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 준수한 성능과 함께 골드 급의 정숙한 쿨링 설계를 그대로 만나다!

2025.11.10. 17:20:41
조회 수
72
2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5a84688d367aad4a9f3f05ba16ea92b509733e13.png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파워서플라이의 제조기술이 상향 평준화된 요즈음,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은 제품의 쿨링솔루션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특히 조용한 환경에서 PC를 사용하기 위한 저소음 시스템을 선호하는 유저들이 늘어나자 이러한 트렌드에 맞추어 일상적인 환경에서는 정숙함을 강조하면서도, 고부하구간에서는 우수한 쿨링성능이 기대할 수 있는 제품들이 골드 급 이상의 고성능 파워서플라이부터 하나둘씩 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이제는 보급형 제품군에서도 저소음을 강조한 제품들도 등장하여, 가성비를 염두한 파워서플라이를 선택함에 있어서 소음도는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 살펴볼 제품은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입니다. 블랙 / 화이트 두가지 색상으로 선보이는 본 제품은 이전 쿨엔조이 리뷰에서 만나보았던 정격 850W제품과 마찬가지로 최신 파워서플라이 규격인 ATX 3.1에 대응하고 있으며, 80PLUS BRONZE 230V EU 등급을 지니고 있는 정격 750W 출력 용량의 파워서플라이인데요. 최신 규격의 그래픽 카드 보조전원 방식인 12+4 Pin 커넥터와 1:1 연결이 가능한 12V-2x6 케이블 커넥터 또한 기본 탑재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또한 맥스엘리트의 STARS 시리즈에 속해있는 만큼, STARS 시리즈 특유의 새시 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골드 급 제품군인 STARS CYGNUS에서 살펴보았던 145mm의 섀시 크기와 이 크기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한 140mm FDB 쿨링팬 설계를 통해, 브론즈 급에서도 우수한 정숙성이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그러면 더욱 자세한 성능은 어떠할지, 지금부터 함께 제품의 패키지와 외형 및 내부, 그리고 테스트를 통한 성능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5fbf335507634ea4c7dd66ca3556b2f4b58a6469.png

08398b804dfb9c5539de0efff2ded7e104d7e7a1.png

8d98bae39d380f035375854e20a95c326dfc7ca4.jpg*측정환경 및 방식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eca3d62560dd5b2b566cf20bc18a7de0730d5f7.png986bf97786cf1b0685ea05380b4a2f2c2056de00.jpg6b13daffd0273c826058c0a159ad5c3807916c46.jpga723865ef835466bcb7c61ce1a4f197cd018d2c5.jpg9b59bd5e6003db90bb77bff714a3a3e68af95a8a.jpg200283cde97cb6dcfdbd1da22d5c8988fe7373e1.jpgfe668f1e65dafc6ae30c1ad377385267e89b3d3a.jpgb3d7abe3570449063a4bbd1a37bf529a91cf8704.jpg94119292533c9797a0d5bbe3689e0235acdf6357.jpg10e5f6d6fd162aa65c4ee5938960ddf5f7549a51.jpg0a1d6907c9a295a324664cf2768672a8a5660020.jpg90a480c8de09ae3758c0242f87bca44e4dbcd959.jpgff8519fee13e71b24b4e6111decd8bf6c64e07ad.jpg5abe08bf2d3295d11fd941999d527ebd4b49c8ba.jpg1d37a2fcac47b9d1c814e5719cb0aa705ac791ce.jpg2df7a0d1c62b66c1ffd16885ca65bc859dd4f8ef.jpg81e15a3c50e076b34073f5838464f4bad0d3f37d.jpg12673236035f6b139d27a8c1cdc010de0ce46592.jpgd4c126b2a33fcd783fd2ce83affd9dba150e058e.jpgc53b604320ff9a310a47424d0ddc73556793e4d3.jpgfe90f0b1de8f0fea386f83f8d556be8466064925.jpg677c5c31aa17913d97727086e0a7af3615aff900.jpg4711abbd94bedf75b53634a37a6091dada0eb458.jpg253d5575e5084b84abf0874d51141a13691ff4fe.jpg   

   

