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올링스미디어 221D

운영자
2006.07.22. 10:39:49
조회 수
6,422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올링스 Allinx 221D

 

1) 디자인 및 기능

2) 휘도, 명암비 및 균일성

3) 컬러 및 계조표현력

4) 시야각, 응답속도, 결론

 


 

1) 디자인 및 기능

 

올링스의 221D - 최초의 22인치 와이드 화면과 높은 가독성

이번에 소개하는 올링스의 221D는 앞서 출시했던 938D 및 T38D와 마찬가지로 기존에는 없던 독특한 사이즈와 해상도의 LCD 모니터이다. 기존에는 4:3이나 5:4의 화면비율을 가진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16:9나 16:10의 화면비율을 갖춘 와이드형 제품들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19 ~ 22인치의 중대형 사이즈에 1440*900이나 1680*1050의 새로운 해상도를 갖춘 제품들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올링스의 T38D가 20.1인치에 1400*1050이라는 독특한 해상도를 넣어 0.292mm의 픽셀피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19인치보다 해상도는 조금 더 높이면서 좋은 가독성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이번 221D도 비슷한 컨셉이다. 20.1인치 와이드형 제품과 1680*1050으로 해상도는 동일하지만 픽셀피치가 0.282mm로 20.1인치와 21.3인치 와이드 패널에 비해 가독성이 우수하다. 높은 해상도를 위해서라면 가독성을 희생해도 좋다는 경쟁심리에 경종을 울리는 제품이라 하겠다.

 

 

221D의 주요 스펙을 살펴 보면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1680*1050의 해상도에 픽셀 피치는 0.282mm이다. 휘도 330 cd/㎡, 명암비 800:1, 시야각 170도(H)/160(V), 응답속도 5ms(GTG)의 스펙을 가졌다. 입력신호는 아날로그 RGB와 디지털(DVI-D)이 모두 가능하며, 아답터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VESA 규격(100mm×100mm)의 Wall Mount 장착용 홀(hole)이 준비되어 있고, TCO '03 인증을 받았다.

 

올링스 221D의 박스 및 악세사리

221D의 박스는 앞서 리뷰했던 치메이(CMV) 제품들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크기만 다르다. 상대적인 박스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종이컵을 함께 놓고 촬영하였다. 박스 모양에서부터 중국틱한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깔끔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221D의 악세사리는 다음의 사진에서 보듯이 간단한 매뉴얼, 매뉴얼 CD, 오디오 케이블, 파워케이블(아답터 내장형), 아날로그 RGB 케이블(15pin Mini D-Sub), DVI-D 케이블 등이 들어 있다.

 

 

스탠드 베이스는 당초 분리된 채로 포장되어져 있다. 모니터를 이 받침 위에 올려 놓고 살짝 눌러 주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간단하게 조립이 된다. 조립된 이후에 다시 분리시키려면 바닥에 있는 버튼 두 개를 안쪽으로 누르면서 빼 주면 된다.

 

 

 

올링스 221D의 디자인 및 부가기능

221D의 디자인은 스탠드부를 제외하고는 앞서 리뷰했던 938D나 T38D와 유사하다. 별다른 치장을 하지 않은 단순한 디자인인데도 깨끗한 매력이 느껴진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참고로 221D의 스펙상의 무게는 스탠드 포함시 4.5Kg이지만 실제 들어 보면 제품의 크기에 비해서 상당히 가벼운 편이다. 마치 모든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될 정도이다. (비록 2인치가 더 크기는 하지만 PC뱅크의 240TW는 꽤나 묵직하게 느껴진다)

 

 

 

다음의 사진을 보면 OSD 버튼이 (앞에서 봤을 때) 모니터의 좌측 측면부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단 보기에는 좋지만 조작하기에는 (각각의 버튼명이 보이지 않으므로) 조금 불편하다. 후면부도 깔끔하게 짙은 회색이 적용되어 있는데 여기에도 큼지막하게 'CHIMEI'라는 회사명이 인쇄되어 있다.

 

 

221D에는 모니터의 뒷면을 깔끔히 정리하기 위해 덮개가 씌워져 있다.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이 덮개를 벗겨야 각종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위의 사진에서는 덮개에 가려 보이지 않는데 좌측 하단쪽에 도난방지용 켄싱턴 락(Kensington Lock)을 걸 수 있는 홈이 준비되어 있다. 참고로, 938D나 T38D와는 달리 221D에는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다음은 모니터의 후면부 하단을 촬영한 것이다. 아날로그 RGB 단자와 DVI-D 단자, 그리고 네크 건너 편으로 전원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아답터 내장형이다.

