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 가성비, 품질, 정숙성의 3박자와 함께 보급형 시장을 노리는 정격 650W

2025.11.10. 17:27:28
조회 수
55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b7cfd85cdabd30cb5d04ef74fa902a6935e26523.jpg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높아지는 환율, 수요에 비해 부족한 부품 공급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PC 하드웨어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와 그래픽카드와 같은 주요 부품의 상승폭이 가파르기에, PC 시스템 구성에 있어 처음에 생각한 자신의 예산을 맞추기 위해 다른 부품의 가격대를 더 경제적인 제품을 고른다던가 하는데요. 때문에 캐주얼한 PC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든든하고 알찬 가성비 PC를 구성을 위해 소비자들은 더욱 까다롭게 하드웨어들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국내 파워서플라이 유통사인 맥스엘리트에서는 경제적인 가격접근성을 지니면서도 준수한 품질을 선보이는 'STARS GEMINI'파워서플라이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정격 650W / 750W / 850W 총 3가지 출력 용량으로 선보이는 본 시리즈에서, 정격 750W / 850W는 지난 쿨엔조이 리뷰에서도 먼저 만나보았는데요. 마지막으로 만나 볼 정격 650W의 경우, 해당 파워서플라이용량이 주력으로 쓰이는 시스템을 염두하여, 최신 파워서플라이 규격인 ATX 3.1은 만족하면서도 12+4 Pin 커넥터 케이블을 제외하여 더욱 우수한 가격경쟁력에 중점을 둔 제품입니다.

  

그러면서도 준수한 품질은 물론, STARS 시리즈의 골드급 제품에 사용된 외형 설계를 사용하여 140mm 사이즈의 쿨링팬을 145mm 크기의 섀시에 탑재하였는데요. 덕분에 파워서플라이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쿨링솔루션을 통한 정숙성도 함께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현재 리뷰 작성일 기준 49,000원의 특가로 매우 경쟁력 높은 가격접근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가성비 PC를 구성하고자 하는 유저분들이라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실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러면 지금부터 함께 제품의 패키지 및 외형과 내부, 그리고 테스트를 통한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56d50f7a1296441c1bbb2c6a7eebc46f9522f6a.png

d17f52af910af78937d9248c3d635e76ec1e4462.jpg520e692925b71acfbab70cbf6af5d5f23c808e02.jpg*측정 환경 및 방식에 따라 차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eea61a9c84668aad622ee20caa6bfa6da485ef4a.pngade90aeb1c534901506903168f6a69b23e9ca439.jpg84eaa72e36759ba851e0ba601b3ec00a31845bf9.jpg6e1b54e90cb86e3396deabd9ef9f80d80846f082.jpgdef5e8b5b03f5db1234d66160931bbaa301696ee.jpg6ae1588f8fa9bc4c5ceb86c82ba14ec30b2b77b1.jpg1cfb723a0eb1d64bc07b9e12fbaaf6a39e176879.jpg30562d0dcb0f37415f329e8793abfb7a55da4ead.jpgce42a75b3ac3156a167a506ffb62bdf4664e2759.jpg7587549b7e425e85e055342d8275076f05d8924c.jpg2e37f9d9b47fa1e035ba67f13886a3862dc66c3a.jpga545fcb190f156e6b38fb0c1dfa463061d38d441.jpgd26b6469e49372a1d718fa0981d5cd59d9f222b8.jpg0d43152888ebeb31229dc9830fcccb132d30ec78.jpg31f11bcf8a01675c04fd324befa639478a5bdc3e.jpg5c6124863507f216c1589365adeca543a69d2cb4.jpg70fa42e6aebc8fbcd073e188df122b6640b9dd19.jpgfe867fd15d27ddf32f072b1060f87f0b3758efa7.jpgcf325674e8e769b9db53927185328e38b1449873.jpg26f4ce4f818f2ccd75501386fab0d79171f4b375.jpg7c73b741c9511d91bb91625761f52cd6c9941c4b.jpg71c3e6b165f8d6107b3fdacf4c3c9c5dbef95209.jpg2e966f2fba2071224a7429e6de52c42ecc9c23e0.jpg1257a16104dc78abc0f4bd223d83e97cd8a38b52.jpg6e0961ef4b6c54fa07fd606ab1c0c5b5e14fbdb8.jpg

       

     