   396e407e5e961cbd9554e9a89bd932b89fd2d050.pngdb4590ea16cea542d641c80d3fd400c53a26cf42.jpg0717494230f26c2ae5c02614ba99aebd931a4807.jpg3259b6a4575a11e62fec3dec000a51a961a2a8b5.jpg7468c2de2fede5c56336077a861438fbb5e1af0c.jpg88bf41b155a3a9e49dc6172ecb6c3d9d50a0455b.jpgea06b4c8d2cb493238db035bc4dfe9ed9934b779.jpgf5d82faf0bdeb42aba4bb990db2146e2dd46b4d6.jpg5256ab623278624a0b7860cdb5b123eeca96d38d.jpgb46b02cb75a397eab34f7cbecb0fc85a4669ff05.jpg0dae06a13fd4c58d0d2f426aac2699449e0205dd.jpg20cc6881d53ec7ab30fb03e444bb47c7cb57ad67.jpgd965a1994183b9c9b45b8b2aede07961550181ae.jpgf8abb03ce76a953a7884abc77f0a3e2004c20307.jpgff1ef8fa5f3432c6c276c6d7eecb7a1701f20c34.jpg   

   

   

   

  

 

fc8b3fc1cb2c84068d10c104aa1b758f73911fa1.png

7303ce5928919a929505388126557610d38ea3f1.png 

  

  

  

    
51311f0c356f1dd38ae860a73a4ad33a98221cad.png

출력 효율 측정
ITECH Electronics 社의 DC 로드기 제품 중 IT8514C+ / IT8512A+ / IT8511+ / IT8211의 총 4가지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가 낼 수 있는 정격 출력의 10%부터 100%까지 10개 단위로 나눠 테스트합니다. 출력 효율은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한 전체 출력(W)을 HPM-100A(Wattman)으로 측정된 파워서플라이의 소비 전력(W)으로 나눠 백분위(%)로 표기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기합니다.
 
 
전압 측정
DC 로드기에서도 별도의 전압 측정 기능을 사용하여 전압을 기록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시 별도의 외부 전압 측정기를 사용한 후, 교차검증을 거쳐 결과값의 신뢰도를 보증합니다.
 
 
리플 & 노이즈 측정
Tektronix 社의 TPS2012B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의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합니다.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보드에 각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 RPM 측정
Sampo 社의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 쿨링팬의 RPM을 측정합니다.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에 별도의 개조 없이 RPM 측정이 가능합니다.  
  
  
소음 측정
부피 1.9 x 1.9 x 2 (m)의 이중 챔버 구조에 1 x 1 x 1 (m) 내부 구조의 규모로 설치된 무향실에서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제품과 직선상 약 50cm의 거리를 두고 측정하였습니다. 또한 CIRRUS에서 제공하는 Noisetools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d56b47890b1df512efded6b2c8a67cd95516957.jpg

▲ 파워서플라이 부하 테스트 : ITECH ELECTRONICS DC 로드기 시리즈


  

 

 

d73a908c5b0cccbbf9f65632d0ec7fecc6b49a12.jpg ▲ 파워서플라이 소비 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 1초 단위로 측정 

 

   

  

  

e3bd9ae76d5538b5f4905e460e68b0d3e4dfba56.jpg  ▲ 리플 & 노이즈 측정 : Tektronix TPS2012B Two-Channel Oscilloscope

   

   

   

38771075cbf33cde7a5ebdd4af21640942416126.jpg▲ 쿨링팬 RPM 측정 : Sampo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

   

   

   

5cb44c04ec11ef0adf86fd66aeeddf6d09eef86a.jpg  ▲ 소음 측정: 무향실 - 이중 챔버 구조 

   

   

   

f91e1e4c1f163fd02d37d1b59bfd04be2ceea7d6.jpg▲ 소음 측정: 측정 소음기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9c6417bc61b074d7cff0efd5b0258781baa8bb83.pngbcb57b3f7a183824d5b3917dabb84699829869e3.jpg     

본 제품은 80 PLUS BRONZE 230V EU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해당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230V AC 환경 기준으로 20% 부하 구간에서 85% 이상의 효율을, 50%에서 88% 이상을, 100% 부하에서 85% 이상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220V AC 환경에서 출력 효율을 테스트한 결과, 아이들(IDLE) 상태와 비슷한 부하 환경인 10% 부하 구간에서는 83.53%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80PLUS의 평가 구간을 살펴보면 20% 부하에서는 88.08%의 출력 효율을, 50%에서는 89.35%, 100%에서는 85.75%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든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71%로 측정되었으며, 실제 사용 시의 출력 효율은 AC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e27779972acef2828912dbaf69138d7ace93bf4.png7b83e35d485a7718326624d2e8d907331f95abf9.jpg8340a324da6969265c7709ac6631f2c5c74151b8.jpgfe13a8c52fe165ecc8b47f4d1975d171bf376a15.jpg   