 

 

 

올링스 221D의 OSD 조정기능

다음의 사진은 221D의 우측 측면 하단부에 배치된 OSD 버튼을 촬영한 것이다. 맨 아래에 있는 버튼이 파워 버튼이고 그 위가 Menu 버튼이다. 측면에 부착되어 있기는 하지만 버튼명이 전면을 향하고 있어 어떤 단추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알기 위해 모니터를 돌리거나, 머리를 들이 밀 필요가 없다. T38D나 928D에서 개선된 점이다.

 

 

하지만 221D의 OSD 메뉴는 Audio 메뉴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전과 동일하다. 크게 Image, Color, Misc., Info.의 4가지로 나뉘어져 있는데 공장 디폴트는 밝기 100%, 명암 50%이며 색온도는 6500K였다. 색온도의 경우 User 이외에 6500K, 7500K, 9300K, 그리고 sRGB 모드가 준비되어 있었다.

 

 

 

 

 

 

 



올링스 Allinx 221D

 

1) 디자인 및 기능

2) 휘도, 명암비 및 균일성

3) 컬러 및 계조표현력

4) 시야각, 응답속도, 결론

 


 

2) 휘도, 명암비 및 균일성

본 리뷰는 2003년 7월부로 업그레이된 새로운 리뷰기준에 의해 평가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리뷰 기준의 가장 중요한 점은 '브랜드와 A/S'에 대한 평가점수가 삭제되고 '성능과 기능'위주의 평가시스템이 도입된 점입니다. 따라서, 제품 구매시 발생할 수 있는 A/S 등의 문제는 리뷰를 읽으시는 분들 각자의 판단에 맡깁니다.

 

올링스 221D의 휘도 및 명암 특성
아래의 그래프는 백색(full screen white)을 1분 간격으로 총 3시간동안 연속으로 계측하여 휘도 변화를 추적한 결과를 이전에 리뷰한 타사의 19인치 제품들과 비교한 것이다.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시간과 휘도(Luminance, cd/sq.m)를 나타낸다. 아래의 그래프는 221D와 최근에 리뷰한 20인치급 제품들의 Aging 특성을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다. 빨간색 실선이 221D인데 전원을 넣은 후 계속 휘도가 떨어지다가 약 2시간 반 정도가 되어 최종 안정화된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는 빛의 3원색(Red, Green, Blue)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PC는 8비트 디지털 체계로 색을 표현할 경우 R/G/B가 각각 0 ~ 255까지 256단계(2의 8승)의 계조로 구분되므로 이론적으로 약 1,670만여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R/G/B가 모두 0인 경우가 Black이 되고, 모두 255이면 White가 되는 것이다. 만약 3원색 중 어느 하나에만 신호를 주어 R/G/B값이 (255,0,0)일 경우 순수한 Red가 되고, 같은 방식으로 (0,255,0)는 Green, (0,0,255)는 Blue가 된다. 따라서, 이상적인 경우 R,G,B 각각의 휘도를 계측한 후 이를 모두 더하면 White의 휘도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각각의 디스플레이의 특성이 따라 W = (R + G + B)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R,G,B 각각의 채널이 완전히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지 못하며, 가산혼합(Additve Mixture)가 최적으로 유지도지 못함을 뜻한다. 아래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가장 왼쪽(0)이 Black이고 가장 오른쪽(255)이 White를 뜻한다. 세로축은 White의 휘도를 R/G/B 각각의 휘도를 더한 합으로 나눈 값이다. 221D는 전체적으로 약 5% 내외의 가산혼합 편차를 보여주었다. 

 


다음의 그래프는 221D의 (백색) 휘도를 최근에 리뷰한 20인치급 제품들과 비교한 것이다. 3시간 이상 에이징(Aging)한 후에 DVI 신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계측한 것인데, 이때의 백색 휘도는 약 258cd/sq.m로 데스크탑용 모니터로서는 정상적인 수준이었다. 다른 회사들의 제품들도 약 250cd/sq.m 내외의 휘도 수준을 보여 주었다.

 

 

디스플레이의 명암비(Contrast Ratio)를 구하는 공식은 '백색의 휘도를 흑색의 휘도로 나눈 값 (Lw / Lb )'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그 공식의 성격상 명암비는 백색 휘도 보다는 흑색의 휘도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 아래의 그래프는 위의 휘도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221D의 백색과 흑색의 휘도를 계측하여 명암비를 계산한 것이다. 221D의 공장 디폴트(Picture Mode)에서의 명암비는 약 843:1로 적절한 수치라 하겠다.
 

 

 

올링스 221D의 화면 균일성 (휘도, 명암, 백색)
아래의 도표들은 모니터의 화면을 25등분하여 각종 균일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004년 2월부터는 망원식이 아닌 접촉식 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므로 시야각 특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을 기억해 주시기 바란다.(기존에는 망원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일정부분 시야각 특성이 반영됨) 즉, LCD 모니터의 패널에서 각 영역별로 직각으로 입사하는 휘도와 색도를 약 3cm 정도의 거리에서 근접 측정한 것이다.