      

cd8280aa959a4773d7b7e58af9ddecd87ebc1602.png

2c5e1516379b00f8152eb0a240ae488d6815cbdb.jpg844d4b4134aaef29aa7ef2c2c73a2714d2e5729d.jpg90e8f2929dd189f099ed16008a45621e601ac1a0.jpgf5af82c23fd0af9d005b0fbe72a50bd9118bc8e3.jpg3d382bd7776b1c6f00fc8951d708298c7533434b.jpg56853a68f32f0e4f68ff7b2e7f5a2cb1d523ff80.jpg9300a5b1e6c3cec3e41959a45492d4e331b25316.jpg9950800fd21d6d40c2bc8110d883ffc3bd9bf692.jpgde7069686041a6157af10e5b92a83bb13bef5119.jpga466133ec051420a96dd439fe2b03c400ef01f49.jpgfde4ad10a9f181628560ecc435cea51b11192f4b.jpg2e3aae4cb94e12b69b22f4966ddf37d99c81bf9a.jpgae22f466eb0e10d40ed3aab06fcc1369fa4efc58.jpg3cd3d5ba2a1a05f7e4ed53dc701b76eee5c31452.jpg70bd355f05ea32994657701fae84c9ef49cf6d4b.jpg8c0807c1e3026cc9753cffa0715f79bfe56ac10c.jpg

   

   

   

   

  

 

fc8b3fc1cb2c84068d10c104aa1b758f73911fa1.png

7303ce5928919a929505388126557610d38ea3f1.png 

  

  

  

    
51311f0c356f1dd38ae860a73a4ad33a98221cad.png

출력 효율 측정
ITECH Electronics 社의 DC 로드기 제품 중 IT8514C+ / IT8512A+ / IT8511+ / IT8211의 총 4가지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가 낼 수 있는 정격 출력의 10%부터 100%까지 10개 단위로 나눠 테스트합니다. 출력 효율은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한 전체 출력(W)을 HPM-100A(Wattman)으로 측정된 파워서플라이의 소비 전력(W)으로 나눠 백분위(%)로 표기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기합니다.
 
 
전압 측정
DC 로드기에서도 별도의 전압 측정 기능을 사용하여 전압을 기록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시 별도의 외부 전압 측정기를 사용한 후, 교차검증을 거쳐 결과값의 신뢰도를 보증합니다.
 
 
리플 & 노이즈 측정
Tektronix 社의 TPS2012B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의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합니다.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보드에 각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 RPM 측정
Sampo 社의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 쿨링팬의 RPM을 측정합니다.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에 별도의 개조 없이 RPM 측정이 가능합니다.  
  
  
소음 측정
부피 1.9 x 1.9 x 2 (m)의 이중 챔버 구조에 1 x 1 x 1 (m) 내부 구조의 규모로 설치된 무향실에서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제품과 직선상 약 50cm의 거리를 두고 측정하였습니다. 또한 CIRRUS에서 제공하는 Noisetools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d56b47890b1df512efded6b2c8a67cd95516957.jpg

▲ 파워서플라이 부하 테스트 : ITECH ELECTRONICS DC 로드기 시리즈


  

 

 

d73a908c5b0cccbbf9f65632d0ec7fecc6b49a12.jpg ▲ 파워서플라이 소비 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 1초 단위로 측정 

 

   

  

  

e3bd9ae76d5538b5f4905e460e68b0d3e4dfba56.jpg  ▲ 리플 & 노이즈 측정 : Tektronix TPS2012B Two-Channel Oscilloscope

   

   

   

38771075cbf33cde7a5ebdd4af21640942416126.jpg▲ 쿨링팬 RPM 측정 : Sampo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

   

   

   

5cb44c04ec11ef0adf86fd66aeeddf6d09eef86a.jpg  ▲ 소음 측정: 무향실 - 이중 챔버 구조 

   

   

   

f91e1e4c1f163fd02d37d1b59bfd04be2ceea7d6.jpg▲ 소음 측정: 측정 소음기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9c6417bc61b074d7cff0efd5b0258781baa8bb83.pngdf4b85983dce672ab6d83767e3bccf2ab372d43a.jpg     

본 제품은 80 PLUS BRONZE 230V EU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해당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230V AC 환경 기준으로 20% 부하 구간에서 85% 이상의 효율을, 50%에서 88% 이상을, 100% 부하에서 85% 이상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220V AC 환경에서 출력 효율을 테스트한 결과, 아이들(IDLE) 상태와 비슷한 부하 환경인 10% 부하 구간에서는 82.15%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80PLUS의 평가 구간을 살펴보면 20% 부하에서는 87.32%의 출력 효율을, 50%에서는 89.23%, 100%에서는 86.24%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든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52%로 측정되었으며, 실제 사용 시의 출력 효율은 AC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e27779972acef2828912dbaf69138d7ace93bf4.png0f2d607a3785e8bf8f2f5417ce8417ba714b9ec3.jpgc1cdc918cf40cace1997b3c3a65e900a07085d7f.jpg747a1a6e39a594bce54cd1c26cc21e9d1115bec8.jpg   

