만 있다면 굳이 AC 어댑터를 챙기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탑재된 배터리의 용량은 55WHr. 기내 반입 제한 용량인 99WHr을 꽉꽉 채우는 하이엔드 노트북도 있으니 이 역시 많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대로 CPU와 GPU의 전력 사용량이 워낙 낮다보니, 55WHr로도 한 번 외출을 버틸 정도는 됩니다. 웹서핑과 동영상 재생 모두 5시간이고요. 간단한 작업 상황을 시뮬레이션한 PC마크 8에서도 3시간을 넘기거든요. 

 

바이오스 외에도 MSI의 통합 설정 프로그램인 MSI 센터, 오디오와 DTS 효과 설정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이것들을 굳이 탐구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바이오스는 정말 들어가 볼 이유가 없도록 만들었고요. MSI 센터에서 시스템 모니터링과 성능 설정을 할 수 있는데, AI부터 극한 성능부터 시작해서 균형과 저소음까지 성능 프리셋만 지정하면 나머지는 크게 손댈만한 곳이 없습니다. Wi-Fi를 잡거나 신호 세기를 확인할 때, 혹은 성능이나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게 아닌지 의구심이 들 때만 성능 분석과 하드웨어 진단 정도를 쓰면 됩니다.  

 

자세히 보기

Cap 2025-10-01 23-24-01-485.png

 

기본 탑재된 NVMe SSD의 성능

 

Cap 2025-09-29 17-10-53-929.png

 

기본 탑재된 NVMe SSD의 더티 테스트. 56%에서 캐시 영역이 소진되어 성능이 하락합니다. 

 

Cap 2025-10-01 23-29-46-773.png

 

USB-C 포트는 20G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Cap 2025-10-09 20-33-28-045.png

 

배터리 사용 시간. 웹서핑이나 영상 재생은 5시간 정도 가능하고요.

 

Cap 2025-10-09 20-33-55-005.png

 

배터리 충전 시간. 1시간이면 기본적인 사용이 가능한 정도로 충전이 됩니다. 

 

DSC04042.JPG

 

 

USB-C 포트를 통한 PD 전원 공급이 가능합니다. 출력은 노트북의 배터리 잔량과 충전기, 케이블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Cap 2025-10-09 20-30-41-855.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Cap 2025-10-09 20-31-57-945.png

 

시스템 온도

 

OJZN8419.JPG

 

3D마크 실행 시 노트북 표면 온도

 

Cap 2025-10-09 20-34-09-626.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

 

 

Cap 2025-10-09 20-32-28-925.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스피커 출력

 

device1.gif

 

TPM, 바이오스 구성, 기본 탑재 SSD 등의 장치 정보

 

device2.gif

 

WiFi 6E 무선 랜, 1Gbps 유선 랜, DTS 오디오, 블루투스 디바이스 정보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keyboard.gif

 

키보드의 4구역 RGB LED 

 

bios.gif

 

바이오스 구성

 

Cap 2025-09-30 20-29-59-980.png

 

기본 제공되는 드라이버 이미지

 

Cap 2025-10-02 00-08-04-572.jpg

 

DTS 오디오 설정 프로그램

 

Cap 2025-10-02 00-08-12-011.png

 

MSI 사운드 설정 프로그램

 

center1.gif

 

MSI 센터의 시스템 모니터링, 하드웨어 진단, 일반 설정, 성능 분석, 기본 기능 설정

 

center2.gif

 

게임 모드, 스마트 우선 순위, 유저 시나리오를 활용한 성능 설정

 

center3.gif

 

무선 랜, 미스틱 라이트 관리

 

center4.gif

 

제품 증록과 업데이트, 시스템 정보, 서비스 기능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

 

DSC04387.JPG

 

최신 아키텍처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노트북이 백만 원. 좀 더 길게 말해볼까요?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NVIDIA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을 쓰는 노트북 중 국내에서 가장 저렴한 모델. 이것만으로도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를 사야 할 이유는 충분합니다. CPU와 GPU 모두 성능이 특출나게 뛰어난 편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나, 백만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을 감안한다면 가성비 하나만은 정말 특별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게임 플레이에 맞춰 144Hz의 주사율로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주는 15.6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반투명 재질의 새시와 4구역 RGB LED가 빛나는 키보드는 사이보그라는 이름에 잘 어울리는 디자인을 완성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인텔 테크투어 2025
AMD 라이젠 임베디드 9000 시리즈 발표
케이스 내부에 설치해 그래픽카드 전면을 보여주는 거울
시놀로지, 써드파티 하드디스크 금지 정책 철회
책상 위에 두기 딱 좋아. 앱코 U20MP 큐빅 미니+ 디스플레이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대학생과 직장인을 위한 가성비 노트북, 삼성 갤럭시북4 NT750XGR-A28A 한사랑씨앤씨 노트포럼
넣을 건 넣고, 뺄 건 뺐습니다. 그랬더니 가성비가 대박~ ASUS TUF Gaming A15 FA506NCG-HN198[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리뷰] 여전히 무서운 가격과 회차 플레이로 무장한 '사일런트 힐 F' 게임동아
RTX 50 겜트북 최저가에요. MSI 사이보그 15 B2RWEKG-C5 기글하드웨어
노트북에 240Hz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면? MSI 소드 GF76 HX B14WGK-i9 QHD [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할리데이비슨 스포스터S 새로운 시대의 첫번째 할리 | 가장 저렴하지만 가장 빠른 최고의 크루저 네이키드 바이크 추천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업그레이드된 스피커 감성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퍼 딥톤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화려한 디스플레이와 전원부 발열 해소까지? Thermalright STREAM VISION 360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아이피타임 AX2004T 유무선공유기 [써보니] "애비야~ 고향집 인터넷 안된다!" 위클리포스트
아이피타임 SSD101M2 외장케이스 [써보니] 서랍속 M.2 SSD의 재사용! 위클리포스트
지클릭커 OFFICEPRO EK300 인체공학 무선 : 타이핑을 많이 한다면, 이런 키보드가 딱입니다. 쿨엔조이
아이피타임 UC306HDMI-1G (6포트/USB 3.0 Type C) 멀티허브 [써보니] 맥북과의 화해편! 위클리포스트
[시승기] 미니 첫 전기 JCW 에이스맨…퍼포먼스와 효율 '모두 잡았다' 오토헤럴드
[시승기]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처음부터 끝까지 '연료 효율에 올인' 오토헤럴드
더 잘하라고 국산차를 까지만 여기까지 온 것 자체가 엄청난 기적 (1)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한글날 편의점 새제품 아홉가지 모듬보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솔리드 스테이트 앰프를 진공관 앰프로 바꾸는 매직 | Synergistic Research Vibratron SX (1) 하이파이클럽
MOONDROP LAN II, 란2 커널형 이어폰 측정 (1) 0db
iPhone 17 vs 17 Air vs 17 Pro 아이폰 3종 스피커 비교 측정 (1) 0db
배틀그라운드, 로스트아크 가성비 컴퓨터 종결영상 (1) 동영상 있음 민티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