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디자인 및 기능 2) 휘도, 명암비 및 균일성
|
![]() |
|
|
2) 휘도, 명암비 및 균일성 ※ 본 리뷰는 2003년 7월부로 업그레이된 새로운 리뷰기준에 의해 평가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리뷰 기준의 가장 중요한 점은 '브랜드와 A/S'에 대한 평가점수가 삭제되고 '성능과 기능'위주의 평가시스템이 도입된 점입니다. 따라서, 제품 구매시 발생할 수 있는 A/S 등의 문제는 리뷰를 읽으시는 분들 각자의 판단에 맡깁니다.
올링스 221D의 휘도 및 명암 특성
디스플레이는 빛의 3원색(Red, Green, Blue)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PC는 8비트 디지털 체계로 색을 표현할 경우 R/G/B가 각각 0 ~ 255까지 256단계(2의 8승)의 계조로 구분되므로 이론적으로 약 1,670만여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R/G/B가 모두 0인 경우가 Black이 되고, 모두 255이면 White가 되는 것이다. 만약 3원색 중 어느 하나에만 신호를 주어 R/G/B값이 (255,0,0)일 경우 순수한 Red가 되고, 같은 방식으로 (0,255,0)는 Green, (0,0,255)는 Blue가 된다. 따라서, 이상적인 경우 R,G,B 각각의 휘도를 계측한 후 이를 모두 더하면 White의 휘도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각각의 디스플레이의 특성이 따라 W = (R + G + B)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R,G,B 각각의 채널이 완전히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지 못하며, 가산혼합(Additve Mixture)가 최적으로 유지도지 못함을 뜻한다. 아래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가장 왼쪽(0)이 Black이고 가장 오른쪽(255)이 White를 뜻한다. 세로축은 White의 휘도를 R/G/B 각각의 휘도를 더한 합으로 나눈 값이다. 221D는 전체적으로 약 5% 내외의 가산혼합 편차를 보여주었다.
디스플레이의 명암비(Contrast Ratio)를 구하는 공식은 '백색의 휘도를 흑색의 휘도로 나눈 값 (Lw / Lb )'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그 공식의 성격상 명암비는 백색 휘도 보다는 흑색의 휘도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 아래의 그래프는 위의 휘도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221D의 백색과 흑색의 휘도를 계측하여 명암비를 계산한 것이다. 221D의 공장 디폴트(Picture Mode)에서의 명암비는 약 843:1로 적절한 수치라 하겠다.
올링스 221D의 화면 균일성 (휘도, 명암, 백색)
아래의 그래프는 221D의 전화면에 백색을 표시한 후 총 25개 포인트를 계측한 결과다. 균일성 테스트는 위와 좀 다른 시점에 한 관계로 데이타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휘도가 가장 높은 곳은 중앙으로 약 261cd/sq.m로 계측되었고, 우측 상단부가 약 203cd/sq.m로 가장 낮게 나왔다. 최대와 최소간의 휘도 편차는 약 57cd/sq.m이고, 보통 업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Max/Min의 방식으로 계산해 보면 약 1.29로 보통 수준에 속한다.
이번에는 백색휘도와 흑색휘도의 비율, 즉 명암비 균일성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명암비의 경우에도 가장 높은 곳은 중앙부로 약 880:1로 계산되었고, 상대적으로 명암비가 가장 낮은 곳도 역시 우측 상단부인데 약 685:1로 계산되었다.
![]()
※ 자료제공 : 모니터포유 (www.monitor4u.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