PC용 파워서플라이에 가해지는 부하는 시스템에 구성된 부품의 조합과 각 부품이 소비하는 전력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한 부품 구성이어도 CPU 및 GPU의 오버클럭 여부 등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조건에서도 +12V / +5V / +3.3V의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0%부터 100% 부하 구간까지의 전압 출력 특성을 살펴보면, +12V는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고 있으며, +5V와 +3.3V는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cf51223941a6a99466d25c8490a512969a62c4ec.png2ceb63131d103672dafd895634b2ad2ccde9100d.jpg

 

최근에 출시되는 고성능 CPU와 GPU는 이전보다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합니다. 여기에 일부 제품은 별도의 옵션 설정을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설정들을 적용한 후에 PC를 사용하게 되면 +12V의 전력 소비량이 그렇지 않은 조건 대비 좀 더 늘어나게 됩니다. +12V가 다른 전압 대비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환경은 본 테스트에서 살펴볼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 해당합니다. 

 

본 제품에는 DC to DC가 탑재되어지 있지 않으나, Dual Magnetic amplifier voltage regulator(자기 증폭 전압 조정기)를 사용하여 전압 변환을 제어하는 설계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12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과 +5V, +3.3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의 두 가지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서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5V, +3.3V 모두 큰 차이 없이 안정적으로 각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99411a56d4b52504360b588905333df0c64093e.pngca1b8346239634e2cef41462614ef76f324dc7b5.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시스템 외부에서 공급되는 AC(교류) 전원을 시스템 내부의 각 부품에 필요한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때 파워서플라이에 입력된 교류 전원은 온전하게 직류로 변환되지 못하고 출력되는 전원에 사람의 맥박과 같은 흔적을 남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리플(Ripple)'이라고 합니다. 

    

또한, 리플 외에도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는 '노이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에서 빠질 수 없지만 수치가 낮다면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의 리플 & 노이즈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 +5V / +3.3V의 20% 부하 구간과 100% 부하 구간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각 전압에 허용되는 수치가 적용되었습니다.

     

    

   

   

   

  db002a0d030a1cab57d767085a0a47b0258ca12a.pngbaca3ee81e4e04593401d6490ce0110b659661cf.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AC(교류) 전원을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품에 탑재된 쿨링팬은 이러한 발열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전원 공급을 돕습니다. 쿨링팬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의 내부에는 140mm 크기의 유체 다이내믹 베어링(FDB) 방식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쿨링팬은 긴 내구성과 작동 시의 조용한 소음으로 일반 소비자용 파워서플라이에서 사용됩니다. 

  

본 제품에는 별도의 제로 팬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부하에서 792 RPM, 약 24.3dB(A)의 소음도로 작동을 시작한 쿨링팬은 약 70% 구간 까지는 일정한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RPM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가장 마지막인 100% 부하 구간에서는 1082 RPM, 약 32.1dB(A)의 소음도가 측정되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은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6ee25bffb8cf6b2df1c3d76f522d83de9d63337.jpg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2314c16321c27a1dc36fe743fc9e7192688d9076.jpg

     

우수한 가성비로 만나는 정격 650W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은 80PLUS BRONZE 230V EU 등급의 파워서플라이입니다. 블랙 / 화이트 2가지 색상으로 제공되며, 화이트 제품의 경우 기본 제공되는 AC 전원 케이블까지 화이트 색상으로 되어 있는데요. 덕분에 PC에서도 화이트 컬러로 가성비 시스템을 꾸리고자 유저분들이 환영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리뷰 작성일 기준 특가로 49,000원이라는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점도 있기에, 이 기회에 새로운 PC를 구성하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본 파워서플라이와 함께 훌륭한 가성비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본 제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STARS 시리즈의 쿨링솔루션 설계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 시리즈의 골드급 파워서플라이에서 적용한 140mm의 쿨링팬을 145mm 섀시에 탑재한 점인데요. 덕분에 브론즈 급 파워서플라이임에도, 우수한 케이스 장착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정숙한 쿨링성능을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8f77e4056fc7d59326b580d0cfd1f32452837fc6.jpg