PC용 파워서플라이에 가해지는 부하는 시스템에 구성된 부품의 조합과 각 부품이 소비하는 전력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한 부품 구성이어도 CPU 및 GPU의 오버클럭 여부 등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조건에서도 +12V / +5V / +3.3V의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0%부터 100% 부하 구간까지의 전압 출력 특성을 살펴보면, +12V는 부하에 상관없이 매우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고 있으며, +5V와 +3.3V는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cf51223941a6a99466d25c8490a512969a62c4ec.pngf67aedf8f7abc3b452ba67fa5bb5b504c0295946.jpg

 

최근에 출시되는 고성능 CPU와 GPU는 이전보다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합니다. 여기에 일부 제품은 별도의 옵션 설정을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설정들을 적용한 후에 PC를 사용하게 되면 +12V의 전력 소비량이 그렇지 않은 조건 대비 좀 더 늘어나게 됩니다. +12V가 다른 전압 대비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환경은 본 테스트에서 살펴볼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 해당합니다. 

 

본 제품에는 DC to DC가 탑재되어지 있지 않으나, Dual Magnetic amplifier voltage regulator(자기 증폭 전압 조정기)를 사용하여 전압 변환을 제어하는 설계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12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과 +5V, +3.3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의 두 가지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서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5V, +3.3V 모두 큰 차이 없이 안정적으로 각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99411a56d4b52504360b588905333df0c64093e.png049286c45e914f69304d2148393b558be777c852.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시스템 외부에서 공급되는 AC(교류) 전원을 시스템 내부의 각 부품에 필요한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때 파워서플라이에 입력된 교류 전원은 온전하게 직류로 변환되지 못하고 출력되는 전원에 사람의 맥박과 같은 흔적을 남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리플(Ripple)'이라고 합니다. 

    

또한, 리플 외에도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는 '노이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에서 빠질 수 없지만 수치가 낮다면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의 리플 & 노이즈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 +5V / +3.3V의 20% 부하 구간과 100% 부하 구간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각 전압에 허용되는 수치가 적용되었습니다.

     

    

   

   

   

  db002a0d030a1cab57d767085a0a47b0258ca12a.png742a0a6aba70c0b974d114c0b3ff37ad9150ff0e.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AC(교류) 전원을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품에 탑재된 쿨링팬은 이러한 발열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전원 공급을 돕습니다. 쿨링팬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의 내부에는 140mm 크기의 유체 다이내믹 베어링(FDB) 방식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쿨링팬은 긴 내구성과 작동 시의 조용한 소음으로 일반 소비자용 파워서플라이에서 사용됩니다. 

  

본 제품에는 별도의 제로 팬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부하에서 850 RPM, 약 25.1dB(A)의 소음도로 작동을 시작한 쿨링팬은 약 70% 구간 까지는 일정한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RPM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가장 마지막인 100% 부하 구간에서는 1398 RPM, 약 39.2dB(A)의 소음도가 측정되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은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ac01812c476450012ceb5af9707fa885d32badd.png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225afc7c5290e5780e5b8e748b810e0f56e0f3a9.jpg

     

정격 750W 브론즈급에 동일하게 적용된 STARS시리즈 골드 급의 쿨링 솔루션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은 맥스엘리트의 새로운 파워서플라이 시리즈인 STARS(별자리)에 속한 80PLUS BRONZE 230V EU 등급의 파워서플라이입니다. 블랙 / 화이트 2가지 색상으로 선보이는 본 제품은 각각의 단일 컬러를 커넥터까지 도색하였는데요. 특히 화이트 제품의 경우 기본 제공되는 AC 전원 케이블까지 화이트 색상으로 제공하여, 가성비를 고려하며 화이트 PC 시스템을 꾸리고자 유저분들에게 좋은 고려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본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STARS 시리즈의 골드 급 파워서플라이 'CYGNUS' 제품군에 사용된 섀시 및 쿨링팬 설계가 똑같이 적용된 점인데요. 최근 파워서플라이 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보급형 제품군에서 쿨링 솔루션에 대한 경쟁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만큼, 145mm의 섀시 사이즈에서 140mm FDB쿨링팬을 장착하여, 사이즈 대비 우수한 쿨링과 정숙성을 보여주었던 CYGNUS의 쿨링솔루션을 브론즈급에서 그대로 만나 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f76fc5f469876d50843b93174a998cfc863183ad.jpg   

차세대 그래픽 카드와 1:1 연결을 지원하는 12V-2x6 커넥터 케이블 탑재  

본 제품에는 차세대 그래픽 카드에 탑재된 12+4 Pin 보조 전원 커넥터와 1:1 연결이 가능한 12V-2x6 커넥터 케이블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존방식의 PCI-E 커넥터의 경우에도 Y형 브릿지 방식으로 총 2개의 커넥터가 지원되는 만큼, 다양한 제조사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도 지니고 있습니다.