2005년 12월부터는 리뷰용 테스트 PC의 기존 그래픽카드(ATi FireGL 8700)의 DVI 출력신호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Radeon 9600으로 교체해서 테스트한 것도 기억해 주시기 바란다.

 

아래의 그래프는 221D의 전화면에 백색을 표시한 후 총 25개 포인트를 계측한 결과다. 균일성 테스트는 위와 좀 다른 시점에 한 관계로 데이타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휘도가 가장 높은 곳은 중앙으로 약 261cd/sq.m로 계측되었고, 우측 상단부가 약 203cd/sq.m로 가장 낮게 나왔다. 최대와 최소간의 휘도 편차는 약 57cd/sq.m이고, 보통 업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Max/Min의 방식으로 계산해 보면 약 1.29로 보통 수준에 속한다. 
 

 

이번에는 백색휘도와 흑색휘도의 비율, 즉 명암비 균일성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명암비의 경우에도 가장 높은 곳은 중앙부로 약 880:1로 계산되었고, 상대적으로 명암비가 가장 낮은 곳도 역시 우측 상단부인데 약 685:1로 계산되었다.

 


이번에는 화면의 각 영역이 어떤 톤의 백색을 띄고 있는지를 살펴 보기 위해 색온도(K, Kelvin)로써 표시해 보았다. 백색의 색온도는 좌측 중간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색온도인 6315K로 계측되었고, 우측 하단부가 6753K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색온도였다. 최대 색온도 편차는 약 438K로 편차가 꽤 작은 편이다.

 


다음의 그래프는 중앙부 백색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영역의 백색과의 색차를 보여주고 있는데 색차(delta u'v')가 가장 큰 곳은 화면의 좌측 상단부로 (중앙부의 백색과) 약 0.002의 색 차이를 보였다. 매우 훌륭한 수준이라 하겠다.
 

 

 

 

 

※ 자료제공 : 모니터포유 (www.monitor4u.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음식물처리기, 미생물 비교는 본 적 없죠? 그래서 저희가 나섰습니다. (미생물제제 8종 1달 비교) 동영상 있음 노써치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이엠텍: 가성비 게이밍 PC를 위한 또 하나의 선택지 등장 쿨엔조이
진짜 나무가 적용된 가구스러운 PC 케이스, 다크플래쉬 DW500 우드 MESH RGB 케이벤치
25년형 충전예초기 고를때 반드시 알아야하는 점은?! 그리고 북성 BC60F 전격분석! 【Ep.485】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리뷰] 길이 없어? 부숴서 만들면 되잖아. ‘동키콩 바난자’ 게임동아
2TB SSD 지원 하이엔드 게이밍 UMPC, MSI 클로 8 AI+ A2VM-U7 폴라 템페스트 에디션 WIN11 노트포럼
이거 성능 썩은거 아니였어?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 삼분지계. MAXSUN Arc B580 iCraft D6 12GB 코잇 기글하드웨어
쓰기 편하고 강력한 4베이 NAS, 시놀로지 DS925+ 베타뉴스
깔끔한 디자인에 어울리지 않는 강력한 성능! GALAX 지포스 RTX 5060 화이트 OC D7 8GB 그래픽카드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데스크테리어에 적합한 내 책상 위 보물 '앱코 UD20M 미니웨일' 미디어픽
8,000mAh 배터리에 스위치 윤활까지! 1stPlayer NEO87 크림 버건디 vs. 스텔라 텐키리스 키보드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해외에서는 이미 대박! 사펑 세계관을 확장해 줄 새로운 보드 게임 '사이버 펑크 2077' 분석 및 구매 가이드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30TB HDD가 4개?! 120TB NAS 써봤습니다 'Seagate IronWolf Pro 30TB' (3) 동영상 있음 도레
내돈내산 갤럭시 Z폴드7 솔직리뷰얇아진 두께, 아쉬운 스피커, S펜은? (3) 동영상 있음 톡써니
"오랜만에 나를 설레게 한 축구화…" 테켈라 V5 엘리트 FG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듀얼 팬과 화이트 컬러,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WHITE OC (1) 케이벤치
16년만에 어른들을 위한 진짜 어른용 게임이 나왔다! 명말 공허의 깃털 리뷰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갤럭시 Z 폴드 7, 사도 될까? (5)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잔상없이 선명한 180Hz 게이밍 모니터, 크로스오버 27FAW9 Fast-IPS 180 화이트 USB-C Ai게이밍 노트포럼
이 시간 HOT 댓글!
1/4