     

105℃ 스펙의 일본 Toshin Kogyo社 1차 커패시터 사용 

본 제품의 내부에 사용된 1차 커패시터는 일본 Toshin Kogyo (東伸工業) 社 LW 420V / 390㎌ / 105℃ 스펙이 1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양을 지닌 커패시터의 사용은 부품 간의 단순 비교 시, 105℃ 온도 등급의 커패시터는 일반적인 85℃ 등급 커패시터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내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더 나은 수명과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c2afcaf2097dd0143dc56229b129bf6eaad61752.jpg     

최대 89.525, 전체 평균 87.52%의 준수한 출력 효율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는 80PLUS BRONZE 230V EU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인 220V AC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전체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7.52%로 측정되었며, 이 중 40%에서 약 89.25%의 최대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는데요. 전체적으로 브론즈급에 걸맞은 준수한 효율을 지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37174a591114a11343ed5d7418efa562ad4ec547.jpg 

정숙함을 보여주는 140mm FDB 쿨링팬 탑재

본 제품의 내부에는 140mm 크기의 유체 다이내믹 베어링(FDB) 방식의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제로팬 기능은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약 80% 부하 구간까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정숙한 소음도를 보여주었는데요. 이후 90% 구간부터 상승한 쿨링팬의 속도는 최대 부하구간인 100%에서 1082 RPM / 약 32.1dB(A)의 소음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부하구간이 80%이하로 머무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 제품은 준수한 소음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cd8b854ea5a047980be65da98867a6a81e8d478a.jpg

  

가성비, 품질, 정숙성 모두 생각한 맥스엘리트의 정격 650W ATX 3.1 파워서플라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스냅드래곤 새 칩 보고 왔습니다ㅋㅋㅋ 근데 네이밍이 왜 이럼 동영상 있음 뻘짓연구소
내 책상을 예쁜 여름빛으로 물들일 수 있는 시원한 기계식 키보드 '에포메이커 TH108' 2개월 롱텀 리뷰 4K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더 강해져서 돌아온 ATMOS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650W 80PLUS브론즈 ATX3.1 : 가성비, 품질, 정숙성의 3박자와 함께 보급형 시장을 노리는 정격 650W 쿨엔조이
Segotep BN8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가성비의 강자 세고텝이 KR버전으로 선보이는 브론즈 ATX 3.1 파워서플라이 쿨엔조이
Segotep BN750W KR 80PLUS브론즈 ATX 3.1 : 한국 시장을 위해 KR버전으로 등장한 세고텝의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1) 쿨엔조이
맥스엘리트 STARS GEMINI 750W 80PLUS브론즈 ATX3.1 : 준수한 성능과 함께 골드 급의 정숙한 쿨링 설계를 그대로 만나다! (1) 쿨엔조이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800W 80PLUS실버 ATX3.1 : 실버 등급에서 보여주는 클래식의 품격 (1) 쿨엔조이
알파스캔 AOC Q27G11 : 검증된 라인업이 보여주는 안정된 균형 (1) 쿨엔조이
어허~! Windows 11로 아직 업그레이드 안함?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Lian Li LANCOOL 217 INF Futuristic Gaming PC Build | HydroShift II LCDS 360 | Uni Fan TL Wireless (1) 동영상 있음 PC SNAP
ROG에서 괴물을 만들었다! 이제 이 공유기 하나면 다됩니다! ASUS ROG Strix GS BE7200X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쿨’한 시스템의 완성...고성능 CPU 위한 일체형 수냉 쿨러 ‘GIGABYTE GAMING 360’  미디어픽
시원한 라이젠 메인스트림 메인보드,기가바이트 B850 EAGLE ICE 제이씨현 (4) 보드나라
JONSBO T9 SILVER : 귀한 미니 ITX 케이스 모셨습니다. (9) 쿨엔조이
비트엠 Newsync 320FW : 대화면과 고주사율을 합리적으로 경험하는 방법 (1) 쿨엔조이
타건감 예술! 소리마저 기분좋은 무선 풀배열 키보드 GKG108 몽돌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아이구주 HATCH S400 BTF FULL MESH : 양 측면도 메시 패널인 시원한 케이스 쿨엔조이
마그네틱축+8000Hz+스트림덱! 커세어의 새로운 키보드 등장 [프리미엄 리포터V]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시원한 화이트 컬러와 눈부신 LED 조합 ‘PALIT 지포스 RTX 5060 WHITE OC D7 8GB 이엠텍’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