   

   

   

    

   

24f5436cc9567f085f2484a4192d8bd029f3b8b8.jpg     

최대 89.52%, 전체 평균 87.71%로 준수함을 보여주는 출력 효율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는 80PLUS BRONZE 230V EU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인 220V AC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전체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71%로 측정되었며, 이 중 40%에서 약 89.52%의 최대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는데요. 전체적으로 준수한 효율을 지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944cd43c16ea79e22d7c6a065f5349cc437b995f.jpg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12V 전압 유지력

본 제품의 부하에 따른 +12V 전압 강하를 살펴 보면, 브론즈 파워서플라이임에도 부하에 관계없이 고성능 파워서플라이와 견줄만한 매우 안정적인 전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5V / +3.3V 전압의 경우에도 큰 변화 없이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요. 이를 통해 다양한 부하환경에서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bde838b8392dd83c0d869461b28c883fe5cf6d5c.jpg 

140mm FDB 쿨링팬으로 보여주는 정숙한 쿨링솔루션

본 제품의 내부에는 섀시 팬그릴을 꽉 채우는 140mm 크기의 유체 다이내믹 베어링(FDB) 방식의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제로팬 기능은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저부하 구간에서 일정한 속도로 정숙한 소음도를 보여주었는데요. 10% 부하구간에서 850 RPM의 동작 속도와 약 25.1dB(A)의 소음도를 보여준 쿨링팬은 70%구간까지 일정한 속도와 정숙함을 유지하였습니다.

  

이후 80% 구간부터 점진적으로 상승한 쿨링팬은 최대 부하구간인 100%에서 1398 RPM / 약 39.2dB(A)의 소음도를 보여주었는데요. 일반적인 사용자의 부하구간이 80%이하로 머무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 제품은 준수한 소음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30714abf52ab982775856b81f4af6f1493ebf732.jpg

  

브론즈급의 준수한 품질, 그리고 140mm FDB 쿨링팬 탑재로 정숙함까지 잡았다!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스냅드래곤 새 칩 보고 왔습니다ㅋㅋㅋ 근데 네이밍이 왜 이럼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편의점 세계일주~ 괌도시락, 도쿄닭구이, 여경래 향라치킨 11월 둘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에어팟 프로 3 리뷰... 이걸 원했던거지?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내 책상을 예쁜 여름빛으로 물들일 수 있는 시원한 기계식 키보드 '에포메이커 TH108' 2개월 롱텀 리뷰 4K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더 강해져서 돌아온 ATMOS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 가성비, 품질, 정숙성의 3박자와 함께 보급형 시장을 노리는 정격 650W 쿨엔조이
Segotep BN8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가성비의 강자 세고텝이 KR버전으로 선보이는 브론즈 ATX 3.1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Segotep BN7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한국 시장을 위해 KR버전으로 등장한 세고텝의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1)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 준수한 성능과 함께 골드 급의 정숙한 쿨링 설계를 그대로 만나다! (1) 쿨엔조이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800W 80PLUS실버 ATX3.1 : 실버 등급에서 보여주는 클래식의 품격 (1) 쿨엔조이
알파스캔 AOC Q27G11 : 검증된 라인업이 보여주는 안정된 균형 (1) 쿨엔조이
시디즈 의자가 명품 허먼밀러에게 도전장을 내민다면? @Shorts 동영상 있음 다나와
어허~! Windows 11로 아직 업그레이드 안함?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색보정의 신세계, 라이트룸 풀스크린으로 작업하는 혁신TourBox × LightroomClassic (1) 동영상 있음 Hakbong Kwon
Lian Li LANCOOL 217 INF Futuristic Gaming PC Build | HydroShift II LCDS 360 | Uni Fan TL Wireless (1) 동영상 있음 PC SNAP
강력한 성능과 뛰어난 그립감 제공하는 최상급 핸드헬드 UMPC, ASUS ROG XBOX ALLY X (1) 노트포럼
[시승기] 강원도 정선 험로를 정복, 랭글러 루비콘 '진짜 오프로더의 이유' 오토헤럴드
구미 라면축제 다녀왔습니다. 신라면 김치볶음면 최초공개 동영상 있음 맛상무
14프로 쓰던 PD님도 포기한 아이폰 17프로 한 달 후기! (셀룰러 이슈, 내구성 포함)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ROG에서 괴물을 만들었다! 이제 이 공유기 하나면 다됩니다! ASUS ROG Strix GS BE7200X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